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에서 ‘악의 하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인물에 대한 내용은 알렌 아바도니아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color=#fff>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AAB2><tablebgcolor=#00AAB2> | 에빌리오스 시리즈 곡 목록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00AAB2> | |||||
'''''' | <colbgcolor=#00adef> ''' 메인 ''' | |||||
''' 어나더 ''' | ||||||
''' 최종장 ''' | ||||||
''' 원죄 이야기 ''' | ||||||
''' 악의 딸 시리즈 ''' | ||||||
'''''' | ||||||
''' 4개의 종말 시리즈 ''' | ||||||
''' E.A.T 시리즈 ''' | 이야깃거리 Y | |||||
클라리스 수녀의 기묘한 하룻밤 | 마녀와 행복의 꽃 | 리스트란테 시미테로 | ||||
'''''' | ||||||
''' 기타 ''' | ''' 화자 명시 ''' | |||||
Outlaw & Mario nette | ||||||
''' 화자 불명 ''' | ||||||
''' 타 시리즈1 ''' | ||||||
1. 세계관 미포함이나 EVILS EXTRA 앨범에 수록됨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AAB2><tablebgcolor=#00AAB2> | 에빌리오스 시리즈 곡 순서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AB2> 연도 | 곡 이름 (주인공) | |||
B.T. 3214년 | '''우리들을 보고 있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1???년 | '''바리졸의 아이는 외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1013년 | '''피투성이 스위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 B.T. 22년 | '''Queen Of The Glas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5년 ~ | '''「Ma」계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B.T. 2년 | '''마녀 잘름호퍼의 도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천 년의 맹세 끝에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0년 | '''창세소녀 그레텔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종말소년 헨젤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년 | '''moonlit bea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3년 | '''Ma 서바이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기적의 행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추상의 오르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년 | '''버려진 달밤 이야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크로노 스토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어디선가 들은 노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모순의 그림 디 엔드 (~ 983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5년 | |||||
• • • | |||||
136년 | '''베노마니아 공의 광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37년 | |||||
138년 | '''글래스레드의 초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1년 | '''플래토의 꽃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144년 | |||||
147년 | |||||
• • • | |||||
311년 | '''Drug Of Gol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325년 | |||||
'''악식녀 콘치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470년 ~ | '''그 왕은 진흙에서 태어났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뒤집힌 묘비의 네오마리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em"''' | |||
477년 | |||||
480년 | '''그 다리에 맹세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82년 | '''영웅의 갑옷은 언제나 붉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86년 | |||||
491년 | |||||
'''트와이라이트 프랭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499년 | '''악의 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악의 하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하얀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em"''' | '''나무의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00년 | |||||
'''Re_birthday (~ 1000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05년 | '''리그렛 메시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깜빡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바늘소리의 시계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년 | '''나와 개구리의 러브 로맨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붉은 군화의 퍼레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49년 | '''마도사 두 사람의 여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562년 | '''계속 기다린 편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609년 | '''잠재우는 공주로부터의 선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610년 | '''다섯 번째 피에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842년 | '''엔비자카의 재봉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들에 나뒹구는 목, 오니가시마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970년 | '''그리고 소녀는 미치기 시작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82년 | '''최후의 리볼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83년 | '''악덕의 저지먼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모형정원의 소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네메시스의 총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0년 | '''하트비트 클락타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0년 ~ | '''master of the grave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master of the court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마담 메리고라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998년 | '''희극 카프리치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master of the hellish 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1000년 | '''일곱 개의 죄와 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master of the heavenly yar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떠나는 사람들의 왈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송 오브 서드 피리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바니카 콘체르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악의 인과는 끝나지 않아 (~ B.T. ??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 • | |||||
???년 | '''10분의 사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em"''' | }}}}}}}}} |
왕녀]], 오른쪽: 하인 | | |
悪ノ召使 (Servant of Evil | 악의 하인) | ||
가수 | <colbgcolor=#ffffff,#191919> | |
피처링 | ||
작곡가 | ||
작사가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 이치카 | |
페이지 | ||
투고일 | 2008년 4월 29일 2019년 12월 26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VOCALOID 전설입성 | |
노래방 | 42950 | |
26944 |
[clearfix]
1. 개요
악의 하인은 mothy_악의P가 2008년 4월 29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카가미네 렌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으로, 악의 딸의 하인으로서 살아가게 된 알렌 아바도니아의 이야기를 담았다.
