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사카모토 데이즈
NETFLIX 시리즈 사카모토 데이즈 (20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c30a14; font-size: 1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ffd200; font-size: 1em" SAKAMOTO DAYS''' | |||
{{{#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장르 | 액션, 배틀, 코미디 | |
원작 | 스즈키 유우토 | ||
감독 | 와타나베 마사키 | ||
부감독 | 사이토 아키히로(齋藤昭裕) | ||
시리즈 구성 | 키시모토 타쿠(岸本 卓) | ||
캐릭터 디자인 | 모리야마 요우 | ||
미술 감독 | 마루야마 유키코(丸山由紀子) | ||
색채 설계 | 사사 마나미(笹 愛美) | ||
촬영 감독 | 채백륜(蔡伯崙) | ||
편집 | 히다 아야(肥田 文)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악 | 하야시 유키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타케무라 잇페이(竹村逸平) 스즈키 타카히로(鈴木隆浩) 하야시 타츠로(林 辰朗) | ||
프로듀서 | 하세가와 료타(長谷川良太) 사이토 소이치로(齊藤壮一郎) 야마우치 미라이(山内未來) |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이토 겐키(伊藤元気) | ||
애니메이션 제작 | TMS 엔터테인먼트 | ||
제작 | SAKAMOTO DAYS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1. 11. ~ 방영 중파트 1 2025. 07. ~ 방영 예정파트 2 | ||
송신 기간 | 2025. 01. 11. ~ 송신 중파트 1 2025. 07. ~ 송신 예정파트 2 2025. 01. 11. ~ 송신 중파트 1 미정파트 2 | ||
방송국 | 테레비 도쿄 (토) 23:00파트 1 (화) 00:00파트 2 | ||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독점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2화 (분할 2쿨)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 | | }}}}}}}}}}}} |
[clearfix]
1. 개요
스즈키 유우토의 만화 사카모토 데이즈의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와타나베 마사키, 제작사는 TMS 엔터테인먼트,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 (파트 1) / 2025년 7월 (파트 2).2. 공개 정보
- 일본 한정으로 스트리밍의 경우 넷플릭스를 포함한 프라임 비디오, d아니메스토어, ABEMA 등 대부분의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그 중 넷플릭스의 경우 TV 방영일보다 1주일 앞서 선공개를 진행한다.
2.1. PV
2.1.1. 본편
2.1.1.1. 일본
티저 PV |
메인 PV 제1탄 |
메인 PV 제2탄 |
2.1.1.2. 한국
넷플릭스 코리아 티저 예고편 |
넷플릭스 코리아 예고편 |
넷플릭스 코리아 파이널 예고편[2] |
2.1.2. 캐릭터
아사쿠라 신 | 루 샤오탕 | 사카모토 아오이 & 하나 | 마시모 헤이스케 |
나구모 요이치 | 시시바 | 오사라기 | 사카모토 타로 |
2.2. 키 비주얼
<rowcolor=#000000,#ffffff>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rowcolor=#000000,#ffffff> OTHER 비주얼 | ORDER 비주얼[3] |
3. 줄거리
《사카모토 데이즈》는 스즈키 유토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만화로, 2020년부터 현재까지 슈에이샤의 《주간 소년 점프》에 인기리에 연재 중인 작품이다. 전설의 살인청부업자였던 사카모토 타로가 사랑하는 가족과 평화로운 일상을 지키기 위해, 동료들과 힘을 합쳐 자객들의 위협에 맞서는 액션 활극이다. 일본 살인청부업자 연맹(통칭: 살연)의 직속 특무부대 'ORDER', 살연의 살인청부업자를 노리는 정체불명의 인물 'X(슬러)'와 같은 킬러들이 들끓는 세상에서, 사카모토에게 진정한 힘이란 어떤 의미일까? '''{{{#ffd200,#c30a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c30a14; font-size: 1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ffd200; font-size: 1em"''' '''{{{#ffd200,#c30a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c30a14; font-size: 1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ffd200; font-size: 1em"''' |
