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2:52:23

마우가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ExcitedAndLoudMiddle, 합의사항1=영웅-갤러리-대사 틀을 영웅 틀로 합함,
토론주소2=PumpedTacitLonelyBean, 합의사항2=현상의 '영웅/갤러리/대사/스토리' 틀 형태를 유지하되\, 가변형 레이아웃을 이용하고 영웅의 고유 시그니처 컬러를 제거,
토론주소3=GreedyBusyGrandioseSpring, 합의사항3=틀의 폭은 가로 100%로 하며\, 역할군 표시 칸 - 영웅 나열 칸은 서로 가로로 배치)]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영웅 목록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영웅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대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갤러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협동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
}}}}}}

오버워치 2의 7번째 (총 39번째) 영웅
일리아리 마우가 벤처

<nopad>파일:오버워치 마우가.png
카리스마 넘치는 교활한 사모아 전사 마우가는 전장의 혼돈 속에서 하루하루를 삶의 마지막 순간인 것처럼 살아간다.
<colbgcolor=#798086,#333e48><colcolor=#ffffff> MAUGA
마우가
본명 Maugaloa Malosi
마우갈로아 말로시
역할군 돌격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수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투이[1]
파일:일본 국기.svg 와타누키 류노스케[2]
출시일
2023년 11월 4일~7일(사전 체험)
2023년 12월 6일(라이브)[3]
이 틀에서는 게임 관련 내용만 다룸. 스토리 관련 정보는 스토리를 참고.
1. 개요2. 기본 정보3. 스토리4. 대사5. 능력 정보
5.1. 지속 능력 - 역할: 돌격(Role: Tank)5.2. 지속 능력 - 광전사(Berserker)5.3. 기본 무기 - 화염 및 촉발 기관포(Incendiary and Volatile Chaingun)5.4. 좌Shift - 돌파(Overrun)5.5. E - 터질 듯한 심장(Cardiac Overdrive)5.6. Q - 케이지 혈투(Cage Fight)
5.6.1. 영웅별 방어 가능 여부
6. 운용7. 성능
7.1. 장점7.2. 단점
8. 평가
8.1. 경쟁전8.2. 프로 대회
9. 상성
9.1. 돌격9.2. 공격9.3. 지원
10. 궁합
10.1. 타 영웅
10.1.1. 돌격10.1.2. 공격10.1.3. 지원
10.2. 전장
11. 관련 업적 및 도전과제12. 영웅 갤러리13. 패치 노트14. 출시 전 정보
14.1. 기존에 알려진 정보14.2. 신규 영웅 참전
15. 기타
15.1. 2차 창작

[clearfix]

1. 개요

마우가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 시리즈영웅이다.

2. 기본 정보

영웅 선택 화면
파일:오버워치 2_마우가 영웅 선택 애니메이션.gif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333e48>
키 아트
파일:1600_Mauga.jpg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333e48>
메인 화면
파일:마우가 메인 화면.jpg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px><table bordercolor=#333e48><table bgcolor=#333e48>
시네마틱 스틸샷
[ 스틸샷 보기 ]
||<table width=100%><table bgcolor=#999,#383b40><width=50%><nopad>파일:멋진 날-마우가1.jpg||<nopad>파일:멋진 날-마우가 2.jpg||
《멋진 날》
||
3D 초상화
파일:Overwatch2_마우가 초상화.png
2D 초상화
파일:오버워치2 마우가 초상화.png
마우가 테마곡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fff,#1c1d1f>카리스마 넘치는 교활한 사모아 전사 마우가는 전장의 혼돈 속에서 하루하루를 삶의 마지막 순간인 것처럼 살아갑니다.
공식 홈페이지 소개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총 두 자루에 죽이는 미소를 가진 마우가 님이라고!
(A gun in each hand and a smile on my face!)
― 영웅 선택 대사
||

2023년 11월 4일에 공개되었다.

블리즈컨 행사의 일환으로 정식 출시 약 1달 전인 2023년 11월 4일 오전 3시 35분경부터 11월 7일 오전 4시[4]까지 3일간 경쟁전을 제외한 모든 모드에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게 일시적으로 선행 출시되었다.

8시즌 배틀 패스 45단계를 달성하거나 8시즌 프리미엄 배틀 패스를 구매하면 바로 해금할 수 있다. 10시즌부터는 모든 오버워치 1 영웅을 해금하면 즉시 해제된다. 9시즌 한정으로 900 오버워치 코인으로 구매하거나 전용 도전 과제를 모두 달성하면 해금할 수 있다. 9시즌에 해금한 유저는 10시즌부터 모든 오버워치 1 영웅을 해금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PC방에서는 영웅 잠금 여부 상관없이 모든 영웅을 플레이할 수 있다.

전용 도전 과제 목록 【펼치기 / 접기】
||<table width=600px><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ccc,#222> 도전 과제 ||
(영웅 이름)을 위한 승리
일반전 또는 경쟁전 또는 똑같은 영웅도 환영에서 역할 자동 배정 또는 ?? 영웅으로 게임 35회 승리

3.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우가/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우가/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능력 정보

<nopad>
소개 영상[5]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 width=100%><rowcolor=#fff> 역할 생명력(역할 고정)
파일:Dark_Circle_Tank.svg
돌격
기본 575
방어력 150
+ 최대 추가 생명력 150(지속 능력에 의해 발생)
}}}
## 하얀 칸 23개, 노란 칸 6개, 초록 칸 6개, 기타 칸 1개 = 총 36개
{{{#!wiki style="margin:-16px -11px;"<rowcolor=#fff> 역할 생명력(그 외)
파일:Dark_Circle_Tank.svg
돌격
기본 425
방어력 150
+ 최대 추가 생명력 150(지속 능력에 의해 발생)
}}}
## 하얀 칸 17개, 노란 칸 6개, 초록 칸 6개, 기타 칸 1개 = 총 30개
{{{#!wiki style="margin:-16px -11px;font-size:0.8em;word-break:keep-all;"<rowcolor=#fff> 생명력 정보
기본  
방어력  
보호막  
추가 생명력  
}}}
기본 능력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6일
  • 너프: 영웅을 교체할 때 유지하는 궁극기 충전량의 최대치가 25%에서 15%로 감소 (모든 영웅)
  • 너프: 역할 고정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650에서 500으로 감소
  • 너프: 역할 고정이 적용되지 않는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500에서 350으로 감소
  • 버프: 방어력이 0에서 150으로 증가
  • 버프: 머리의 히트박스 크기가 15% 감소
  • 2023년 12월 20일
  • 너프: 역할 고정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500에서 400으로 감소
  • 너프: 역할 고정이 적용되지 않는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350에서 250으로 감소
  • 버프: 방어력이 150에서 250으로 증가
  • 2024년 1월 10일
  • 버프: 역할 고정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400에서 450으로 증가
  • 버프: 역할 고정이 적용되는 않는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250에서 300으로 증가
  • 너프: 방어력이 250에서 200으로 감소
  • 2024년 12월 11일
  • 너프: 방어력이 200에서 150으로 감소, 기본 체력이 375에서 425로 증가

모든 영웅 공용 지속 능력으로 5초간 피해를 받지 않으면 초당 전체 체력의 5%+10만큼 체력을 회복하며, 영웅 교체 시 궁극기 게이지가 최대 15%까지 유지된다. 다만 궁극기 게이지 %가 그대로 이전되는 방식이 아닌 충전한 궁극기 포인트만큼 이전되는 방식이다.[6]

원시의 분노 상태의 윈스턴을 제외하면 오버워치 영웅들 중 히트박스가 가장 넓다.

5.1. 지속 능력 - 역할: 돌격(Role: Tank)

파일:Tank.svg받는 밀쳐내기 효과가 줄어듭니다.
자신을 대상으로 한 공격과 치유가 궁극기를 보다 적게 충전시킵니다.
역할 고정 게임 모드에서는 기본 생명력이 증가합니다.
밀쳐내기 감소: 25%
궁극기 충전량 감소: 40%
치명타 피해 감소: 25%
기본 생명력 증가: 150[D.Va]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2년 10월 5일 (오버워치 2)
  • 역할 지속 능력 - 역할: 돌격 추가
  • 2023년 2월 8일
  • 너프: 역할 고정이 적용되지 않는 게임 모드에서 모든 돌격 영웅의 기본 생명력이 감소하게 변경 (역할 고정이 활성화된 게임에서는 돌격 영웅의 총 생명력이 예전과 동일)
    - 역할 고정 모드에서 기본 생명력이 증가한다는 설명이 추가되었다.
  • 2024년 5월 15일
  • 버프: 돌격 영웅은 치명적인 헤드샷 피해에 25% 피해 감소 효과를 받음.
  • 2024년 7월 10일
  • 조정: 궁극기 충전율 감소 효과가 30%에서 40%로 증가.
  • 2024년 9월 18일
  • 너프: 밀쳐내기 감소율이 40%에서 25%로 감소.

[D.Va] D.Va는 메카 한정.

밀쳐내기 감소 패시브 덕에 양손 포화를 사용 할 때 잘 밀려나지 않지 않게 되어 적과 붙기 수월해지고, 방어 기술 없이 몸빵으로 버티는 마우가의 특징상 궁극기 감소도 유용하다. 게다가 추가 생명력+터질 듯한 심장의 피해 감소 효과+방어력의 시너지를 통해 공격을 받아도 적들의 궁극기가 많이 차지 않는다. 치명타 피해 감소또한 머리가 큰 편인 마우가에게 도움이 된다.

다만 터질 듯한 심장의 자가 치유 또한 감소된다.

솜브라의 해킹에 의한 스킬 차단 상태에서도 발동된다.

5.2. 지속 능력 - 광전사(Berserker)

파일:마우가 광전사.png치명타 피해를 주면 일시적으로 생명력이 증가합니다.
추가 생명력 획득량: 치명타로 준 피해량의 50%
추가 생명력 최대 보유량: 150
추가 생명력 감소량: 추가 생명력 획득 3.2초 후, 초당 5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6일
  • 버프: 추가 생명력 획득량이 치명타로 준 피해량의 40%에서 50%로 증가
  • 2023년 12월 20일
  • 버프: 추가 생명력 획득량이 치명타로 준 피해량의 50%에서 60%로 증가
  • 2024년 1월 10일
  • 너프: 추가 생명력 획득량이 치명타로 준 피해량의 60%에서 50%로 감소
적에게 치명타로 입힌 피해의 50%만큼 추가 생명력을 획득해 최대 150까지 생성된다.

