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03:09:01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0px; color: #fff; max-width: 99.5%; min-width:40%; min-height:2em"{{{#!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5px 0px; color: #fff; max-width: 97%; min-width:40%; min-height:2em"}}}

루미너스 Luminous
파일:job_bg.png
파일:메이플_법사.png
[[메이플스토리/직업#마법사 계열|{{{#fff 마법사}}}]]

파일:루미너스 일러스트.png

성별
남성

이명
운명의 대적자,[1] 별의 아이[2]

종족
불명[3][4]

출신지
세레니티[5]

홈타운
라니아의 집

주무기
샤이닝 로드

보조무기
오브

주스탯
INT(지능)

부스탯
LUK(운)

출시일
2012년 7월 12일 (템페스트 업데이트)

성우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vertical-align: bottom"
표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vertical-align: bottom"

1. 개요2. 전직 이펙트3. 기본 외형
3.1. 게임 내 사용 도트3.2. 스탠딩 일러스트
4. 스토리 캐릭터로서
4.1. 강함4.2. 성격
4.2.1. 스토리 보정 예외
4.3. 인물 관계4.4. 홈 타운: 세레니티/라니아의 집4.5. 어록4.6. 스토리 및 퀘스트
5. 실제 게임 캐릭터로서
5.1. 역사5.2. 성능
5.2.1. 스킬 목록5.2.2. 특징
5.2.2.1. 선파이어 (Sunfire)5.2.2.2. 이클립스 (Eclipse)5.2.2.3. 이퀄리브리엄 (Equilibrium)5.2.2.4. 빛의 길과 어둠의 길
5.2.3. 운용
5.2.3.1. 사냥5.2.3.2. 보스
5.2.3.2.1. 공략
5.2.4. 스펙
5.3. 평가
5.3.1. 장점5.3.2. 단점5.3.3. 기타
5.4. 육성 가이드5.5. 스킬 보이스
6. 그 외 매체에서의 등장7. 여담8. 유명인 유저9. 삽화10. 영상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파일:루미너스 스켈레톤 일러스트.gif
스켈레톤 일러스트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메이플스토리의 마법사 계열 영웅 직업군이자 에반에 이은 영웅 마법사 캐릭터. 템페스트 업데이트로 등장한 다섯번째 영웅 직업군이다.

플레이어들이 부르는 약칭은 루미(Lumi).

2. 전직 이펙트

CHARACTER INFO

전직 이펙트

파일:루미너스 전직 이펙트.gif

3. 기본 외형

CHARACTER INFO

기본 외형

파일:루미너스(남) 외형 1.png
파일:루미너스(여) 외형 1.png

파일:루미너스(남) 외형 2.png
파일:루미너스(여) 외형 2.png
<colbgcolor=#d1d4d6> 헤어 트윙클 헤어
델리케이트 헤어
성형 강인한 오드아이
차분한 오드아이
한벌옷 오로라 로브
망토 오로라 케이프
신발 오로라 슈즈
무기 플레인

헤어스타일은 하얀 마법사같은 장발은 아니지만 어깨를 덮는 정도의 병지컷이며, 회색빛이 도는 은발에 아랫 부분은 푸른 색인 투톤헤어이다. 기본도트가 굉장히 잘 뽑힌 편에 속해 기본헤어는 바꾸지 않고 저장하는 사람들도 많을 정도. 얼굴 성형인 오드아이는 렌즈로 색을 바꿔도 한 쪽은 빨간색으로 무조건 고정이다.

튜토리얼을 하는 동안은 오드아이가 되기 전이라 플레이어가 선택한 성형과는 얼굴이 다른데,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눈물눈 얼굴로 고정되어 있다.

카이저, 패스파인더와 마찬가지로 기본 한벌옷에 성별 제한이 없다. 어둠의 길을 선택하면 옷 색이 보라색으로 변한다.

여담으로 예전에는 이클립스와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무조건 강인한 오드아이로 성형이 고정됐었기에 불만의 소리가 많았다. 현재는 스킬 아이콘을 누르면 온오프로 고정된 외형을 키고 끌 수가 있어 고쳐진 문제점.

3.1. 게임 내 사용 도트

CHARACTER INFO

게임 내 사용 도트

파일:루미너스 도트.png
구 모험가 스토리 8장 해적, 은월 스토리
파일:루미너스 히오메 도트.png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모험가 스토리

파일:루미너스 히오메 도트(파티).png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파티장

플레이어블 캐릭터 기반이 아닌 전용 도트가 있는 다른 영웅들과 다르게 은월과 더불어 전용 NPC 도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히오메 버전으로 만들어진 도트가 있긴 하지만 준수한 기본 도트와 다르게 뻗친 머리와 넓은 미간 때문에 까인다.

3.2. 스탠딩 일러스트

CHARACTER INFO

스탠딩 일러스트

파일:루미너스 스탠딩1.png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 펼치기 · 접기 ]
파일:루미너스 스탠딩2.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3.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4.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5.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6.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7.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8.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1.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2.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3.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4.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5.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6.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7.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_파티장8.png

파일:루미너스 스탠딩 2.png

아란·은월 리마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루미너스 스탠딩 1.png

4. 스토리 캐릭터로서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검은 마법사가 각성과 동시에 떼어낸 의 결정에서 태어난 존재로[6] 검은 마법사의 안티테제격인 존재라 할 수 있다. 검은 마법사가 떼어낸 그 빛은 본래 존재를 잃고 서서히 사그라져갈 운명이었으나, 오로라의 마법사들이 빛의 힘을 이용해 환생하게 만들었다.

검은 마법사의 반신에다가 대적할 운명을 가지고 태어난 만큼, 작중 스토리에서도 검은 마법사와 가장 깊게 연관된 인물 중 하나. 검은 마법사 보스전에서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 루미너스가 사용하는 스킬 상당수를 검은 마법사도 그대로 사용한다. 나머지 인물들 또한 검은 마법사와 연관 되지 않은 것은 아니나, 루미너스는 모험가와 함께 직업군 중에서 검은 마법사와 접점이 제일 많은 편이다.[7]

4.1. 강함

검은 마법사조차 두려워했던 최고의 마법사 - 루미너스 캐릭터 & 스킬 설명 구버전
상반된 속성의 두 가지 힘을 다루는 최고의 마법사 - 루미너스 캐릭터 & 스킬 설명
서로 상반되는 빛과 어둠의 힘을 동시에 다루며, 초월자로 각성한 검은 마법사로부터 떨어져 나온 일부이자 세상에서 가장 순수한 빛이다. 하얀 마법사가 사용하던 빛의 힘을 이어받았으며, 검은 마법사를 봉인할 때 그가 주입했던 어둠의 힘 또한 사용한다. 3차 전직 이후로는 의 힘과 어둠의 힘을 혼합해 하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에반을 제외한 영웅들 중 스토리를 진행하며 은월과 더불어 사실상 유일하게 새로운 스킬을 배우게 된다.[8]

세계관 최강자급인 초월자인 검은 마법사의 어둠에 필적하는 빛을 지니고 있으며, 빛의 힘으로 프리드가 만든 봉인을 유일하게 시전할 수 있는 사람이자 검은 마법사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하여 봉인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봉인 과정에서 검은 마법사의 어둠이 스며들어 어둠의 힘까지 다루게 되고, 이후 빛과 어둠을 하나로 만든 만큼 절륜한 강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선 부정할 수 없는 최상위급 대마법사이다.[9][10]

