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일본의 무술과 무도 日本の武術・武道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스모 | ||
고류 무술(고무도) | |||
14세기 | 구기신류(九鬼神流, 구귀신류) · 넨류(念流, 염류) · 주조류(中条流, 중조류) | ||
15세기 | 카게류(陰流, 음류) · 덴신쇼덴 가토리신토류(天真正伝香取神道流, 천진정전 향취신도류) | ||
16세기 | 카게류(影流, 영류) · 가시마신덴 지키신카게류(鹿島神傳直心影流, 녹도신전 직심영류) · 가시마신토류(鹿島新當流, 녹도신당류) · 고마가와카이신류(駒川改心流, 구천개심류) · 규신류(扱心流, 급심류) · 다케노우치류(竹内流, 죽내류) · 다미야류(田宮流, 전궁류) · 다쓰미류(立身流, 입신류) · 다이샤류(タイ捨流, 다이[タイ]사류) · 덴도류(天道流, 천도류) · 덴진쇼지겐류(天眞正自源流, 천진정자원류) · 도다하 부코류(戸田派 武甲流, 호전파 무갑류) · 마니와넨류(馬庭念流, 마정념류) · 무소신덴류(夢想神伝流, 몽상신전류) · 무소지키덴에이신류(無双直伝英信流, 무쌍직전영신류) · 사부리류(佐分利流, 좌분리류) · 신무소하야시자키류(神夢想林崎流, 신몽상림기류) · 신카게류(新陰流, 신음류) · 아사야마이치덴류(浅山一伝流, 천산일전류) · 야규신카게류(柳生新陰流, 유생신음류) · 요시오카류(吉岡流, 길강류) · 잇토류(一刀流, 일도류)¹ · 지겐류(示現流, 시현류) · 초쿠겐류(直元流, 직원류) · 호조인류(宝蔵院流, 보장원류) | ||
17세기 | 기토류(起倒流, 기도류) · 고보리류(小堀流, 소굴류) · 니텐이치류(二天一流, 이천일류) · 다미야류(民弥流, 민미류) · 무가이류(無外流, 무외류) · 아베류(安倍流, 안부류) · 오와리칸류(尾張貫流, 미장관류) · 잇가쿠류(一角流, 일각류) · 잇신류(一心流, 일심류) · 세키구치류(関口流, 관구류) · 스이오류(水鷗流, 수구류) · 신교토류(心形刀流, 심형도류) · 신토무넨류(神道無念流, 신도무념류) · 신토무소류(神道夢想流, 신도몽상류) · 소스시류(双水執流, 쌍수집류) · 야규신간류(柳生心眼流, 유생심안류) · 요신류(楊心流, 양심류) · 헤이조무테키류(平常無敵流, 평상무적류) · 호텐류(法典流, 법전류) · 호키류(伯耆流, 백기류) · 혼타이요신류(本體楊心流, 본체양심류) | ||
18세기 | 교신메이치류(鏡新明智流, 경심명지류) · 모리시게류(森重流, 임중류) · 텐넨리신류(天然理心流, 천연리심류) | ||
19세기 유신 이전 | 덴진신요류(天神真楊流, 천신진양류) · 신도요신류(新道楊心流, 신도양심류) · 잇토쇼덴무토류(一刀正伝無刀流, 일도정전무도류) · 지키신카게류나기나타주츠(直心影流薙刀術, 직심영류치도술) · 호쿠신잇토류(北辰一刀流, 북진일도류) · 후센류(不遷流, 불천류) | ||
유신 이후* | 게이시류(警視流, 경시류) · 다이토류아이키주주츠(大東流合気柔術, 대동류합기유술) · 토야마류(戶山流, 호산류) | ||
무예십팔반(武芸十八般)의 분류: 1. 궁술 · 2. 마술(馬術) · 3. 창술 · 4. 검술 · 5. 수영술 · 6. 거합술(발도술) · 7. 단도술 · 8. 짓테술 · 9. 수리검술 · 10. 함침술(含針術) · 11. 나기나타술 · 12. 포술 · 13. 포승술 · 14. 유술(야와라, 권법) · 15. 장술/봉술 · 16. 쿠사리가마술 · 17. 뇌술(錑術) · 18. 은형술(인술) | |||
¹ 오노파, 미조구치파, 나카니시파 등의 분파를 포함하며 후에 북진일도류, 일도정전무도류 등의 계파가 탄생했다. | |||
오키나와 테, 오키나와 고무도 | |||
현대 무도 | |||
일본무도협의회 가맹 무도: 검도 · 공수도² · 궁도 · 나기나타 · 소림사 권법 · 스모 · 유도 · 총검도 · 합기도 전일본검도연맹 주관 삼도(三道): 검도 · 거합도 · 장도 그 외 무술 및 격투기: 골법 · 발도도 · 일본권법 · 킥복싱 · 쿠도 · 타이도 | |||