2. 영상
니코니코 동화 |
[nicovideo(sm3133304, width=640, height=360)] |
【카가미네 렌】 악의 하인 【중세 이야기풍 오리지널】 |
YouTube |
【공식】 악의 하인 / 카가미네 렌 【중세 이야기풍 오리지널】 |
3. 미디어 믹스
3.1. 도서
자세한 내용은 에빌리오스 시리즈/미디어 믹스 문서 참고하십시오.3.2. 앨범 수록
<colbgcolor=#d3d3d3,#2c2c2c> 번역명 | EXIT TUNES PRESENTS Vocalolegend feat. 하츠네 미쿠 | |
원제 | EXIT TUNES PRESENTS Vocalolegend feat. 初音ミク | |
트랙 | 2 | |
발매일 | 2010년 1월 20일 | |
링크 | ||
번역명 | EXIT TUNES PRESENTS Kagaminext feat. 카가미네 린, 카가미네 렌 | |
원제 | EXIT TUNES PRESENTS Kagaminext feat. 鏡音リン、鏡音レン | |
트랙 | Disk 1, 4 | |
발매일 | 2017년 12월 20일 | |
링크 |
3.3. 리듬 게임 수록
3.3.1.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 PV
프로젝트 미라이 2/DX 기준 난이도 체계 | |||||||
BPM | 모드 | 편하게 | 적당하게 | 제대로 | 짜릿하게 | 보컬 | 보컬 체인지 기능 |
120 | 터치 | 2 | 4 | 7 | X | 렌 | X |
버튼 | 2 | 4 | 7 | X |
3.3.2.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4><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dee0e4><#ebebf2> ||* 악곡 창작 콘테스트 당선작 | 🇰🇷 한국 서버 수록 }}}}}}}}}}}}
||
- [2022년 수록곡]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 악곡 창작 콘테스트 당선작 | 🌎 글로벌 서버 우선 수록 | 🇰🇷 한국 서버 수록
- [2023년 수록곡]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 악곡 창작 콘테스트 당선작 | 🌎 글로벌 서버 우선 수록 | 🇰🇷 한국 서버 수록 | ⓢ 세카이의 소리 수록곡
- [2024년 수록곡]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 악곡 창작 콘테스트 당선작 | 🌎 글로벌 서버 우선 수록 | 🇰🇷 한국 서버 수록 | ⓢ 세카이의 소리 수록곡 | ⓚ 한국 서버 한정 수록 | 🎬 극장판 주제가
- [2025년 수록곡]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width=20%><nopad>파일:쥐었다가 펼쳐서 나찰과 송장_sekai.png||<width=20%><nopad>||
것이다
다이바쿠하신여름에 투명 *
Twinfield판다 히어로
하치쥐었다가 펼쳐서 나찰과 송장
하치
||
VIRTUAL SINGER의 수록곡 | ||||
난이도 (노트 수) | ||||
<rowcolor=#fff> EASY | NORMAL | HARD | EXPERT | MASTER |
<rowcolor=#373a3c,#fff> 6 (130) | 12 (214) | 17 (413) | 24 (609) | 27 (784) |
해금 방법 | 음악 상점에서 구매 | |||
어나더 보컬 | 미지원 | MV | 미지원 | |
지원 보컬 | 버추얼 싱어 ver. | |||
카가미네 렌 | ||||
어나더 보컬 ver. | ||||
- |
- EXPERT ALL PERFECT 영상
- MASTER ALL PERFECT 영상
EASY, NORMAL, HARD는 레벨이 무난하게 맞으며,
EXPERT는 악의 딸과 더불어 24렙 최하위권으로 꽤 쉬운 편이다.
MASTER 난이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악의 딸과 같이 무난한 27레벨 물렙으로 느껴진다는 평가가 대다수이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EXPERT와 MASTER의 하이라이트 끝에 나오는 가시모양 롱노트가 판정이 영 좋지 않다. 그러나 이를 감안해도 24레벨, 27레벨 물렙이라는 것이 중론.
3.3.3. GROOVE COASTER
3.3.3.1. 4MAX DIAMOND GALAXY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곡목록=보컬로이드™
,곡명=悪ノ召使
,작곡표기=mothy
,작곡링크=mothy
,작곡틈=feat.
