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AAB2><tablebgcolor=#00AAB2> | 에빌리오스 시리즈 곡 목록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00AAB2> | |||||
'''''' | <colbgcolor=#00adef> ''' 메인 ''' | |||||
''' 어나더 ''' | ||||||
''' 최종장 ''' | ||||||
''' 원죄 이야기 ''' | ||||||
''' 악의 딸 시리즈 ''' | ||||||
'''''' | ||||||
''' 4개의 종말 시리즈 ''' | ||||||
''' E.A.T 시리즈 ''' | 이야깃거리 Y | |||||
클라리스 수녀의 기묘한 하룻밤 | 마녀와 행복의 꽃 | 리스트란테 시미테로 | ||||
'''''' | ||||||
''' 기타 ''' | ''' 화자 명시 ''' | |||||
''' 화자 불명 ''' | ||||||
''' 타 시리즈1 ''' | ||||||
1. 세계관 미포함이나 EVILS EXTRA 앨범에 수록됨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AAB2><tablebgcolor=#00AAB2> | 에빌리오스 시리즈 곡 순서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AB2> 연도 | 곡 이름 (주인공) | |||
B.T. 3214년 | '''우리들을 보고 있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1???년 | '''바리졸의 아이는 외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1013년 | '''피투성이 스위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 B.T. 22년 | '''Queen Of The Glas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5년 ~ | '''「Ma」계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2년 | '''마녀 잘름호퍼의 도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천 년의 맹세 끝에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0년 | '''창세소녀 그레텔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종말소년 헨젤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년 | '''moonlit bea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3년 | '''Ma 서바이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기적의 행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추상의 오르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년 | '''버려진 달밤 이야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크로노 스토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어디선가 들은 노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모순의 그림 디 엔드 (~ 983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5년 | |||||
• • • | |||||
136년 | '''베노마니아 공의 광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37년 | |||||
138년 | '''글래스레드의 초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1년 | '''플래토의 꽃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4년 | |||||
147년 | |||||
• • • | |||||
311년 | '''Drug Of Gol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325년 | |||||
'''악식녀 콘치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470년 ~ | '''그 왕은 진흙에서 태어났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뒤집힌 묘비의 네오마리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em"''' | |||
477년 | |||||
480년 | '''그 다리에 맹세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82년 | '''영웅의 갑옷은 언제나 붉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86년 | |||||
491년 | |||||
'''트와이라이트 프랭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99년 | '''악의 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악의 하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하얀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em"''' | '''나무의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00년 | |||||
'''Re_birthday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05년 | '''리그렛 메시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깜빡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바늘소리의 시계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년 | '''나와 개구리의 러브 로맨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붉은 군화의 퍼레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49년 | '''마도사 두 사람의 여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62년 | '''계속 기다린 편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609년 | '''잠재우는 공주로부터의 선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610년 | '''다섯 번째 피에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842년 | '''엔비자카의 재봉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들에 나뒹구는 목, 오니가시마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970년 | '''그리고 소녀는 미치기 시작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82년 | '''최후의 리볼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83년 | '''악덕의 저지먼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모형정원의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네메시스의 총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0년 | '''하트비트 클락타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0년 ~ | '''master of the grave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master of the cour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마담 메리고라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8년 | '''희극 카프리치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master of the hellish 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1000년 | '''일곱 개의 죄와 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master of the heavenly 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떠나는 사람들의 왈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송 오브 서드 피리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바니카 콘체르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악의 인과는 끝나지 않아 (~ B.T. ??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년 | '''10분의 사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魔女ザルムホーファーの逃亡 (마녀 잘름호퍼의 도망) | |
가수 | MEIKO |
작곡가 | |
작사가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 이치카 |
페이지 | |
투고일 | 2012년 7월 30일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
[clearfix]
1. 개요
「そして人は私を『魔女』と呼んだ」
그리고 사람들은 나를 『마녀』라고 부른다
メータ=ザルムホーファー。彼女は何から逃げているというのか?
메타 잘름호퍼. 그녀는 무엇으로부터 도망치고 있다고 하는 것인가?
그리고 사람들은 나를 『마녀』라고 부른다
メータ=ザルムホーファー。彼女は何から逃げているというのか?
