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0:55:09

캐서디/대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캐서디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ExcitedAndLoudMiddle, 합의사항1=영웅-갤러리-대사 틀을 영웅 틀로 합함,
토론주소2=PumpedTacitLonelyBean, 합의사항2=현상의 '영웅/갤러리/대사/스토리' 틀 형태를 유지하되\, 가변형 레이아웃을 이용하고 영웅의 고유 시그니처 컬러를 제거,
토론주소3=GreedyBusyGrandioseSpring, 합의사항3=틀의 폭은 가로 100%로 하며\, 역할군 표시 칸 - 영웅 나열 칸은 서로 가로로 배치)]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영웅 목록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영웅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대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갤러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협동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
}}}}}}


1. 개요2. 플레이 관련 대사3. 전장 관련 대사4. 기술 관련 대사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6. 의사소통 및 핑 대사7. 캐릭터 음성 대사8. 그외 상황 미확인 대사9. 개명 전 대사

1. 개요


영어 음성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 시리즈영웅, 캐서디의 대사 목록을 정리한 문서.

리퍼나 로드호그같은 악인을 제외하고 자신보다 연장자인 영웅들[1]에겐 높임말을 사용한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얘기한 것은 아니지만 라인하르트에게는 존칭이 아닌 할배라고 부른다.

2. 플레이 관련 대사

3. 전장 관련 대사

4. 기술 관련 대사

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


}}}

6. 의사소통 및 핑 대사

7. 캐릭터 음성 대사

8. 그외 상황 미확인 대사

9. 개명 전 대사



2021년 8월 27일 기준으로 캐릭터의 이름이 변경될 거란 공지가 나왔고, 2021년 10월 27일 부로 캐서디라는 이름으로 확정되어 '제시 맥크리'라는 이름이 언급된 대사는 전부 삭제되었다. (삭제된 영어 대사 목록) 오버워치 2 이후 새 더빙이 이루어지며 교체 작업이 완료되었으나, 명칭 변경 이전에 나왔던 단편 만화, 소설 및 애니메이션에서 언급되는 제시 맥크리는 일정 문제로 재번역/재더빙 계획이 없다고 한다. 이에 대해선 설정상으로도 데드락 활동 당시에 '제시 맥크리'라는 가명으로 활동했다는 설정이기에 큰 문제는 피했다.