터질 듯한 심장과 함께 마우가의 탱킹을 담당하는 기술로, 적을 화염 기관포로 공격해 화상을 입히고 촉발 기관포로 쏘거나 화염 기관포로 헤드샷을 맞히는 방식으로 추가 생명력을 수급할 수 있다. 단독으로 쏠 경우 초당 72 정도의 추가 생명력을 얻을 수 있으며 탱킹을 하려면 최대한 헤드샷을 맞히는 게 매우 중요하기에 화염 기관포로 견제를 할 때 또한 우선적으로 헤드샷을 노리는 걸 추천한다.

적을 돌파의 발구르기를 중심부에 맞혔을 때도 치명타로 판정되어 추가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

화상 상태의 오브젝트는 치명타로 판정되더라도 추가 생명력은 획득할 수 없다. 예외로 애쉬의 B.O.B.은 영웅 판정이기에 추가 생명력을 획득할 수 있다.

5.3. 기본 무기 - 화염 및 촉발 기관포(Incendiary and Volatile Chaingun)

파일:마우가 화염 기관포.png
파일:마우가 촉발 기관포.png
파일:마우스 좌클릭 [OW2].png 연속으로 적중 시 대상을 불태우는 전자동 무기입니다.
파일:마우스 우클릭 [OW2].png 불타는 적에게 치명타 피해를 주는 전자동 무기입니다.
탄환 수: 300발[7]
재장전 시간: 2.4초
최대 거리: 150m
선 딜레이: 0.16초
발사 중 이동 속도 감소: 하나당 15%(본인, 4.675m/s)
동시 발사 시 30%(본인, 3.85m/s)
[기본 발사 - 화염 기관포 "거니"]
공격 유형: 히트스캔
공격력: 발당 4(30m)~1.2(40m)
동시 발사 시 4(15m)~1.2(20m)
공격 속도: 초당 18발 (DPS: 72)[8]
화상 발동에 필요한 타격 횟수: 10발
화상 공격력: 초당 15(총 60)
화상 지속 시간: 4초
치명타 판정: ✓ (2배)
[clearfix]
[보조 발사 - 촉발 기관포 "차차"]
공격 유형: 히트스캔
공격력: 발당 4(30m)~1.2(40m)
동시 발사 시 4(15m)~1.2(20m)
공격 속도: 초당 18발 (DPS: 72)[9]
치명타 판정: ✓ (2배)[10]
{{{#!wiki style="display:block;width:95%;margin:1px auto;text-align:center;"
{{{#!wiki style="margin: -10px auto;"
화염 기관포 촉발 기관포 }}}
}}}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매트릭스: 화상 피해는 증폭 불가)
{{{#!wiki style="display:block;width:95%;margin:2px auto;text-align:center;padding:4px 8px;font-size:0.9em;border:1px solid;border-radius:8px;"
{{{#!folding 갤러리 【펼치기 / 접기】
{{{#!wiki style="display:block;width:100%;max-width:600px;margin:-5px auto -10px;"
<nopad>파일:마우가 기관포 스틸샷 01.png
게임 내 모습
}}}}}}}}}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기관포 동시 발사
  • 차차랑 거니에게 인사나 하시지!
  • 난 양손잡이라서 말이야
  • 화염 기관포의 화상으로 처치
  • 좀 더워질 거야. (Getting hot in here.)
  • 따끈하게 덥혀주지. (Let me warm you up!)
  • 잘 구워졌습니다! (Sizzling!)
  • 화끈한데! (Looking hot!)
  • 뜨거운 녀석들이랑 어울릴 준비가 안 됐네! (Don't mess with us hot heads!)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6일
  • 버프: 동시 발사의 산탄 범위가 15% 감소
  • 너프: 동시 발사의 공격 속도 증가 효과가 25%에서 0%로 감소
  • 버프: 발당 공격력이 4.5에서 5로 증가
  • 버프: 거리별 공격력 감소가 적용되는 거리가 25m~35m에서 30m~40m로 증가[11]
  • 버프: 탄환 수가 300발에서 350발로 증가
  • 버프: 발사 중 이동 속도 감소 효과가 하나당 20%에서 15%로 감소[12]
  • 버프: 화상 발동에 필요한 타격 횟수가 11발에서 10발로 감소
  • 버프: 화상 공격력이 초당 12에서 15로 증가(총 36에서 45로 증가)
    - 동시 발사 시 거니와 차차의 공격 속도가 25% 증가하는 효과가 삭제되었지만, 산탄 범위 감소, 발당 공격력 증가, 거리별 공격력 감소 적용 거리 증가, 탄환 수 증가, 이동 속도 감소 효과 감소 등 상당한 버프를 받아 안정성이 증가했다. 추가로 화상 공격력이 약간 증가하고, 화상 발동에 필요한 타격 횟수가 감소했다.
  • 2023년 12월 13일
  • 너프: 발당 공격력이 5에서 4로 감소
  • 너프: 화상 발동에 필요한 타격 횟수가 10발에서 15발로 증가
    - 기관포 하나당 DPS가 90에서 72로 크게 감소하고, 화상 타격 수도 늘어나 피격 판정이 좁은 영웅에게 화상을 입히기 어려워졌다.
  • 2023년 12월 20일
  • 버프: 화상 발동에 필요한 타격 횟수가 15발에서 10발로 감소
  • 버프: 기관포를 하나만 사용 중일 때의 산탄 범위가 1.1에서 1로 감소
  • 2024년 1월 10일
  • 너프: 탄환 수가 350발에서 300발로 감소
  • 2024년 10월 16일
  • 버프: 화상 지속 시간이 3초에서 4초로 증가
||
바스티온의 강습 모드와 유사한 히트스캔 기관포 형식의 무기로, 기본 무기와 보조 무기를 같이 들고 있으며 기본 무기 화염 기관포는 왼손에, 보조 무기 촉발 기관포는 오른손에 들고 있다. 각각 따로 발사하거나 동시에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본 발사와 보조 발사는 서로 탄환 수를 공유한다. 근접 공격은 화염 기관포로 후려친다. 발사 중에는 이동 속도가 각각 15% 감소하며, 동시 발사 시에는 이동 속도가 30% 감소한다.

기본 발사인 화염 기관포는 첫 발 타격 후 3초 내에 10발 타격 시 적과 오브젝트(방벽 제외)에게 4초간 화상 효과를 입힌다.[13] 보조 발사인 촉발 기관포는 화상 입은 적과 오브젝트[14]를 상대로는 타격 부위와 무관하게 치명타를 입힌다.[15] 공 상태의 레킹볼 같이 아예 치명타 판정이 없는 적은 물론 방벽, 포탑, 생명의 나무, 빙벽 등의 치명타 판정이 없는 오브젝트에게도 치명타가 들어간다. 다만 치명타 면역 판정이 있는 방어 강화 상태의 오리사는 화상을 입혀도 치명타가 터지지 않는다.

위의 특성을 제외하면, 두 기관포 모두 공격력, 공격 속도 등의 기본적인 스펙은 동일하다.

화염 기관포와 촉발 기관포 둘 다 하나만 발사할 때는 산탄 범위가 좁은 편이지만, 동시에 발사할 경우 산탄 범위가 매우 커지고, 거리별 공격력 감소가 심해지며, 이동 속도 감소 효과도 2배가 된다. 이 때문에 중장거리에 있는 적 혹은 히트박스가 좁고 기동성이 높은 영웅을을 상대할 때는 먼저 화염 기관포로 화상을 입힌 다음 촉발 기관포로 사격하고, 덩치가 크거나 기동성이 낮은 근거리에 있는 적만 동시에 사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탄환 수가 300발로 매우 많지만 동시 발사를 사용하면 초당 36발을 발사해 약 8초만에 한 탄창을 비우니 여유가 될 때마다 장전을 해 두는 것이 좋다.

탱커 중의 기본 무기치고는 꽤나 높은 DPS를 자랑한다. 탄퍼짐 때문에 체감 DPS는 조금 더 낮지만, 동시 사격 시 DPS는 144로 어지간한 딜러 수준이고, 화상까지 입히면 231로 굉장히 높은 DPS가 나온다. 화염 기관포까지 전탄 헤드샷을 맞힌다면 303으로 DPS가 바스티온의 강습 모드에 버금가는 살인적인 수치가 된다.

게다가 마우가의 지속 능력인 광전사와 E 스킬인 터질 듯한 심장 모두 적 영웅에게 주는 피해를 전제로 추가 생명력과 치유 효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본 공격은 마우가의 딜링뿐만 아니라 유지력까지 모두 책임지고 있는 핵심 요소이다. 기본 공격을 몸에 맞힌다고 가정하면 적이 화상 상태일 때 우클릭 시 초당 72의 추가 생명력을 얻을 수 있고, 동시 발사 + 심장 사용 시에는 초당 72(추가 생명력 획득) + 138.6(치유량) = 210.6을 회복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는 로드호그의 숨 돌리기(초당 160)보다 높은 수치이다.

정커퀸이 톱니칼을 "그레이시"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처럼 마우가도 화염 기관포를 "거니(Gunny)", 촉발 기관포는 "차차(Cha-Cha)"라는 이름으로 부른다.[16]

재장전 시간이 2.4초로 매우 긴 편이다[17]. 상술했듯 기본 공격은 마우가의 핵심 요소인데 그런 무기의 재장전 시간이 매우 길다는 건 무시 못할 단점이다. 재장전 시간이 매우 길고, 캔슬도 불가능하니 항상 잔탄을 생각하여 교전을 해야 하며 여유가 된다면 제때제때 탄을 채워넣는 센스가 필요하다.

참고로 거니와 차차는 즉발이 아니고 0.16초의 선 딜레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솔져처럼 끊어쓰기엔 매우 부적합하고 연사가 강제된다.

여담으로 해당 문서에서는 편의상 두 무기를 동시에 서술하고 있지만 게임 내 설명에는 두 무기가 각각 나뉘어 있다.