메타 잘름호퍼. 그녀는 무엇으로부터 도망치고 있다고 하는 것인가?
마녀 잘름호퍼의 도망은 mothy_악의P가 2012년 7월 30일 14시 14분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MEIKO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Ma」계획으로 태어난 쌍둥이를 실험실 모르모트로 넘기길 거부하고 데리고 도망치는 메타 잘름호퍼의 노래이다.
EXIT TUNES PRESENTS Vocaloconnection feat. 하츠네 미쿠에 수록되었다.
2. 영상
니코니코 동화 |
[nicovideo(sm18483455, width=640, height=360)] |
【MEIKO】 마녀 잘름호퍼의 도망 【오리지널】 |
3. 미디어 믹스화
3.1. 앨범 수록
- 원죄 이야기-제1 막-
- 원죄 이야기 완전판
4. 가사
Eve Moonlit Pale Noël Seth Twi[R]ight Hänsel, Gretel Meta Salmhofer |
花散る森の道 駆け抜けた |
하나 치루 모리노 미치 카케누케타 |
꽃 지는 숲길을 달려나갔네[1] |
赤い二つの果実 |
아카이 후타츠노 카시츠 |
붉은 두 개의 과실 |
胸に抱いて 夜を走る |
무네니 다이테 요루오 하시루 |
가슴에 안고 밤을 달리는 |
逃亡者 |
도-보-샤 |
도망자 |
魔女ザルムホーファーの 마녀 잘름호퍼의 逃亡 도망 |
父も知らず 母も知らず |
치치모 시라즈 하하모 시라즈 |
아비도 모르고 어미도 모르고 |
一人ぼっちで育ってきた |
히토리봇치데 소닷테 키타 |
외톨이로 자라 왔다 |
二十歳の時 愛したのは |
하타치노 토키 아이시타노와 |
스무살 때 사랑한 사람은 |
人殺しの犯罪者 |
히토고로시노 한자이샤 |
살인을 저지른 범죄자 |
悪に惹かれたならば |
아쿠니 히카레타 나라바 |
악에 이끌렸다면 |
自らも染まっていく |
미즈카라모 소맛테 이쿠 |
스스로도 물들어가지 |
そして人は私を |
소시테 히토와 와타시오 |
그리고 남들은 나를 |
『魔女』と呼んだ |
마죠토 욘다 |
"마녀"라고 불렀네 |
花咲く悪の道 駆け抜けた |
하나 사쿠 아쿠노 미치 카케누케타 |
꽃피는 악의 길을 달려나갔네 |
赤い鮮血を浴びて |
아카이 센케츠오 아비테 |
붉은 선혈을 뒤집어쓰고서 |
背徳の愛に逃げ込んだ咎人 |
하이토쿠노 아이니 니게콘다 토가비토 |
배덕의 사랑으로 도망친 죄인 |
「子供たちがどこにもいない」 |
코도모타치가 도코니모 이나이 |
"아이들이 아무데도 없어" |
血まみれで泣き叫ぶ女 |
치마미레데 나키사케부 온나[2] |
피투성이로 울부짖는 여자 |
それを見下ろす私に突如 |
소레오 미오로스 와타시니 토츠죠 |
그것을 내려다보는 나에게 갑자기 |
巻きつけられた鎖 |
마키 츠케라레타 쿠사리 |
감겨진 사슬 |
罪はいつか裁かれるもの |
츠미와 이츠카 사바카레루 모노 |
죄는 언젠가 심판받는 것 |
牢獄は無機質で暗く |
로-코쿠와 무키시츠데 쿠라쿠 |
감옥은 무기질적이고 어둡네 |
処刑椅子の前に立った |
쇼케-이스노 마에니 탓타 |
처형의자 앞에 선 |
彼に似ている科学者 |
카레니 니테 이루 카가쿠샤 |
그와 닮은 과학자 |
ここから出たい私 |
코코카라 데타이 와타시 |
여기서 나가고 싶은 나 |
実験台が欲しい科学者 |
짓켄다이가 호시- 카가쿠샤 |
실험대가 필요한 과학자 |
今 二人の利害が重なった |
이마 후타리노 리가이가 카사낫타 |