― 출처: 넷플릭스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자세한 내용은 사카모토 데이즈/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사카모토 데이즈 주요 등장인물 & 성우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ㆍ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사카모토 타로 CV 스키타 토모카즈/ 홍후백/ 매튜 머서 | 사카모토 아오이 CV 토야마 나오/ 이슬/ 로지 오쿠무라 | |
아사쿠라 신 CV 시마자키 노부나가/ 박성영/ 댈러스 류 | 루 샤오탕 CV 사쿠라 아야네/ 김채린 / 로절리 챙 | |
사카모토 하나 CV 키노 히나/ 강새봄/ 그레이스 루 | 마시모 헤이스케 CV 스즈키 료타/ 미정/ 숄로 마리두에냐 | |
나구모 요이치 CV 하나에 나츠키/ 이경태/ 알렉스 리 | 시시바 CV 야시로 타쿠/ 미정/ 미정 | |
오사라기 CV 하야미 사오리/ 미정/ 미정 | 효우 CV 야스모토 히로키/ 미정/ 미정 | |
오비구로 CV 우치야마 유미/ 김현심/ 알렉사 블리스 | 타카무라 오오츠카 호츄/ 미정/ 미정 | |
보일 CV 마미야 야스히로/ 이현/ 조성원 | X(슬러) CV 나미카와 다이스케/ 미정/ 미정 |
내레이션 | 오오츠카 호츄 장광 |
5. 설정
자세한 내용은 사카모토 데이즈 문서의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6.1. 파트 1
6.1.1. OP
파트 1 OP 走れSAKAMOTO RUN SAKAMOTO RUN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노래 | Vaundy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콘티 | 타나카 타카히로(田中孝弘) | |
연출 | |||
작화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坂道を見ていたせいで 사카미치오 미테이타 세이데 비탈길을 바라보던 탓에 眼の奥が痛む 메노 오쿠가 이타무 눈 깊숙한 곳이 아파 風を受け止まったせいで 카제오 우케 토맛타 세이데 바람에 맞서있던 탓에 足首が痛む 아시쿠비가 이타무 발목이 아파 時折夜道が怖いなら 토키오리 요미치가 코와이나라 때때로 밤길이 무섭다면 指差し 유비사시 가리키고 踏み出し 후미다시 내딛으며 肩を鳴らせ 카타오 나라세 어깨를 풀어라 今だ 이마다 지금이야 真っ赤になるまでアクセル踏み込んで 맛카니 나루마데 아쿠세루 후미콘데 새빨개질 때까지 액셀을 밟아줘 それじゃ足りないまだ 소레쟈 타리나이 마다 그걸론 부족해 아직 クタクタになれ 쿠타쿠타니 나레 너덜너덜해져서 きっと航路に立っている 킷토 코-로니 탓테이루 분명 항로에 설거야 真っ赤になっても涙を飲み込んで 맛카니 낫테모 나미다오 노미콘데 새빨개지더라도 눈물을 삼켜줘 もう気にしないでいよう 모우 키니 시나이데이요- 더는 신경 쓰지 말자 睨んでいよう 니란데이요- 노려보자 飛び出して 토비다시테 튀어나가서 走れ 하시레 달려라 SAKAMOTO DAYS 사카모토 데이즈 SAKAMOTO DAYS 殺伐を溌溂で刺す店長に勝つ策略を 사츠바츠오 하츠라츠데 사스 텐쵸-니 카츠 사쿠랴쿠오 살벌함을 발랄함으로 찌르는 점장에게 이길 책략을 否デブに説法 이나 데부니 셋포- 아니, 뚱보에게 설법 限界は超えてきた 겐카이와 코에테 키타 한계는 넘어왔어 と彼の頬が言っていた 토 카레노 호오가 잇테타 라고 그의 뺨이 말하고 있었어 振り切ったものは全て 후리킷타 모노와 스베테 떨쳐버린 것들은 전부 心の中に宿る 코코로노 나카니 야도루 마음 속에서 머물러 ここでは涙も強さだと 코코데와 나미다모 츠요사다토 여기서는 눈물도 강함이라고 指差し 유비사시 가리키고 「任せた」 마카세타 "맡긴다" 肩を鳴らせ 카타오 나라세 어깨를 풀어라 ほら 호라 자, 真っ赤になるまでアクセル踏み込んで 맛카니 나루마데 아쿠세루 후미콘데 새빨개질 때까지 액셀을 밟아줘 それじゃ足りないまだ 소레쟈 타리나이 마다 그걸론 부족해 아직 クタクタになれ 쿠타쿠타니 나레 너덜너덜해져서 ずっと航路に立っている 즛토 코우로니 탓테이루 계속 항로에 설거야 真っ赤になっても涙を飲み込んで 맛카니 낫테모 나미다오 노미콘데 새빨개지더라도 눈물을 삼켜줘 もう気にしないでいろ 모우 키니 시나이데이로 더는 신경 쓰지 말아 睨んでいろ 니란데이로 노려보고 있어 飛び出して 토비다시테 튀어나가줘 たぎれ 타기레 끓어올라 真っ赤になるまでアクセル踏み込んで 맛카니 나루마데 아쿠세루 후미콘데 새빨개질 때까지 액셀을 밟아줘 それじゃ足りないまだ 소레쟈 타리나이 마다 그걸 부족해 아직 グシャグシャになれ 구샤구샤니 나레 흐물흐물해져서 きっと航路を走っている 킷토 코우로오 하싯테이루 분명 항로를 내달릴거야 真っ赤になっても涙を飲み込んで 맛카니 낫테모 나미다오 노미콘데 새빨개지더라도 눈물을 삼켜줘 もう気にしないでいよう 모우 키니 시나이데이요- 더는 신경 쓰지 말자 笑っていよう 와랏테이요- 웃고 있자 飛び出して 토비다시테 튀어나가서 走れ 하시레 달려라 SAKAMOTO DAYS 사카모토데이즈 SAKAMOTO DAYS |