² 가라테 유파로는 쇼토칸류(松涛館流, 송도관류), 고주류(剛柔流, 강유류), 시토류(糸東流, 사동류), 와도류(和道流, 화도류) 등의 전통 유파들, 2차대전 이후로 극진회관을 필두로 한 풀컨택트 계열, 쿠도와 타이도 등의 파생 무술들이 있다. | |||
* 일본 고류 무술과 현대 무도를 나누는 기준점은 메이지 유신(1868)으로 여겨지나, 창시가 그 기간에 걸쳐있거나 그 이후지만 고류의 형식으로 수련되고 있는 경우 여기에 넣었다. ※ 일본 고류 무술의 유파들의 경우 창시 세기별로 분류해 외래어 표기법/일본어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다. | }}}}}}}}} |
[clearfix]
1. 개요
[1][ruby(北, ruby=ほく)][ruby(辰, ruby=しん)][ruby(一, ruby=いつ)][ruby(刀, ruby=とう)][ruby(流, ruby=りゅう)](호쿠신잇토류)
에도 시대 말기의 검호 치바 슈사쿠(千葉周作)[2]가 치바 가문의 가전무술인 북진류(北辰流)[3]와 북진몽상류(北辰夢想流)에 그가 수행한 나카니시파일도류(中西派一刀流)[4]를 통합하여 창시한 일도류의 계파.
2. 역사
[kakaotv(KU7PuZXJbLE$@my?)]북진일도류의 개조(開祖) 치바 슈사쿠는 1794년 일본의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본래 이와테현 리쿠젠타카다시 출생설과 미야기현 구리하라시 출생설로 나뉘어 있었으나, 구리하라시가 관광 진흥 목적으로 기록을 날조한 것이 담당 공무원의 폭로로 밝혀졌으며, 이후 치바가 3형제의 자필 편지 중 게센누마를 고향으로 언급하는 편지가 발견되어 사실이 증명되었다.
슈사쿠는 어린 시절부터 검에 재능을 보여 아버지 치바 츄자에몬 나리타네(千葉忠左衛門成胤)로부터 가전무술인 북진류를 배웠으며, 치바씨 동족인 치바 요시노조 츠네나리(千葉吉之丞常成)에게 북진몽상류를 배웠다. 이후 아버지와 함께 치바현 마츠도시로 이주, 당시 마츠도 출신 검사로 유명했던 나카니시파 일도류 아사리 마타시치로 요시노부(浅利又七郎義信)의 문하생으로 입문하여 일도류를 익혔다.
그의 문하에서 2년간 수련한 치바 슈사쿠는 스승인 아사리 요시노부에게 그 실력을 인정받게 되었고, 요시노부는 그를 양자로 삼아 도장을 잇게 하려고 나카나시파 일도류의 4대 종가인 나카나시 츄베에 츠구마사(中西忠兵衛子正)에게 슈사쿠를 보낸다. 이 시기에 나카니시파 일도류는 호구와 죽도를 사용한 훈련방식을 도입하여 에도에서 인기를 끌고 있었다. 슈사쿠는 나카니시파 종가에서 3년 동안 수련하여 23세 때 나카니시파 일도류의 종가로부터 면허개전을 받고, 무사 수행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무사수행을 마친 뒤, 요시노부의 조카딸과 결혼하여 아사리 가문의 양자로 들어가게 된다. 이후 아사리 요시노부를 대신하여 오바마 번주의 검술사범역을 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아사리 요시노부의 계획대로였는데, 문제는 슈사쿠가 나카니시파 일도류의 종가 도장에서의 수행과 무사 수행을 통해 새로운 기풍에 눈을 뜬 것이었다. 때문에 슈사쿠는 쿠미타치(組太刀)를 개혁하여 시대에 뒤쳐진 교수법과 불분명한 이론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세웠다. 이에 나카니시파 종가로부터 은혜를 입은 아사리 요시노부[5]는 절대로 안된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결국 둘 사이에 불화가 생겼고, 결국 열받은 아사리 요시노부는 치바 슈사쿠를 호적에서 파버렸다.