에스페라에서 나온 스토리를 보면 루미너스는 초월자를 제외한 메이플스토리의 모든 캐릭터중 유일하게 초월자의 힘인 빛과 어둠을 사용할 수 있다. 빛의 본질이 창조, 어둠의 본질이 파괴라는 걸 생각해보면 다른 어떤 속성보다 강력한 상위차원의 힘을 사용할 수 있는 셈. 거기에 그치지 않고 상반되어 보였던 빛과 어둠이 사실은 하나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 둘을 조합한 강력한 마법을 새로 만들었다. 인게임상에선 루미너스 5차 스킬인 진리의 문의 설명을 보면 빛과 어둠을 넘어선 곳에 있는 진리의 문을 소환한다고 써져있는데, 루미너스가 초월자의 힘인 빛과 어둠을 넘어선 진리를 깨달은 대마법사라는 게 암시된다. 또 6차 오리진 스킬인 하모닉 패러독스의 대사에 빛의 초월자가 사용하는 창조와 파괴의 권능이 언급되며, 검은 마법사가 말한 궁극의 빛과 어둠은 이미 자신의 안에 있다고 말한다.

다만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에선 자신의 입으로 프리드는 내가 마지막까지 따라잡지 못했던 유일한 마법사라고 이야기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인즈나 알케스터같은 원로 마법사들조차 따라잡지 못한 대마법사이며[12] 검은 마법사가 소멸되고 프리드가 고인이 된 현재 메이플 월드 내에서 루미너스 이상의 마법사는 같은 플레이어블 마법사를 제외하곤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와 별개로 루미너스 본인이 시그너스처럼 초월자의 예비자이거나 초월자 혹은 불완전한 초월자인 것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 개편된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스토리에서조차 루미너스 본인이 초월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일부라고 자신도 초월자인 건 아니라며 직접적으로 자신이 초월자임을 부정하기도 한다. 빛의 초월자는 빛(창조)과 어둠(파괴 / 소멸)을 가진 두 존재로 나뉘며, 초월자로 선택받지 못한 한 사람은 예비자로 남는다는 것을 보면 과거 루미너스가 예비자였던 건 맞을수도 있다.[13]

그럼에도 초월자는 세계의 의지가 정하는 것이기에 검은 마법사처럼 후천적으로 초월자가 될 가능성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따지자면 플레이어블 캐릭터라는 특성상. 마찬가지로 초월자 직업군인 제로의 케이스처럼 각종 디버프를 떠안는 설정이 되지 않는 이상,[14] 초월자가 되는 스토리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듯하다.

4.2. 성격

타인에게 관심을 갖기보다는 관심을 받는 타입의 사람으로, 주 관심사가 물질적인 것보다는 주로 정신적인 것에 치중되어 있고 자신의 내면을 여행하고 탐구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때문에 마음의 갈등 또한 외부에서보다는 내부에서 더 많이 일어나는 성격이다.[15]

매사에 침착하고 신중하며, 자만하지 않는다. 또한 자신이 갖고 있는 힘을 남발하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고 항상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기본적이고 올바른 주인공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캐릭터. 그러나 영웅이라는 거창한 타이틀에 맞지 않게 소박하고 담백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자신이 가진 힘을 잃었음에도 일말의 관심을 두지 않았던 면이나, 평화로워진 세상에서 잊혀진 채 조용히 살고 싶어한 점이 그렇다. 다만 어린 시절에 처음으로 빛의 힘을 다룰 수 있게 되었을 때 루시아에게 기분좋게 자랑했었다는 일화나, 작은 방에서 몰래 루시아와 함께 과자를 먹다 들킨 일도 있었다는 걸 보면 처음부터 마냥 그런 성격은 아니었고, 아마 커가면서 주변환경과 상황에 의해 이런 성격이 된듯.

스토리를 진행하다보면 루미너스는 소중한 이를 지키려고 하고, 또 소중한 이들과 함께할 평화를 마음 깊이 바라는데 어렸을 때부터 검은 마법사에게 위협을 받아오며 주변의 사람들을 계속 잃어왔을 걸 생각하면[16] 이는 당연한 바람이면서, 동시에 소박하고 절실한 바람이다. 검은 마법사는 루미너스가 불행한 삶을 살게 한 주범이지만 루미너스의 정체를 생각해 보면 루미너스가 힘들게 살아갈 건 정해진 수순이었다. 영웅들 중에서도 운명이라는 단어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캐릭터.

호감이 가지 않는 상대에게도 싫다는 등의 직접적인 표현을 멀리하고 에둘러 말하는 것만 봐도 아주 정중한 말버릇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첫 대면하는 사람에겐 존댓말을 사용한다. 이런 고지식한 점 덕에 주변인들에게 재미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향은 질서-선. 그에 맞게 진지하고 무뚝뚝한 성격이라, 자유지향적이며 유머러스한 팬텀과 대비된다. 그래서인지 사이가 썩 좋지는 않은 모양. 팬텀의 말로는 서로 간의 유일한 공통점이라곤 서로 싫어한다는 점 뿐이라고 한다. 팬텀은 보통 루미너스를 이름 대신 샌님[17]이라고 자주 부른다.

루미너스 초반 스토리 퀘스트가 고쳐지면서 비어완의 대사인 '당신은 루미너스 님이시기에 어둠의 힘을 올바로 다루실 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에서의 '루미너스 님'이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나오게 되었다. 바로 뒤에 비어완이 '누군가와는 달리 말이죠'라고 말하는 부분까지 연결지어보면 루미너스가 1대 마스터에다 자신의 반신인 검은 마법사와 다른 길을 갈 거라는 복선.[18]

튜토리얼에서 어둠의 힘에 물들었을 때 선택지에 따라서 루미너스의 다른 성격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어둠의 길을 선택하면 어둠의 힘을 맹목적으로 추구하고 자신을 위해 타인을 함부로 대하는 난폭하고 잔혹한 모습을 보였지만 그럼에도 결국 충동적인 어둠을 극복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법 연구나 공부와는 달리 집안일에서는 상당히 허당스러운 모습을 보이는지 라니아에 의하면 책을 잘못 빌려온다거나 저녁 요리 재료를 잘못 구해오는 일도 있는 듯하다. 다만 루미너스 튜토리얼과 시크릿스토리 튜토리얼 만화에서 보면 루미너스가 심부름 때문에 라니아한테 혼난 뒤 바로 어둠의 힘으로 인한 가슴의 통증이 최근 들어 심해졌다고 독백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보면 루미너스가 정말 허당이라기보단 고통 때문에 제대로 심부름을 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메이플스토리 모바일에선 되려 라니아보다 루미너스가 더 요리 실력이 좋다고 묘사되기도 했다.

크게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과자나 단 것을 좋아하는 듯한 암시도 간간히 보인다. 어릴 적 세레니티에서 지낼 때 작은 방에서 몰래 과자를 먹다가 걸려 혼난 적도 있다고 하고, 3차 전직 직후에 자신의 몸 안에서 빛과 어둠이 섞이는 과정을 우유에 초콜릿이 녹아서 섞이는 것 같다며 굳이 단 것을 예시로 들어 묘사한다.

4.2.1. 스토리 보정 예외

스토리를 보면 영웅들 중에서도 가장 검은 마법사와 관련이 깊지만, 설정을 반영하지 않고 그냥 모험가 스크립트를 따르는 부분들도 꽤 있다.