전반적으로 노래는 좋다는 평. 다른 애니송들이 1월은 커녕 며칠도 못 버티고 차트를 광탈한 것과 달리[4]
6.1.2. ED
파트 1 ED 普通 FUTSUU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노래 | Conton Candy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카마쿠라 유미 | |
연출 | |||
작화감독 | 오오사와 미나(大沢美奈) | ||
총 작화감독 | 카미야 미야코(神谷美也子) |
7. 회차 목록
<rowcolor=#000000,#ffffff> 회차 | 제목[5]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rowcolor=#000000,#ffffff> 파트 1 | |||||||
DAYS.1 | 伝説の殺し屋 전설의 킬러 | 키시모토 타쿠 (岸本 卓) | 와타나베 마사키 | 와타나베 마사키 | 반 유키코 (番 由紀子) 시시도 쿠미코 (宍戸久美子) 시게쿠니 히로코 (重國浩子) 데노 요시노리 (出野喜則) 츠기하시 유키 (次橋有紀) 이시카와 테츠야[A] (石川てつや) 무라마츠 히사오[M] (村松尚雄) 오자와 카즈노리[E] |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 日선행: 2025.01.05. 日/韓: 2025.01.11. |
DAYS.2 | VSソンヒ・バチョウ VS 손히, 바쵸 | 사이토 아키히로 (齋藤昭裕) 와타나베 마사키 니시오 요시히로 (西尾良寛) | 노죠 미치유키 (能條理行)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카미야 미야코 (神谷美也子) 하리우 아이리 (針生愛里) 무라마츠 히사오 쿠마다 아키 (熊田亜輝) 니레키 테츠로[A] 오자와 카즈노리[E] | 반 유키코 신도 마사루 (進藤 優) 히나타 마사키 | 日선행: 2025.01.05. 日넷플릭스: 2025.01.11. 日/韓: 2025.01.18. | ||
DAYS.3 | シュガーパークへようこそ! 슈가파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와타나베 마사키 사이토 아키히로 | 니시오 요시히로 | 츠카모토 아유무 (塚本 歩) 시미즈 요시코 (清水よしこ) 하기와라 마사토 (萩原正人) 오다 마유미 (小田真弓) 이와타 요시미 (岩田芳美) 니노미야 나나코 (二宮奈那子)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시게쿠니 히로코 (重國浩子) 이시카와 테츠야[A] 나카자와 유이치[A] (中澤勇一) 미나미 신이치로[A] 오자와 카즈노리[E] | 히나타 마사키 반 유키코 데노 요시노리 | 日넷플릭스: 2025.01.18. 日/韓: 2025.01.25. | |
DAYS.4 | ハードボイルド 하드보일드 | 이바타 요시히데 | 시마다 히데아키 노죠 미치유키 하리우 아이리 시시도 쿠미코 쿠마다 아키 사카이 사토시[A] 나카자와 유이치[A] 이시카와 테츠야[A] 오자와 카즈노리[E] | 데노 요시노리 카미야 미야코 | 日넷플릭스: 2025.01.25. 日/韓: 2025.02.01. | ||
DAYS.5 | 強さの理由 강한 이유 | 와타나베 마사키 | 스즈키 타카토시 (鈴木孝聡) | 하기와라 마사토 시미즈 요시코 이와타 요시미 츠기하시 유키 오다 마유미 나카무라 준코 (中村純子) 카미야 미야코 이와오카 유코 (岩岡優子) 마에카와 미호코 (まえかわみほこ) 니레키 테츠로[A] 무라마츠 히사오[M] 오자와 카즈노리[E] | 히나타 마사키 데노 요시노리 | 日넷플릭스: 2025.02.01. 日/韓: 2025.02.08. | |
DAYS.6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DAYS.7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DAYS.8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DAYS.9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DAYS.10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DAYS.11 | 日넷플릭스: 2025. 日/韓: 2025. | ||||||