치바 슈사쿠는 하루 아침에 도장에서 쫓겨나 알거지 신세가 되었고, 새로운 일파를 만들어 나카니시파 일도류로부터 독립할 생각을 한다. 하지만 아무리 솜씨가 좋아도 27세 듣보잡일 뿐이었고, 때문에 슈사쿠는 다른 유파와의 시합을 통해 이름을 떨칠 요량으로 코즈케와 무사시 지방을 중심으로 무사수행을 떠나게 된다.
이때 같은 일도류 계열의 유파인 갑원일도류(甲源一刀流)[6]의 검객과 겨뤄 이기기도 했으며, 신사에 봉납 액자를 걸어 유파를 알리려 했으나 현지의 마니와넨류(馬庭念流)의 검객들이 저지하는 바람에 분위기가 험악해져 코즈케 지방에서 철수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슈사쿠는 자신의 이름과 유파를 알리는 데 성공한다.
무사 수행을 마친 슈사쿠는, 1822년 가을에 에도로 돌아와 니혼바시 시나가와쵸(日本橋品川町 / 現 도쿄도 주오구)에 현무관(玄武館)이라는 작은 도장을 세운다. 그리고 3년 뒤인 1825년에 현무관을 오타마가이케(於玉ヶ池 / 現 도쿄도 치요다구)로 이전한다.
치바 슈사쿠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치바 슈사쿠 참조.
3. 특징
치바 슈사쿠는 평소의 신념대로 합리성[7]에 기반을 두고 검을 가르쳤기 때문에 배우는 사람도 명쾌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고, 때문에 북진일도류는 자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북진일도류의 원류라 할 수 있는 나카니시파 일도류는 단을 8개로 나누어서 전수하였는데, 북진일도류에서는 단을 3개로만 나누었다.[8] 당시에는 단이 오르면 스승과 선배, 동문에게 예물을 바치는 풍습이 있어서 가난한 자는 실력이 있어도 승단하지 못하는 폐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간략한 단급제와 빠른 전수, 합리적인 기술은 문하생들에게 크게 환영받는 요소였다. 더불어 검술 위탁 교육을 활발하게 갔기 때문에 30개가 넘는 번에서 가르침을 청해 모여들 정도여서 현무관은 신도무념류(神道無念流) 연병관(練兵館), 경심명지류(鏡心明智流) 사학관(士学館)과 함께 '막말 에도 3대 도장'의 하나로 이름을 떨쳤고, '기술의 치바'라고 불릴 만큼 융성하였다. 현무관에는 50명이 묵는 2층 기숙사까지 지었다고 한다.
다른 일도류와 마찬가지로 기본 자세는 성안(星眼)[9]의 자세이며, 죽도를 이용한 연격과 계고 및 목도를 이용한 카타를 중시하였다. 기술적으로는 일도류답게 세밀하고 직선적인 검풍을 갖고 있다. 보폭을 좁힌 스리아시를 이용한 빠른 전후방 이동으로 신체를 운용하며, 일도류 계열의 장기인 손목공격과 찌르기를 구사한다.
치바 슈사쿠는 죽도 검술을 검술육십팔수(剣術六拾八手)로 총정리하였는데, 여기에 현대 검도의 기술은 다 모여 있다고 한다. 할미새 꼬리 기법[10]처럼 현대 검도의 상징적인 기술로 여겨지는 것까지 만들었으며, 그 외에 삼살법(三殺法)과 같은 현대 검도의 이론도 북진일도류에서 비롯되었기에 현대 검도의 실질적인 선조에 가깝다고 여겨진다.[11] 물론 검술육십팔수에는 현대 검도에도 없는 옛 기술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당시 나카니시파 일도류는 원래부터 죽도와 호구를 사용해서 계고를 활발히 하고 있었으므로 북진일도류와 나카니시파 일도류가 본질적인 형태의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북진일도류는 별명이 기술의 치바다. 상술한 삼살법, 할미새 꼬리 흔들기 등 치바 슈사쿠가 독자적으로 만든 기술이 존재한다. 특히 할미새 꼬리 흔들기 기술은 당시에 경망스럽다고 비난이 있었을 정도로, 일본의 검술 중에 매우 특이한 기법이었다. 즉, 북진일도류는 기존 일도류를 기본으로 치바 슈사쿠가 고안한 기법들과 교수법이 조화되어 있다.
또한 여타의 일도류와 마찬가지로 목검을 사용한 쿠미타치(組太刀)인 타치 43본(太刀四十三本)를 가르치는데, 쿠미타치의 경우 원류인 오노파 일도류(小野派一刀流), 나카니시파 일도류와 거의 비슷하다. 다만 본을 세는 법이 좀 다르며, 북진일도류 고유의 내용도 좀 있다고 한다. 죽도 기술과 진검 기술을 조화시킨 것이 북진일도류의 장점이다.