영어 이름이 체인건이긴 하지만, 체인건이자 기계식 개틀링포인 미니건에 더 가깝다.[18]

소전과 마우가의 상호대사를 보아 해당 기관포는 원래 오버워치에서 쓰던 무기인데 마우가가 가져다가 쓰는 것 같다. [19]

5.4. 좌Shift - 돌파(Overrun)

파일:마우가 돌파.png전방으로 돌진한 뒤 발을 굴러 적을 공중으로 띄웁니다. 돌진 중에는 저지 불가 상태가 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5초
시전 시간: 0.3초
지속 시간: 최대 2초
공격력: 발구르기 최대 75, 돌진 30(충돌 시)
넉다운 시간: 발구르기 중심부에 피격 시 1초
돌진 중 받는 피해 감소: 50%
이동 속도 증가: 172.5%(본인, 15.82m/s)
발구르기 범위: 반경 7m (중심부 반경 2.5m)
치명타 판정: ✓ (중심부, 2배)[20]
[clearfix]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탈출 가능

(튕겨내기, 수호의 창: 발구르기 중심부 피격 시 기절하지만 피해는 방어 가능)
{{{#!wiki style="display:block;width:95%;margin:2px auto;text-align:center;padding:4px 8px;font-size:0.9em;border:1px solid;border-radius:8px;"
{{{#!folding 갤러리 【펼치기 / 접기】
{{{#!wiki style="display:block;width:100%;max-width:600px;margin:-5px auto -10px;"
<nopad>파일:마우가 돌파 스틸샷 01.png
게임 내 모습
}}}}}}}}}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돌파 사용
  • 비켜, 비켜! (Here I come!)
  • 좀 지나가겠수다! (Charging through!)
  • 태클! (Tackle!)
  • 거기 딱 기다려! (Coming for ya!)
  • 넌 내가 잡아주지! (I'm gonna catch you!)
  • Laa maua atu oe! (라 마우아 투 오이 / 넌 내가 잡아주지!)
  • Tūlou! (실례!)
  • 돌파로 낙사시켜 처치
  • 바람과 함께 꺼져버려! (Ride the wind!)
  • 벌써 가시게? (Going so soon?)
  • 보고 싶을 거야! (I'm gonna miss ya!)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6일
  • 버프: 해킹으로 끊기지 않게 변경
  • 버프: 돌진 중 받는 피해 감소 효과가 30%에서 50%로 증가
  • 버프: 돌진 중 충돌 피해가 20에서 25로 증가
  • 버프: 발구르기의 중심부 피해가 80에서 90으로 증가
  • 버프: 발구르기의 바깥 피해가 40에서 45로 증가
    사용 중에 해킹당해도 끊기지 않게 되었고, 받는 피해 감소 효과가 30%에서 50%로 증가해 진입이나 후퇴가 수월해졌다. 또한 돌진 및 발구르기의 피해량이 약간 증가했다.
  • 2024년 2월 13일
  • 버프: 발구르기의 피해량이 45에서 60으로 증가
  • 2024년 6월 20일
  • 조정: 두 돌진 기술이 충돌시 일어나는 넉다운의 시간이 2초에서 1.7초로 감소
  • 2024년 7월 10일
  • 버프: 돌진 중 충돌 피해가 25에서 30으로 증가
  • 버프: 발구르기의 피해량이 60에서 75로 증가
  • 2024년 11월 13일
  • 버프: 재사용 대기시간이 6초에서 5초로 감소
  • 버프: 돌진 이동 속도 15% 증가
||
저지 불가 상태로 전방으로 돌진한다. 돌진 중에는 이동 속도가 크게 증가하고, 돌진 중인 마우가와 충돌한 적은 넉백과 함께 30의 피해를 입는다. 이 상태에서는 치유 차단, 부조화, 열상, 지속 피해를 제외한 모든 상태 이상에 면역이 되며, 오리사의 방어 강화의 저지 불가와 동일한 판정이라서, 방어 강화와 마찬가지로 사용 중 해킹당해도 취소되지 않는다. 게임 내 설명에는 없지만 돌진 중에는 받는 피해가 50% 감소한다.

중간에 좌클릭이나 스페이스바를 누르거나 지속 시간이 끝나면 짧게 도약한 후 발구르기를 한다. 이때 발구르기 지점 주변에 충격파를 일으켜 75의 피해를 주며, 적을 띄우고 뒤로 넉백시킨다. 적이 발구르기 중심부에 피격될 경우 추가로 치명타로 적용되어 피해량이 150이 되고, 1초 동안 넘어뜨린다. 또한 '치명타'로 판정되기 때문에, 마우가의 패시브인 광전사도 발동하여 추가 생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쉬프트를 다시 누르면 취소되며, 발구르기를 하지 않는다.

돌파중 아무것도 누르지 않고 지속시간이 끝나 발구르기를 할 때, 쉬프트로 후딜레이를 캔슬하면 평소보다 더 빨리 나아갈 수 있다.

이렇듯 상당히 강력한 스킬이지만, 명중 난이도가 꽤나 어려운 편이라 조작에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그래도 적중 시켰을 때의 리턴은 상당한 편으로 광역 기절과 동시에 1명만 맞혀도 60 가량의 추가 체력을 받을 수 있으며 발구르기 넉다운-난사-근접 콤보면 순식간에 250 영웅의 피를 뜯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돌파 발구르기 시전 중에는 시점 변경이 가능해 돌파를 찍은 후 상대쪽을 바라보면 매끄럽게 공격으로 이을 수 있다.

돌진 중인 라인하르트, 돌진하는 애쉬의 B.O.B., 로켓 펀치를 쓰는 둠피스트, 방패 밀쳐내기를 쓰는 브리기테 같은 적과 정면에서 충돌해도 같이 넘어지지 않고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버린다. 다만 돌파로 돌진 중인 마우가와 맞충돌하면 2초 동안 같이 넘어지며 기절 상태가 된다.

돌진 중에는 저지 불가 상태가 되긴 하지만, 오리사의 방어 강화와 다르게 일단 이동기라서 중력자탄, 중력 붕괴, 강철 덫, 자력 수류탄, 케이지 혈투 등 이동기를 봉인하는 기술에 걸렸을 때는 쓸 수 없다. 물론 위의 기술들의 영향을 받기 전에 이미 돌파를 시전해서 돌진 중일 때는 저지 불가 상태라 해당 기술들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짧은 쿨타임, 피해 감소, 저지 불가, 조건부 CC기까지 붙은 초강력 진입기이자 후퇴기이다. 돌진 중 저지 불가 효과 때문에 CC기로 캔슬이 불가능해서[21], 잘만 쓰면 저지 불가+피해 감소로 상대의 CC기나 공격기를 카운터치면서 역으로 적에게 기절을 넣거나, 적들을 죄다 뚫어버리며 유유히 도주해버리는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매우 유용한 스킬이지만 돌파의 운전과 진입 타이밍 계산이 미숙하면 오히려 적의 포킹으로 녹아내리기 쉬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스킬이다.

비슷한 스킬인 라인하르트의 돌진과 비교하면 속도가 조금 느리고 자체 피해가 낮은 대신에 저지 불가 판정이 달려있어서 온갖 CC기로도 캔슬되지 않고, 피해 감소도 있고, 시전 시간도 짧아서 훨씬 안전하게 도주가 가능하다. 또한 커브 성능도 훨씬 뛰어나기에 방향 전환이 쉽고, 벽에 부딪혀도 취소되지 않는다.

튕겨내기와 수호의 창에 대한 판정이 약간 특이한데, 튕겨내기와 수호의 창 상태에서 발구르기 중심부에 피격될 경우 기절은 하지만 피해는 받지 않는다. 하지만 발구르기의 바깥 충격파와 돌진으로 인한 피해는 튕겨내기와 수호의 창으로 방어할 수 없다.

저지불가 상태가 되는 기술이지만 돌진하기 전 짧은 선딜이 있어 그 사이 CC기를 맞으면 돌파가 끊겨버린다.
히오스 도살자의 스킬 무자비한 돌진과 화로 구이를 합친듯한 스킬이다. 팔을 감싸고 뛰는 모션과 저지 불가능하다는 특징, 그리고 마우가의 스포츠 취향을 고려해보면 빼박 럭비의 프롭이 모티브. 스킬 사용시 나오는 대사도 '태클'이고, 8시즌 마우가 전용 퀘스트의 이름도 럭비 연습이었다. 말 그대로 아무도 멈춰 세울 수 없는 럭비 선수스러운 스킬이다.

윈스턴과 달리 방벽이 없어서 무턱대고 사용하면 적들 사이에 고립되어 훌륭한 과녁판이 될 위험이 크다. 마우가는 다른 탱커들에 비해 보호기가 빈약한 대신 긴 사정거리의 주무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돌파를 꼭 앞으로만 사용해야 할 필요는 없다. 평소에는 돌파의 짧은 쿨타임을 이용해 엄폐물 사이를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하다, 기회가 생길 때 앞으로 지르는 식으로 운영하면 좋다.

5.5. E - 터질 듯한 심장(Cardiac Overdrive)

파일:마우가 터질 듯한 심장.png주위 아군이 받는 피해를 감소시키고 피해를 주면 생명력이 회복되게 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15초[22]
지속 시간: 3초
받는 피해 감소: 40%(본인), 20%(아군)
치유량: 준 피해량의 100%(본인), 50%(아군)
범위: 반경 10m
[clearfix]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wiki style="display:block;width:95%;margin:2px auto;text-align:center;padding:4px 8px;font-size:0.9em;border:1px solid;border-radius:8px;"
<nopad>파일:대표이미지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터질 듯한 심장 사용
  • 날뛰어 보자고! (Everybody riot!)
  • 파티를 시작하자! (Start this party!)
  • 고통을 즐기라고. (Let's put that pain to use.)
  • 작살을 내버려! (Now go get 'em!)
  • 마음껏 움직여! (Let's make a scene!)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6일
  • 버프: 치유량이 준 피해량의 60%에서 70%로 증가
  • 2024년 1월 10일
  • 너프: 치유량이 준 피해량의 70%에서 60%로 감소
  • 너프: 재사용 대기시간이 15초에서 17초로 증가
  • 2024년 3월 13일
  • 버프: 재사용 대기시간이 17초에서 14초로 감소
  • 버프: 기술 사용 시 추가 생명력 100을 얻게 됨
  • 너프: 지속시간이 5초에서 4초로 감소
  • 2024년 3월 19일
  • 너프: 기술 사용 시 추가 생명력을 얻지 않게 됨
  • 너프: 재사용 대기시간이 14초에서 17초로 증가
  • 버프: 지속시간이 4초에서 5초로 증가
  • 2024년 6월 10일
  • 너프: 지속시간이 5초에서 3초로 감소
  • 버프: 재사용 대기시간이 17초에서 15초로 감소
  • 버프: 치유량이 준 피해량의 60%에서 100%로 증가
  • 버프: 받는 피해 감소가 30%에서 40%로 증가
  • 너프: 아군이 받는 치유와 피해 감소가 절반으로 감소
||
발동 시 지속 시간 동안 자신과 주위 반경 10m 내에 있는 아군들에게 받는 피해 감소와 리퍼의 영혼 수확과 같은 흡혈 버프를 건다. 이 범위는 루시우의 버프 범위 처럼 주위 바닥에 빛으로 표시되며 이를 벗어나면 버프가 끊어진다. 지속 시간 중에는 루시우의 분위기 전환처럼 지속 시간을 표시하는 게이지 밑에 몇 명의 아군이 스킬 범위 내에 있는지 보여주며, 마우가와 범위 내에 있는 아군에게 노란색 오라가 씌워지는 시각적 효과가 생긴다.