,작곡표기2=鏡音レン
,작곡링크2=鏡音レン
,버전4=
,폴더명=보컬로이드™
,BPM=120
,SIMPLE레벨=2
,NORMAL레벨=5
,HARD레벨=8
,SIMPLE노트수=161
,NORMAL노트수=362
,HARD노트수=423
,SIMPLE애드립=1
,NORMAL애드립=1
,HARD애드립=1
,SIMPLE체인=1\,048
,NORMAL체인=1\,532
,HARD체인=1\,978
,주소=a0_RVA2IbJM
,퍼펙트=
)]
3.3.3.2. WAI WAI PARTY!!!!
[include(틀:GROOVE COASTER WAI WAI PARTY!!!!/채보,곡목록=VOCALOID™ Pack 5
,곡명=悪ノ召使
,작곡표기=mothy
,작곡링크=mothy
,단일보컬=
,보컬표기=카가미네 렌
,보컬링크=카가미네 렌
,폴더명=VOCALOID™
,DLC폴더명=VOCALOID™ Pack 5
,BPM=120
,EASY레벨=1
,NORMAL레벨=4
,HARD레벨=8
,MASTER레벨=10
,EASY노트수=124
,NORMAL노트수=212
,HARD노트수=366
,MASTER노트수=432
,EASY애드립=1
,NORMAL애드립=1
,HARD애드립=1
,MASTER애드립=1
,EASY체인=842
,NORMAL체인=1\,034
,HARD체인=1\,646
,MASTER체인=2\,010
,액티브EASY레벨=1
,액티브NORMAL레벨=3
,액티브HARD레벨=7
,액티브EASY노트수=116
,액티브NORMAL노트수=212
,액티브HARD노트수=365
,액티브EASY애드립=1
,액티브NORMAL애드립=1
,액티브HARD애드립=1
,액티브EASY체인=661
,액티브NORMAL체인=941
,액티브HARD체인=1\,543
,주소=-E92xqymPmY
,EASY주소=uJlokyL6IrM
,NORMAL주소=V4-0NW_OxDs
,HARD주소=SQ8IsO0AgmM
)]
4. 가사
카가미네 렌 | 카가미네 린 |
君は王女 僕は召使 | |
키미와 오-죠 보쿠와 메시츠카이 | |
너는 왕녀 나는 하인 | |
運命分かつ 哀れな双子 | |
운메이 와카츠 아와레나 후타고 | |
운명이 나뉜 불쌍한 쌍둥이 | |
君を守る その為ならば | |
키미오 마모루 소노 타메나라바 | |
너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 |
僕は悪にだってなってやる | |
보쿠와 아쿠니닷테 낫테야루 | |
나는 악이라도 되어주겠어 | |
[1] | |
期待の中僕らは生まれた | |
키타이노 나카 보쿠라와 우마레타 | |
기대 속에서 우리는 태어났지 | |
祝福するは教会の鐘 | |
슈쿠후쿠스루와 쿄-카이노 카네 | |
축복하는 건 교회의 종 | |
大人たちの勝手な都合で | |
오토나타치노 캇테나 츠고-데 | |
어른들의 제멋대로인 사정으로 | |
僕らの未来は二つに裂けた | |
보쿠라노 미라이와 후타츠니 사케타 | |
우리의 미래는 둘로 갈라졌지 | |
たとえ世界の全てが | |
타토에 세카이노 스베테가 | |
설령 세계의 모든 것이 | |
君の敵になろうとも | |
키미노 테키니 나로우토모 | |
너의 적이 된다고 하더라도 | |
僕が君を守るから | |
보쿠가 키미오 마모루카라 | |
내가 너를 지킬 테니 | |
君はそこで笑っていて | |
키미와 소코데 와랏테이테 | |
너는 그곳에서 웃고 있어 줘 | |
[2] | |
君は王女 僕は召使 | |
키미와 오-죠 보쿠와 메시츠카이 | |
너는 왕녀 나는 하인 | |
運命分かつ 哀れな双子 | |
운메이 와카츠 아와레나 후타고 | |
운명이 나뉜 불쌍한 쌍둥이 | |
君を守る その為ならば | |
키미오 마모루 소노 타메나라바 | |
너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 |
僕は悪にだってなってやる | |
보쿠와 아쿠니닷테 낫테야루 | |
나는 악이라도 되어 주겠어 | |
[3] | |
隣の国へ出かけたときに | |
토나리노 쿠니에 데카케타 토키니 | |
옆 나라에 외출했을 때에 | |
街で見かけた緑のあの娘 | |
마치데 미카케타 미도리노 아노코 | |
거리에서 언뜻 본 녹색의 그 아이 | |