<rowcolor=#000000,#ffffff> 파트 2 | |||||||
DAYS.12 | 日: 2025.07. 韓: 미정 | ||||||
DAYS.13 | 日: 2025. 韓: 미정 | ||||||
DAYS.14 | 日: 2025. 韓: 미정 | ||||||
DAYS.15 | 日: 2025. 韓: 미정 | ||||||
DAYS.16 | 日: 2025. 韓: 미정 | ||||||
DAYS.17 | 日: 2025. 韓: 미정 | ||||||
DAYS.18 | 日: 2025. 韓: 미정 | ||||||
DAYS.19 | 日: 2025. 韓: 미정 | ||||||
DAYS.20 | 日: 2025. 韓: 미정 | ||||||
DAYS.21 | 日: 2025. 韓: 미정 | ||||||
DAYS.22 | 日: 2025. 韓: 미정 |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d200,#c30a14> 파트 1 | ||
<colcolor=#c30a14,#ffd2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DAYS.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DAYS.2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DAYS.3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DAYS.4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DAYS.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9. 해외 공개
일본 이외 국가에서는 넷플릭스 독점작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로만 공개되는데, 특이하게 음성의 경우 일본어, 영어, 한국어를 포함해 다양한 언어[22]를 지원한 상태로 일본 TV 방영이 끝난 뒤인 토요일 23:30[23]에 공개한다.9.1. 대한민국
9.1.1. 더빙
<colbgcolor=#ffd200,#c30a14><colcolor=#000000,#ffffff>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 |
스튜디오 | Pixelogic APAC[24] |
연출 | 김형석 |
번역 | 김보람 |
녹음 | 안효진 |
편집 | |
믹싱 | 이하늘 |
프로젝트 매니저 | 이하나 김찬미 |
10.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10.1. 방영 전
액션 위주의 작품이다 보니 제작사가 TMS 엔터테인먼트인 것을 우려하는 일부 팬들이 있으나, TMS는 소닉 언리쉬드 오프닝부터 명탐정 코난, 루팡 3세 시리즈까지 총기, 자동차 작화로는 상당한 수준을 자랑하는 회사이다.[25] 와타나베 마사키 감독도 애니메이션 팬들이 큰 관심을 안 주는 배틀스피리츠 애니메이션 시리즈 위주로만 감독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 실력은 있는 인물이므로 그렇게 큰 불안 요소는 없다. 무엇보다 와타나베 감독은 이펙트를 많이 쓰기 때문에 액션도 기본 이상은 하는 편.하지만 대부분의 주요 인물 PV가 공개된 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이 가세를 보이고 있다. 호불호가 갈리는 성우 캐스팅[26], 원작과 대비되는 너무나도 밝은 채도 및 뚝뚝 끊기는 액션, 촬영 문제 등. 원작 팬들이 기대하던 것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다. 원작 팬들은 개그씬 외에는 하드보일드하고 과격한 면도 있는 연출이 되기를 원했는데, 감독이 주로 아동용 애니 연출 전문이라 성인 팬 취향과 좀 동떨어진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는 PV의 짧은 장면이 아닌 본편을 시청해야만 알 수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이러한 부분들이 개선되기를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프닝이나 개별 연출로 아라키 테츠로가 참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편집 직책에 히다 아야[27]가 있는 데다가 캐릭터 디자인의 모리야마 요우는 아라키 테츠로의 친구다. 또한 아라키 테츠로는 원작의 팬으로 자주 사카모토 데이즈의 트윗을 올렸다. 직전 푸른 상자처럼 팬으로서 참여하기도 하고,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2기처럼 아내가 편집으로 있어서 참여하거나 빈란드 사가 2기처럼 친구가 감독이라 만들어준 전적도 있는 만큼 세 요소를 모두 갖춘 본작은 참여 가능성이 꽤 높다.