[1] 메르시, 아나, 라인하르트, 솔저: 76, 토르비욘 등. 단편 애니메이션 "재회"를 보면 에코에게도 높임말을 사용하지만 인게임 상호작용 대사에서는 반말을 사용한다.[2] 아래의 대사로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정황상 땜빵용 임시 대사인 것으로 보인다. 자막으로는 영어로 'Saddle up.'이라고 나온다.[3] 매우 낮은 확률로 나오기에 이것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4] 석양의 무법자의 원제는 good bad and ugly이다. 그걸 패러디한 게 한국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5] 애쉬의 데드락 저항단 저격수로 옴닉이다.[6] 낙사 구역 위에서 이동기를 사용 중인 적에게 섬광탄을 부착시켜 낙사시킨 경우. 예컨대 로켓 펀치로 낙사 구역을 건너려는 둠피스트에게 섬광탄을 부착시키면 로켓 펀치가 취소되어 낙사한다.[7] 팀이 지면 나도 끝이라는 의미다.[8] 섬광탄이 돌아왔는데도 왜인지 해당 대사가 출력되지 않는다. 예외로 밑의 두 해상 스킨 대사는 출력된다.[정켄슈타인의복수] [10] 영어 대사는 "You know what time it is.(몇 시인지 알지?)"로, 캐서디의 궁 대사를 활용한 일종의 개그다.[정켄슈타인의복수] [12] 이 대사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은 대사를 들었을 때 '러'나 '으어어' 같은 의성어로 착각한다. 서부극 결투 장면에 나오는 그 "발사!"이다. 영판을 제외한 더빙판 대사 중 영어가 모국어인 캐릭터가 하는 정말로 드문 영어 대사다. '하이'처럼 거의 일상적 단어가 된 대사는 제외. 일례로 일본어판에서는 그대로 외치는 정크랫의 "Fire in the hole!"은 다른 대사로 번역되었다.[13] 영문판에서는 탈론을 3번째 선택지라고 한다.[14] 해당 상호작용은 캐서디 없이도 라이프위버와 라인하르트 사이에 구현되어 있지만, 캐서디가 팀에 있으면 대화 끝에 캐서디가 한 소리 거드는 형태로 되어 있다. 위의 브리기테와의 상호작용과도 연관되어 있다.[15] 66번 국도 공격 진영 시작 지점이 도로 레스토랑(휴게소)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에 출시된 동일 지역 기반 영웅 애쉬마저도 깔 정도로 어지간히 맛이 없는 모양이다.[16] 캐서디가 오버워치 산하 첩보 부대인 블랙워치에 가입하기 전 몸담았던 데드락의 본거지이기 때문.[17] 물이라 적혀 있긴 하지만 공격 진영이 술집인 걸 생각하면 술통의 수도꼭지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18] 응징의 날 초반 대사 패러디.[19] 응징의 날 스토리 모드에서 함께 싸우는 영웅 대상.[20] 평소보다 낮게 깔고 느끼하게 부른다.[21] 석양의 무법자의 원제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의 패러디다. 한국 캐서디 성우인 곽윤상이 가장 좋아하는 대사라고 밝혔다.[22] 캐서디의 스프레이들 중 '지명 수배' 스프레이에 나온 캐서디의 현상금은 6천만 달러. 즉 한국 돈으로 약 684억 6000만원이다.[23] 원문은 "You seem familiar, ain't I killed you before?"으로, 잭 스패로우가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에서 뱉은 대사의 패러디다.[24] 원대사는 Guess we'll do this the old fashioned way(옛날처럼 한번 가볼까). 마찬가지로 마이크 타이슨의 어록이다. 여담으로 솔저: 76에게도 비슷한 대사가 있다.[25] 캐서디의 스킬인 구르기와 속담 "구르는 돌엔 이끼가 끼지 않는다"를 활용한 농담. 은근히 웃긴 대사라 게임하다 피식하고 웃는 유저들이 많다.[26] 캐서디는 'BAMF'라고 적힌 벨트를 하고 다니는데, 뜻은 Bad Ass Mother Fucker. Badass는 캐서디의 캐릭터성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뒤의 문장은 다들 알다시피 자신을 지칭하는 욕이다. 의역하면 "좆간지남존나 멋진새끼" 정도.[27] 서부영화 Young Guns 2의 패러디.[28] 정켄슈타인의 복수에서 궁극기 사용 시 가끔 나온다. 아군한테만 들리는지 본인만 들리는지 불명.[29] 보고하는 듯한 말투로 말한다.[30] 섀도우의 캐치프레이즈 '누가 인간 내면의 사악함을 알고 있을까? 그림자가 알고 있다!'의 패러디. 자경단원 계열 스킨도 섀도우의 패러디다.[31] 2021년 1월 05일 현재 환율로 따지면 대략 649억원(...)[32] 오버워치가 개발 단계에 있을 때 캐서디의 이름이 조엘이었다. 이는 캐릭터 대사로도 확인 가능하다. 조엘 매크리(Joel McCrea)는 고전 헐리우드 배우로, 설리반의 모험이라든가 앨프리드 히치콕의 해외특파원으로 유명하다. 서부극에도 출연한 바 있다. 캐서디라는 이름이 공개되기 전까지 조엘로 바뀌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33] 2021년 10월 27일부로 캐릭터 이름이 '캐서디'로 변경되고 맥크리는 가명으로 활동했던 이름이라는 설정으로 밝혀지며 이 대사가 상당히 의미심장한 상황이 되었다.[34] 이벤트 난투를 제외하면 최초로 대화가 두 번씩 오가는 상호대사다. 부산맵 업데이트에서 한 명이 두 번 말하는 상호대사가 추가된 적이 있지만, 두 명 다 두 번씩 말하는 상호대사는 이것이 최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