* 차원의 도서관 Episode 1. 하얀 마법사: 오로라의 초대 마스터인 검은 마법사, 그리고 자신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가 있음에도 추가 스크립트가 없다. 제로의 그림자 연금술사 스크립트와 대조적.

4.3. 인물 관계

4.4. 홈 타운: 세레니티/라니아의 집

파일:item_오로라 프리즘.png 오로라 프리즘 [교환 불가]
오로라의 아지트인 세레니티로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지닌 특별한 수정이다.
다른 영웅들과는 다르게 홈 타운이 좀 특이한 경우인데, 시작은 라니아의 집이지만 2차 전직 이후에는 오로라의 아지트인 세레니티가 홈 타운 역할을 한다.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루미너스가 라니아를 지키기 위해 라니아의 집에 대규모 경비 시스템을 구축하자, 비어완까지 덩달아 라니아의 집으로 이사를 오면서 이후에는 '오로라 프리즘[32]' 아이템을 사용하면 라니아의 집으로 줄곧 귀환하게 된다. 이 아이템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인지 전용 귀환 스킬 역시 없다. 이 때는 라니아의 안전을 위해 대규모 경비 시스템 이외에도 멀리 나갈 필요없도록 잡화상점까지 마련한 뒤라 라니아의 집 앞마당에서 상점 사용도 가능하다.[33]

라니아의 집 앞마당에서 포탈을 타면 '전에 들렀던 맵으로 바로 이동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이 나오는데 이 때 '네'를 누르면 캐릭터가 전에 들렀던 맵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아니오'를 누르면 엘리니아 근처의 맵인 새들과 가까운 곳으로 나오게 된다.

이 점을 이용하면 디멘션 게이트의 패치 이후 새들과 가까운 곳에서 엘리니아로 귀환해 정거장 이동 후 디멘션 게이트를 통하면 모든 마을로 이동이 가능하니 이는 오로라 프리즘을 시공석처럼 이용 가능하다.[34] 그래서 한 때는 매우 좋은 이점이었지만 이동 편의성이 많이 좋아진 현재는 이런 장점도 많이 퇴색된 상태다. 길라잡이의 개편 이후 웬만한 마을 이동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사냥하다 잠시 쉬기 위해 들렀다 나간다거나, 상시 물약구매나 잡템 판매가 가능하단 건 여전한 장점이긴 하다.

마을로 취급되는지 라이트 블링크로 랜덤이동이 가능하고 경매장 이용도 가능하다. 보통 라니아의 집은 인게임상으로 루미너스가 아니면 들어올 수 없는데, 예외로 모험가와 은월이 스토리 중 단 한 번만 들어올 수 있다.

4.5. 어록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4.6. 스토리 및 퀘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토리 및 퀘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토리 및 퀘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토리 및 퀘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실제 게임 캐릭터로서

파일:루미너스 일러스트.png
루미너스
Luminous
파일:마법사_아이콘.png 마법사

빛과 어둠의 마법사
검은 마법사로부터 분리된 빛에서 태어나 마침내 그를 봉인한 영웅입니다.
빛과 어둠의 힘을 사용하며 속성별 강화 효과를 받거나 혼합 상태에 진입하여 절대적인 힘을 사용합니다.
종족
영웅
이동 방식
텔레포트
주요 스탯
INT[지력]

5.1.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성능

5.2.1. 스킬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2. 특징

빛의 마법사 루미너스는 자유롭게 빛과 어둠 스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빛과 어둠의 속성이 합쳐진 혼합 스킬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크니스 시스템[35]을 토대로 두 태세를 넘나드는 마법사. 접속 직후 혹은 부활 후 최초로 사용하는 스킬이 빛 스킬이라면 이클립스(어둠 스킬 강화 상태), 어둠 스킬이라면 선파이어(빛 스킬 강화 상태)상태가 된다. 이후 선파이어에서 빛 스킬을 사용하면 점점 어둠이 차올라 이퀄리브리엄에 도달했다가 이후 이클립스가 된다. 반대로 이클립스 상태에서 어둠 스킬을 사용하면 점점 빛이 차올라 이퀄리브리엄에 도달했다가 이후 썬파이어가 된다. 단 1차는 상태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2차부터 선파이어, 이클립스가 해금, 이퀄리브리엄은 3차부터 해금된다.
5.2.2.1. 선파이어 (Sunfire)
빛 마법 강화 상태. 라크니스 게이지가 청백색으로 물들며, 이 상태에서 빛 마법을 사용하면 타수가 증가하고 순수 HP[36]의 일정 비율이 회복되나, 회복량이 심각하게 낮아 별 의미가 없다.
5.2.2.2. 이클립스 (Eclipse)
어둠 마법 강화 상태. 라크니스 게이지가 암자색으로 물들며, 어둠 마법의 타수가 증가하고 사용 시의 MP 소모 또한 삭제된다. 그러나 오버로드 마나를 포함해서, 어둠 마법을 제외한 다른 모든 스킬의 MP 소모량은 그대로이므로 아무 의미 없다.
5.2.2.3. 이퀄리브리엄 (Equilibriu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이퀄리브리엄|이퀄리브리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선파이어에서 이클립스, 또는 이클립스에서 선파이어로 넘어가기 전에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되는 제3의 라크니스 상태. 특징은 아래와 같다.
5.2.2.4. 빛의 길과 어둠의 길
파일:i1735543842.png

라크니스 시스템이 빛과 어둠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초반 튜토리얼 이후 빛의 길과 어둠의 길을 선택할 수 있다. 빛의 길을 선택하면 트윙클 플래시와 빛 마법 강화를, 어둠의 길을 선택하면 다크 폴링과 어둠 마법 강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둠의 길 선택 시 착용하고 있던 오로라 로브가 블랙 오로라 로브로 변경 된다. 그리고 선택한 길에 따라 1차 전직 시기의 스토리가 갈린다.

1차 전직 시에는 어둠의 길로 가서 다크 폴링을 배우는 게 사냥에는 편하고 4차 전직 이후에는 운명의 갈림길[37]을 사용하여 라이트 리플렉션의 원킬컷을 위해 빛 스킬 최종 데미지를 올려주는 빛의 길로 갈아탄다.

일반적으로 사냥과 보스 비중이 높은 아포칼립스와 엔드리스 다크니스를 위해 어둠의 길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퀄리브리엄 상태가 주력인 만큼 어둠과 빛스킬의 딜량은 현저히 낮기 때문에 차이는 거의 없다[38]

5.2.3. 운용

5.2.3.1. 사냥
6차 전직 이전에는 선파이어 고정-라이트 리플렉션으로 사냥하는 빌드를 주로 사용한다. 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을 활성화해서 선파이어로 고정하고, 3층 구조의 필드를 기준으로 중간 정도에 위치하면서 좌우로 이동하며 라리플만 난사하면 된다. 제자리 사냥을 할때는 넓은 맵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고 매우 좁은맵 한정으로 에르다 파운틴을 라리플의 전이가 가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라리플로 제자리 사냥을 하기도 하지만 마릿수가 안나오기 때문에 6차 이전엔 거의 제자리 사냥은 없다 보면 된다.