그 외에도 고류 유파답게 거합(居合), 소태도(小太刀), 나기나타(長刀)[12][13]를 교육한다. 특히 거합과 쿠미타치, 죽도검술을 균형있게 구사할 수 있어야만 북진일도류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고 한다.
4. 유명인
도장이 융성했던 만큼 당대에 이름을 떨친 검객이나 막부 말기의 거물급 인사들이 많은데, 특히 현무관 출신으로 사카모토 료마가 유명하다.[14] 하지만 대외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사카모토 료마는 치바 슈사쿠의 오타마가이케 현무관 출신은 아니며, 슈사쿠의 동생인 치바 사다키치가 가르친 오케마치(桶町)[15] 치바 도장[16] 출신이다. [17] 이외에 신센구미에도 야마나미 케이스케, 토도 헤이스케, 이토 카시타로, 요시무라 칸이치로 등의 북진일도류 문하생이 있었다.문하생 뿐만 아니라 치바 슈사쿠의 네 아들도 당대 유명한 검객이었으며, 특히 차남 치바 에이지로(千葉栄次郎)는 무패의 검사로 명성이 높았다. 하지만 네형제 모두 길어야 마흔을 넘기지 못하고 요절하였다.
5. 현대
메이지 유신과 함께 검술이 쇠퇴하면서 북진일도류의 종가인 오타마가이케 현무관(於玉ヶ池玄武館)은 1872년 폐관하고, 치바 에이지로의 장남 치바 슈노스케(千葉周之介)[18]가 야마오카 텟슈(山岡鐵舟)[19]와 이노우에 하치로(井上八郎)[20]의 후견을 받아 도쿄 간다센마치에 재건했던 현무관도 폐관하면서 북진일도류의 직계는 사실상 단절되었다. 현대의 북진일도류는 몇 개의 방계 계보가 남아 있으나, 이 중 2개의 계보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북진일도류의 계보들 모두 북진일도류를 온전하게 전하고 있지는 않으며 그 일부만을 보존하여 전하고 있다.- 미토번(水戸藩) 계통(系統).
▪미토 동무관(水戸東武館).[21]
미토 동무관의 계보를 연 오자와 토라키치의 직계로, 단절되지 않고 꾸준히 북진일도류를 전승하여 일본 고무도 협회(日本古武道協会)로부터 북진일도류의 종가(宗家)로 인정받은 계보[22]이다.
하지만 동무관의 4대 관장인 오자와 사토시(小澤武)[23], 5대 관장인 오자와 키요코(小澤喜代子)[24]의 사후 전승이 끊긴 것을 그 아들인 7대 관장 오자와 사토시(小澤智)가 일도류 나카니시파(一刀流中西派)와 오노파 일도류(小野派一刀流)의 합숙에 참가하고, 선대로부터 내려온 전서와 부모가 남긴 영상자료를 연구한 끝에 복원을 완료하였다.
현재 미토 동무관에서는 북진일도류의 조태도(組太刀) 43본(四十三本)·소태도(小太刀) 5본(五本)·상소태도(相小太刀) 6본(六本)·인인(刃引) 11본(十一本)을 복원하여 사범급 이상에게만 전수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거합으로 유명한 타미야류(田宮流)의 계파인 신타미야류(新田宮流)를 전승하고 있다.
2013년(헤이세이 25년)에는 미토 동무관에서 수련되고 있는 북진일도류가 미토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로 지정되었다.
▪치바가 정전 북진일도류 (千葉家正伝北辰一刀流).
미토 동무관(水戸東武館) 출신 이시다 사부로(石井三郎)가 세운 황도의회 도쿄 동무관(皇道義会東京東武館)에서 와카바야시 토요키치(若林豊吉)[25]의 내제자(內弟子) 야지마 사부로(谷島三郎)에게 북진일도류를 배우고, 치바 가문의 양해를 받아 습명한 시이나 이치에이(椎名市衛)[26]를 종가(宗家)로 하는 계보이다.
구체적인 전수 내용은 불명이나, 공개된 동영상[27][28]과 홈페이지의 내용[29] 등으로 미루어 보아 황도의회에서 전해지던 북진일도류의 조태도(組太刀) 43본(四十三本)의 일부를 계고하고 있으며[30], 이를 격(格)이라 부르며 전승하고 있다. 그 외에 가시마신전 직심영류(鹿島神傳直心影流)를 전승하고 있다.
