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112 | 2113 | 2114 | 2115 | 2211 | |
2212 | 2221 | 2222 | 2224 | 2227 | |
2230 | 2233 | 2236 | 2311 | 2312 | |
2412 | 2413 | 2415 | 2416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1. 개요
보광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4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도착]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태릉시장입구) | ||
종점 행 | 첫차 | 05:30 | 기점 행 | 첫차 | 06:09 |
막차 | 23:30 | 막차 | 00:11 | ||
평일배차 | 8~14분 | 주말배차 | 토요일 8~14분 / 공휴일 10~16분 | ||
운수사명 | 보광운수 | 인가대수 | 13대[1] | ||
노선 |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 새솔초등학교 - 중랑경찰서정문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서울의료원후문 - 봉화산역 - 신내4단지 - 신안2차아파트 - (→ 동양쇼핑 → 우리은행태릉역지점 →/← 묵동구길 ←) - 태릉입구역 - 석계역 - 태릉입구역 - 브라운캐슬 - 묵2동주민센터 - 제일시장 - 중화역입구.대원사약국 → 태릉시장입구 → 태릉시장입구굴다리→ 중랑역.동부시장 → 중화2동새마을금고 → 중화2동주민센터 → 중화역입구.대원사입구 → 이후 역순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석계역 → 태릉입구역 구간은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해야한다. |
3. 역사
- 태릉시장마을버스에서 운행하던 2번 마을버스(석계역 - 태릉시장 - 동부시장)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그와 동시에 번호도 2114번으로 바뀌었다.
- 2006년 9월 1일에 중랑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고, 석계역을 지나 태릉시장입구에서 회차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회차지가 1권역에서 2권역으로 바뀌었지만, 번호 변동은 없었다.
- 2008년 9월 1일에 1116번 폐선분 5대가 증차되었다.
- 2011년 3월 30일에 서울의료원 후문 경유로 바뀌었다.
- 2013년 12월 14일부터 우디안아파트1단지와 능마을을 경유한다.
- 2014년 6월 5일에 우디안아파트2단지, 중랑경찰서정문 경유로 바뀌었다. 참고로 우디안아파트2단지 경유 이전까지는 순환버스 요금을 받았던 노선이다. 즉, 舊 차등지선버스 중 하나였다.
- 2015년 초부터 용림교통이 재정난을 겪으면서, 파행운행을 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운행중단을 대비해 8221번이 계획되었으나, 실제 신설되지는 않았다.
- 2015년 7월에 운수업체 사명이 용림교통에서 보광운수로 바뀌었다.
- 능말입구지하차도 방음벽 공사로 인해 2017년 9월 4일부터 능말입구 정류장을 거치지 않고 우디안220동을 한 번 더 거쳐서 간다.관련 공문
4. 특징
- 2113번과 함께 석계역굴다리앞 정류소를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다만, 2113번과 달리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에 정차한다.
- 태릉입구역 7번 출구.서울생활사박물관, 태릉입구 정류소를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 중랑역은 중앙차로 정류장이 아닌 가변차로 정류장(중랑역 동부시장 1)에 정차한다.[4]
- 7730번처럼 회차지점 혹은 기점이 변경되었지만, x2xx번대 번호가 아니다. 굳이 일련번호를 유지한다면 2214번이 되겠지만 아직 미반영. 이에 대해선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아마도 석계역(노원구)을 양방향으로 다니기 때문에 사실상 석계역을 중간회차지로 취급해서 21xx인 이유도 있어 보인다.
- 태릉입구역과 석계역[양뱡향정차정류소]에서는 양 방향 차량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주의.[6] 특히 중랑역 방향의 경우 유일하게 석계역에서 가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봉화산 방향은 2113번으로 대체 가능). 앞 행선판에 운행 방향이 써져 있다.
중랑공영차고지.종점 방향 태릉시장입구 방향 차고지방향
(석계역)동부시장방향
(석계역)
4.1. 시간표
- 중랑공영차고지 기준이며, 통과시각은 아래의 표를 참고할 것.