6차 전직 이후에는 마스터리 코어에 있는 빛과 어둠 추가타인 이터널 라이트니스나 엔드리스 다크니스를 활용한다. 원킬이 날 경우 구역마다 솔 야누스와 에르다 파운틴을 깔고 한쪽에서 라이트 리플렉션이나 아포칼립스를 써주면 추가타로 남는 몹까지 잡아 제자리 사냥이 가능하다. 다만 라이트 리플렉션의 경우 불규칙한 전이로 인해 몹이 새는 경우가 많아, 보통 아포칼립스로 사냥하는 경우가 많다. 사냥을 위한 원킬컷의 경우 야누스는 3킬, 파운틴은 2킬인데, 그 정도의 스펙이면 루미너스의 스킬들은 대부분 원킬이라 고민할 필요는 없다.
5.2.3.2. 보스
기본적인 사이클은 빛이나 어둠스킬을 사용해 라크니스 게이지를 충전하여 이퀄리브리엄을 발동시키고 이퀄리브리엄 지속시간 내에 이퀄리브리엄 스킬과 이와 연계된 스킬들을 최대한 사용하는 것이다.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는 주로 앱솔루트 킬을 사용하며 퍼니싱 리소네이터, 빛과 어둠의 세례, 트와일라잇 노바도 딜 점유율이 상당히 높기에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39] 빛과 어둠의 세례의 경우 트와일라잇 노바를 제외한 이퀄리브리엄 스킬[40]을 적중할 때 매 공격마다 2초씩 재사용 대기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최대한 앱솔루트 킬을 적중시키고 빛과 어둠의 세례를 최대한 많이 발동시키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퀄리브리엄을 얼마나 오래 지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딜량이 갈린다. 버프 지속시간 증가 옵션이 110퍼센트 미만일 경우 1 이퀄 2 퍼니싱의 보편적인 딜 사이클 자체가 전혀 돌아가지 않아 유니온 점령효과와 어빌리티, 성향 등에서 이를 채워야 한다. 다만 버프 지속시간이 너무 길 경우 엔버 링크와 어긋나거나 120초안에 2이퀄 사이클을 돌리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반드시 조절해야 한다.

또한 이퀄리브리엄은 극딜 버프가 아니다. 짧은 시간의 극단적인 화력 강화가 아닌 지속시간 동안 이퀄리브리엄 계열 스킬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용도일 뿐이다. 극딜 버프인 리버레이션 오브는 버프 스택을 소모하는데 시간도 길고 딜 지분도 그닥 높은편이 아니라 제대로 된 극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루미너스는 극딜 직업이 아닌 조건부 평딜 직업으로 분류된다.

SEQUENCE

시퀀스 설정

시퀀스
파일:27121053.icon.png 파일: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아이콘.png 파일:리버레이션오브아이콘.png 파일:소울 컨트랙트 아이콘.png

2분

시퀀스
파일: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 아이콘.png

6분

시퀀스
파일:이퀄리브리엄 리버레이션 아이콘.png 파일:skill_루미너스_하모닉 패러독스_아이콘.png
5.2.3.2.1. 공략

5.2.4. 스펙


SPECS

||<-3><tablebgcolor=#F5F5F5><tablecolor=#6c7784><#6c7784,#6c778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무기 관련 ||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무기 이름 및 상승 요인
무기 상수 1.2샤이닝 로드
공격 속도 7(~8)단계마법 4단계, 매직 액셀레이션 +2단계, 스펠 마스터리 +1단계, 쓸만한 윈드 부스터 +1단계
마법은 무기 공격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력 조건부 최대 공속(8단계) 도달 가능
숙련도 95%기본 숙련도 25%, 스펠 마스터리-매직 마스터리 +70%
보조 무기 강화 가능 여부 불가능오브
<rowcolor=#ecff00> 공격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주 스탯 - 지력 +15%+60메이플 용사 +15%, 하이 위즈덤 +40, 파워 오브 라이트 +20
부 스탯 - 행운 +0관련 스킬 없음
마력 +110스펠 마스터리 +10, 포틱 메디테이션 +40, 매직 마스터리 +30, 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30
데미지 +55%(~65%)스펠 마스터리 +15%, 다크 크레센도 +8%(최대 5중첩) + (히어로즈 오쓰 +10%)
보스 데미지 +15%트와일라잇 노바 +15%
최종 데미지 111.68%다크니스 소서리 40% × 트와일라잇 노바 40% × 오버로드 마나 8%
몬스터 방어력 무시 49%다크니스 소서리 40% × 퍼미에이트 15%
속성 물리
10%만큼 속성 내성 무시
다크니스 소서리 10%
추가 타격 50%로 추가 타격
100%로 추가 타격
선파이어 - 빛 스킬, 이클립스 - 어둠 스킬
이퀄리브리엄(하이퍼 스킬 및 5차 스킬에는 적용되지 않음)
데미지 분산 0%관련 스킬 없음
기타 없음
<rowcolor=#ecff00> 방어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방어력 +450오디너리 매직가드 +150, 라이트쉐도우 가드 +300
상태 이상 내성 44파워 오브 라이트 +4, 안티 매직쉘 +40
모든 속성 내성 40%안티 매직쉘 40%
피해 무시 +20%라이트쉐도우 가드 +20%(회피율과는 별개 적용)
스탠스 100%안티 매직쉘 +40%, 다크니스 소서리 +60%
슈퍼 스탠스 불가능관련 스킬 없음
MP 가드 여부 85%오디너리 매직가드
피해 감소 -50%블레스 오브 다크니스 -50%
피해 흡수 (-100%)이퀄리브리엄 -100%
최대 HP 비례 피해 감소 -0%관련 스킬 없음
가드 가능 여부 가능안티 매직쉘 - 치명적인 상태 이상 7회 무시
<rowcolor=#ecff00> 크리티컬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크리티컬 확률 40%기본 5%, 매직 마스터리 +15%, 스펠 마스터리 +20%
추가 크리티컬 확률 +15%
100%
퍼니싱 리소네이터 +15%
앱솔루트 킬, 빛과 어둠의 세례, 리버레이션 오브
크리티컬 데미지 18%매직 마스터리 +18%
<rowcolor=#ecff00> HP, MP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최대 HP 증가 +0관련 스킬 없음
HP 회복 2%
스탯 공격력의 800%
셀프 리커버리
샤인 리뎀션
공격 시 HP 회복 1%선파이어 - 빛 스킬
스킬 코스트 MP
최대 MP 증가 +30%+@익스텐드 마나 +30%, 파워 오브 라이트
MP 회복 2%셀프 리커버리
공격 시 MP 회복 3%~5%셀프 리커버리 - 30% 확률로 5%(보스 3%)
회복 포션 효율 +0%관련 스킬 없음
<rowcolor=#ecff00> 이동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스킬 이름 및 상승 요인
이동 속도 122%라이트랜스포밍 +22%
최대 이동 속도 160%기본 140%, 라이트랜스포밍 +20%
점프력 110%라이트랜스포밍 +10%
더블(트리플) 점프 관련 스킬 없음
상단 점프 라이트 리프 - 공중에서 ↑+점프
일정 거리 이동 라이트랜스포밍 - 좌우 190(라이트랜스포밍 부스트 +65), 상하 320만큼 텔레포트
기타 이동기 라이트 블링크 - 랜덤 이동
<rowcolor=#ecff00> 1:1 공격 기술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관련 스킬
데미지 앱솔루트 - 1타 당 455%~910%
사거리 앱솔루트 킬 - 고정, 정면 400(앱솔루트 킬 - 애드 레인지 +40) / 상단 150
대상 수 앱솔루트 킬 - 2(앱솔루트 킬 - 엑스트라 타겟 +1)
공격 횟수 앱솔루트 킬 - 1회당 7~14
공격 속도 앱솔루트 킬 - 1분당 105
재사용 대기시간 앱솔루트 킬 - 비이퀄 12초, 이퀄 없음
<rowcolor=#ecff00> 밀격/끌격 기술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관련 스킬
밀격 관련 스킬 없음
넉백 인바이러빌리티 - 1회에 10명의 적을 자신 주변으로 350만큼 밀어냄
끌격 관련 스킬 없음
<rowcolor=#ecff00> 보조 공격 기술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관련 스킬
추가 공격기 관련 스킬 없음
보조 공격기 관련 스킬 없음
도트 데미지 관련 스킬 없음
<rowcolor=#ecff00> 유틸 기술 관련
<rowcolor=#ecff00> 능력치 관련 스킬
능력치 감소 없음
버프 불능 없음
버프 해제 없음
버프 무시 없음
행동 불능 아마겟돈 - 10초
무적 라이트랜스포밍 - 바디 어택 및 오브젝트 회피
아마겟돈 - 2초
에테리얼 폼 - 3초
부활 없음
사망 1회 방지 없음
기타 파워 오브 라이트 - 암흑 상태이상 무시
<rowcolor=#ecff00> 기타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버프 지속 시간 증가 +0%관련 스킬 없음
회피 후 버프 없음
공격 반사 불가능
기타 없음
<rowcolor=#ecff00> 육성 보너스
<rowcolor=#ecff00> 능력치 수치 평가
링크 스킬 퍼미에이트방어율 무시가 부족하다면 반드시 챙겨야 한다.
공격대원 효과 INT 증가 평범하게 마법사를 위한 효과. 퍼센티지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5.3. 평가