마우가 본인은 받는 피해가 40% 줄어들며, 입힌 피해의 100%만큼 회복한다. 아군에게는 효과가 각각 받는 피해의 20% 감소와 주는 피해의 50% 회복만 적용이 된다. 또한 회복 효과는 각자 본인에게만 적용돼서 마우가가 아무리 적을 때려도 아군은 회복하지 않으며, 반대로 아군이 적을 때려도 마우가가 회복하지 않는다.

상술했듯이 모두 몸샷을 맞힐 경우 마우가 본인은 대략 216의 체력을 회복하는 효과를 얻고, 이는 로드호그의 숨 돌리기(초당 160)의 효과보다 높다. 비교하자면 로드호그는 충전식이고 이동속도 감소가 없으며 힐밴/기절/해킹만 없다면 안정적으로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마우가는 피해를 주지 못하면 체력을 회복하지 못해 훨씬 불안정하고 조건을 타지만 막대한 딜과 자가치유를 병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숨 돌리기와의 또 다른 차별점으로는 아군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이 있다. 한타 중 아군의 생존력을 올려 주어 아군의 급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은 정커퀸의 지휘의 외침과도 유사하다. 마우가는 받은 피해를 비율로 줄이지만 정커퀸은 추가체력을 고정값으로 제공하는데, 생명력 250 기준 200 이상일 때 마우가의 버프가 효과가 더 좋다. 여기에 마우가의 버프는 흡혈 효과까지 있으므로, 마우가의 심장은 유지력에 좋고 정커퀸의 외침은 세이브에 좋다고 할 수 있다.

방벽, 포탑 등의 오브젝트를 공격 시에는 회복이 되지 않지만, 예외로 애쉬의 B.O.B.은 영웅 판정이기에 때리면 회복이 가능하다. 특히 밥은 가만히 서 있어 헤드에 맞히는 것도 충분히 현실적으로 가능해 회복량이 더 늘어난다.

돌파 사용 중에도 발동 가능하지만, 피해 감소 효과는 중첩 시 최대 50% 상한이 있기에 돌파의 피해 감소 효과(50%)와는 중첩되지 않는다.

방어력이 있을 때는 방어력의 피해 감소 효과와 중첩되어 사실상 심장의 효과가 피해 감소 40%가 되다보니 방어력이 사라지고 기본 생명력만 있을 때 쓰기보단 방어력이 있을 때 쓰는 것이 좀 더 버티기가 좋다.

특이하게도 지속 시간 중에 취소가 불가능한데도 오리사의 방어 강화처럼 기술 지속 시간 중에도 쿨타임이 돌아가기에 키리코의 여우길의 쿨가속 효과를 조금 더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6. Q - 케이지 혈투(Cage Fight)

파일:마우가 케이지 혈투.png자신과 적을 가두는 방벽을 배치합니다.
궁극기 충전량: 2650 포인트[23][24]
시전 시간: 0.5초
지속 시간: 최대 8초
내구도: 1500
범위: 반경 6.5m, 높이 10m
[clearfix]
기술별 상호작용 여부
 · 
방어 가능
방어 불가

반사 가능
방어 불가

방어 가능
방어 불가
 · 
증폭 가능
증폭 불가

증폭 가능
증폭 불가
{{{#!wiki style="display:block;width:95%;margin:2px auto;text-align:center;padding:4px 8px;font-size:0.9em;border:1px solid;border-radius:8px;"
{{{#!folding 갤러리 【펼치기 / 접기】
{{{#!wiki style="display:block;width:100%;max-width:600px;margin:-5px auto -10px;"
<nopad>파일:마우가 케이지 혈투 스틸샷 01.png
게임 내 모습
}}}}}}}}}
대사 모음 【펼치기 / 접기】
* 케이지 혈투 사용
  • <자신 및 적군> Se, sei toetiti. (세 세이 토이티티 / 여기서 끝장을 내 보자고!)
  • <아군> 각 예쁘게 잡아놨어! (We got them where we want them!)
  • 만우절 (경쟁전 미적용)
  • 적 영웅 1명만 가둘 시
  • 싸움을 걸었다면, 목숨도 걸라고. (No flight, only fight.)
  • 후회하기엔 너무 늦었어. (You should've stuck with your squad.)
  • 친구들은 어디 두고 온 거야? (What happened to your friends?)
  • 아군이랑 붙어 있었어야지! (Where'd your team go, buddy?)
  • 특정 영웅을 가둘 시
  • <오버워치 소속 영웅> 영웅 납셨네. (What a hero.)
  • <바티스트> 얌마, 여깄었구나! (Found you, buddy!)
  • <레킹볼, 윈스턴> 아주 꼬옥 껴안아 주지! (I just wanna give you a big hug.)
  • <둠피스트> 나쁜 소식이야, 대장. (Hey, boss, bad news.)
  • <시그마> 한 곡 뽑아봐, 박사. (Sing me a tune, doctor.)
  • <리퍼> 그래, 죽음에서 벗어날 순 없지. (You can't escape death, remember?)
  • <위도우메이커> 내가 거미를 보면 어쩌는지 알아? (You know what I do when I see a spider?)
  • <모이라> 이번엔 네가 실험체가 되는 건 어때? (How about you be test subject this time?)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2023년 12월 13일
  • 너프: 최대 지속 시간이 10초에서 8초로 감소
  • 2024년 1월 10일
  • 너프: 사용시 탄환이 재장전되는 대신 더 이상 탄환이 무제한으로 제공되지 않음.
    - 무한탄창 효과가 사라짐으로써 궁 지속시간 넘어 싸우게 됐을때 아쉽게 됐다. 마우가는 안그래도 재장전 시간이 가장 긴데 궁극기 지속시간 내에 한타, 교전이 끝나지 않는다면 다시 재장전을 해야한다는 점에서 너프.
||
자신과 적을 묶는 방벽을 배치하고 탄창을 즉시 재장전한다. 방벽의 내구도는 1500이며, 윗면과 아랫면이 뚫려있는 원기둥형으로 되어 있다. 마우가가 죽어도 방벽은 계속 남아있으며, 궁극기 키를 한번 더 눌러 취소가 가능하다.

지속 시간 동안 자신과 방벽 안에 있는 적들, 그리고 지속 시간 내에 밖에서 방벽 안으로 들어온 적들은 모두 "잡힘" 상태 이상에 걸린다. 방벽 생성기에서 나온 반투명한 쇠사슬이 안에 있는 모든 영웅들과 연결되어 방벽 밖으로 나갈 수 없고, 이동기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강제로 갇히게 된다.[25] 단, 이동기 판정이 아닌 시메트라의 순간이동기나 저지 불가 상태로 만드는 라이프위버의 구원의 손길로 탈출이 가능하며, 방어 강화 상태의 오리사와 돌파로 돌진 중인 마우가처럼 저지 불가 상태인 적들도 케이지를 씹고 나갈 수 있다. 또한 아군의 스킬에는 당연히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궁을 쓴 마우가의 아군 라인하르트의 돌진에 잡힌다면 케이지를 뚫고 그대로 끌려나가며, 마우가 본인도 아군 시메트라의 순간이동기와 라이프위버의 구원의 손길로 빠져나올 수 있다.

메르시의 발키리나 시그마의 중력 붕괴, 일리아리의 태양 작렬의 자유 비행을 통한 수직 이동 기능 또한 이동기 판정이라, 케이지 안에서는 점프만 되고 날 수 없게 된다. 라인하르트의 돌진이나 D.va의 부스터 등 상대가 이동기를 사용해 밖에 있는 상황에서 케이지 안으로 들어온다면 방벽 안으로 들어온 즉시 잡힘 상태가 되어 이동기가 바로 끊기며, 살육의 경우에도 저지불가가 없으므로 케이지 안으로 들어오는 순간 끊긴다. 자폭 중인 메카는 잡을 수 없지만, 영웅 판정인 애쉬의 B.O.B.은 잡아지며, 특이하게 영웅 판정이 아닌 죽이는 타이어도 잡힌다.

잡힘 상태 이상이 정크랫의 강철 덫, 자리야의 중력자탄의 속박과 거의 같은 판정이다. 둘 다 시메트라의 순간이동기와 라이프위버의 구원의 손길로 빠져나올 수 있고, 이동기의 사용을 막고 무적기로도 빠져나올 수 없지만 저지 불가로는 빠져나올 수 있다.[26]

특이한 점으로, 천장은 방벽이 없지만 특수한 막 같은 것으로 막혀있어 충격 샷건이나 점프 추진기로도 빠져나올 수 없고, 연꽃 단상으로 올라가도 바로 끌려내려 온다. 바닥에는 그런 막이 없어서 빠져나올 수 있다. 바닥에도 사슬 판정이 있어서 아래로 떨어져도 끌려가지만, 굉장히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면 잠시 동안 공중에 매달려 있다가 사슬이 풀리며, 잡힘 상태 이상도 해제된다. 또한 윈스턴의 방벽처럼 방벽 생성기를 움직이는 플랫폼 위에 설치했을 경우 방벽도 함께 움직인다. 다만 상태이상을 거는 범위 자체는 원기둥 형태의 방벽 내부 한정이다. 그 내부에 걸쳐 있지 않다면 방벽 아래에서도 붙잡히진 않는다.