- 홋카이도(北海道) 오타루(小樽) 계통(系統).
▪스기나미 현무관(杉並玄武館).[36][37]
오타루 현무관의 직계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오타루 현무관의 내제자였던 코니시 쥬지로 나리유키(小西重治郎成之)[38]가 스승 노다 와사부로의 미망인의 허가를 받고 오타루 현무관을 계승하여, 도쿄 스기나미구에 도장을 열고 현무관의 제5대 관장이자 종가를 표명하고 있다. 현재는 제5대 관장인 코니시 신엔 카즈유키(小西真円一之)가 제6대 관장으로 오타루 현무관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스기나미 현무관에서는 북진일도류의 오행지형(五行之形) 15본(十五本)[39][40]·검술 68수(剣術六十八手)·발도술(抜刀術) 56본(五十六本)[41]을 전승하고 있으며, 조태도(組太刀) 43본(四十三本)·장도(長刀) 29본(二十九本)을 복원하여 전하고 있다.
또한 스기나미 현무관의 계보는 아이키도 단체인 대한합기도회(大韓合氣道會)에서 가르침을 청하여 국내에 들어왔으며, 대한합기도회의 본부도장인 서울 신촌 오승도장에서 6대 관장으로부터 북진일도류 현무관(北辰一刀流玄武館) 한국지부(韓国支部)의 관리를 부탁받아 행하고 있다. 2024년 6월에는 외국인 최초로 한국인 7단(七段) 사범(師範)이 초목록(初目錄)[42]을 허락받아 북진일도류를 교습하고 있다. 수련은 주말에 이루어지고, 관원 수는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1년에 2차례 6대 종가를 초빙하여 세미나 및 심사를 열고 있다.
스기나미 현무관에서 7단(七段) 사범(師範)이었던 오오츠카 요이이치로(大塚洋一郎)가 독립하여 창시한 창작 유파.
2012년에 북진일도류의 6대 종가(宗家)를 자칭하며 스기나미 현무관 시절 5단(五段) 문하생(門下生)으로 자신의 제자였던 독일인 마르쿠스 로쉬(Markus Lösch)[43]를 양자로 들여 7대 종가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현재는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활동하며 문하생을 양성하고 있다.
그러나 다 배우지도 않고 나갔기 때문인지 모자란 정통성을 감추기 위하여, 스기나미 현무관의 5대 관장 코니시 쥬지로(小西重治郎)로부터 대목록개전(大目録皆伝)을 수여받고 치바 슈사쿠의 남동생인 치바 사다키치(千葉定吉)의 후손 치바 히로시(千葉弘)를 끌어들여 북진일도류의 종가를 이양받았다고 계보를 날조하였다.[44]
때문에 북진일도류 병법 치바 도장(北辰一刀流兵法 千葉道場, Hokushin Ittō-Ryū Hyōhō)은 자신들만 정통을 주장하고 있을 뿐 정식 후계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 마쓰시로번(松代藩) 계통(系統).
▪마쓰시로 호도관(松代虎韜館)
치바 슈사쿠의 수제자 홋타 코헤이의 직계로, 홋타 코헤이를 초대 종가로 한 북진일도류 홋타파 병법(北辰一刀流塚田派兵法)을 표방하고 있다. 나가노현(長野県)과 아이치현(愛知県) 등지에서 공립 체육센터 등을 대관하여 수련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현 종가는 하야노 신케이(早野真景)이다.
현재 호도관에서는 북진일도류의 오행지형(五行之形) 15본(十五本)·발도술(抜刀術) 56본(五十六本)과 홋타 코헤이가 전수받거나 고안한 여러 기술들을 전승[45] [46]하고 있으며, 북진일도류의 장도(長刀) 29본(二十九本)·북진몽상류(北辰夢想流) 거합(居合) 8본(八本) 등을 복원하여 전하고 있다.
