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9 01:12:20

사이토카인

분자생물학·생화학
Molecular Biology · Biochemistry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17845> 기반 생물물리학 · 물리화학(둘러보기) · 분자화학 (유기화학 · 무기화학 · 고분자화학) · 수학(미분방정식 · 이산수학 · 매듭이론)
기본 물질 아미노산(카복실산) · 리간드
유전체 유전체 기본 구조 아데닌 · 티민 · 구아닌 · 사이토신 · 우라실 · 리보스 · 디옥시리보스 · 뉴클레오타이드(핵산)
유전체 혼합 구성 인트론 · 엑손 · 오페론 · 프로모터
유전체 세부 종류 RNA mRNA · tRNA · rRNA(리보솜) · 리보자임 · miRNA · siRNA · RdDM
DNA A형 구조 · B형 구조 · Z형 구조 · Alu · 게놈 · 텔로미어
관련 물질 효소 보조인자 · 조효소(NADH · NADPH · FAD) · 뉴클레이스 · 디하이드록실레이스 · 레닌 · 루비스코 · 루시페레이스 · 라이소자임 · 라이페이스 · 말테이스 · 셀룰레이스 · 아데닐산고리화효소 · 아밀레이스(디아스타아제) · 역전사효소 · 트립신 · 펩신 · 유전체 중합 효소 · 리보자임
제어 물질 사이토카인 · 신경전달물질(ATP) · 수용체(GPCR)
기타 뉴클레오솜 · 히스톤 · 프라이온 · 호르몬
현상 및 응용 물질대사 · 펩타이드 결합(알파-헬릭스 구조 · 베타병풍) · 센트럴 도그마 · 전사(전사 인자) · 번역 · 복제 · 유전 알고리즘 · 유전 부호 · 대사경로 · TCA 회로 · 산화적 인산화 · 기질 수준 인산화 · 해당과정 · 오탄당 인산경로 · 포도당 신생합성 · 글리코겐 대사 · 아미노산 대사 · 단백질 대사회전 · 지방산 대사 · 베타 산화 · RNA 이어맞추기 · 신호전달 · DNA 메틸화(인핸서) · 중합효소연쇄반응 · 세포분열(감수분열 · 체세포분열) · 능동수송 · 페토의 역설 · 하플로그룹
기법 웨스턴 블롯 · ELISA · PCR · 돌연변이유도 · 전기영동(SDS-PAGE) · 서던 블로팅 · 유전체 편집(CRISPR) · DNA 수선 · 바이오 컴퓨팅(DNA 컴퓨터) · STR · SNP · SSCP
기타 문서 일반생물학 · 분자유전학 · 생리학 · 유전학 · 진화생물학 · 면역학 · 약학(약리학 둘러보기) · 세포학 · 구조생물학 · 기초의학 둘러보기 · 식품 관련 정보 · 영양소 · 네른스트 식 · 샤가프의 법칙 }}}}}}}}}

1. 개요2. 상세3. 종류
3.1. 역할에 따라3.2. 구조에 따라
4. 관련 문서

1. 개요

Cytokine.

사이토카인세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어원 cyto와 움직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어원 kine의 합성어로, 세포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1]의 다양한 단백질들을 일컫는다. 역할은 다양한데 특히 면역세포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한 지원군을 부르는 신호수단으로 사용된다. 가령 대식세포, 림프구, NK세포 등이 외부 항원을 만나면 싸움과 동시에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내고 이 자그마한 단백질을 통해 주변 면역세포들이 모여들게되고 모인 면역세포는 또 사이토카인을 만들어내 연쇄반응으로 더많은 면역세포를 부른다. 간혹 면역반응이 너무 과다하여 사이토카인이 너무 많이 배출되면 일시적으로 신호체계에 오류가 발생하고 자칫 면역세포가 정상세포들을 공격하기도 하는데 이를 흔히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사이토카인 폭풍)이라 부른다. 주로 면역반응이 활발한 20~30대 젊은층에서 발발하고 신종질병이나 변이바이러스등 새로운 항원에 대해 발생되기 쉽다. 일단 발생하면 그 예후가 좋지않다.

기본적으로는 면역 체계의 관리에 주요한 기능을 하며, 호르몬 대비 대단히 낮은 농도로 시스템 전체에 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다.[2] 일반적으론 면역쪽으로 많이들 사용하지만, 면역 외의 다른 기능도 많이 가지고 있다.

2. 상세

다양한 사이토카인 수용체에 붙어서 작용을 한다. 보통은 해당 수용체 아래에 붙어있는 복잡한 신호 전달 체계에 따라서 특정한 회로를 작동시키거나 (예: 세포 자살[3], 세포 분화 등) 또는 특정한 회로를 막아서 길항작용을 일으킨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사이토카인이 작용하면 그 결과는 더욱 복잡해지며, 수용체의 숫자나 밀도, 발현 여부 등에 따라서도 또 복잡한 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지금도 많은 생물학자들이 해당 연구를 논문으로 쏟아내고 있는 중.

가장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토카인의 역할은 염증이나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다. 감기 걸리면 열 오르고 재채기하고 가래 나오고 그러다 낫고 하는 것이 다 사이토카인의 효과. 그리고 자가면역질환에서도 중요한 물질이다.

사이토카인은 스트레스와도 관련되어 있다. 신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계에서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한다.[4] 왜냐하면 구석기시대에는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상황(다른 동물의 위협,싸움 등)이면 높을 확률로 몸에 상처가 났고, 상처를 통해 외부의 박테리아나 기생충이 들어오기 때문에 면역력을 증강시켜 이들을 더 쉽게 이겨내도록 하는 게 유리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신기한 것은 우울증인데, 우울증의 주요 증상인 식욕 감퇴나 흥미 상실 등은 사이토카인이 일으키는 면역 반응과 많이 유사하고 실제로 병에 걸린 사람들이 우울증에 더 많이 걸린다.[5] 어쩌면 우울증과 면역계는 사이토카인을 매개로 한 중요한 관계인지도 모른다.

3. 종류

3.1. 역할에 따라

최초로 발견된 사이토카인은 인터페론 I (1957년)이다. 이후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다양한 물질이 발견되었고, 이름이 하도 복잡해지다 보니 좀 정리하자고 해서 림프구에서 나오니까 림포카인lymphokine'이라고 했다가 '모노사이트나 대식세포에서 나오는 건 모노카인'. 결국 그냥 세포에서 나와 세포로 간다고 퉁쳐서 사이토카인이 되었다.

3.2. 구조에 따라

4. 관련 문서



[1] 대략 20kDa 주변[2] 그러니까 사이토카인 폭풍 같은게 나타난다.[3] 아팝토시스[4] Segerstrom, S. C., & Miller, G. E. (2004).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human immune system: a meta-analytic study of 30 years of inquiry. Psychological bulletin, 130(4), 601.[5] Dantzer, R., O'Connor, J. C., Freund, G. G., Johnson, R. W., & Kelley, K. W. (2008). From inflammation to sickness and depression: when the immune system subjugates the brai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9(1), 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