방영 전에 TV판 오프닝이 미리 공개되었는데, 전체적으로 정적인 연출, 작품의 특색이 거의 드러나 있지 않고 캐릭터들을 단순하게 나열할 뿐인 평이한 구성 탓에 평이 좋지 않다.
파이널 예고편에서 액션 부분에서 괜찮은 연출을 보여주며 아직은 기대해 볼 만하단 의견이 많아졌다.
10.2. 방영 후
방영 전 완성도 낮은 PV로 인해 낮았던 기대치와는 달리 1화는 꽤나 힘을 준 액션으로 호평을 받았는데, 퀄리티는 원작의 구도와 비교해서 다소 박력과 속도감이 떨어지는 부분은 있더라도 와타나베 마사키 감독의 뛰어난 연출 실력 덕분에 전반적인 원작의 주요 액션신들을 잘 살려냈다는 평을 받았으며 방영 전부터 많은 불안을 샀던 팬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오히려 호평받고 있다.그래도 앞서 설명했듯이 필요 이상으로 밝은 색채와 촬영 문제는 여전히 평가가 안좋으며 다소 작화 퀄리티가 떨어지는 부분도 있지만 이는 방영 전부터 거론되고 있었던 문제였고, 오히려 팬들은 순수 작화보다 액션 연출에 대한 걱정이 큰 작품인지라 이 부분에선 나름 안심을 샀다.[28]
나름 무난일색으로 진행되었더니 5화는 정적인 장면이 많고 전개 속도가 너무 빨라 평이 안 좋다. 심지어 감독이 직접 연출한 화임에도 그렇다. 그나마 호평할 부분은 보일 전의 경우에는 원작의 액션씬을 잘 살렸지만 정지씬 덕분에 애니보다는 만화 연출같은 느낌이 강해졌고, 더구나 하이라이트 장면인 관람차의 명장면을 맥없이 살려놔서 명장면이 맞는건가 싶을 정도로 엉성한 편집 탓에 진중함이 전달이 안되어서 어색한 느낌이 들게끔 해버렸다.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찜찜한 느낌을 주는 탓에 이번 화는 연출도 망친 셈이 되었다.
세세하게 들어간다면, 인물 간의 체술을 사용한 격투 장면은 액션이 잘 나오지만, 차나 총기 등의 물체를 이용한 격투 장면은 급격하게 퀄리티가 떨어지는 기복을 보인다. TMS 엔터테인먼트는 본래 자동차, 총기 씬을 잘 그리고 연출하는 제작사이지만, 2020년대 들어 자동차 류 등의 기계나 총기 작화를 할 줄 아는 애니메이터들이 총체적으로 적어지면서 생긴 문제라는 분석이 많다.
각본과 미술은 원작 반영에 충실한 편이다. 원작보다 디테일을 살려낸 부분도 있고,[29] 원작에서 초반에 설정이 잡히지 않았을 때의 묘사를 후반 내용에 맞춰 수정한 부분들도 있다.[30] 일부 개연성이 부족하거나 논란의 소지가 있는 장면들은 이야기의 흐름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적절하게 수정하기도 한다.[31]
작품의 평가와는 별개로 OTT 성적은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1,2화 공개 직후에는 일본 넷플릭스, 프라임 비디오, ABEMA 등 일본 내 각종 OTT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일본 넷플릭스에서 1주일 내내 1위를 유지하였고,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시리즈 부문 비영어권 순위에서 2주 연속 2위를 기록하며 높은 화제성을 보이고 있다.[32]
11. 원작과의 차이점
- {{{#!folding 1화(원작 1화) [ 펼치기 · 접기 ]▼
- 작중 등장하는 전투씬들에 오리지널 장면들이 추가되었다.
- 현역 시절 사카모토 : 원작에서는 적들의 목을 자르고 총으로 제압하는 등 간략하게 나왔지만, 애니에서는 끈으로 목을 조르거나 철근을 던져 적을 제압하는 장면과, 유리창으로 보이는 지형 뒤에서 사격으로 다수의 적들을 사살하는 등 여러 액션씬이 추가되었다.
