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7:26:54

경주 최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사로 6촌 신라 6부 성씨 시조
알천 양산촌 급량부 이씨 알평
돌산 고허촌 사량부 최씨 소벌도리
취산 진지촌 본피부 정씨 지백호
무산 대수촌 점량부 손씨 구례마
금산 가리촌 한기부 배씨 지타
명활산 고야촌 습비부 설씨 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신라 6성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50><tablebordercolor=#fad2eb>
파일:경주 최씨 종문.svg
慶州 崔氏 (月城 崔氏)
경주 최씨 (월성 최씨)
}}}
<colbgcolor=#990000> 관향 경상북도 경주시
시조 소벌도리(蘇伐都利)
중시조 최치원(崔致遠)[1]
파조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최청(崔淸)
광정공파(匡靖公派): 최단(崔鄲)
정랑공파(正郞公派): 최호(崔灝)
사성공파(司成公派): 최예(崔汭)
화숙공파(和淑公派): 최현우(崔玄祐)
충렬공파(忠烈公派): 최광위(崔光位)
집성촌 서울특별시 강서구
인천광역시 강화군·남동구·연수구·중구
대전광역시 유성구
광주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서구·동구·서구·수성구·군위군
부산광역시 기장군·강서구·사상구
울산광역시 울주군·북구
강원도 양양군·원주시·인제군·철원군
경기도 이천시·포천시·화성시
충청북도 보은군·청주시
충청남도 금산군·보령시·부여군·서산시
충청남도 서천군·예산군·천안시·청양군
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북도 고창군·무주군·익산시
전라남도 고흥군·광양시·담양군·신안군
전라남도 여수시·영광군·영암군·함평군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북도 경산시·경주시·구미시
경상북도 김천시·문경시·봉화군·성주군
경상북도 안동시·영천시·예천군·의성군
경상북도 청도군· 청송군·포항시
경상남도 거제시·거창군·고성군·김해시
경상남도 남해군·밀양시·사천시·산청군
경상남도 양산시·의령군·진주시·창녕군
경상남도 창원시·하동군·함양군·합천군
강원도 회양군
황해도 봉산군·송화군·신계군·재령군
평안남도 강서군·성천군·평원군
평안북도 강계군·박천군·영변군·의주군
함경남도 단천군·덕원군·북청군·이원군
함경남도 정평군·함주군·홍원군
함경북도 경원군·길주군·무산군·성진시
인구 1,027,848명(2015년)[2] | 국내 7위
링크 경주최씨중앙종친회

1. 개요2. 분파3. 집성촌
3.1. 강원3.2. 서울·인천·경기3.3. 대전·충청3.4. 광주·전라3.5. 대구·경북3.6. 부산·울산·경남3.7. 북한
3.7.1. 강원특별자치도3.7.2. 황해도3.7.3. 평안도3.7.4. 함경도
4. 유명 인물
4.1. 나말여초4.2. 고려시대4.3. 조선시대4.4. 근대4.5. 현대
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중시조 최치원(崔致遠)은 신라의 개국공신이자 시조 진한(辰韓) 사로(斯盧)국 돌산 고허촌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이며, 최치원은 신라시대 말기의 대문장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1,027,848명으로 성씨 본관 순위 7위쯤에 위치해 있으며, 역사적 기준으로도 2,000년 안팎으로 지속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고성(古姓) 중 하나이다.

18세기 말부터 경주 교동에 살며 이앙법의 적극적인 도입과 소작료의 인하에 따른 선순환으로 부를 쌓은 일명 최부자 가문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 2000년대에 재발굴되며 2010년에 KBS 드라마 명가로 만들어질 정도로 유명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의친왕이 경주 최씨의 고택에 엿새 동안 머물면서 종손이었던 최준에게 '문파'(汶坡)라는 호를 지어주었다.[3] 최부자댁에는 여섯 가지 가훈인 6훈과 지켜야 할 교훈인 6연이 있다. 후손들은 아직도 이를 지키며 살아간다고 한다고 한다.
6연(六然) - 자신을 지키는 교훈


몸가짐을 초연하게 하라
(자처초연: 自處超然)

다른 사람에게 온화하게 대하라
(대인애연: 對人靄然)[4]

일이 없을 때는 마음을 맑게 하라
(무사징연: 無事澄然)

일이 있을 때는 단호하게 대처하라
(유사감연: 有事斬然)

뜻을 이뤘을 때 담담하게 행동하라
(득의담연: 得意澹然)

실패하더라도 태연하게 행동하라
(실의초연: 失意泰然)

6훈(六訓) - 여섯 가지 가훈


권력을 탐하지 말라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마라[5])

상생의 이윤을 추구하라
(재산은 만 석 이상 지니지 마라[6])

소통과 화합하라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정당한 방법으로 부를 추구하라
(흉년기에 땅 사지 마라[7])

근검절약하라
(며느리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8])

상부상조하라
(사방 백 리[9] 안에 굶어죽는 이가 없게 하라[10])

이외에도 시장의 파장 때 물건을 사지 않았다고 하는데, 파장 때는 대개 물건의 가격을 낮추어 떨이로 팔게 마련이므로 이것은 물건을 살 때 제값을 쳐서 사들이라는 의미다. 흉년에 땅 사지 말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행동.

2. 분파

경주 최씨는 27파로 나뉘었는데 그중 아래의 6대파가 주축을 이룬다.

그 밖의 21파는 다음과 같다.