0.5초의 시전 시간동안 장치를 내려놓는 선딜 모션이 있다. 이때 CC기를 맞거나 죽으면 캔슬되며, 궁극기 게이지도 그대로 날아가 버린다. 방벽에 갇힌 적 D.va가 자폭을 사용하는 등 급하게 케이지를 풀고 도주해야 할 경우도 왕왕 있으므로 상황을 봐가면서 쓰는편이 좋다.

원래는 지속 시간 동안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무한 탄창이 되는 부가 효과가 있었으나 8시즌 중간 밸런스 패치로 너프되어 무한탄창 대신 시전하는 순간에 탄창이 자동으로 재장전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원통형의 방벽을 설치한다는 점에서 윈스턴의 방벽 생성기와 비슷하다. 적 탱커를 가둬 본대와 강제로 갈라 놓는 식으로 운용을 할 수 있으나, 마우가는 수직 이동기가 없기 때문에 활용성은 윈스턴보다 애매하다. 궁극기라 부담은 조금 크지만, 마우가 특유의 미친듯한 딜량 덕분에 궁극기 자체가 빠르게 차기도 하기에 잘만 가르면 적 탱커를 확실하게 무력화시키거나 잡고 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이 뭉쳐있을 때 쓰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궁극기를 쓰더라도 탄창이 즉시 재장전 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강화 효과가 없고 마우가 본인도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에, 아군이 같이 들어와서 때리는 게 아니라면 적들이 강제로 마우가만 때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역으로 쉽게 죽을 수 있다. 하지만 지속형 장판형 궁극기높은 광역 피해를 주는 궁극기와 연계를 할 수 있다면 적들이 뭉쳐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전자의 경우 메이, 토르비욘이 있고 후자의 경우 정크랫, 바스티온, 일리아리가 있다. 비록 속박 능력은 중력자탄보다 약하고 더 넓게 퍼지게 되나, 마우가의 자체 공격력과 궁극기 자체가 매우 빠르게 차기도 하고, 지속 시간이 중력자탄보다 훨씬 길다. 특히 메이의 경우 러쉬 조합의 필수 요원이기도 하고, 케이지 혈투의 지속시간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궁 연계가 중력자탄보다 훨씬 편하다.

즉, 혼자서 사용할 경우 적이 퍼져있을 때, 적 한두명이 있는 쪽으로 질러 1~2명 정도만 속박시켜 힐을 차단하고 아군과 같이 자르는 다이브 조합과 비슷한 느낌의 운용으로 하되, 팀이 메이가 들어간 러쉬 조합인데 적들이 뭉쳐있을 경우, 적을 전부 가두고 눈보라를 사용하는 식의 운용을 하는 것이 좋다. 상대가 같은 러쉬나 앵커 조합일 경우 십중팔구 뭉쳐다니기 때문에 적들을 전부 묶어버린 후 얼려버리기 딱 좋고, 다이브 조합은 적 뒤의 본대 혹은 다이브한 상대를 확실하게 역관광시키고 정리하면 되지만, 포킹 조합의 경우 각을 벌려서 퍼져서 압박을 넣는 경우가 많기에, 포킹을 상대할 때는 한두명만 가두는 플레이가 강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외의 조합으로, CC기에 취약한 궁극기와 연계가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캐서디의 황야의 무법자가 있는데, 방벽을 설치한다는 점에서 중력자탄보다 더 좋은 궁합을 자랑한다. 좁고 엄폐물이 많은 맵에서는 숨을 수도 있으나, 넓은 곳에서 쓰면 막을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며, 메이의 빙벽이 아니라면 완전히 막기도 힘들다. 석양 이외에는 전술 조준경, 용검, 펄스 폭탄, EMP, 죽음의 꽃, 포화, 증폭 매트릭스 등과 같이 쓸 수 있지만 용검, 펄스 폭탄은 각각 나노 강화제, 중력자탄과의 궁합이 워낙 좋다 보니 마우가보단 아나/자리야가 더 선호되는 편이다.

자유 역할 모드일 경우, D.Va의 자폭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며, 레킹볼의 지뢰밭이나 시그마의 중력 붕괴, 오리사의 대지의 창도 궁합이 꽤 괜찮다. 다만, 이 이외에는 애매한데, 방벽을 내리게 할 수는 없어서 라인하르트의 대지분쇄하고 딱히 궁합이 있진 않고, 윈스턴의 원시의 분노는 생존용 궁극기다. 둠피스트의 파멸의 일격은 중심부가 아니면 공격력이 너무 낮고, 로드호그의 돼재앙은 밀어내버리는 효과를 막아줄 수 있다만, 근접하지 않으면 대미지가 애매하고, 근접하면 CC기에 맞거나 녹아버릴 위험이 있어 약간 애매한 편이다. 정커퀸의 살육은 나쁘지 않지만 적에 키리코가 있다면 궁극기 낭비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케이지 혈투를 쓰기전에 터질듯한 심장의 쿨이 돌았는 지 확인하자. 터질듯한 심장을 이용하여 본인이 역으로 포커싱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원래는 케이지 사용후 0.5초의 선딜 동안 바로 돌파를 사용해 케이지에 가둔 적에게 추가 기절을 먹임과 동시에 적이 반사적으로 사용하는 CC기를 무시할 수도 있는 테크닉도 있었다. 그러나 버그성 기술이라 판단했는지 10시즌에 막혔다.

적을 묶어버리는 특성 때문에 종종 강제로 C9을 시켜버리는 상황이 나오기도 한다.# 또한 케이지 혈투의 추를 연꽃 단상과 연계하여 낙사 지형에 걸쳐놓은 후 떨어뜨릴 경우 마우가를 포함한 케이지에 갇힌 모든 유닛은 같이 끌려간다.# 이때는 일반적으로 마우가가 처치한 것이 아닌 낙사한 판정으로 처리되며, 직전에 동료가 케이지로 넣거나 같힌 적에게 넉백기를 쓰면 그 동료의 킬로 인정된다. 연꽃 단상의 주인이 라이프위버이기에 궁 쓴 마우가를 쏙 빼고 적들만 낙사시키는 것도 된다.

궁극기 충전량은 2400으로 높은 편이지만 마우가의 압도적인 공격력 덕에 체감 충전 속도는 제법 빠르다.

지속 시간이 끝나가면 북을 두드리는 듯한 소리가 나오며, 적군 영웅을 한 명만 가두면 특수한 대사도 나온다. 특정 영웅을 가뒀을 때 전용 대사도 있는데, 대부분 탈론 소속 영웅들 한정이다. 오버워치 소속 영웅 한정 대사도 있지만 그들은 한 대사로 통일되어 있고, 개개인마다 다른 대사를 치지 않는다.[27]

히오스 도살자의 궁극기 도살자의 어린 양과 마이에브의 감시관의 감옥 및 그림자 목줄을 합친 듯 하다. 사실 저 셋과 비교하면 이펙트로나 압박감으로나 상대적으로 덜한 편. 도살자한테 걸리면 이동스킬말고도 공격스킬도 차단당하기에 죽음 확정이고, 마이에브의 감옥은 각 면마다 한번만 튕겨내지만 튕겨지면 정중앙으로 강제로 끌려온다.

오버워치 영웅들의 궁극기 대사가 으레 그렇듯 마우가의 궁극기 대사도 벌써부터 몬더그린으로 쎄쎄쎄 위키, 섹시 이끾끼, 샘 윗위키, Say Say 우끼끼 등으로 변형되고 있다. 더 나아가 그냥 아예 브리핑 용으로 축약되어 "우끼끼"로 불리기도 한다.[28]

일본에선 일정공간에 적을 가둬버리고 사용자인 마우가에게만 적용되는 부가 효과등이 있는 점이 유사해서 영역 전개라는 별명이 붙었다. 실제로 궁극기 안으로 들어오는 건 쉽지만 한번 들어오면 나갈수 없는 점 또한 해당만화의 영역 특성과 유사하다.

적 영웅을 붙잡고 위험 지대에 뛰어드는, 논개작전시도할 수 있다. 아군에 라이프위버가 있다면 혼자서만 빠져나오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그 외에 이용법이라면 시간이 얼마 안남은 상태일 때 거점이나 화물에 케이지를 설치해 오지마 궁으로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다른 방벽과 다르게 일단 한번 들어오면 나갈수 없는 방벽이고 몇몇 영웅들은 무적기마저 봉인당하기 때문에 터치 자체가 매우 힘들어지며 어찌어찌 터치했다 하더라도 케이지에 들어온 적은 팀의 지원을 빵빵하게 받는 마우가와 정면승부를 해야한다.