6. 영상 예제
북진일도류 현무관 발도술(抜刀術) 초전(初伝) 시연
북진일도류 현무관 발도술(抜刀術) 오전(奥伝) 시연
미토 동무관 타치 43본(太刀四十三本) 시연(1본~15본)
미토 동무관 타치 43본(太刀四十三本) 시연(16본~30본)
미토 동무관 타치 43본(太刀四十三本) 시연(31본~43본)
6.1. 나기나타
북진일도류병법(兵法) 측 나기나타술(長刀術) 시연 [47]
스기나미 현무관 나기나타술
- 나기나타술 형(長刀術の形) 계고 [48]
- 휘두르기(素振り)
7. 북진일도류를 쓰는 가상 캐릭터
거의 대부분이 막말을 시대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에 나오는 실존&가상 인물들이다. 단, 픽션에서는 실제로 북진일도류가 아니었던 사람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주의할 것.-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 타마바 사토리[49]
- 천공의 패자 Z - 류자키 텐마
- 사쿠라 대전 - 신구지 사쿠라, 신구지 카즈마
- 제도성배기담 - 라이더(제도성배기담)
- 도사의 무녀 - 야나세 마이, 스즈모토 하나
- 붕괴3rd - 라이덴 메이(그림자의 춤)
- 용과 같이 유신! - 사이토 하지메(사카모토 료마)
- 바람의 검심 추억편 - 헤모 시게스케
- 사신소년 - 설기백[50]
8. 관련 문서
[1] 북진일도류 현무관의 카타(형). 오행지형(五行之形) 및 코다치(小太刀) 시연[2] 성명은 치바 슈사쿠, 자(字)는 나리마사(成政), 호는 도류(屠龍), 아명은 오토마츠(於寅松), 초명은 칸(観). 슈사쿠는 북진일도류를 개파하며 고친 이름.[3] 오슈 치바씨(奥州千葉氏)의 시조인 치바 치바노스케 츠네타네(千葉千葉介常胤)의 가전 무술이라고 한다.[4] 오노파 일도류 4대 종가 오노 지로에몬 타다카즈(小野次郎右衛門忠一)의 제자 나카니시 츄타 타네사다(中西忠太子定)가 에도에 일도류 나카니시도장(一刀流 中西道場)을 연 것을 시초로 하는 일도류 계파. 단, 쇼와 시대까지도 해당 유파에서는 스스로 '오노파 일도류' 또는 '오노파 일도류 나카니시파'라고 불렀다. 나카니시파 일도류는 그 후에 붙여진 이름이며, 이 역시 정확하게는 해당 유파에서 '일도류 나카니시파'로 칭하고 있다. 후쿠로시나이(袋竹刀)가 아닌 현재 사용되는 죽도는 이 나카니시파 일도류 3대 종가 나카니시 츠구히로가 개발한 것이다.[5] 아사리 요시노부는 본래 마츠도의 조개를 파는 상민 출신이면서도 3대 종가인 나카니시 츄타 츠구히로(中西忠太子啓)의 눈에 띄어 문하생으로 입문했기 때문에, 신분이 낮은 자신을 발탁해준 나카니시파를 등질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고 한다. 아사리라는 성 자체가 일본어로 모시조개와 발음이 같게 따온 성이다.[6] 단 오노파일도류 계열이 아닌 이토파일도류(伊藤派一刀流) 계열[7] 합리성은 일도류 계열의 유파가 다른 유파와 차이를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이다. 신토류는 말 그대로 신토에 기반을 두었고, 카게류는 불교의 요소가 섞여 있다.[8] 초목록(初目録), 중목록면허(中目録免許), 대목록개전(大目録皆伝).[9] せいがん. 중단으로 칼을 들고 칼끝으로 상대의 눈을 겨누는 자세. 현대 검도의 기본 자세.[10] 세키레이노오(鶺鴒の尾). 칼끝을 할미새 꼬리처럼 끊임없이 가볍게 떨어서 어느 순간에 칼이 나가는지 눈치챌 수 없게 하고, 어느 순간에라도 즉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법. 현대의 검도 대회에서 칼끝을 서로 가볍게 맞대고 가늘게 흔드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11] 경시청류나 검도본은 여러 유파의 검객들이 모여서 만들었지만 실질적인 검도의 훈련과정인 죽도격검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쳤다.[12] 나카니시가 아니라 치바 슈사쿠의 가전 무술인 북진몽상류에서 갖고 왔다고 한다.[13] 계보상 북진일도류의 할아버지 쯤 되는 소야파일도류의 경우, 자체적인 나기나타술은 없고 초쿠겐류 대장도술을 함께 전한다(사사모리 종가 계열).