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fff><colcolor=#000> 백붕제 白鵬濟 | |
출생 | 1910년 2월 19일 |
평안북도 정주군 남면 이리 (現 평안북도 정주시 남양리) | |
사망 | 1952년? (향년 42세?) |
사망지 불명 | |
본관 | 수원 백씨[1] |
부모 | 아버지 백희행(白禧行)(1869 ~ 1954) 어머니 청주 한씨[2] (? ~ ?) |
형제자매 | 4남 3녀 중 넷째 형 백용제(白龍濟)(1887 ~ 1909) 형 백봉제(白鳳濟)(1896 ~ 1946) 형 백인제(白麟濟)(1898 ~ ?) |
배우자 | 안숙온(安前妻)(1908 ~ 1927) 최귀란(崔貴蘭)(1911 ~ ?) |
자녀 | 3남 3녀 장남 백낙환(白樂晥)(1926 ~ 2018) 차남 백낙청(白樂晴)(1938 ~ ) 3남 백낙서(白樂曙)(1945 ~ ) 장녀 백순영(白純英)(1936 ~ ) 차녀 백미혜(白美惠)(? ~ ) 3녀 백미영(白美英)(1946 ~ ) |
학력 |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마쓰야마고등학교 (문과 / 졸업) 교토제국대학 (법학 / 학사)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의 관료, 변호사, 친일반민족행위자.2. 생애
1910년 2월 19일 평안북도 정주군 남면 이리(現 평안북도 정주시 남양리) 부호마을[3]#에서 아버지 백희행(白禧行)과 어머니 청주 한씨 한응모(韓應模)의 딸 사이의 4남 3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927년 중앙고등보통학교(제18회)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가 마쓰야마고등학교[4](松山高等學校, 현재 에히메대학의 전신)에 입학, 1930년 졸업했다(제9회). 동년 교토제국대학 법학부로 진학해 1933년 졸업한 뒤 조선으로 돌아와 1934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사법과, 1935년 행정과에 차례로 합격했다. 지금으로 치면 사법시험과 행정고시에 모두 합격한 것에 해당된다.
고등문관시험을 준비 중이었던 1934년부터 경상북도 내무부 학무과 속(屬) 겸 의성군 속으로 커리어를 시작했고, 행정과 합격 후인 1936년 지방과로 전보되어 1937년 군위군수로 발령받았다. 1940년에는 경상북도 산업부 상공2과 이사관으로 승진했고 1942년 황해도 산업부 도이사관으로 옮겼다. 해방 당시에는 35세의 나이로 전라남도 내무부 사회과장까지 승진해있었다.
일제강점기 관료로 재직 중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군수품 공출, 국방 헌금 모금 등 전시 업무를 수행하여 '지나 사변 공적 조서'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 인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관료 부문에 수록되었다. 과거 편집에 자작 작위를 받았다는 서술이 있는데,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명단 및 친일인명사전 수작/습작 명단에 수작했다는 기록이나 근거가 없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로 물려받은 경우(습작)를 제외하고 새로 수작한 이는 이항구가 유일한데 그는 이완용의 아들(!)이며 작위도 가장 낮은 남작이다. 일개 관료가 군수지원 업무로 대대손손 세습되는 귀족 작위를 받는 일 같은 건 상상할 수도 없다. 자세한 것은 조선귀족 문서를 참조할 것.
해방 후 미군정에 의해 경기도 재무부장에 임명되어 재직하다 변호사로 활동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형 백인제와 함께 납북되었다. 가족들에 증언에 따르면 형 백인제 박사가 북한군이 서울에 들어올 때 피신했다가 잡혀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얼굴을 보고 가겠다"고 하여 7월 19일에 집에 잠시 들렀는데, 그때 북한군이 집에 숨어 있던 백붕제를 발견하고 형제를 같이 끌고 간 것이라고 한다.