- 사카모토 VS 신 : 사카모토가 사탕 새총을 쓰기 직전에 초콜릿을 던져 신을 입구 진열대로 유인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사카모토와 신이 조직원들과 싸우는 장면 : 사카모토가 나무 젓가락과 볼펜으로 총알을 막거나, 지형지물을 활용해 적들을 제압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꼬마가 넘어지다 남자의 바지에 먹물통을 엎었던 부위가 바지 끝자락에서 무릎 아래로 바뀌었으며, 발버둥 치다 바지에 발자국을 남기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신이 침대에 눕기 전에 편의점을 들르고 샤워를 한 뒤 휴대식량을 먹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꼬마가 아오이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신이 간파하는 장면은 생략하고, 대신 신에게 같이 놀자는 대사로 바뀌었다.
- 사카모토가 카운터에서 계속 컵라면 먹는 상태에서 신에게 경고하는 걸로 바꾸었다.
- {{{#!folding 2화(원작 2, 4, 5화) [ 펼치기 · 접기 ]▼
- 원작 2화의 버스 납치 사건이 생략됐고, 3화는 통째로 생략됐다.
- 원작 4~5화의 루 샤오탕 등장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하면서 원작 2화에 나온 아오이가 "가훈 어기면 이혼이야!"라고 으름장 놓는 장면, 아오이가 사카모토에게 살인을 하지 말라고 약속했던 회상, 사카모토가 신에게 가훈을 보여주는 장면만 끼워넣었다.
- 루의 옷차림이 변경되었다.
- 루와 추격자들의 전투가 좀 더 추가되었다.
- 원작 2~3화의 사건이 전부 잘린 탓에, 신이 도망치면서 "요새 항상 이런 식이네요!"라고 투덜거린 대사도 생략되었다.
- 바쵸와 손히 형제와의 전투 장면이 조금 더 늘어났다.
- 신이 루를 '차이나'라고 부른 장면이 '핑크 머리'로 바뀌었다.
- 루가 진열을 제대로 못해서 신이 화내는 장면은 3화로 옮겨졌다.
- C파트에 돈덴회가 사카모토의 수배서를 펼치며 10억 엔 현상금이 걸렸다고 말하는 오리지널 장면이 추가되었다. 원작에선 10억 현상금을 처음 언급한 건 사카모토 상점에 찾아온 나구모 요이치였다.
- {{{#!folding 3화(원작 6~8화) [ 펼치기 · 접기 ]▼
- 2화 후반에서 빠졌던, 루가 진열을 못하는 장면이 이번 에피소드로 옮겨졌다. 원작에선 너저분하게 쌓아뒀을 뿐인데, 애니판에선 진열대에 상품을 우겨넣는 등으로 훨씬 심해졌다.
- 사카모토가 나구모의 신원을 알려주는 대사가 속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말로 하는 걸로 바뀌었다. 생각으로만 하면 신만이 아니라 독심술을 못 쓰는 루까지 바로 반응하는 게 이상하므로 수정한 듯하다.
- 돈덴회의 회의 장면에 변화가 생겼다.
- 원작에선 음영이 져서 보스 외의 인물들은 잘 안 보였으나 애니판에선 뚜렷이 보인다.
- 원작에선 회의에 참석한 보일이 참석하지 않는다. 나중에 보일이 '보스가 있는 본부가 어디 있는지 모른다'라고 말하는 것과 안 맞아서 수정한 듯.
- 쿠리이 닝이 환경미화원 옷을 갖춰입고 있으며, 타츠에게 복장이 시대착오적이란 말을 듣는다. 암살 실패 이후 타츠가 "시대착오적 어필했어요~"라고 한 대사에 복선을 깐 것.
- 돈덴회 보스가 사카모토에게 "지옥이라, 기대되는걸?"이라 받아친 대사가 빠지고 타츠가 "꽤 어필하는걸."이라 말하는 걸로 바뀌었다.
- 타츠가 쿠리이 닝을 찔러 죽이지 않고 벤치에 앉은 채 지켜보는 것으로 바뀌었다.
- 원작에선 또렷이 나오지 않은 사카모토와 신의 수배서가 또렷하게 나온다. 원작에선 9권에서야 처음 나오는 신의 풀네임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 롤러코스터에서 신과 루의 대화가 추가되었다.
- 맨 뒷자리에 타는 이유는 원작에선 신이 "뒷자리가 가장 빨라."라고 해서 루가 어이없어했으나, 애니판에선 "적을 발견하기 쉽잖아."라고 설명하고 그 다음 뒷자리가 가장 빠르다고 말하자 루가 "속도는 똑같잖아."라고 태클 건다.
