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5:37:34

부천시 시내버스/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천시 시내버스

1. 개요

부천시 시내버스의 운행 차종을 정리한 문서다.

2. 운용 차종

2.1. 현재 운용 차종

2.1.1. 현대자동차

2.1.2. 자일대우버스

2.1.3. KGM커머셜

2.1.4. 우진산전

2.1.5. 하이거

2.1.6. BYD

2.2. 과거 운용 차종

2.2.1. 현대자동차

2.2.2. 자일대우버스

2.2.3. 기아자동차

2.2.4. 아시아자동차

2.2.5. KGM커머셜

3. 기타

부천시 시내버스는 아주 먼 옛날부터 부천시 최대 버스 업체로 자리잡았던 소신여객의 지독한 대우버스 사랑과 부천시 내에 위치한 대우버스 본사 덕분에 늘 전통적으로 대우버스가 초강세인 지역이었다. 그 덕에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대우버스가 절대다수였다. 그래도 1980년대 말 ~ 1990년대 초반까지는 아시아버스도 시외완행버스로 많이 볼 수 있었으나, 현대자동차의 버스는 이상하리만큼 부천시에서 힘을 쓰지 못하였다. 1970년대 초 소신여객에서 R182를 도입한 것과 80년대 초중반 부평여객 같은 시외완행버스 회사에서 소수 도입한 FB485, RB520, 그리고 에어로타운이나 카운티 같은 중소형 마을버스 정도의 경우를 빼면 거의 없었을 정도로 현대버스가 초약세였다.[8] 그러다가 2005년 갑작스러운 부천버스의 현대버스 도입을 필두로 2006년에 도원교통의 현대버스 도입, 그리고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현대 저상버스의 도입량이 급증하게 되었고 201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소신여객마저 현대버스를 선호하기 시작하면서 빠른 속도로 대우버스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었다. 거기에 대우버스의 베트남 이전 사태와 폐업, 부천시의 전기 버스 확대 정책에 의해 현재는 현대 일렉시티가 부천시의 주력 차종이 되었다. 다만 소신여객하이거BYD 등 중국산 전기버스들을 비롯해 우진산전 아폴로 1100도 출고하는 등 다양한 차종들을 도입하고 있다.

프론트엔진 버스가 상당히 빠르게 퇴역한 편이다. 프론트엔진 버스가 굴러다니던 당시에는 부천 관내 시내버스가 소신여객밖에 없었는데, 소신여객이 이 프론트엔진 버스들을 일찌감치 조기대차시키다가 결국 마지막 남은 1987년식 BF101Q조차 1994년에 완전히 다 퇴역시켰다. 소신여객을 제외하면 항상 부실경영으로 휘청거리던 시외완행버스 업체들밖에 없는데, 그 돈 없어서 허덕이던 시외완행버스들조차 리어엔진 버스인 AM927로 도배가 된 상태였다.

천연가스버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던 2001년에는 대장공영차고에 충전소가 아직 마련되지 않아 출고하지 못 하다가 이후 충전소가 완공되자 소신여객에서 2002년 ~ 2003년에 걸쳐 20대 가량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후부터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들도 하나둘씩 천연가스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하였다.[9] 이 이후로 부천시 시내버스 출고 차량은 대부분 가스 차량으로만 출고되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부천시 최초 천연가스버스 출고 업체인 소신여객은 2012년까지 디젤 차량도 상당히 많이 출고했다.

GBUS 브랜드가 출범하기 이전에는 소신여객을 제외한 모든 회사들이 도색을 중구난방으로 하고 다녔다. 그 중 최고봉은 부천버스로, 어림 잡아 7개 이상의 도색이 한번에 존재했다. 도원교통도 성민버스 시절에 상당히 많은 도색이 존재했다. 오히려 마을버스 회사들은 소신여객과 똑같은 도색을 적용하여 통일시켰다.

소신여객을 제외한 업체들이 모두 과거에 중형버스 위주로 출고하던 시절이 있었다. 처음부터 시내버스 업체였던 부천버스나 도원교통도 2006년 이전에는 BS090이나 BM090을 주력으로 운행하였고, 마을버스 출신인 부일교통, 성광운수도 2016년까진 거의 대부분 중형버스인 BS090으로만 도입하였다. 과거 부일교통 작동지점이었던 뉴부일교통은 소사동 골목길이 협소하여 대형차량 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현재도 중형차량인 일렉시티 타운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단, 예외적으로 과거 마을버스 업체 출신이었던 청우운수는 시내버스로 전환 이후 저상버스 도입을 굉장히 적극적으로 하여 2013년에 중형버스가 전멸했다.