납북기록
6.25 사변이 나자 친구 육지수 댁 가회동 70번지의 31에 숨어 있었음. 형 백인제가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그것을 확인코저 잠깐 집에 돌아왔다가 잠복하여 있던 청년 2명이 나타나 연행하여 갔음. 그 청년들은 30세 미만이었으며 사복을 하고 있었음. 그때 시일은 1950년 7월 19일 오전 9시. 그 당시 정치보위부라 칭하는 곳(현 국립도서관)에 수용되어 있다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있었음. 이것은 친우 계씨 부인이 UN군이 서울을 탈환하였을 때 자기 남편을 찾으려고 서대문형무소를 세세히 조사하였을 때 어떤 감방에 백인제, 백붕제의 명찰이 동일 감방에 걸려 있었다고 하고 장부에는 형제가 1일을 앞뒤로 수감되었던 기록을 보았다고 증언함. UN군이 인천상륙할 무렵 서대문형무소에 수감중이다가 북한으로 연행당하여 38선 가까이까지 가다가 탈주해 온 권씨에 의하면 그때 백씨 형제가 앞뒤로 묶여서 그 행렬 중에 섞여 있었다고 증언하였음. 백씨 형제가 평양 근방에서 열을 지어 가는 것을 보았다고, 1.4후퇴 시 북한에서 내려온 사람으로부터 친우 이충영씨 부인이 들었다고 증언함.
출처
6.25 사변이 나자 친구 육지수 댁 가회동 70번지의 31에 숨어 있었음. 형 백인제가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그것을 확인코저 잠깐 집에 돌아왔다가 잠복하여 있던 청년 2명이 나타나 연행하여 갔음. 그 청년들은 30세 미만이었으며 사복을 하고 있었음. 그때 시일은 1950년 7월 19일 오전 9시. 그 당시 정치보위부라 칭하는 곳(현 국립도서관)에 수용되어 있다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있었음. 이것은 친우 계씨 부인이 UN군이 서울을 탈환하였을 때 자기 남편을 찾으려고 서대문형무소를 세세히 조사하였을 때 어떤 감방에 백인제, 백붕제의 명찰이 동일 감방에 걸려 있었다고 하고 장부에는 형제가 1일을 앞뒤로 수감되었던 기록을 보았다고 증언함. UN군이 인천상륙할 무렵 서대문형무소에 수감중이다가 북한으로 연행당하여 38선 가까이까지 가다가 탈주해 온 권씨에 의하면 그때 백씨 형제가 앞뒤로 묶여서 그 행렬 중에 섞여 있었다고 증언하였음. 백씨 형제가 평양 근방에서 열을 지어 가는 것을 보았다고, 1.4후퇴 시 북한에서 내려온 사람으로부터 친우 이충영씨 부인이 들었다고 증언함.
출처
납북 후 북한에서 백관수, 최린등 저명인사 18명과 함께 반동분자로 분류되어 인민학교에 수감되었고, 이후에는 평양수용소에서 중노동을 해야했다.
3. 가족
- 15세 되던 해 당시 18세이던 순흥 안씨 안숙온[5]과 혼인하였으나 혼인한지 2년 만에 안숙온은 장남을 낳고 6개월 뒤인 1927년 2월 25일 병사하였다. 후에 경주 최씨 최귀란(崔貴蘭)[6]과 재혼하여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다. 장남 백낙환은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백부 백인제의 의업을 이어받아[7] 인제대학교를 설립하고 인제학원 이사장을 지냈다. 차남 백낙청은 문학평론가로, 서울대 교수를 지냈다. 3남 백낙서(白樂曙)는 미국 윌리엄스 칼리지와 코넬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통일원 기획관리실장과 인제대 교수를 지냈다.
(장녀 백순영(白純英)
위의 사진은 장녀인 백순영이 의대 3학년 때 개교기념일 연세여왕으로 뽑힐 당시의 모습이다. 백순영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차녀 백미혜(白美惠)도 미국에서 유학했다. 3녀 백미영(白美英)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피아니스트로 단국대 교수를 지냈다.
4. 대중매체에서
한국군 정보장교가 북에 잠입해 납북인사를 구출한다는 내용의 영화 《남북천리》(1966)에서 배우 전창근이 연기했다.[1] 인주공파(仁州公派) 19세 ◯제(濟) 항렬. 수원 백씨 31세.[2] 한응모(韓應模)의 딸[3] 수원 백씨 집성촌이다.[4]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은 일제시대에 구제중학교로 묶여있었고 구제고등학교는 대학예과에 해당하는 고등교육기관이었다.[5] 1908 ~ 1927.2.25. 안병탁(安炳卓)의 딸이다.[6] 1911년생으로, 최세진(崔世珍)의 딸이다. 일본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를 졸업했다.[7] 생후 6개월에 친모가 사망할 당시 아버지 백붕제는 17세에 불과했다. 할아버지가 맡아서 키우다가 이후 백부 백인제의 슬하에서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