3. 집성촌

3.1. 강원

3.2. 서울·인천·경기

3.3. 대전·충청

3.4. 광주·전라

3.5. 대구·경북


3.6. 부산·울산·경남

3.7. 북한

3.7.1. 강원특별자치도

3.7.2. 황해도

3.7.3. 평안도

3.7.4. 함경도

4. 유명 인물


4.1. 나말여초

4.2. 고려시대

4.3. 조선시대

4.4. 근대

4.5. 현대

5. 같이 보기



[1] 10년 전까지만해도 최승우, 최언위도 경주 최씨 시조에 들어갔지만 최근에는 어찌된 영문인지 종친회에서 최치원 선생만 경주 최씨 시조로 알고 단독 시조가 되게 했다. 최치원 선생이 장자로 태어나서 경주 최씨 단독 시조가 된 것이라 추측된다. 최언위, 최승우는 선대(先代)에서 갈라져 나왔다.[2] 경주 최씨 945,005명+월성 최씨 82,843명=1,027,848명. 전체 최씨중 약 40%.[3] 의친왕은 옛 황족으로 강점기에도 여행의 자유가 있었는데, 1919년 11월 소위 조선민족독립대동단사건 때문에 그마저도 박탈되었으니 적어도 그 전의 일일 것이다.[4] 인터뷰 기사에는 처인애연(處人靄然)이라 나와 있으나, 최부자 고택 팻말에는 '대'로 나와있다.[5] 양반 신분은 유지해야 하니 진사까지는 하되, 괜히 고관대작이 되려고 여기저기 줄 대다 줄 댄 사람이 숙청당할 때 같이 날아가지 말라는 뜻이다.[6] 간단하게 말해 황금만능주의를 경계하고 소작인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것이다.[7] 조선시대에 좀 산다는 이들중에는 보릿고개나 흉년기처럼 자영농민들이 가장 힘들 시기에 보리쌀 한 됫박으로 땅을 사는 식으로 쉽게 재산을 불리는 경우가 많았고, 이렇게 땅을 팔았던 자영농민들은 자연히 소작농이나 노비로 떨어지게 된다. 이게 도덕적으로도 그다지 떳떳한 방법은 아닐 뿐더러, 실리적으로도 땅값을 후려쳐 원한을 쌓으면 민란이 터질 때 보복당할 수가 있다.[8] 남녀차별을 하자는 의도가 아니라, 아들은 이 집에서 나고 자라면서 근검절약과 상부상조하는 가풍을 알고 있겠지만 며느리는 부자라는 것만 알고 시집왔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며느리에게 부잣집이라 해서 사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워주려는 가훈이라고 한다.[9] 39.2727...km 정도이다. 약 40km.[10] 지역에서 제일가는 유지로서 지역의 안정을 유지할 책임이 있음을 명시한 의미[11] 대동보 상으로는 경주 최씨의 종가집이다. 최청은 최승로의 종손이며, 그의 후손들인 관가정공파가 경주 최씨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태조 이성계는 그의 인품을 매우 흠모하여 좌천성의 벼슬을 주고 조정으로 출사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그는 불사이군을 천명하고 경기도 양주에 은거했다. 태조는 그의 절개를 인정하고 그를 좌찬성으로 추증하였다. 나중에 그는 유언으로 고려 검교 정승이라고 묘비명을 쓸 것을 유언으로 남겼으나, 후손들은 조선시대시기 이기 때문에 이성계가 준 벼슬인 이조 좌찬성이라고 묘비 명을 썼다. 그러자 번개가 쳐서 묘비를 박살냈다. 후손들은 이에 놀라 묘비명에 고려 검교 정승이라고 새겼더니 아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죽을 때까지 고려의 절개를 지킨 충신이다.[12] 독립유공자 최면식·최익현이 이 마을 출신이다.[13] 독립유공자 최장준·최정돈이 이 마을 출신이다.[14] 독립유공자 최한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5] 독립유공자 최종응이 이 마을 출신이다.[16] 둔산동에 옻골마을이란 한옥마을이 조성되어 있다.[17] 독립유공자 최준이 이 마을 출신이다.[18] 임진왜란 때 의병장 최진립이 이 마을 출신이다.[19] 동학 교조 최제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20] 독립유공자 최용수·최인근이 이 마을 출신이다.[21] 독립유공자 최경연이 이 마을 출신이다.[22] 귀뚜라미그룹 창업주 최진민과 독립유공자 최한룡이 이 마을 출신이다.[독립유공자] 최윤구 출신 마을이다.[24] 최형우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25] 독립유공자 최금경·최봉기·최용덕이 이 마을 출신이다.[26] 독립유공자 최광·최병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27] 독립유공자 최영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28] 독립유공자 최민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29] 독립유공자 최용신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守兵部侍郞.[31] 최치원의 종제(從弟). 최항의 조부.[32] 내사시랑 겸 민관어사 동내사문하평장사 감수국사.[A] 최승로, 최숙, 최제안 3대가 문하시중이자 배향공신이 되었다.[A] [35] 최언위의 손자.[36] 수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A] [38] 1287~1340. 최백륜의 아들이다.[39] 검교(檢校)는 산직(散職) 또는 훈직(勳職)으로서 일종의 명예직을 의미한다.[40] 최제우의 7대조.[41] 최완의 형으로 4형제 중 첫째이다.[42] 최준의 동생으로 4형제 중 셋째이다.[43] 현 해양경찰청장.[44] 함경도 실향민 2세[45] 최진립의 7대손.[46] 동학의 창시자[47] 최동원의 동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