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뮌헨 공과대학교 | 아헨 공과대학교 | 베를린 공과대학교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 |
| | | | ||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 라이프니츠 대학교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fff> | The Pegasus 유럽 항공 우주 대학 네트워크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16080><colcolor=#fff> 국가 | 소속 대학 | |||
정회원 | |||||
네덜란드 | | ||||
독일 | | | | ||
| | ||||
리투아니아 | | ||||
스웨덴 | | ||||
스페인 | | | | ||
| |||||
슬로바키아 | | ||||
영국 | | | | ||
이탈리아 | | | | ||
| | | |||
체코 | | ||||
폴란드 | | ||||
포르투갈 | | ||||
프랑스 | | (ENAC) | (ISAE-ENSMA) | ||
(ESTACA) | (ISAE-SUPAERO) | | |||
준회원 | |||||
슬로바키아 | | ||||
우크라이나 | | ||||
프랑스 |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c4f9f> | EFFRA 유럽 미래 제조기술 연구협회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소속 연구기관 | ||||
| | | | | |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 찰머스 공과대학교 | 볼로냐 대학교 | 탈린 공과대학교 | |
| | | | | |
노팅엄 대학교 |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 아헨 공과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아보 아카데미 대학교 | |
| | | | 파일:러프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 |
알토 대학교 | 트벤테 대학교 |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 러프버러 대학교 | |
| | | | | |
뢰번 가톨릭 대학교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 겐트 대학교 | 파도바 대학교 | |
| | | | | |
오르후스 대학교 | 리머릭 대학교 |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 카디스 대학교 | 코임브라 대학교 | |
| | | | | |
탐페레 대학교 | 몬드라곤 대학교 | 베르가모 대학교 | 오울루 대학교 | 파트라 대학교 | |
| | | | | |
룰레오 공과대학교 | 오스트라바 공과대학교 | 사우스 이스트 공과대학교 | 모데나 레지오 에밀리아 대학교 | 말라르달렌 대학교 | |
| | | | | |
사반치 대학교 | 로렌 대학교 | 먼스터 공과대학교 | 오스트리아 기술연구소 | 취리히 응용과학대학교 | |
| | | | ||
스위스 남부 응용과학예술대학교 | 리옹 국립응용과학원 | 어퍼 오스트리아 응용과학대학교 | 워터포드 공과대학교 | ||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 |
| |
<colbgcolor=#C03737><colcolor=white> 국가 | 독일 |
위치 | 니더작센주 브라운슈바이크 |
개교 | 1745년 |
학생 수 | 19,694명 |
연간예산 | 3억 3500만 유로 (한화 4천 5백억 원) |
교직원 수 | 6,176명 |
웹사이트 | https://www.tu-braunschweig.de/ |
[clearfix]
1. 개요
독일 니더작센주 브라운슈바이크에 위치한 국립 공과대학교이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1745년에 설립된 공과대학으로, 독일 공과대학 중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9개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 유럽 내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2020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수는 2명이다.[1]
현직 포르쉐와 폭스바겐 그룹의 CEO직을 맡고 있는 올리버 블루메가 이 대학 동문이다.
2. 역사
1745년 설립된 Collegium Carolinum이 기원이다. 이 학교는 기존의 문법학교에서 행해지던 교육을 넘어 종합적인 학문 교육을 통해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이전 단계를 종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학교로, 이공계 관련 학문을 가르치기는 했지만 공학만 가르치는 학교는 아니었다.19세기 초반 이후 이 학교는 지원자가 줄어들면서 점점 위기를 맞게 된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서 내놓은 것이 과학 및 공학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것이었는데, 기존 학문 분과 교수들의 반발로 인해 이 작업은 비록 매우 느리게 진행되기는 했지만, 어찌저찌 1862년 기계공학, 토목공학, 공업화학, 약학, 산림과학, 농업 교육과정을 설치하며 산업기술학교(폴리테크닉)로 전환되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 마련은 몇년 앞서 설립된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를 참고했다고 한다.
독일 제국이 설립된 이후인 1877년에는 산업기술학교에서 정식 대학으로 승격된 뮌헨 공과대학교의 사례를 참고해 이름을 공립 카롤로-빌헬미나 공업대학(Herzogliche Technische Hochschule Carolo-Wilhelmina)으로 변경하고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시켰다. 1880년대 이후 독일 경제가 급속도로 산업화되기 시작하며 학교의 위상 및 크기도 덩달아 상승하였고, 1900년에는 박사학위 수여 권한을 받았다. 1968년 현재 이름인 브라운슈바이크 카롤로-빌헬미나 공과대학교(echnical University Carolo-Wilhelmina zu Braunschweig)로 개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