5.6.1. 영웅별 방어 가능 여부

영웅 방어 가능
(투사체나 히트스캔으로 판정되어
방벽의 내구도만 깎이고 방어 가능한 기술)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돌격군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D.Va 융합포, 광선총, 마이크로 미사일, 자폭, 메카 호출[1]
둠피스트 철권포, 지진 강타, 파멸의 일격
라마트라 공허 가속기, 탐식의 소용돌이, 절멸[2]
라인하르트 대지분쇄
레킹볼 4연장 기관총, 파일 드라이버, 적응형 보호막[3]
로드호그 고철총, 사슬 갈고리, 돼지우리, 돼재앙
마우가 화염 및 촉발 기관포
시그마 초구체, 강착
오리사 개량형 융합 기관포, 투창, 수호의 창
윈스턴 테슬라 캐논, 점프 팩
자리야 입자포
정커퀸 산탄총, 톱니칼, 살육[4]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공격군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겐지 수리검, 질풍참[5], 튕겨내기[6]
리퍼 헬파이어 샷건, 죽음의 꽃
메이 냉각총
바스티온 설정: 수색, 설정: 강습, A-36 전술 수류탄, 설정: 포격
벤처 스마트 굴착기, 잠복, 지각 충격
소전 레일건, 오버클럭
솔저: 76 펄스 소총, 나선 로켓, 전술 조준경
솜브라 기관권총, 해킹[7], 바이러스
시메트라 광자 발사기, 감시 포탑[8]
애쉬 바이퍼, 다이너마이트, 충격 샷건, B.O.B.(사격)
에코 삼각탄, 점착 폭탄, 광선 집중, 복제[9]
위도우메이커 죽음의 입맞춤, 맹독 지뢰[10]
정크랫 완전 난장판, 폭탄 발사기, 충격 지뢰, 강철 덫[11], 죽이는 타이어[12]
캐서디 피스키퍼, 자력 수류탄, 황야의 무법자
토르비욘 대못 발사기, 포탑 설치[13], 초고열 용광로[14]
트레이서 펄스 쌍권총, 펄스 폭탄
파라 로켓 런처, 충격탄, 포화
한조 폭풍활, 음파 화살, 폭풍 화살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원군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라이프위버 치유의 꽃, 가시 연사, 연꽃 단상
루시우 음파 증폭기, 소리 파동, 분위기 전환![15], 소리 방벽[16]
메르시 카두세우스 블라스터
모이라 생체 손아귀[17], 생체 구슬[18]
바티스트 생체탄 발사기, 치유 파동
브리기테 격려, 도리깨 투척, 집결[19]
아나 생체 소총, 수면총, 생체 수류탄
일리아리 태양 소총, 분출, 치유의 태양석(태양석 치유), 태양 작렬
주노 메디블래스터, 펄사 어뢰
젠야타 파괴의 구슬, 부조화의 구슬[20], 초월
키리코 쿠나이, 치유의 부적, 정화의 방울 }}}}}}}}}


[1] 방벽 밖에서 시전하면 넉백과 대미지는 막힌다.[2] 광역으로 뿌리는 나노머신만 방어 가능하고, 주먹질인 응징은 못 막으니 주의.[3] 방벽 뒤에 있는 적은 감지되지 않는다.[4] 방벽 밖으로 지나가면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5] 방벽을 통과할 수 있지만, 방벽 밖으로 지나간다면 방벽 안에 있는 적에게 피해가 적용되지 않는다.[6] 단, 방벽을 무시하는 투사체(화염 강타, 생체 구슬 등)를 튕겨낸 건 막지 못한다.[7] 해킹 도중 방벽 사이에 가로 막히면 취소되며 대상과 솜브라 사이에 방벽이 있으면 해킹이 불가능하다.[8] 포탑의 공격만 방어 가능. 포탑은 방벽을 뚫고 지나간다.[9] 방벽 뒤에 있는 적을 복제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복제 도중 사용하는 기술에 따라 가능 여부가 바뀐다.[10] 방벽 뒤에 있는 적은 감지되지 않아 지뢰가 발동되지 않으며 지뢰가 발동되더라도 방벽 뒤에 있는 적들은 맹독 상태가 되지 않는다.[11] 방벽에 던지면 튕겨져 나간다.[12] 타이어의 공격은 막지만 타이어가 방벽 사이로 움직이는 것은 막지 못한다.[13] 포탑의 공격만 방어 가능. 포탑은 방벽을 뚫고 지나간다.[14] 바닥에 떨어지기 전 한정.[15] 루시우와 받는 대상 사이에 방벽이 있으면 치유와 이속 증가를 받지 못한다. 볼륨을 높여라!를 사용한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다.[16] 루시우와 받는 대상 사이에 방벽이 있으면 소리 방벽을 받지 못한다.[17] 치유, 공격 둘 다 막힌다.[18] 구슬 자체는 방벽을 통과 하지만 방벽 뒤에 있는 적이나 아군은 구슬의 효과를 받지 못한다.[19] 브리기테와 추가 생명력을 받는 대상 사이에 방벽이 있으면 대상이 추가 생명력을 받지 못한다.[20] 방벽 뒤에 있는 적군에게는 부조화의 구슬을 붙일 수 없다.

6. 운용

<nopad>
영웅 가이드: 마우가 (2분 6초 ~ 8분 17초)
마우가는 터질 듯한 심장을 사용하여 버티며, 위험한 상황을 벗어나거나 강제로 한타를 열기 위하여 돌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근거리에서 꽤 유리한 러쉬형 탱커이다. 그러나 마우가는 히트박스가 넓은 탓에 체감 체력이 매우 낮아서 대놓고 적진에 들이박는 순간 순식간에 적의 화력을 견디지 못하고 녹아버린다. 따라서 중거리에서 기관포로 견제를 하다가 기회(힐밴 다수, 적이 피관리가 안될 때)가 생기면 들이받는 식으로 간을 잘 봐야한다. 요약하자면, 라인하르트와 정커퀸의 특징을 적당히 섞어놓은 듯한 느낌, 혹은 딜러군의 겐지나 솔저같은 플레이스타일의 영웅으로, 아군과 함께 밀고 올라가되, 엄폐물과 각을 충분히 활용하여 기회를 노리다 한순간 질러버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돌파는 이동거리가 상당히 길고, 방향 전환이 자유로우며 벽에 부딪혀도 취소되지 않고, CC기 면역에 기절 효과까지 달려 있어, 안 보이는 곳에서 깜짝 등장하는 진입기, 또 비교적 안전한 도주기이다. 돌파는 아끼지 말고 필요하면 바로바로 써야 하고, 위기 상황이 생기기 전에 미리 탈출하고 적이 대응하기 어려운 타이밍에 진입해야 한다. 총 쏘기 좋아하는 광전사처럼 싸우는 게 아니라, 진짜 마우가 본인의 성격처럼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싸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마우가를 완벽히 소화하려면 스킬 카운팅, 캐릭터별 상성, 게임 흐름 이해도 능력을 다른 탱커들보다 더 많이 요구하며, 중ㆍ장거리 견제와 비행 영웅 견제를 위한 에임 실력도 많이 필요하다.

케이지 혈투는 앞서 설명했듯, 연계할 궁극기가 없으면 많이 묶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앞라인에 서는 탱커나 특정 영웅을 묶어 확실하게 잡는 기술이라 생각해야한다. 궁극기가 방벽 이란 점을 이용하여 1500짜리 초대형 방벽으로도 사용하는 운용법도 있다. 상대의 진입을 강제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데다가 팀에게 일시적으로 안전한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어 적을 묶지 못해도 좋은 효과를 낼 수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 방어기로 써도 괜찮다.

넓은 히트박스와 더불어 양 무기를 동시에 사용하며 이동속도가 줄어야만 제 성능을 발휘하는 성격의 공격 덕분에 참으로 많이 얻어맞는다. 때문에 벽을 잘 끼면서 돌파를 어떤 공간에서 어떤 공간으로 사용할 지 잘 계획이 되어 있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겉보기에는 호탕한 전사지만 속으로는 아주 교활한 악당인 마우가의 성격에 맞게 플레이를 해야한다. 돌파로 들어가서 적과 정면대결을 하는 게 아닌 멀리서나 엄폐물을 끼고 화염, 촉발 기관포를 사용해 견제를 넣다가 적이 틈을 보였을 때 돌파로 진입하거나 혹은 정면에서 싸우다가도 적이 스킬을 사용해 마우가를 제거하려 들면 저지불가인 돌파로 후퇴해 적의 스킬을 낭비시키는 식으로 싸워야 한다. 케이지 혈투 또한 강력한 적과 1대1 싸움을 거는데 쓰기보다는 적팀의 일부를 묶어 팀원의 협공으로 해치우거나 약한 적을 묶어서 해치운다음 숫적 우위를 만드는데 사용해야 한다.

7. 성능

7.1. 장점

7.2. 단점

8. 평가

두 정의 기관포를 통해 압도적인 지속 화력과 그 화력을 기반으로하는 엄청난 유지력을 보여주는 돌격 영웅. 대신 그 이론상의 화력과 유지력이 발휘되기 어렵고 극도로 불안정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방벽 등의 방어 스킬이 없는 대신 피흡으로 탱킹을 하는 점, 특정 스킬이 추가 체력을 주는 점과 높은 근접 화력, 범위 내 팀 전체 버프를 걸어주는 스킬 등의 유사성을 지닌 정커퀸과도 비교할 수 있다. 러쉬 조합에서 정커퀸의 지휘의 외침이 팀에 이속 증가를 부여해서 빠르게 덮칠 수 있는 반면에, 마우가의 터질 듯한 심장은 팀원 전체에게 피흡을 부여해 높은 유지력을 주지만 이동 속도에서의 이점이 없다.

한편 마우가 출시 시점에선 러쉬 조합의 핵심 영웅인 루시우가 경쟁전에서는 다소 쓰기 어려운 성능을 가져 픽률이 낮은 상태라 경쟁전에서는 러쉬 조합이 맞춰지는 빈도가 많지 않다. 게다가 돌파는 라인하르트의 돌진과 달리 저지 불가가 있는 안정적인 이동기이기 때문에 이속버프가 그리 절실하지도 않다. 때문에 실전에서는 러쉬보단 포킹 조합으로 쓰이는 경우가 더 잦은 편이며, 특히 다이너마이트로 화상을 적용시켜 마우가의 포킹을 위협적으로 만들어주는 애쉬, 마우가에게 치명적인 힐밴과 부조화를 해제시켜주는 키리코와의 조합이 더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일시적 출시 때부터 지적 받았던 심각한 물몸이 주된 문제점으로 꼽히는데, 순수 기본 생명력에 로드호그 급으로 히트박스가 넓은데 탱킹기인 터질 듯한 심장은 쿨타임이 매우 길고, 치유 차단에 취약한데다가 집중 포화시 이동 속도 또한 감소되는지라 공격에 매우 잘맞아주어서 생존력이 들쭉날쭉하다. 즉 라마트라처럼 제대로 막지 못하면 강력하지만 대처 방법이 단순하여 막히면 뒤가 없는 영웅.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개발진은 마우가의 유지력을 늘리는 버프를 8시즌 시작과 동시에 적용했다. 버프 이후 유지력과 공격력이 올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여 성능이 크게 올랐다. 하지만 핫픽스로 기관포 공격력이 5에서 4로 감소되고 화상 발화가 10발에서 15발로 늘어 공격력이 크게 감소해 평가가 다시 하락했다가 경쟁전 출시 추가 패치로 유지력 문제가 크게 개선되었다.

