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7 14:19:39

모리쿠보 쇼타로


파일:orepara_logo.png
오노 다이스케 스즈무라 켄이치 모리쿠보 쇼타로 테라시마 타쿠마
졸업 멤버
이와타 미츠오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모리쿠보 쇼타로
[ruby(森久保, ruby=もりくぼ)][ruby(祥太郎, ruby=しょうたろう)] | Showtaro Morikubo
파일:모리쿠보 쇼타로.jpg
출생 1974년 2월 25일 ([age(1974-02-25)]세)
도쿄도 하치오지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성우, 배우, 가수
신체 165cm | 52kg | B형
가족 양친
배우자(2014년 결혼~현재)
자녀[1]
학력 타마미술대학 (중퇴)
소속사 애드나인스[2] (2018.09.01~현재)
[ 이전 소속사 목록 ]
시그마 세븐(1996~2001)
아임 엔터프라이즈(2001~2007.11.21)
VIMS(2007.11.22~2018.08.31)
레이블 란티스
활동 시기 성우1996년 ~ 현재
가수2001년 ~ 현재
배우2002년 ~ 현재
별명 쇼짱, 쇼쨩, 모리쇼[3]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공식 프로필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가수 활동3. 에피소드
3.1. 인간관계3.2. 술 관련 에피소드3.3. 목소리 관련 에피소드
4. 기타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중국 작품에서의 갑작스러운 강판
6. 출연작7.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의 성우, 배우, 가수. 타마미술대학 중퇴.[4]

초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결성한 극단 오니기리 스킵퍼즈로 활동하던 중[5] 무대를 관람한 성우 업계 관계자에게 스카우트 되어 성우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전까지는 연예 기획사 소속이었지만 본격적으로 성우 일을 맡으면서 시그마 세븐으로 이적했다. 이후 아트비전 계열사인 VIMS로 이적했지만 2018년 8월 31일에 퇴사했고, 2018년 9월 1일에 1인 기획사인 애드나인스를 설립하며 독립하였다.


대표작은 원피스바르톨로메오, 나루토나라 시카마루, 메이저시게노 고로, 테니스의 왕자키리하라 아카야, 페르소나 4하나무라 요스케, 겁쟁이 페달마키시마 유스케, 마술사 오펜오펜, 앙상블 스타즈유우키 마코토 등이 있다.

2. 가수 활동

2001년 캡콤 셀퓨타 레벨에서 솔로 데뷔, 이후 2008년 Original Entertainment Paradise, 줄여서 오레파라가 매년 연말에 모여 개최하는 콘서트. [6]를 통해 란티스 소속으로 재데뷔를 했다. 2010년에는 솔로 프로젝트인 Buzzy→Bee를 결성. 그 이전에는 Mosquito Milk라는 밴드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록맨 X5와 록맨 X6의 OST에도 참여하기도 했다. 록맨 X5에서는 오프닝 곡인 'Monkey'와 엔딩 곡인 '水の中'를, 록맨 X6에서는 2개의 오프닝 곡인 'Moon Light'와 'The Answer'를 불렀다.

1999년에는 이시카와 히데오와 함께 An`s All Stars라는 밴드를 결성해 현재까지 꾸준하게 활동중. 보컬과 기타 담당 외 작사 작곡을 도맡았다. 성우가 된 이후에도 본인 명의의 앨범도 여러차례 발매했다. 레이블은 하야미 쇼, 카게야마 히로노부, 쿠리바야시 미나미와 동일한 란티스. 성우 일 외에 bayfm등 라디오 DJ로도 꾸준히 활약하고 있다.

3. 에피소드

3.1. 인간관계

3.2. 술 관련 에피소드

3.3. 목소리 관련 에피소드




4. 기타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중국 작품에서의 갑작스러운 강판

2025년 3월 12일에 갑작스레 원신이파 역에서 하차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

3월 14일에는 명일방주에서도 강판되었으며, 담당했던 엘리시움은 일본어 음성이 중국 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삭제되었다. 일본 서버에서는 즉각적인 음성 삭제까지는 되지 않았지만 해당 날짜에 정식으로 하차한다는 공지를 올렸다.[24] 이후 요스타 서버에서는 음성 공백기 없이 막을 여는 자들 업데이트로 성우가 교체되었다. #

음양사에서도 강판되었다. 적설귀 목소리 변경

앙상블 스타즈!!에서 맡은 유우키 마코토의 보이스가 중국 서버 한정하여 음소거 처리 및 성우 표기 삭제 처리되었다.

원신명일방주 양쪽 모두 "제반의 사정으로 인한 강판"이라고만 밝혔을 뿐이고 음양사는 아예 이유조차도 말하지 않는 등 어째서 강판이 되었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정황상 중국공산당 차원에서의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모리쿠보 쇼타로는 시미즈 토모미(清水ともみ) 작가의 만화 <목숨을 건 증언(命がけの証言)>의 낭독회에 참여했는데, 이 작품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실상을 알리며, 중국 정부가 어떤 탄압을 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이 낭독극이 진행된 것은 2024년 8월이었고, 그리 규모가 큰 작품도 아니었음에도 이제 와서 문제시 된 이유는 안티가 모리쿠보의 원신 출연을 빌미로 공안에 이에 대한 내용을 신고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다만 <목숨을 건 증언>의 작가 시미즈 토모미는 일본군 위안부가 한국의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는 극우 혐한이며, 만화의 내용도 순수히 위구르의 실상을 고발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은 위구르에게 희망의 나라다", "아시아 국가들을 해방시킨 일본이 위구르까지 왔다면 위구르는 중국에 점령되지 않았을 것이다"와 같은 주장이 담긴 내용이다. 즉, 모리쿠보가 참여한 낭독극 자체가 중국에게 있어 위구르를 위하는 척하는 일제강점기 찬양문 낭독이란 2연속으로 역린을 잡아뜯는 행위였던 것이고 가뜩이나 위구르 문제라면 과격하게 탄압과 제제를 하는 마당에 한국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이를 갈며 증오하는 일제강점기를 찬양하는 요소로 써먹었으니 중국이 참아줄 이유가 없던 것.[25]