[14] 그동안 사카모토 료마가 받은 나기나타(長刀) 목록만이 남아있고 검술 목록은 찾을 수 없었으나, 2015년에 료마가 북진일도류 면허개전을 받았다고 언급한 문서가 발견되었다 2015년 발견 당시 기사[15] 한국에는 주로 오케초로 알려져 있는데 동일한 한자의 잘못된 음역이다. '료마가 간다' 한국어 번역판에서 오역한 것이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16] 치바 사다키치는 에도 오케마치에 북진일도류의 도장을 세우고 제자들을 육성했는데, 세간에서는 치바 슈사쿠의 오타마가이케 현무관을 대치바(大千葉), 사다키치의 오케마치 현무관을 소치바(小千葉)라고 불렀다. 기술적으로는 소치바가 대치바를 능가한다는 평도 있을 정도였다.[17] 다만 오타마가이케 일대에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틈이 나는대로 오타마가이케 현무관에도 들려 수련했다고 한다.[18] 슈노스케의 자손인 쿠마키(熊木) 가문은 현재 스기나미 현무관의 후원회 명예회장을 맡고 있다.[19] 에도 막부 말기~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며 검선일여를 이룬 유명한 검객이다. 일도정전무도류(一刀正傳無刀流)의 개조이다.[20] 치바 슈사쿠의 제자로 에도 막부 말기의 무사이자 검객이며 막부의 군인이다.[21] 전일본검도연맹(全日本剣道連盟) 소속 검도 도장으로, 검도(剣道)10단(十段)으로 헌창된 나이토 다카하루(內藤高治)와 일본검도형(日本剣道形)의 제정에 참여한 몬나 타다시(門奈正) 등 유명한 검도가들을 다수 배출한 명문 도장이다.[22] 본래 북진일도류의 대부분의 검술형을 전승하고 있었으나, 실전되어 조태도 43본 중 26개의 형(形)만을 전하고 있었다.[23] 전일본검도연맹(全日本剣道連盟) 검도(剣道) 8단(八段)으로 본명은 나카시마 사토시(中島武). 대일본무덕회 무도전문학교(大日本武徳会武道専門学校)에 입학하여 나이토 다카하루(内藤高治)에게 검도를 배우고, 동무관 2대 관장 오자와 이치로의 장녀와 결혼하여 데릴사위가 된다. 아내와 함께 3대 관장 와카바야시 토요키치의 내제자(內弟子)인 모리야마 시게오(森山繁雄)에게 북진일도류를 배웠다. 신타미야류(新田宮流)의 전승자이기도 하다.[24] 동무관 2대 관장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郎)의 장녀.[25] 동무관 2대 관장 오자와 이치로의 양자. 동무관 3대 관장으로 오자와 토요키치(小澤豊吉)라는 이름을 쓰고 있었으나, 오자와 이치로가 늦은 나이에 딸을 낳으면서 데릴사위에게 도장을 잇게 하기 위해 황도의회 도쿄 동무관으로 보내졌다.[26] 전일본검도연맹(全日本剣道連盟) 검도(剣道) 7단(七段)으로 직심영류와 북진일도류에 관한 다수의 글을 검도일본 등의 잡지에 투고하였으며, 현재는 단위를 반납하였다. 일본전통기술보존회(日本伝統技術保存会)의 회장이다.[27] https://www.youtube.com/watch?v=FViKzDE5K5E[28] https://www.youtube.com/watch?v=PdmEpf_GU9A[29] https://www.hokushin-ittoryu.jp/practice/[30] 조태도(組太刀) 43본(四十三本) 중 히토쓰가치(一つ勝), 치쇼(地生), 쵸단(長短), 호쓰(撥), 히라키(開)의 연습이 동영상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쵸단(長短)의 카타를 소태도(小太刀)로 구사하고 있다.[31] 북진일도류 2대 종가. 치바 슈사쿠의 3남으로 장남 기소타로(奇蘇太郎)는 치바 슈사쿠 생전에 요절하고, 차남 에이지로(栄次郎)는 슈사쿠 생전에 이미 별가를 이룬데다가 역시 요절하여, 미치사부로가 북진일도류를 계승하였다. 동무관 계보에서는 치바 에이지로를 2대 종가로 놓는 경우도 있다.[32] 세이난 전쟁에 경시청 발도대로 참전했고, 이후 1886년에 도쿄에서 지성관(至誠館)을 열었다.[33] 본래 이름은 카츠우라 시로(勝浦四郎)였으나 스승 세이지로의 양자가 되어 이름을 코바야시 시로 히로유키(小林四郎祐之)로 바꾸었다가, 나중에 무사수행지였던 오타루 지역 유지 노다 가문의 딸과 결혼과 동시에 양자로 들어가면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34] 선천적으로 눈에 장애가 있어 북진일도류 종가를 이어받지 못했으나 미치사부로 사후 현무관과 주변 부지 등 치바 종가의 유산을 상속했다.[35] 본명 미우라 요시카츠(三浦義勝). 