메타적으로는 마우가의 존재가 아나를 카운터치는 스킬셋이 아닌 오히려 카운터를 당하는 스킬셋인지라 슬프게도 키리코나 아나를 쓰는 조합들은 건재할 것으로 보인다. 생긴 것과 달리 생각보다 두부살이라 정커퀸보다 조금 단단한 딜러라고 여기는 사람도 있다.

저점과 고점이 양극단을 오가는 극단적인 영웅 설계 때문에 마우가가 출시된 지 1년 정도가 됐는데도 적절한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고인과 OP를 오가고 있다. 적의 집중 화력과 CC기를 버티기 힘든 환경이라면 사용할 가치가 없고, 조금이라도 버틸 만한 유지력이 확보되는 순간 알고도 못막는 영웅이 되어 프로 대회와 상위 경쟁전을 마우가로 고정시키는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고점을 발휘하기 위한 전체적인 팀 의존도 또한 극단적으로 심해서 프로 대회와 경쟁전 간의 차이가 큰 영웅이다.

8.1. 경쟁전

자유 경쟁전에서도 필수픽이 되었다. 대부분의 탱커 영웅들과 호궁합인 마우가는 어느 탱커와 써도 평균 이상이며 무엇보다도 터질듯한 심장의 효과가 체력 감소 리스크를 덜어준다. 때문에 터질듯한 심장의 효과가 아군에게까지 적용되지 않도록 패치 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다수. 이 시기 맞마우가를 할 것이 아니면 라인시그마 같은 방벽탱 조합이 강제되어 욕을 엄청 먹었다.

8.2. 프로 대회

미드시즌 패치로 상향을 먹은뒤 OWCS KOREA에서 주력픽으로 등장했다가 일주일만에 너프를 먹은 후 가끔 등장하는 수준으로 바뀌었다.

OWCS Major Dallas에서 메타에 가까운 픽으로 많은 팀에서 주력으로 사용하였다.

OWCS 2024 Finals에서 또 메타픽으로 많은 팀이 사용하였다.

9. 상성

기본적으로 무지막지한 근거리 DPS와 저지불가 돌진을 이용한 난입 능력 덕분에 맨몸으로 버티는 탱커를 상대로는 매우 강하다. 하지만 캐릭터 특성상 적에게 데미지를 주어야 회복을 통한 유지력이 올라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힐밴에 매우 취약하며 방벽이나 투사체 삭제, 히트박스가 작은 중거리 딜러들과 극 원거리의 저격수에게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인다.

9.1. 돌격

마우가는 적을 지속적으로 공격함으로써 본인의 생존력을 챙기는 흡혈 탱커의 컨셉을 가졌고, 이는 적 탱커를 공격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티탱커의 역할을 한다. 다만 방벽을 깨는 성능도 그리 강하진 않고 투사체를 삭제하는 기술을 상대로는 마우가가 할 수 있는게 전무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 마우가가 유리함에도 마우가의 유지력이 너무 세면 아나를 기용하거나 탱커를 바꾸는 게 제일 유효한데, 그 이유가 탱커를 때리는 흡혈에 있기 때문.

9.2. 공격

강력한 포킹 능력과 치유량 감소 디버프를 가진 공격군을 상대로 상당히 약세를 보인다. 오히려 그렇기에 마우가를 상대로 선택지가 많다.

9.3. 지원

10. 궁합

E스킬인 터질 듯한 심장의 존재로 인해 거의 모든 힐러와의 궁합이 좋은 편이며, 자유 게임 한정으로 모든 탱커와의 궁합이 상상 이상으로 좋다. 마우가의 터질듯한 심장은 최대 체력이 크게 줄어든 탱커들에게 가뭄의 단비같은 받는 피해 감소 버프를 주고 이에 그치지 않고 흡혈 버프를 줌으로써 탱커들이 전방에서 더욱 오래 버틸수 있도록 도와준다[47]. 또한 마우가는 CC기나 집중포화에 약한 영웅인데 이를 아군 탱커가 나눠받거나 케어해주니 상호 보완이 완벽하게 가능하다.

10.1. 타 영웅

10.1.1. 돌격

거의 대부분의 탱커와 궁합이 좋아 자유 모드에선 2탱이 권장사항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자유 모드에선 체력이 375로 떨어지는 둠피스트나 정커퀸, 마우가와 합을 맞추기 어려운 레킹볼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탱커와 같이 굴리기 좋다. 마우가를 보호하는 능력이 있는 탱커와 조합하면 더 효과적이다.

10.1.2. 공격

10.1.3. 지원

10.2. 전장

11. 관련 업적 및 도전과제

<rowcolor=#fff> 업적 보상
세 명이면 군중 (Three’s a Crowd)
마우가의 케이지 혈투로 한 번에 적 3명을 가두고 처치
<colbgcolor=#ddd,#383b40> 파일:마우가 스프레이 귀요미.png
"귀요미" 스프레이
정열의 심장 (Heartthrob)
마우가의 터질 듯한 심장으로 한 번에 치유량과 피해량을 합해 900기록
파일:마우가 스프레이 픽셀.png
"픽셀" 스프레이

일리아리와 마찬가지로 업적 탭에서 영웅 도전과제 탭으로 옮겨졌다. 마찬가지로 빠른 대전 및 경쟁전 제한도 사라졌다.

세 명이면 군중은 마우가의 케이지 혈투에 3명을 묶고 처치하면 되는데, 단독으론 많이 묶을수록 리스크가 높아져서 나노강화제를 받은 게 아닌 이상 혼자서 3명을 잡기 힘들고, 다른 팀원이 처치해도 달성되기에 아군과의 연계를 하면 쉬워진다.
케이지 혈투를 시전함과 동시에 바로 3명을 묶지 않아도 되며 궁극기 영역에 상대방이 밀쳐져 들어오거나 직접 움직여 들어와 잡혀도 달성된다.

정열의 심장은 터질 듯한 심장 한번에 치유량과 피해량의 합이 900이 돼야한다. 아군을 치유한 것도 인정해준다. B.O.B.을 공격해도 피흡이 된다는 점을 이용하면 쉽게 달성이 가능하다. 참고로 B.O.B.은 공격하더라도 통계에 피해량으로 기록되지 않으니 B.O.B.에게 데미지를 준것으로는 업적 달성이 안된다. 지속시간이 5초에서 4초로 조정된 이후로 달성하기 더욱 어려워졌다.

12. 영웅 갤러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우가/영웅 갤러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패치 노트

라이브 서버 기준

14. 출시 전 정보

14.1. 기존에 알려진 정보

파일:20190618_180605.jpg
<colbgcolor=#798086,#333e48><colcolor=#ffffff> 단편 소설 <남겨두고 떠난 것> 삽화
2019년 6월 18일에 발매된 단편 소설 <남겨두고 떠난 것>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개성있는 디자인을 자랑함과 더불어 바티스트와 활동할 당시보다 성격이 더 난폭해진 마우가를 바티스트가 '악마같은 사람'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단순한 엑스트라 덩치 캐릭터가 아님을 암시했다.

14.2. 신규 영웅 참전

15. 기타

파일:마우가 콘셉트아트.png
<colbgcolor=#798086,#333e48><colcolor=#ffffff> 마우가의 콘셉트 아트

* 캐릭터의 전체적인 모티브는 팀 포트리스 2헤비로 추정되는데, 거의 오마쥬 수준으로 따온 부분들이 매우 많다. 우선 주요 총기부터 헤비의 주 무기와 똑같은 미니건이고, 심지어 그 총기에 이름을 붙혀서 애지중지하는 것까지 완벽하게 일치한다. 겉으로는 단순무식해보여도 실제로는 진중하고 침착한 성격인 점도 비슷하고, 불타는 적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특성은 헤비의 화룡표 발열기를 연상시킨다.[52] 때문에 2016년 초창기에 나왔으면 진작에 표절 논란을 면치 못했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다. 그 외에도 같은 회사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타이커스 핀들레이와도 꽤 유사하다.[53]