따라서 자세한 전후상황이 공개됨에 따라 모리쿠보를 옹호하던 국내에서도 이런 사람의 작품 낭독극에 참여한 모리쿠보에게도 잘못이 있다고 보는 견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낭독극 내용이 원작의 왜곡적인 내용을 얼마나 반영한 건지는 불명이며, 겉으로 보기에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여지도 있긴 하지만 X에서 대놓고 이런 행보를 보이는 작가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 것은 아쉽다는 말이 나온다.[26][27]

6. 출연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쿠보 쇼타로/활동 내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리쿠보 쇼타로/활동 내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리쿠보 쇼타로/활동 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련 문서


[1] 현 배우자 소생의 자녀다.[2] 1인 기획사[3] 한국 한정 별명[4] 본인 왈, 그림 쪽이 아닌 영상 관련 전공이라 그림은 잘 못 그린다고.[5] 당시 타모리의 보케뷰라 천국이라는 방송에 재현 영상으로 출연하기도 했다.[6] 2013년 공연에서 이와타 미츠오는 졸업을 발표, 이 후 새 멤버로 테라시마 타쿠마를 영입[7] 테레비도쿄에서 매일 아침 방영되는 10대 대상 버라이어티[8] 수수께끼라는 의미의 나조(謎)를 뒤집어 조나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모리쿠보 본인이 비쥬얼 록 분장을 하고 수수께끼를 내는 캐릭터로 90년대에 청춘을 보낸 일본인들에게는 굉장히 유명한 추억의 캐릭터이다.[9]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뜻이다.[10] 조나는 수수께끼로 세계를 정복하려는 비밀결사 나조의 일본지부장이고, 사이가는 프랑스 지부장. 여담으로 사이가를 연기하는 것은 사이가 미츠키였다.[11] 일본어 발음상 고간이 된다.[12] 자세한 건 키리하라 아카야 항목 참조.[13] 그 선배는 미키 신이치로.[14] 2013년 9월에 발매된 <마기> DVD 6~10권 구매 특전 버라이어티 CD 프리토크 참고[15] 서로 쇼짱 - 코스케라고 부른다.[16] 토리우미는 일이 있어 돌아가려 했으나 모리쿠보가 "아니아니아니 외로워ㅠㅠ"라며 놔주질 않았다고.[17] 출처 박앵귀 라디오 12화[18] 나카무라 유이치가 성우들 볼링방송에서 사회를 보던 당사자 앞에서 '"고로쨩~'"이라고 흉내내다가 차가운 시선을 받은 적도 있고, 마츠오카 요시츠구가 당사자 앞에서 성대모사를 했다가 머리를 살짝 맞은 적이 있다.[19] 스기타 토모카즈의 아니게라! 디둔에서 퍼스널리티인 스기타가 밝혔다.[20] 모리쿠보식 발음은 "치욧토 뫗테 쿠닷사이요우!"가 정석이다.[21] 미나가와 쥰코를 시작으로 테니프리 성우진들은 にゃんた、潰すよ라고 말한다[22] "그래?"라는 의미의 "そうなの(소-나노)?"를 모리쿠보 스타일로 말해서 "쇼우나오우?"라는 발음이 된다. 스기타가 모리쿠보 성대모사를 할 때 단골로 써먹는 대사며 한번은 모리쿠보 본인이 자기는 "쇼우나노"같은 소리 한 적 없다고 부정했다는데, 어느날 문득 "아. 나 (쇼우나노)하고있네?"라며 자아성찰을 했다고 한다.[23] 대부분 우케 역할을 했으나, 유일하게 세메였던 때는 과거의 자신. 즉 덮치는 상대는 미래의 자신이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 이노우에 카즈히코는 폭소하고 있었다고 한다.[24] 한국, 글로벌 서버에서는 따로 공지를 올리지 않았으며, 음성 삭제 역시 일본 서버처럼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25] 위구르 문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중국은 위구르 탄압이 없다고 부정하는 입장인데 위구르 탄압을 고발하고 거기에 일본이 위구르의 희망이며 위구르를 중국으로부터 구할수 있었다는 건 중국은 서북공정으로 위구르는 원래부터 자신들 뿌리에서 이어져왔다고 주장하는데 즉 우리 뿌리에서 갈라진 국가를 니네가 구하긴 뭘 구하냐는 입장으로 이 만화의 내용을 중국 정부 입장에서는 절대로 좋게 볼 수가 없는 것이다.[26] 같은 성우 측 참여 인물로는 츠치다 히로시, 히로세 아키오가 참여했다. 한편 참여자들 중에선 아이돌 그룹 출신의 젊은 배우도 다수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메시지만 보고 참여한 것으로 추측된다.[27] 다만 개인의 SNS 내에서의 성향을 속속들이 파악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게 일반적이기에, SNS에서의 성향을 보고 참여 작품을 거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단 점은 감안해야 한다. 게다가 성우 업계가 다 그렇듯이 오퍼를 받았든 뭐든 소속사 혹은 업계에서 하라고 하면 하는 것이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