- 루가 신에게 적이 있는지 물어본다.
- 루가 타츠를 보고 딱 봐도 이쪽 업계 사람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원작에선 신이 "그래?"라고 의아해했을 뿐이나 애니판에선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마."라고 좀더 직접적으로 태클 건다.
}}} - {{{#!folding 4화(원작 9~11화) [ 펼치기 · 접기 ]▼
- 보일과 오비구로가 유원지에 막 도착해서 만담 벌이는 장면이 가장 앞 장면으로 당겨졌다.
- 루가 롤러코스터 타고 무서워하면서 신을 찾는 장면 추가.
- 신이 타츠에 대해서 히어로 쇼의 배우가 로프 푸는 연습하는 걸 구경하고 있었다고 아오이에게 변명하는 장면 추가. 원작에서 타츠의 묶인 모습을 보고도 아오이가 아무 반응이 없는 것에 대해 그나마 설명을 추가한 것.
- 보일과 오비구로가 100명 이상을 죽였다는 항쟁 이름이 론리코 항쟁에서 발칸 항쟁으로 변경.
- 사카모토 일행이 원작에 안 나온 회전목마, 자이로드롭 등을 타며 시간을 보낸다.
- JCC가 나중에 9~12권에서 본격적으로 나올 때의 설정에 맞춰 묘사된다.
- 건물 형태가 74화에 나온 모습으로 수정되었다.
- 사격장이 원작 75화에 나온 모습으로 수정되었다.
- 식당에 원작 76화에 나온 JCC 덮밥을 안내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 보일이 느낀 사카모토의 살기(뒤에서 칼에 찔림)를 묘사할 때 양팔은 잘리지 않는 걸로 바뀌었다.
- 이 에피소드의 변경점은 아니지만, 원작에서 사카모토가 처음으로 살을 빼는 3화의 내용이 애니에서 생략되었기 때문에 이번 에피소드로 처음 살을 뺀 것이 되었다. 이 탓에 사카모토가 진짜로 살을 순식간에 뺀 건지 아니면 보일이 환각을 보고 있는 건지 헷갈려 하는 시청자도 꽤 있다.
}}} - {{{#!folding 5화(원작 12~15화) [ 펼치기 · 접기 ]▼
- 무려 원작 4화 분량이 들어가다 보니 전개 속도가 매우 빠르며 생략된 대사가 많은 편이다. 다만 스토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대사들은 거의 생략되지 않았다.
- 오비구로의 기술명 생략.
- 신과 아오이가 깨어난 다음에 신이 아오이에게 변명하다가 더 수상쩍게 여겨지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신이 살 빠진 사카모토를 보고 깜짝 놀라면서도 좋아하고, 사카모토가 "사람은 움직이면 살 빠져."라고 설명하는 장면 추가. 원작과 달리 처음으로 살을 뺀 장면이 되었기 때문에 설명을 추가한 것이다.
- 신이 돈덴회 영화를 보고 "역시 카나구리 감독."이라 말한다. 신이 카나구리의 팬이란 설정을 반영한 것.
- 사카모토가 돈덴회 건물 창문으로 잠입할 때 상대의 뒤로 돌아가 스턴건을 쏘는 장면이 창문 위에서 바로 쏘는 것으로 변경.
- 원작에선 시시바가 요리장의 귓속을 마구 찔러 죽였으나, 애니판에선 손등을 찌르는 것으로 바뀌어 죽이지 않는다.
- 원작에선 이리야가 사시였으나 애니판에선 정상적인 눈으로 수정되었다.
- 원작에선 루에게 술병으로 맞은 킬러가 가만히 있었으나 애니판에선 맞고 졸도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12. 기타
===# 애니화 발표 이전 #===2022년 들어 앙케이트 상위권에 안정적으로 안착했음에도 불구하고 100화를 넘길 때까지도 인기 대비 애니화 관련 소식이 일절 나오지 않아 현지 팬들이 낙담한 상태였다. 점프에서는 작품이 출하되지 않는 이상 웬만해서는 애니메이션 방영을 적극적으로 밀어 주는데다 사카모토보다 판매량이 낮은 작품들도 점프 빨로 애니화가 되는 마당에 혼자 소식이 없어 이런 저런 추측이 나왔다.[33]
애니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고난도의 액션 작화가 문제라거나 제작은 결정되었으나 제작사 사정으로 진행이 힘든 상황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근래 작품들 중 워낙 압도적인 액션 화력을 자랑하고 있기 때문. 좋은 퀄리티를 위해 신중하게 고르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기획조차 고려도 안한 것인지 기대 또는 불안을 샀다.