その優しげな声と笑顔に | |
소노 야사시게나 코에토 에가오니 | |
그 상냥한 목소리와 미소에 | |
一目で僕は恋に落ちました | |
히토메데 보쿠와 코이니 오치마시타 | |
나는 첫눈에 사랑에 빠졌습니다 | |
だけど王女があの娘のこと | |
다케도 오-죠가 아노 코노 코토 | |
하지만 왕녀가 그녀를 | |
消してほしいと願うなら | |
케시테 호시이토 네가우나라 | |
없애버렸으면 좋겠다고 바란다면 | |
僕はそれに応えよう | |
보쿠와 소레니 코타에요오 | |
나는 그것에 응하겠어 | |
どうして?涙が止まらない | |
도오시테? 나미다가 토마라나이 | |
어째서지? 눈물이 멈추지 않아 | |
[4] | |
君は王女 僕は召使 | |
키미와 오-죠 보쿠와 메시츠카이 | |
너는 왕녀 나는 하인 | |
運命分かつ 狂おしき双子 | |
운메이 와카츠 쿠루오시키 후타고 | |
운명이 나뉜 미쳐버린 쌍둥이 | |
「今日のおやつはブリオッシュだよ」 | |
쿄오노 오야츠와 브리옷슈다요 | |
「오늘의 간식은 브리오슈야」 | |
君は笑う 無邪気に笑う | |
키미와 와라우 무쟈키니 와라우 | |
너는 웃어 순진하게 웃어 | |
[5] | |
もうすぐこの国は終わるだろう | |
모오스구 코노 쿠니와 오와루다로오 | |
이제 곧 이 나라는 끝나게 될 거야 | |
怒れる国民たちの手で | |
이카레루 코쿠민타치노 테데 | |
분노한 국민들의 손으로 | |
これが報いだというのならば | |
코레가 무쿠이다토 이우노나라바 | |
이것이 응보라고 불리는 것이라면 | |
僕はあえて それに逆らおう | |
보쿠와 아에테 소레니 사카라오우 | |
나는 감히 그것을 거스르겠어 | |
「ほら僕の服を貸してあげる」 | |
호라 보쿠노 후쿠오 카시테 아게루 | |
「자, 내 옷을 빌려줄게」 | |
「これを着てすぐお逃げなさい」 | |
코레오키테 스구 오니게나사이 | |
「이걸 입고 어서 도망쳐」 | |
「大丈夫僕らは双子だよ」 | |
다이죠오부 보쿠라와 후타고다요 | |
「괜찮아, 우리는 쌍둥이야」 | |
「きっと誰にもわからないさ」 | |
킷토 다레니모 와카라나이사 | |
「분명 아무도 모를 거야」 | |
[6] | |
僕は王女 君は逃亡者 | |
보쿠와 오-죠 키미와 토우보우샤 [7] | |
나는 왕녀 너는 도망자 | |
運命分かつ 悲しき双子 | |
운메이 와카츠 카나시키 후타고 | |
운명이 나뉜 슬픈 쌍둥이 | |
君を悪だというのならば | |
키미오 아쿠다토 이우노나라바 | |
너를 악이라고 말한다면 | |
僕だって同じ 血が流れてる | |
보쿠닷테 오나지 치가 나가레테루 | |
나야말로 같은 피가 흐르고 있어 | |
[8] | |
むかしむかしあるところに | |
무카시 무카시 아루토코로니 | |
옛날 옛날 어느 곳에 | |
悪逆非道の王国の | |
아쿠갸쿠히도-노 오-고쿠노 | |
악역비도한 왕국의 | |
頂点に君臨してた | |
쵸우텐니 쿤린시테타 | |
정점에 군림했었던 | |
とても可愛い僕の姉弟 | |
토테모 카와이이 보쿠노 쿄-다이 | |
너무나 귀여운 나의 누이 | |
たとえ世界の全てが | ついにその時はやってきて |
타토에 세카이노 스베테가 | <colbgcolor=#FFFEE1,#2d1f05> 츠이니 소노토키와 얏테키테 |
만약 세계의 모든 것이 | 마침내 그 때는 다가와서 |
君の敵になろうとも | 終わりを告げる鐘が鳴る |
키미노 테키니 나로우토모 | 오와리오 츠게루 카네가 나루 |
너의 적이 된다고 하더라도 | 끝을 고하는 종이 울리네 |
僕が君を守るから | 民衆などには目もくれず |
보쿠가 키미오 마모루카라 | 민슈-나도니와 메모쿠레즈 |
내가 너를 지킬 테니까 | 민중에겐 눈길도 주지 않고 |
君はどこかで笑っていて | 君は私の口癖を言う |
키미와 도코카데 와랏테이테 | 키미와 와타시노 쿠치구세오 이우 |
너는 어딘가에서 웃고있어줘 | 너는 나의 말버릇을 말해 |
[9] | |
君は王女 僕は召使 | |
키미와 오-죠 보쿠와 메시츠카이 | |
너는 왕녀 나는 하인 | |
運命分かつ 哀れな双子 | |
운메이 와카츠 아와레나 후타고 | |
운명이 나뉜 불쌍한 쌍둥이 | |
君を守る その為ならば | |
키미오 마모루 소노타메나라바 | |