파일:마우가의 우람한 총.jpg

15.1. 2차 창작


[1] 통가계 뉴질랜드인 배우. 마우가가 작중 쓰는 사모아어는 통가어나 마오리어와 근연적으로 가까운 언어이다.[2] 출처: 성우 본인의 트위터[3] 경쟁전에서는 출시 2주 후인 2023년 12월 20일에 활성화되었다.[4] 원래는 11월 6일 오전 3시까지 였으나 1일 연장되었다.[5] 36초쯤부터 마우가의 목소리로 직접 "실제 게임플레이 영상(Actual Gameplay Footage)"이라고 알려준다. 일반적인 트레일러에서는 자막으로 작게 처리하는 것을 생각하면 특이한 부분이다.[6] 이 때문에 궁극기 게이지가 15%여도, 교체 시 교체한 영웅의 궁극기 충전 비용이 더 높은 경우 궁극기 게이지가 15%보다 낮아진다. 그 예시로 궁극기 충전 비용이 1260 포인트인 트레이서로 궁극기 게이지를 15%(189 포인트) 채우고, 2100 포인트인 소전으로 변경 시 궁극기 게이지가 9%가 된다. 트레이서의 궁극기 게이지가 25%(315 포인트) 이상이여야 소전으로 교체 시 궁극기 게이지가 15%가 된다.[7] 기본 발사와 보조 발사가 탄환 수를 공유한다.[8] 촉발 기관포와 합산 시 144. 거니의 화상 피해 및 차차의 치명타 촉발 피해를 무시한 순수 DPS 값이다.[9] 화염 기관포와 합산 시 144. 거니의 화상 피해 및 차차의 치명타 촉발 피해를 무시한 순수 DPS값이다.[10] 화상 상태의 적이나 오브젝트에겐 머리를 맞히지 않아도 발동한다.[11] 동시 발사 시에는 12.5m~17.5m에서 15m~20m로 증가했다.[12] 동시 발사 시에는 40%에서 30%로 감소했다.[13] 이때문에 주변에 치유사나 힐팩이 없는 한 딸피인 적군은 화상 효과에 의한 도트딜로 인해 그대로 말라죽게 된다.[14] 마우가가 화염 기관포로 입힌 화상 뿐만 아니라 애쉬의 다이너마이트, 토르비욘의 초고열 용광로로 입힌 화상에도 적용된다.[15] 화상을 입은 적의 머리를 촉발 기관포로 맞혀도 추가 대미지가 들어가지는 않는다.[16] 자신의 무기에 샤샤라는 애칭을 지어서 부르는 팀 포트리스 2의 헤비가 연상된다는 의견도 있다. 둘 다 한 덩치하는 캐릭터에 무기도 비슷한 미니건 계열이라 유독 그런 느낌이 드는 듯.[17] 이보다 재장전 시간이 긴 영웅은 탄을 10발 이상 소모한 애쉬(2.5초~2.9초)와 오리사의 과열된 융합 기관포(3초)뿐이다. 애쉬는 잠깐 엄폐할 때마다 조금씩 탄을 집어 넣을수 있고 오리사는 스킬을 사용해서 과열 관리가 가능하니 사실상 마우가가 가장 길다[18] 미니건은 축소형 개틀링 포를 주로 지칭하며 굳이 체인 피드 형식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19] 마우가 : 대장, 나 타히티 주변 블랙샌드 굴착지에서 봤었지? / 소전 : 그래, 아직도 우리 기관포를 갖고있군. / 마우가 : 그럼! 아주 뻔질나게 쓰고 있다고.[20] 발구르기 중심부에 피격되면 치명타로 간주되어 추가 생명력이 생성되고, 킬로그에서도 치명타로 처치했다고 나온다. 다만 헤드샷이 있는 건 아니다.[21] 솜브라의 해킹이 유일하게 돌파를 끊을 수 있는 CC기였으나 마우가의 정식 출시와 함께 패치로 돌파가 해킹에 끊기지 않게 되어 CC기로 끊을 수 없는 기술이 되었다.[22] 지속 시간 동안 대기시간이 발동해서 실질적으로 12초[23] 준 피해량 및 치유량 1당 1 포인트만큼 충전된다고 가정한다. 참고[24] 궁극기는 전투 시작 후 초당 5 포인트씩 자동으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아무런 공격이나 치유도 안 하고 기다리면 궁극기가 완전히 충전되는 데 8분 50초가 걸린다.[25] 이동기가 사용 불가능해지며 이미 사용 중이라면 즉시 끊긴다는 점에서 캐서디의 자력 수류탄 효과인 방해받음과 거의 같지만, 이속 감소는 없다.[26] 오리사의 방어 강화는 빠져나와지지만, 마우가의 돌파는 저지 불가 기술이기 이전에 이동기라 잡히면 능력 발동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만 돌파 사용 도중에는 저지 불가 판정이라 돌파 사용 도중에 케이지 안으로 들어와도 끊기지 않는다.[27] 단, 탈론에서 탈주한 후 오버워치에 입단한 바티스트는 개인적인 친분도 있어서인지 전용 대사가 있다.[28] 유사한 선례로는 메이의 "똥주"가 있다.[29] 터질 듯한 심장을 키고 있다면 강습 모드의 바스티온도 가뿐히 이겨버린다. 적을 온전히 공격할 수만 있다면 공방 양면으로 폭발적인 고점을 자랑한다.[30] 레킹볼도 마우가와 비슷한 기본 공격이 있지만 마우가와 달리 보조적인 기능이다.[31] 오리사, 라마트라는 원거리 견제가 가능하지만 투사체라 맞추기가 어렵다.[32] 디바, 정커퀸도 히트스캔이지만 산탄이라서 원거리에선 유효한 딜이 들어가지 않는다.[33] 비슷한 기술을 가진 라인하르트는 돌진하다가 온갖 CC기에 끊겨서 발악도 못하고 죽는데, 이에 비하면 마우가의 돌파는 매우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34] 다만 다이브 조합과 포킹 조합에서는 어디까지나 사용이 가능한 것에 그치지, 다른 다이브or포킹 특화 탱커들에 비하면 별로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며, 앞에서 말한대로 다이브/러쉬에서 마우가를 쓰러면 키리코를 비롯해(물론 키리코 자체는 포킹 조합에 적합하지 않은 편이지만 아군 CC기 해제라는 대체불가 특성과 공격 각을 위해 떨어진 아군에게 순보로 접근할 기회가 자주 있어 사용 빈도가 꽤 높은 편이다.) 픽이 지나치게 고정돼서 사용률 자체는 높지 않다.[35] D.Va의 DPS인 146보다도 낮다. 심지어 D.Va는 무한탄창이라 방벽에 대고 쏘는데 아무런 부담이 없으며 보조 공격기인 마이크로 미사일까지 동원할 수 있으나 마우가는 재장전 시간이 2.4초로 매우 길고 보조수단조차 없으며 광전사와 터질 듯한 심장의 치유까지 차단당한다.[36] 스킬 사용시간이 끝나야 쿨타임이 돌아가니 실질적으로 15초.[37] 같은 몸빵 탱커인 로드호그는 갈고리의 존재로 언제나 특정 맵에서 유용한 픽으로 등장하는데 마우가는 그런 것도 없다보니 로드호그보다도 못한 평가를 받는다. 반면 기동형 돌격군(D.Va, 둠피스트, 레킹볼, 윈스턴)은 상대적으로 인원이 적은데다 각자 운용 방식과 역할이 조금식 달라 서로 독자적인 입지를 지니고 있다. 물론 너프를 지나치게 먹으면 이들도 얄짤없이 관짝행이지만 마우가 처럼 타 돌격군과의 경쟁이 심하진 않다.[38] 마우가가 딜링을 위해 코너에서 모습을 드러낸 것을 확인하고 지형지물에 숨거나 이동기를 사용해서 고지대로 이동하기에는 저티어에서도 3초면 충분하다. 터질듯한 심장의 실질 쿨타임은 15초, 매트릭스는 약 7.5초 가량이라 이론상 모든 진입 타이밍을 방해할 수 있다.[39] 불사 장치나 구원의 손길, 나노 강화제 또는 정확한 타이밍에 쓰인 정화의 방울[40] 받는 피해를 줄일 수 있으나 로켓 펀치를 쓸 수 없다보니 강화되더라도 쓰지도 못하고 맞아죽어야 한다. 사실상 평타말고는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어서 걸리는 순간 끝이다.[41] 쉬워보이지만, 프로 경기도 아니고 경쟁전 환경에서 다른 아군과 항상 함께다니는 것은 불가능하다. 웬만하면 돌파 한 번 정도에 닿을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42] 다만 돼재앙의 공격력 너프로 심장키고 맞딜하면 마우가가 이긴다.[43] 그냥 터질 듯한 심장을 사용할 경우 안싸워주는게 제일이기 때문이다.[44] 다르게 보자면, 자리야를 상대하는 마우가는 그 픽 자체로 아군의 집중적인 케어를 요구하게 되며, 이는 아군 힐러나 딜러의 운영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45] 화상과 조합했을 때의 DPS는 강하지만 겐지쪽에서 활용하기는 어렵다.[46] 순보로 케이지 안에 들어오는 건 보통 자살행위에 가까우며, 좌클, 우클, E는 방벽에 막힌다.[47] 자리야를 예로 든다면 터질듯한 심장 버프를 받았을 때 실질 체력은 464.5가 되며 에너지 풀충전 기준 초당 119만큼 체력을 회복한다[48] 동시 발사 시에는 12.5m~17.5m에서 15m~20m로 증가했다.[49] 동시 발사 시에는 40%에서 30%로 감소했다.[50] 이 정보 자체는 대략 19년 말~20년 초반부터 떠돌던 출처 미상의 루머였으나, 놀랍게도 마우가 출시 뒤인 23년 12월 15일에 공개된 공식 개발자 블로그에서 사실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황 상 시그마 출시 직후 마우가-시그마 개발 당시의 상황을 내부의 누군가가 몰래 유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1] 블리즈컨 개막식 중 마우가 공개 직전에 개발진들이 '힌트를 전혀 던지지 않은 영웅'이라는 뉘앙스로 운을 띄우고 공개했었다. 때문에 일리아리처럼 이전까지 등장한 적이 없는 캐릭터가 또 출시될 것으로 보고 한숨 쉬려다 깜짝 놀란 유저들이 많았다.[52] 그 외에도 좌클릭과 우클릭 모두 각기 다른 효과의 총알이 나가는 건 헤비의 삭제된 무기 중 하나인 루드밀라와 비슷하다.[53] 둘 다 우락부락한 외모/덩치와 반대로 노는 교활하고 치밀한 성격, 머신건을 사용하는 컨셉, 본색은 싸움을 좋아하고 피도 눈물도 없는 인성쓰레기 냉혈한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단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타이커스는 한 눈에 봐도 사납고 험상궂은 인상에 말투도 남을 깔보는 태도라 한 눈에 봐도 위험한 인물이라는 걸 직감할 수 있지만, 마우가는 폴리네시아계 특유의 둥글둥글한 인상과 더불어 이를 반영하듯 말투도 상당히 능글맞아서 겉모습만 보고는 위험 인물임을 알아차리기 어렵다.[54] 유럽계 백인인 셋과 달리 폴리네시아인이다.[55] 그래서인지 개그성 마우가 플레이 영상들에서는 You're Welcome이 한번 이상 들리는 경우가 잦다.[56] 스토리 영상에서도 하와이안 셔츠를 입은 채 등장한 마우가가 "나는 예전만 해도 엄청 진지했지 밝은 성격은 아니었다"라며 운을 떼지만, "스스로를 뜯어 고친 뒤로는 나를 최우선으로 생각해도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으며, 친구들과 노는 법도 배웠다"라는 대사와 함께 마우가가 자신이 몰살시킨 시체들 사이에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마지막에 마우가가 청자에게 남기는 질문 또한 청자도 똑같은 꼴이 되리라는 것을 암시한다.[57] 마우가가 이식받은 기계 심장은 본인의 심장과는 별개로, 몸 안에 총 두 개의 심장을 가지고 있다. 헐벗은 상체의 가슴팍 부분 위쪽에 기계로 부착되어 있는 이유도 그것들이 양쪽 심장의 소켓이기 때문인 듯. 이 때문에 터질듯한 심장 스킬 시전시 심장 박동이 좌우로 번갈아 들린다.[58] 서로 죽어라 쏘다가 갑자기 멈춰서서 웅크리기로 티배깅을 하면 서로 쏴봐야 어차피 안죽으니 그냥 놀자는 신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