직업 고유 시스템인 라크니스 게이지에 따른 태세 전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정된 이퀄리브리엄 시간 안에 평딜과 극딜을 욱여넣는 마법사. 장점이 없는 건 아닌데 단점, 특히 '요구 스펙 대비 노딜'이라는 현실이 커서 추천되지 않는다.

5.3.1. 장점

5.3.2. 단점

5.3.2.1. 오류
한때 메이플스토리 직업 중에서도 오류가 가장 많았던 직업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오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오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오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3. 기타

5.4. 육성 가이드

5.4.1. V 매트릭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스킬#스킬 코어|스킬 코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2. 어빌리티


레전드리 어빌리티

스킬 사용 시 15~20% 확률로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버프 스킬의 지속시간 32~38% 증가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5~10% 증가


트와일라잇 노바 추가 이후 가장 고점이 높은 보스용 어빌리티. 트와일라잇 노바의 회전율 증가를 노린 세팅이다. 쿨감모를 착용할 경우 효율이 배가 된다. 다만 이 어빌리티는 트와일라잇 노바 VI의 레벨, 쿨감 수치가 높아질 수록 효율도 높아지는 세팅이므로 6차 이전이거나 트와일라잇 노바를 적게 강화했을 때 기존의 첫째줄 벞지를 버리고 이 옵션을 뽑아도 비슷하거나 오히려 약해지기에 무리해서 뽑을 필요는 없다. 둘째~셋째줄의 경우 유니크 보공의 고점이 10%로 더 높긴 하지만 유니크 상추뎀 7~8%로도 충분히 대체는 가능하다. 다만 상추뎀은 전투력 수치에 반영이 안되는 것에 주의.



레전드리 어빌리티

버프 스킬의 지속시간 44~50% 증가

스킬 사용 시 5~10% 확률로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5~10% 증가


트와일라잇 노바를 적게 강화했거나 쿨감모가 준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하는 보스용 어빌리티, 루미너스는 버프 지속시간의 매우 중요한 직업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과거에는 첫째줄에 벞지를 뽑았고 노바가 추가된 지금도 여전히 벞지는 중요한 옵션이기에 무난하게 사용 가능한 옵션이다. 다만 트와일라잇 노바가 어느 정도 강화되었을 경우에는 반드시 교체해야 한다.[47]



레전드리 어빌리티

메소 획득량 18~20% 증가

아이템 드롭률 13~15% 증가

일반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7~8% 증가


루미너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직업이 사용하는 사냥용 종결 어빌리티. 보통 보스용 어빌리티를 먼저 뽑은 뒤 어빌리티 프리셋으로 설정한다. 위 예시에서 첫째줄에는 메획, 아획 중 어떤 것을 써도 상관은 없다. 다만 어빌리티는 첫째줄보다 둘째줄 저격이 훨씬 어렵기 때문에 재설정을 하면서 둘째줄에 메획과 아획 중 먼저 뜨는 것을 보고 유동적으로 결정하면 된다. 아획은 보스에서도 유용하게 작용한다는게 장점. 다만 사냥만 본다면 아획보다 메획의 효율이 더 높은 편이므로 극한의 효율을 보고 싶다면 메획을 첫째줄에 뽑는 것을 추천한다.#


다음은 루미너스에게 추천하는 어빌리티 개별 옵션에 대한 설명이다.
과거에는 라리플의 최대 마릿수를 늘리기 위해 간혹 쓰긴 했지만 솔 야누스와 이터널 라이트니스가 나온 현시점에선 원킬컷만 맞춘다면 1렙 야누스로도 라리플 제자리사냥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이상 채용하지 않는다.

5.4.3. 유니온

5.4.4. 유니온 아티팩트

5.4.5. 기타

특수 스킬 반지(시드링)의 경우 4가지의 특수 스킬 반지(시드링)[49]을 사용하는 것이 컨티뉴어스 링만 사용하는 것보다 소폭 강하나, 실전에서 딜 누수와 편의성을 생각했을 때 컨티뉴어스 링이 훨씬 우수하다.

모자의 경우 쿨타임 감소 효과가 있는 것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가장 중요한 트와일라잇 노바의 가동률을 크게 끌어올려주며, 이외에 퍼니싱 리소네이터, 빛과 어둠의 세례, 파이널 컨트렉트(엔버링크), 프리드의 가호 등 여러 스킬의 쿨타임이 줄어드는 것은 덤이다. 보통 2초~5초를 주로 사용하며, 5초가 고점이다. 6초 이상은 추천하지 않는다.

5.5. 스킬 보이스

CHARACTER INFO

스킬 보이스

2차 스킬

파일:20040217.icon.png
이클립스
"어둠이 느껴진다."

파일:27101101.icon.png
인바이러빌리티
"물러나라!"
"어딜 감히!"

파일:27101202.icon.png
보이드 프레셔
"어둠의 힘은 끝이 없다."

3차 스킬

파일:27111006.icon.png
포틱 메디테이션
"어둠에는 지지않아!"
"어둠은 두렵지 않아."

파일:27111202.icon.png
녹스피어
"어둠의 힘을 느껴라."

파일:27111101.icon.png
샤인 리뎀션
"치유의 빛이여..."
"빛으로 이 세계를 지켜내겠어."

파일:27111004.icon.png
안티 매직쉘
"안티 매직쉘!"
"어둠에는 지지않아."

파일:27111303.icon.png
데스 사이드
"베어라!"
"데스 사이드!"

4차 스킬

파일:27121202.icon.png
아포칼립스
"사라져라!"
"아포칼립스!"