한편으로는 마슐, 언데드 언럭 등의 동세대 작품의 경우 같은 해에 연재를 시작했어도 사카모토 데이즈와는 연재기간이 반년 이상 차이가 있는데다 각각 12권, 13권이 발매될 시기에 애니화 발표가 났으며, 귀멸의 칼날도 11권이 발매됐을 쯤[34]에야 애니화 발표가 났으니 특별히 사카모토만 애니화가 늦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 또한 존재했으나, 14권 발매 및 3주년이 되도록 아무 소식이 없었다.
22년 8월에 애니메이션 제작썰이 트위터 계정에서 유출된 적이 있었으나 9개월이 지나도록 정식 발표가 나오지 않았다. 당시에는 신빙성있게 받아들여져서 나무위키 내에서도 문서가 만들어졌으나 감감 무소식이 되면서 말그대로 루머인 것으로 받아 들여졌다.
그러다 16권이 발매되고 17권이 발매 예정인 24년 5월이 돼서야 애니화가 정식으로 발표되고 PV가 공개되었다.
[1] 주간 소년 점프 前 편집장 나카노 히로유키가 점프 최신 정보를 전달하는 유튜브 미니 프로그램.[2] 오디오가 영어고 자막도 영어 오디오 기반이다.[3] [4] 요네즈 켄시의 BOW AND ARROW는 발매가 1월 27일이라 차트에 없었을 뿐이다.[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 송신판을 기준으로 한다.[A] 액션[M] 메카[E] 이펙트[A] [E] [A] [A] [A] [E] [A] [A] [A] [E] [A] [M] [E] [22] 독일어, 스페인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프랑스어, 힌디어[23] 1화 한정 TV 방영 시작 직후에 공개되었다.[24] 일본의 미디어 그룹 IMAGICA GROUP의 계열사이며, 한국에서는 2022년 쥬스미디어를 인수한 형태로 지사를 설립하였다.[25] 메카 작화는 어렵고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분야이다. 잘한다고 알려진 유명 제작사 중에서도 이걸 못하는 제작사가 꽤 많은 실정이다. TMS는 다른 부분은 몰라도 이 부분에선 특별히 문제를 보인 적이 없다.[26] 성우진들 자체는 호화진이지만 ORDER가 공개된 이후 원작 캐릭터들과 어울리지 않는 미스 캐스팅으로 까이고 있다. 팬들은 보이스 코믹 쪽 캐스팅을 더 선호한다. #[27] 아라키 테츠로의 아내다.[28] 하지만 2화에서의 너무나 투박한 색감과 느릿느릿한 액션씬들은 반응이 좋지않았으나, 이후 나온 3, 4화에서 이를 만회하는 어느 정도 스피디하면서도, 타격감이 잘 디자인된 액션씬으로 평가를 다시 올렸다.[29] 일례로 3화에 나온 사카모토와 신의 수배서는 원작에선 대충 그려져 있었으나 애니판에선 내용을 자세히 써 놨다.[30] 대표적으로 JCC의 묘사가 원작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할 때의 묘사에 맞춰 수정되었다.[31] 대표적으로 원작에서 꽤 말이 많았던 시시바의 요리사 살해 장면.[32] 해당 기간 860만뷰, 570만 뷰를 기록하며 직전분기의 단다단이나, 전년도 귀멸의 칼날: 합동 강화 훈련편보다 높은 초반 조회수를 기록하였고, 1위가 오징어 게임 2인 점을 감안하면, 기존의 여러 일본 애니메이션과 비교해 넷플릭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사카모토 데이즈가 일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넷플릭스 독점이기 때문에 넷플릭스로 재생수가 몰리는 점도 참작해야 한다.[33] 심지어 1년 더 늦게 연재를 늦게 시작했고, 애니화 난이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단다단이 먼저 애니화 되었고, 실제로 단다단보다 사카모토 데이즈 애니가 한 분기 더 늦게 방영한다. 이후 단다단 2기가 2025 7월 (3분기)로 결정되면서, 소년 점프와 플러스의 집안 싸움이 예고되었다.[34] 당시 단행본 누계 발행부수 약 250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