저상버스는 2006년 4월 소신여객에서 BS110CN을 출고한 것이 최초이며 2000년대에는 소신여객이 주로 출고하였고, 2010년대에는 도원교통, 청우운수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그러다 2020년대 들어서부터는 부천시의 전기버스 보급 정책에 따라 모든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전기버스, 저상버스 도입에 아주 적극적인 편으로 변하면서 2023년 이후부터는 전 차량 전기 저상버스로 도입되고 있다.[10]

현대 입석 고상버스 의자는 초기 글로벌900을 제외하면 2018년 초까지만 해도 전 차량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였으나 상품성 개선형 모델 출시 이후로는 그린시티까지 모두 로우백 시트를 적용하는 추세다. 부일교통은 2018년부터 로우백 시트로 출고하고 있고 소신여객은 2018년식 ZF 오토 차량부터 로우백 시트로 출고하고 있다. 다만 동시에 나온 2018년식 그린시티는 스펀지 시트이다.

반대로 대우버스를 출고할 때의 입석 시트는 2007년부터 모든 업체들이 플라스틱 시트로 출고하는 경향이 강했다가 2016년부터는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곤 했다. 부일교통[11]과 성광운수[12]만이 스펀지 시트로 출고하다가 2016년부터는 다시 스펀지 시트 위주로 출고하기 시작하였다.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들은 대체로 시내버스에 입석 모델을 강하게 선호하는 편이지만, 예외적으로 부천버스와 부일교통 상동지점은 좌석형 모델 도입에 적극적인 편이었다. 특히 부천버스에서는 도입하는 차종마다 좌석형 모델이 꼭 포함되었을 정도로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소신여객, 성광운수, 부일교통 작동지점 등에 존재했던 좌석형 차량들은 전부 다 부천버스 출신 차량이었다. 다만 2012년 ~ 2013년에는 입석형 모델만 출고하였고, 현재는 모두 일렉시티나 화이버드로 대차되면서 좌석형 차량은 1대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에어컨 슈트락 옵션은 모든 회사가 덴소 슈트락을 선호하는 편이다. 또한 소신여객, 부천버스, 성광운수에서는 3팬 옵션으로 출고한 차량이 꽤 존재한다. 소신여객은 오래 전부터 항상 덴소풍성 3팬 옵션만을 고집하다가 2011년부터는 덴소풍성 5팬 옵션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출고하기 시작하였다. 일부 동환산업[13], 두원공조 슈트락[14]이 존재하긴 하나 그 외에는 전부 덴소로 출고하였다. 예외적으로 부천버스는 여러 제조사의 슈트락이 공존하고 있었는데, 중고차 도입이나 재고차 출고가 잦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덴소풍성이 가장 많았긴 하지만 두원공조, 동환산업 슈트락이 올라간 차량들의 비율도 제법 적지 않았다.

변속기는 도원교통을 제외하면 ZF제 변속기를 선호한다. 도원교통은 ZF제 변속기 차량이 존재하기는 하나 부천시 관내 업체 중 유일하게 앨리슨 자동변속기 옵션을 주력으로 선택하는 회사이다.

전기버스 도입 활성화로 기존의 내연기관 사용 차량들이 법정 내구연한이 충족되기 이전에 조기대차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부천버스의 경우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천연가스버스 2대가 2023년 5월 18일부로 일렉시티로 대차됨에 따라 전 차량이 전기버스인 업체가 되었다.

[1] 영풍운수 출신 차량도 일부 존재.[2] 1대만 출고되었으며 52번 화재차량 대차분으로 출고한 차량이다.[3] 단 두 업체 모두 2010년 부천버스 노선 인수 과정에서 BS090 가스 모델을 보유하게 되었다.[4] 경기도 지역에서 1980년대 말 이후로 일반도시형에 폴딩중문형으로 도입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다.[5] 경기교통, 영풍운수 출신 차량 일부 혼재.[6] 이 당시에는 성일운수가 없었으므로 논외.[7] 심지어 일부 차량은 여전히 면허가 살아있다.[8] 전국적으로 흔하디 흔했던 에어로시티와 슈퍼 에어로시티가 부천시 관내 시내버스에는 단 1대도 존재하지 않았단 의미다.[9] 다만 소신여객 사내 반응은 좋지 않았는지 2002년 ~ 2003년 동안 20대 뽑은 이후 2005년까지 쭉 디젤 모델만 출고한 것도 모자라 해당 차량들을 조기대차 혹은 말소해버렸다.[10] 단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인 58번 계열 노선 제외.[11] 단, 글로벌900과 2007년식 BS090에는 플라스틱 옵션을 선택하였다.[12] 2012년 출고한 NEW BS106은 플라스틱 시트였다.[13] 하남시내버스 취소분 2011년식 BS106 일부와 2020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14] 2017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 한정이며, 해당 연식의 차량에 덴소 슈트락이 적용되지 않아서 두원 옵션이 채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