지금 두 사람의 이해관계가 성립했다 |
冷たい石の道 駆け抜けた |
츠메타이 이시노 미치 카케누케타 |
차가운 돌길을 달려나갔네 |
白い囚人服を脱いで |
시로이 슈-진후쿠오 누이데 |
하얀 죄수복을 벗고서 |
向かうその先には研究所 |
무카우 소노 사키니와 켄큐-죠 |
향하는 그 앞에는 연구소 |
Project 「Ma」 |
埋め込まれた神の種が |
우메코마레타 카미노 타네가 |
심겨진 신의 씨앗이 |
私の中で鼓動をたてた |
와타시노 나카데 코도-오 타테타 |
내 안에서 고동쳤어 |
産み落とした可愛い双子 |
우미오토시타 카와이- 후타고 |
낳은 것은 귀여운 쌍둥이 |
父のいない実験体 |
치치노 이나이 짓켄타이 |
아비 없는 실험체 |
思い出した 思い出した |
오모이다시타 오모이다시타 |
생각났어 생각났어 |
私もかつてこんなふうに |
와타시모 카츠데 콘나 후-니 |
나도 일찍이 이런 식으로 |
ビーカーの中で作り出された |
비-카-노 나카데 츠쿠리다사레타 |
비커 속에서 제작된 |
人造体(ghoul child)だったことを |
구-루 차이루도(진조타이)닷타 코토오 |
구울 차일드(인조인간)이었다는 것을 |
管に繋がれた我が子たち |
쿠다니 츠나가레타 와가코타치 |
관에 연결된 내 아이들 |
身勝手なのはわかってる |
미캇테나노와 와캇테루 |
염치없다는 건 알고 있어 |
この子たちを玩具にはさせやしない! |
코노 코타치오 오모챠니와 사세야시나이 |
이 아이들을 장난감으로 만들지는 않겠어! |
逃げてばかりの人生でした |
니게테바카리노 진세-데시타 |
도망만 치는 인생이었습니다 |
私が得られなかった |
와타시가 에라레나캇타 |
내가 얻을 수 없었던 |
ひとかけらの愛を |
히토카케라노 아이오 |
한 조각의 사랑을 |
せめてこの子たちには |
세메테 코노 코타치니와 |
하다못해 이 아이들에게는 |
(与えたい) |
(아타에타이) |
(주고 싶어) |
花散る森の道 駆け抜けた |
하나 치루 모리노 미치 카케누케타 |
꽃 지는 숲길을 달려나갔네 |
愛する二人の赤子 |
아이스루 후타리노 아카코 |
사랑하는 두 명의 아기를 |
胸に抱いて 夜を走る |
무네니 다이테 요루오 하시루 |
품에 안고 밤을 달리는 |
逃亡者 |
도-보-샤 |
도망자 |
隣の国 隠れ暮らす |
토나리노 쿠니 카쿠레쿠라스 |
이웃나라에서 숨어사네 |
人目は避けなきゃいけないの |
히토메와 사케나캬 이케나이노 |
남의 눈은 피해야만 해 |
月夜の中 出かけるのは |
츠키요노 나카 데카케루노와 |
달밤 속에서 나간 곳은 |
子供たちと私が |
코도모타치토 와타시가 |
아이들과 내가 |
お気に入りのエルドの森 |
오키니이리노 에루도노 모리 |
좋아하는 엘드의 숲 |
楽しい散歩になるはずなのに |
타노시- 산뽀니 나루 하즈나노니 |
즐거운 산책이 될 거였는데 |
ほんの少し目を離したすきに |
혼노 스코시 메오 하나시타스키니 |
아주 잠깐 눈을 뗀 틈에 |
「子供たちがどこにもいないの」 |
코도모타치가 도코니모 이나이노 |
아이들이 아무데도 없어[3] |
작성자: boyager |
5. 관련 문서
[1] moonlit bear에서 나온 꽃 피는 숲길과 정반대의 묘사이다. 에빌리오스 시리즈에서 꽃은 악을 상징하는 것을 생각하면 악을 피해 도망치는 것을 의미한다.[2] 영상에서는 이브 문릿으로 나오나 소설에 의하면 이브와 관계 없는 다른 사람이라고 한다.[3] moonlit bear의 인트로의 까마귀 울음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