코바야시 시로가 노다 가문의 서양자가 되면서, 대신 제자인 미우라 요시카츠를 양부였던 코바야시 사다유키의 양자로 입적했다. 오타루 중학교 검도 교사를 거쳐 1971년(쇼와 46년)부터 오사카부 토요나카시에 있는 북진관 치바 도장의 검도 사범으로 지내다 1988년(쇼와 63년)에 사망했다.[36] 대외적으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계보로, 대표적으로 NHK 대하드라마 신센구미!나 료마전의 북진일도류 자문은 스기나미 현무관이 담당했으며, 특히 료마전의 경우 작중 료마의 치바 도장 수련 장면에 등장하는 도장 사람들 다수는 스기나미 현무관의 문하생들이다.[37] 사카모토 료마의 암살에 관해서도 스기나미 현무관장이 질의응답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faPgb2k5uOA[38] 전일본검도연맹(全日本剣道連盟) 검도(剣道) 8단(八段)·국제발도도(国際抜刀道) 9단(九段)으로 경찰대학교 검도 사범을 역임하였으며, 르 살롱 영구 회원으로써 각종 미술 대회에 입상한 화백이었다.[39] 일도류 나카니시파의 4대 종가 나카니시 츄베에 사네마사(中西忠兵衛子正)가 고안한 형(形)으로 알려져 있다. 일도류 나카니시파 출신의 검호이자 천진일도류(天真一刀流)의 류조(流祖) 테라다 무네아리(寺田宗有)가 치바 슈사쿠에게 전수하였으며, 이후 치바 슈사쿠가 북진일도류를 창시하면서 오행지형을 개변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현재의 형태로 정립되었다.[40] 스기나미 현무관에서 전승하는 오행지형은 치바 슈사쿠의 유고집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한국 교습과 관련하여 혐한 커뮤니티 5ch에서 '북진일도류에 관한 불편한 진실'이라는 날조까지 만들어가며 반발했지만, 후술할 마쓰시로번 계통의 북진일도류 호도관에서 오행지형의 전서가 존재하며 테라다 무네아리를 통해 치바 슈사쿠에게 전승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41] 스기나미 현무관에서 전승하는 발도술도 오행지형과 마찬가지로 치바 슈사쿠의 유고집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하여 오행지형과 함께 코니지 쥬지로의 창작이라며 날선 비난을 받았지만, 치바 슈사쿠가 제자인 사쿠라다 에이마로(桜田桜麿)에게 전해준 북진일도류(北辰一刀流) 조견양문서(組遣様聞書)에 기록된 북진류 거합(北辰流居合) 좌거합(坐居合) 4본(四本)·입거합(立居合) 4본(四本), 발구(抜構) 3본(三本) 중 좌거합·입거합이 변형되어 북진일도류 발도술 중전(中伝)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나머지 초전(初伝)과 오전(奥伝)의 발도술도 여기서 파생, 발전된 것으로 추정된다.[42] https://aikidonews.co.kr/archives/14372?amp=1[43] 오오츠카 요이이치로의 양자가 되어 오오츠카 류노스케(大塚龍之介)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44] 또한 자신들이 종가로써 스승의 계보인 스가니마 현무관을 파문한다고 선언하거나, 북진일도류에서 수련되지 않는 고상극의오점(高上極意五点)과 갑주무술, 창술을 창작하여 북진일도류의 무술로 날조해 가르치고 있다.[45] 木枯らしの舞, 木の葉落し, 山笠の面, 杖掛けの面, 下段の突き, 千葉の親指斬り, 鞠突きの面, 刺し技, のりみの技, 竹刀取り, 白刃取り, 一文字投げ, 十文字投げ, 撫でくり面, 引き落とし技, 千葉の三段突き, 引き倒し三段斬り, 一刀流伝最上五点張り落としを打ち破る秘術, 千葉栄次郎得意技[46] 이 중 코노하 오토시(木の葉落し)는 스기나미 현무관에서 TV와 DVD 등에서 공개한 바 있다.[47] 답글에 의하면 나기나타 우라(裏) 카타(形) 시연이라고 한다. "Omote is Naginata vs. Tachi or Yari. Ura no Kata is Naginata vs. Naginata."[48] 출처: 북진일도류 현무관 인스타그램[49] 정확하게는 경시류이며, 일본 경시청에서 창안한 경시류에는 북진일도류의 기술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50] 사용하는 능력이 북진일도류 창시자 치바 슈사쿠의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