파일:27121303.icon.png
앱솔루트 킬
"사라져라."
"어둠을 가르는 한줄기 빛으로!"

파일:27121006.icon.png
다크니스 소서리
"파괴적인 힘...어둠이 느껴지는가...?"
"어둠을 받아들여라."
"어둠이 느껴진다."

하이퍼 스킬

파일:27121054.icon.png
메모라이즈
"빛과 어둠을 하나로."
"이것으로...끝이다!"
"흐흐하하하하하!"

파일:27121052.icon.png
아마겟돈
"힘이.... 어둠이..... 넘쳐흐른다!!!! 아하하하하하하!!!!!"
"검은 빛의 섬광이여!"
"아마겟돈!"

파일:27121053.icon.png
히어로즈 오쓰
"빛으로 이 세계를 지켜내겠어!"
"이제부터다."

5차 스킬

파일:400021005.icon.png
진리의 문
"진리는 가까이에 있다."
"진리를 엿보았는가."
"진리는 절대적이다."
"진리는 절대적인가?"

파일:400021041.icon.png
퍼니싱 리소네이터
(이퀼리브리엄) "빛과 어둠 속에 삼켜져라!"
(선파이어) "순수한 빛은 가릴 수 없."
(이클립스) "짙은 어둠은 빛조차 위협하지."

파일:400021071.icon.png
빛과 어둠의 세례
"빛은 나의 기원."
"어둠은 칼을 든 동반자."
"진리의 세례를 받아라!"

파일:리버레이션오브아이콘.png
리버레이션 오브
(균형) "하나된 마력을 느껴라!"
(균형) "완전한 힘으로!"
(불균형) "이 정도도 너에겐 과분하다."

6차 스킬

파일:skill_루미너스_하모닉 패러독스_아이콘.png
하모닉 패러독스
"진리에 도달한 자여. 창조와 파괴의 권능으로 저들을 심판하라!"
"진리에 닿지 못한 미물이여. 찬란한 어둠 속으로 쓰러져라!"
"넌 틀렸어. 궁극의 빛과 어둠은 이미 내 안에 있다!"

파일:러스트러스 오브 아이콘.png
러스트러스 오브
"칠흑보다 더 짙은 빛을."
"눈을 감아라. 빛은 자비가 없다.."
"감춘 것을 드러낼 뿐."

6. 그 외 매체에서의 등장

6.1. 네이버 웹툰 - 신의 탑 크로스 오버

어둠과 빛. 그 사이에 서 있군. 뭘 그렇게 심각하게 고민해? 덤벼라. 이 어둠 속에서 함께 춤을 춰 보자.
네이버 웹툰 신의 탑 작가인 SIU가 담당했던 메이플스토리 9주년 만화에서 스물다섯번째 밤과 대치했던 정체불명의 마법사가 바로 루미너스인 것으로 보인다. 붉은 색과 파란 눈동자의 오드아이와 백발로 묘사된 외형도 그렇고, 루미너스는 빛과 어둠을 동시에 쓰는 듀얼 매지션인데 주인공 밤에게 빛과 어둠 둘 사이에 서있다는 대사를 말하는 걸 보면 거의 확실.

다만 9주년 카툰에서 루미너스가 입고있던 복장이 검은 마녀 엘레오노르와 상당히 비슷해서 검은 마법사의 인간 시절이라고 착각한 사람들도 많았던 모양이다. 카툰에서 루미너스가 입었던 복장은 루미너스의 기본 옷인 오로라 로브, 오로라 슈즈의 다크버전인 다크 오로라 로브, 다크 오로라 슈즈로 밝혀졌다. 다만 공식과는 색깔이 다른 걸로 보아 루미너스라는 게 일찍 밝혀지면 안되니 작가가 임의로 색깔을 살짝 바꾼 듯.

6.2. 코믹 메이플스토리

루미너스(코믹 메이플스토리) 문서 참고.

6.3. 메이플스토리 공식 팬북 시크릿스토리 설정

7. 여담

파일:AfwLw1V.png파일:HebzE3n.png파일:EV5V6c5.png
* 몬스터 라이프에 쁘띠 루미너스(빛), 쁘띠 루미너스(어둠), 쁘띠 루미너스(이퀄리브리엄) 몬스터가 새로 추가됐다. 다른 몬스터들과는 다르게 바리에이션이 세 가지나 나뉜다. 이후에 쁘띠 은월이 추가되었는데 조합식이 하필 쁘띠 팬텀×쁘띠 루미너스(빛)라서 메덕들을 뒤집어놨다. 스토리 상으로는 팬텀과 루미너스가 다툴 때에 은월이 둘을 중재시킨 면에서 나온 듯하다.
파일:attachment/루미너스(메이플스토리)/gwmr.jpg
* GMS에서 루미너스를 육성한 'lnmateSearch'라는 유저가 200에서 222일 만에 전 세계 최초로 250을 달성하였다. 2014년 4월 27일 랭킹 2위 'ZeroByDivide'라는 유저도 250을 달성하였다.
KMS에서는 만렙이 한 명 나왔었다. KMS와 달리 GMS에서 만렙이 빨리 나왔던 이유는 GMS만 있는 직업 음양사 칸나의 귀신소환(몬스터 리젠 쿨 감소 스킬) 덕분이다. 그리고 GMS 루미너스의 경우, 시스템이 달라 빛과 어둠을 번갈아 쓰는 게 아닌 빛 또는 어둠 스킬을 선택해서 강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플렉션 난사가 가능하다. 다만 후의 패치로 KMS의 라크니스 시스템으로 변경되었고 칸나의 귀신 소환은 너프를 먹었다.
파일:external/orangemushroom.files.wordpress.com/chew-chew-island.jpg
파일:사과루미.png
파일:메이플스티커(루미너스).png
파일:루미너스 전신.jpg
파일:루미패키지.jpg

8. 유명인 유저

9. 삽화

전신 일러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attachment/12_28.jpg
어둠을 삼킨 빛의 영웅, 전설을 이을 최후의 영웅이 온다![56]
파일:루미너스 구일러1.png
템페스트 일러스트
파일:루미너스 구일러2.png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일러스트
}}} }}} }}} ||

10. 영상

템페스트 : 루미너스 빛과 어둠의 선택
소개 영상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c82,#004c82><tablebgcolor=#004c82,#004c82> 영웅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루미너스 일러스트.png 루미너스 Luminous ||