너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 |
僕は悪にだってなってやる | |
보쿠와 아쿠니닷테 낫테야루 | |
나는 악이라도 되어 주겠어 | |
もしも生まれ変われるならば | |
모시모 우마레카와레루나라바 | |
만약 다시 태어난다면 | |
その時はまた遊んでね | |
소노 토키와 마타 아손데네 | |
그 때는 또 같이 놀자 |
5. 여담
악의 시리즈 곡으로 알고 있는 경우도 많은데 간단히 말하자면, 에빌리오스 시리즈라는 큰 틀 안에 일곱 개의 대죄 시리즈[10], 태엽장치의 자장가 시리즈, 원죄 이야기 시리즈, 악의 딸 시리즈가 있고, 악의 하인은 일곱 개의 죄와 벌 시리즈와 악의 딸 시리즈에 속하는 것이다.악의 하인의 등장인물들을 모티브가 된 보컬로이드의 이름으로(예: 알렌 아바도니아 - 렌,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 린, 미카엘라 - 미쿠, 카일 마론 - 카이토 등)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각각 독자적인 이름이 있고 에빌리오스 시리즈 내에 같은 보컬로이드를 모티프로 한 캐릭터들이 많기 때문에 틀린 표현이다. 파생곡인 악의 시녀, 홍의 정의 등도 절대 공식 곡이 아니다. 또한 유튜브에서 악의 하인 커버 등을 찾아보면 나오는 영상은 대부분 팬메이드 PV라 실제 내용과 맞지 않는 내용이 많다.[11] 혼동 주의.
더욱 자세한 내용은 에빌리오스 시리즈 문서와 에빌리오스 시리즈/연표 문서를 참조. 이 문서를 보며 이해가 안 되는 용어나 사건은 에빌리오스 시리즈/설정 문서나 하위 시리즈들의 곡들 등을 이용하는 걸 추천한다.
TJ미디어와 금영노래방에 수록되었다. 번호는 각각 26944, 42950.
2018년에 나온 숀의 Way Back Home이 이 노래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다. 다만 너무 터무니 없었는지라 당시엔 그리 화제가 되지 못했고 이후 2022년 유희열 표절 논란으로 부차적으로 농담삼아 재조명된 떡밥이였으나 그럴싸한 매시업들이 탄생하면서 # SHAUN 본인은 자신도 모르는 하인이 생겼다는 반응을 보였다. # 숀의 트위터에 따르면 Way Back Home 유행이 한창 터지고 난 뒤에 이 노래를 알았다고 밝혔다. #
2009년 3월 21일 22시 31분에 VOCALOID 전설입성을 달성하였다. 2020년 6월 1일 기준으로는 약 400만 재생. 카가미네 3대 비극[12] 등으로 꼽히면서 파라디클로로벤젠이 나오기 전까진 1등을 유지하던 곡이며 린렌의 인기에 크게 한 몫한 명곡이다.
6. 관련 문서
[1] 전조 B♭ minor → B♭ major[2] 전조 B♭ major → B♭ minor[3] 전조 B♭ minor → B♭ major[4] 전조 B♭ major → B♭ minor[5] 전조 B♭ minor → B♭ major[6] 전조 B♭ major → B♭ minor[7] 원곡 최초 공개버전은 발음이 안 좋아 키미와 토우보챠로 들린다.[8] 전조 B♭ minor → B♭ major[9] 전조 B♭ major → B♭ minor[10] 문서에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이 시리즈는 또 메인과 어나더 스토리로 나뉜다. 악의 하인은 어나더, 악의 딸은 메인 소속.[11] 대표적으로 릴리안느가 하인으로 들어온 알렌을 알아보고 끌어안는 PV가 있는데, 릴리안느는 비술의 부작용 탓에 어릴 때의 기억이 없으며 알렌이 직접 자신과 쌍둥이임을 밝히기 전까지는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 또 알렌은 초록머리 소녀를 죽이지 않았고, 진짜 죽인 사람은 이 사람이며, 초록머리 소녀는 푸른 왕을 사랑하지 않았다.[12] soundless voice & proof of life, 수인&종이비행기, 악의 딸&악의 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