메이플스토리의 29번째 직업
미하일 루미너스 카이저

[1] 루미너스는 스토리부터 시작해 스킬이나 전체적인 컨셉 자체가 운명이란 단어와 연관이 상당히 깊다. 운명의 대적자라는 루미너스 200제 훈장이자 이명은 검은 마법사의 반신인 루미너스가 검은 마법사에게 강제적인 운명을 부여받았으면서도 그와 다른 길을 걷기 위해 운명과 대적한다는 의미이다. 영웅 공용 스킬인 프리드의 가호 6스택을 다 쌓은 뒤 나오는 운명은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라는 문구도 이를 잘 대변해준다.[2] 검은 마법사가 타락하면서 떼어낸 빛을 오로라 측에서 사람으로 환생시킨 아이. 즉 루미너스를 일컫는다. 오로라의 마법사들은 루미너스를 별의 아이라 칭하며 검은 마법사와 쓰러뜨릴 희망인 루미너스를 지키기 위해 사력을 다했다.[3] 하얀 마법사가 타락하면서 떼어낸 빛의 결정에서 태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종족을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빛의 결정으로부터 태어났기 때문인지 루미너스 자체가 빛이라고 묘사되는 듯한 부분도 보이는데 루미너스의 텔레포트 스킬인 라이트랜스포밍의 설명을 보면 빛으로 변하여 이동한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이 부분은 루미너스가 나오는 여러 공식 애니메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템페스트 : 루미너스 빛과 어둠의 선택 애니메이션을 보면 루미너스가 단순히 텔레포트만 하는 것이 아니라 빛의 결정체로 변한 뒤에 빛의 결정이 다시 인간의 형상을 갖추며 나타나는 모습이 잘 묘사되어있다. 다만 빛 자체긴 해도 그것만 있다고 보기엔 애매한 것이, 검은 마법사가 자신의 인간적인 부분과 함께 떼어낸 빛이라는 내용이 있는데다 어릴 적 이야기를 통해 루미너스가 육체적 성장을 했다는 묘사도 있기에 더더욱 명확히 알기가 어렵다.[4] 루미너스가 하얀 마법사의 빛에서 비롯된데다 초월자의 예비자였을 가능성도 있기에 이제는 루미너스가 초월자가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지만,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에서 본인 입으로 자신은 초월자가 아니라고 직접 부정했다. 개편된 스토리에서조차도 이 점을 확실히 짚고 넘어갔기에 아닐 가능성이 크다.[5] 검은 마법사에게서 숨어지내기 위해 다른 차원에 만들어둔 오로라의 비밀 아지트다. 어린 시절 스승님의 손에 이끌려 세레니티에 오게 되었다고 루미너스가 스토리 내에서 스스로 언급하는데 그 이전에 살던 곳은 얘기하지 않아서 당시 태어난 진짜 고향이 어딘지는 모른다. 너무 어렸을 적 이야기라 본인도 까먹었을 수도 있고. 여담으로 인게임 상에선 루미너스 스토리 퀘스트 도중에 오로라 프리즘을 획득하게 되면 실제로 방문할 수 있게 되는 지역이기도 한데, 루미너스 스토리를 모두 완료하고 나면 오로라 프리즘의 좌표가 라니아의 집으로 고정되면서 두 번 다시 돌아갈 수 없게 된다. 다만 인게임 상에서나 그렇지 세레니티가 정말 사라진 것도 아니고 루미너스나 비어완이 위치를 기억하고 있을 것이기에 그 둘이 원한다면 다시 갈 수 있긴 할 듯.[6] 의외로 루미너스가 검은 마법사와 깊이 연관되어있다는 암시가 템페스트 업데이트 광고 영상에서 이미 나왔었는데, 영상 속에서 후드 차림을 한 루미너스의 절반이 검게 물들어진 모습과 주변으로 뻗어나가는 사슬이 검은 마법사를 연상시킨다.[7] 당장 직업 스토리 내에서 검은 마법사가 직접 모습을 드러내는 것도 은월, 루미너스, 모험가 세 직업 뿐이다. 은월 또한 검은 마법사를 봉인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덕에 은월 스토리에서도 검은 마법사가 은월 앞에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은월 스토리에서는 봉인될 때를 제외하면 꿈에서만 나와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무엇보다 은월의 스토리는 검은 마법사보다는 랑과 여우신을 주축으로 하는 그란디스 쪽의 비중이 큰 편이라, 상대적으로 모험가, 루미너스에 비하면 은월 스토리에서는 검은 마법사의 비중이 그리 부각되지는 않는다.[8] 은월 역시 여우신의 힘을 받아 새로운 스킬을 배우긴 하나 이전의 힘을 사용하는 묘사가 없어 에반처럼 완전히 처음부터 새로 배운다는 느낌이 강하다.[9] 메이플스토리 게임 내 캐릭터 생성 소개에서 빛과 어둠이 모두 강화된 혼합 상태가 되면 강력하고 절대적인 힘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10] 하얀 마법사 the origin을 보면 하얀 마법사는 18살의 나이로 마법사의 탑 장로들을 상처 하나 없이 한 방에 제압할 정도로 강했는데 루미너스는 그런 하얀 마법사가 남긴 순수한 빛의 힘을 물려받았다. 다만 루미너스는 하얀 마법사가 각성하며 떼어놓고 간 빛의 결정인지라 하얀 마법사 그 자체는 아니며 전투력 또한 마찬가지다. 대마법사로서의 격은 하얀 마법사 다음가는 정도일 듯하다. 그럼에도 메이플 월드 최상위 강자 영웅의 일원이고, 막강한 설정과 강함을 보유했다.[11] 루미너스가 이퀄리브리엄을 깨닫기 전 과거 기준으로 말한 걸수도 있어 현재와 명확한 비교가 되는지는 불명.[12] 스토리 내에서 어둠 루트로 진입했을 시 마주치는 하인즈가 속으로 루미너스의 어둠을 보며 저런 강력한 힘은 처음 본다고 독백하는데, 당시의 루미너스는 검은 마법사의 저주로 힘을 잃어 1차 전직 수준이었음에도 다루기 시작한지 얼마 안된 어둠의 힘을 자유자재로 사용했다. 작중 공인된 최강자 중 하나인 하얀 마법사처럼, 루미너스 또한 마법에 대한 천재성과 압도적인 강함을 지녔음이 시사된다.[13] 일단은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시점도 초월자와 예비자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밝혀지는 에스페라 스토리 전의 시점이기 때문에, 히오메 시점에서 루미너스가 예비자라는 개념을 모르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한 셈이다.[14] 제로의 경우에도 사실상 직위만 초월자지, 전임 시간의 초월자인 륀느가 완전히 소멸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불완전한 초월자로 남아있으며. 거기다가 륀느와 다른 신관들을 생존시키기 위해 거울세계를 유지하는데에 대다수 힘을 소모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초월자들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예지와 운명 조작의 능력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때문에 대적자로서의 능력을 제외하면, 평상시의 전투력도 다른 플레이어블 캐릭터 및, 군단장 및 사도들과 큰 차이가 없게끔 묘사되고 있다.[15] 현재는 삭제된 메이플스토리 공식 홈페이지의 직업 심리 테스트에서 나온 루미너스의 결과 내용이다.[16] 루미너스가 어렸을 때부터 자란 고향이나 다를 바 없을 오로라는 검은 마법사와 대적하면서 대부분이 몰살당했으며, 봉인 당시 스승님과 루미너스, 비어완을 제외하면 생존자가 없는 상태였다. 한마디로 루미너스는 그런 상황을 계속 봐오면서 자라왔다는 것. 심지어 스승님도 그때 어둠의 힘으로 죽어가고 있었을 걸 생각하면...[17] GMS에서는 너드라고 부른다.[18] 다만 당시의 하얀 마법사가 어둠을 택한 것은 단순한 타락이 아니었지만, 오로라의 마법사들은 세계의 진실과 검은 마법사의 의중에 대해 당연히 알 길이 없었다. 하지만 진실을 알았다고 오로라의 마법사 전부가 검은 마법사를 따랐을 지는 알 수 없는 일이긴 하다. 어떤 옳은 의도였어도 자신의 목적을 위해 대량 학살을 벌인 검은 마법사의 행적은 정말로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기 때문.[스포일러] 라니아의 전생. 루미너스 마지막 스토리 참고바람.[20] 어둠의 길 스토리에서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검은 마법사와의 결전 막바지 즈음엔 죽어가던 스승님과 비어완, 그리고 루미너스를 제외하면 살아남은 사람이 없었던 듯. 말 그대로 궤멸 직전의 상태나 다름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루미너스조차 죽음을 각오하고 영웅들과 함께 검은 마법사와 싸우러갔을 걸 생각하면...[21] 이는 참고할만한 것일 뿐, 공식으로 보기엔 시크릿스토리 자체가 애매한 부분이 많다. 루미너스는 자신이 검은 마법사의 반쪽이라는 걸 봉인에서 깨어난 후 2대 마스터를 통해 알게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단순히 빛이었던 시절을 루미너스가 된 지금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완전히 틀린 얘기는 아니다. 실제로 비슷한 환생 과정을 겪었을 라니아도 처음엔 자신의 전생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습격을 계기로 기억해낸 것이기 때문. 그래서 웹툰 검은 마법사 Origin에서도 루미너스가 어느 순간 빛이였던 시절을 기억해낸 덕분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하얀 마법사의 과거를 에반에게 들려준 것일수도 있다.[22] 문서 참고.[23] 차원의 도서관의 그 비어완과는 다른 인물이다. 그쪽이 시니어이고 이쪽이 그 아들인 주니어.[24] 완전한 초월자인 검은 마법사를 제외하면.[25] 이는 루미너스가 어둠의 힘이 없을 때 시절이었기 때문에 빛과 어둠을 동시에 다루는 상태에서 과거의 경지에 올랐다고 가정할 시에도 뛰어넘지 못할지는 미지수.[26] 물론 검은 마법사는 예외였다고 선을 그었다.[27] 말이 6인조지 평소 단독 또는 2인으로 분산 활동하는 경우가 잦았던 당시 영웅들의 특성상 전투 상성이 높은 조합으로 돌아다닌 건 이상한 일이 아니다.[28] 다만 루미너스는 캐붕이 심하다는 평인 팬북과 히오메 이전까지는 팬텀을 좀도둑이라고 부른 적이 없었다. 개인 스토리에선 오히려 괴도라고 평범하게 말해주는 걸보면 좀도둑이라는 명칭 자체가 캐붕일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정중한 말버릇을 가진 캐릭터가 좀도둑이라는 멸칭을 입에 담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29] 영어판에선 녹슨 녀석이란 뜻의 bit rusty와 좀도둑이란 뜻의 petty thief라고 부르고, 일본판에선 고지식한 녀석이란 뜻의 堅物くん(카타부츠 군), 좀도둑이란 뜻의 こそ泥(코소도로)라고 부른다. 샌님의 경우엔 한영일이 단어는 다르나 뉘앙스가 비슷하고, 좀도둑은 한영일이 다 같은 뜻이다.[30] 아란은 모든 동료들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린 탓에 은월에게 그다지 날 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31] GMS 루미너스 스토리에선 아예 루미너스가 메르세데스를 찾아가가려했을 때, 루미너스가 메르세데스를 생각하며 '나의 친구'라고 표현했던 걸보면 생각보다 꽤 친한 사이일 수도 있긴하다.[32] 소비창 한 칸을 차지하는 아이템이다.파일:item_오로라 프리즘.png[33] 길라잡이 이동 및 텔레포트 이동이 불가능한 지역이다.[34] 슬리피우드 귀환서를 쓰면 바로 여섯갈래길로 워프를 할 수 있으나, 이동할 마을이 정해진 귀환서는 캐릭터가 현재 위치한 대륙과 이동할 마을의 대륙이 같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에 비해 오로라 프리즘은 어떤 지역에서든 상시 사용가능하다는 점이 메리트가 크다. 거기다 귀환서 가격도 아낄 수 있고.[35] 이트(Light)와 다크니스(Darkness)를 합성한 것으로 보인다.[36] 레벨 업이나 AP 투자로만 증가하는 HP를 의미한다.[37] 재사용 대기시간 6시간[38] 실상 0.1% 차이 날까 말까 하기 때문에 극최고점을 보기 위해 아주 근소한 딜량까지 생각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빛 고정이다.[39] 컨티뉴어스 링을 착용했을 경우 발동에 맞춰서 사용한다.[40] 오리진 스킬인 하모닉 패러독스도 이퀄리브리엄 스킬이고, 이퀄리브리엄 상태에서 어센트 스킬인 러스트러스 오브를 사용하면 매 타격마다 적용된다.[41] 화면이 일부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일부 보이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살짝 어둡게만 보인다.[42] 주의할 점은 2페이즈 석양의 중독 상태이상은 방어하지 못한다.[43] 약점이 보이지 않아 발드릭스를 공격할 때 최종 데미지 감소가 적용된다.[44] 대표적으로 거대 괴수 더스크의 공포 상태, 검은 마법사의 암흑, 감시자 칼로스의 구속의 눈에 적용된다.[45] 쿨타임이 적당하다면 트와일라잇 노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퀄리브리엄 상태보다는 역시 약하다.[46] 이마저도 6차 전직을 하면 아포칼립스에 밀리게 된다. 하지만 라이트 리플렉션 강화코어는 엔드리스 다크니스와 앱솔루트 킬 퍼센트포인트 데미지 증가가 붙어 있어 강화를 안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47] 다만 무릉도장에서는 이 어빌리티가 더 효용이 좋다.[48] 한 번의 이퀄리브리엄 시간 내에 두 번의 퍼니싱 리소네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49] 리스트레인트 링, 웨폰퍼프-I링, 링 오브 썸링, 리스크테이커 링[50] 프리드, 은월, 데몬 같은 경우는 불행해졌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본인의 선택에서 비롯되었다고 봐야 한다. 영웅이 되어 검은 마법사에게 대적한 것, 제물로 바쳐지는 것, 검은 마법사의 군단장이 되는 모두 그들 본인이 선택한 것이기 때문이다.[51] 그나마 루미너스의 경우에는 자신의 어머니를 살린다는 목적을 이루지 못한채 검은 마법사에게 이용만 당하며 사망한 데미안, 스우의 복수를 이루긴 했어도 결국 아리아 여제를 살려낼 수는 없었던 팬텀과는 다르게. 비록 인간의 수명을 다해 빛의 영이 되었긴 했으나 오로라 시절의 친한 동생이었던 비어완, 라니아라는 환생의 형태로 살아난 루시아와 재회하며 저 둘에 비하면 마지막에는 그나마 행복한 결말을 맞이했다.[52] 다만 고통의 미궁 일러스트 한정으로는 하얀 마법사 또한 루미너스와 같은 회색 머리색으로 그려진다.[53] 영어판에선 petty thief, 일본판에선 こそ泥(코소도로)라고 한다.[54] 다만 전직업 중에서도 고유 스크립트가 그나마 제일 많으며, 하얀 마법사가 루미너스에게 미래를 맡기고 가는 것으로 보아 검은 마법사 스토리에서 루미너스가 미세하지만 부각되는 게 맞기는 맞다. 일반 NPC가 아닌 플레이어블 캐릭터라는 한계도 있었고, 공식이 이래저래 테네브리스 스토리를 말아먹어서 그렇지...[55] 본편에서는 아란,은월의 리마스터 업데이트인 개화월영 업데이트로 스토리에 해당 일러스트가 추가된 것이 확인되었다.[56] 템페스트 업데이트의 루미너스 슬로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