4.2.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중랑교동부시장 07321 | ← | 중랑역.동부시장1 07124 | |||
중화2동새마을금고 07319 | ↓ | ↑ | 태릉시장입구굴다리 07399 | |||
성은교회앞 07422 | 태릉프라자약국농협 07398 | |||||
중화2동체육공원 07316 | ↓ | ↑ | 태릉시장입구 07397 | |||
중화2동주민센터 07252 | 중화역입구대원사약국 07395 | |||||
이상 회차 구간 | ||||||
중화역입구대원사입구 07396 | ↓ | ↑ | - | |||
신동신약국 07394 | 신동신약국 07393 | |||||
제일프라자 07392 | ↓ | ↑ | 제일시장 07391 | |||
신묵초등학교 07390 | 신묵초등학교입구 07389 | |||||
금보당금은방 07388 | ↓ | ↑ | 금보당금은방 07387 | |||
묵2동주민센터 07386 | 묵2동주민센터 07385 | |||||
먹골역입구 07384 | ↓ | ↑ | 먹골역입구 07383 | |||
브라운캐슬 07382 | 브라운캐슬 07381 | |||||
묵동롯데시네마 07380 | ↓ | ↑ | 묵동롯데시네마 07379 | |||
태릉입구역 11105 | 태릉입구역 11106 | |||||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11312 | ↓ | ↑ | - | |||
석계역2번출구 11284 | 석계역 08147 | |||||
석계역1번출구.A 11283 | ↓ | ↑ | 석계역1번출구.A 11283 | |||
석계역 08147 | 석계역2번출구 11284 | |||||
- | ↓ | ↑ |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11312 | |||
태릉입구역 11106 | 태릉입구역 11105 | |||||
- | ↓ | ↑ | 우리은행 07375 | |||
묵동구길 07213 | 동양쇼핑 07373 | |||||
신안2차아파트입구 07353 | ↓ | ↑ | 신안2차아파트 07352 | |||
먹골파출소.신안아파트입구 07351 | 먹골파출소.신안아파트입구 07350 | |||||
원묵고등학교 07349 | ↓ | ↑ | 세방아파트입구 07348 | |||
신내5단지아파트 07293 | 신내4단지아파트 07292 | |||||
태릉고등학교.원묵초등학교 07431 | ↓ | ↑ | 태릉고등학교.원묵초등학교 07430 | |||
봉화산역3번출구 07297 | 봉화산역2번출구 07296 | |||||
서울의료원후문 07432 | ↓ | ↑ | 서울의료원후문 07433 | |||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07434 |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07435 | |||||
중랑공영차고지 07337 | ↓ | ↑ | - |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550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418 | |||||
능말입구 07442 | ↓ | ↑ | 능말입구 07447 | |||
신내우디안아파트107동앞 07459 | 신내우디안아파트107동앞 07460 | |||||
중랑경찰서정문.우디안101동앞 07457 | ↓ | ↑ | 중랑경찰서정문.우디안101동앞 07458 | |||
우디안아파트114동앞 07464 | 우디안아파트114동앞 07463 | |||||
새솔초등학교 07456 | ↓ | ↑ | 새솔초등학교입구 07455 | |||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정문앞 07454 | - | |||||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220동앞 07452 | ↓ | ↑ |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220동앞 07453 | |||
- | 신내SKV1센터 07446 | |||||
당너머 07450 | ↓ | ↑ | 당너머 07451 | |||
중랑공영차고지.종점 ·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07551 · 07462 |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114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4,553명 | - |
2014년 | 6,294명 | △ 1,741 |
2015년 | 6,638명 | △ 344 |
2016년 | 6,260명 | ▽ 378 |
2017년 | 5,946명 | ▽ 314 |
2018년 | 5,394명 | ▽ 552 |
2019년 | 5,414명 | △ 20 |
2020년 | 4,139명 | ▽ 1,275 |
2021년 | 4,167명 | △ 28 |
2022년 | 4,580명 | △ 413 |
2023년 | 4,755명 | △ 175 |
2024년 | 4,996명 | △ 24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4년 신내 3지구 연장으로 인해 승객이 1700명 늘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봉화산역, 태릉입구역, 석계역
서울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랑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신내역, 중랑역
6. 둘러보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103 | 104 | 172 | 774 | ||||
0017 | 1014 | 1017 | 1114 | |||||
1119 | 1122 | 1126 | 1129 | |||||
1130 | 1131 | 1133 | 1136 | |||||
1137 | 1141 | 1142 | 1143 | |||||
1162 | 1164 | 1221 | 1226 | |||||
2113 | 2114 | 2115 | 4433 | |||||
5519 | 5621 | 6624 | 7024 | |||||
7726 | 8003 | 8101 | 8777 | |||||
* 2025년도 기준 36개 노선 (마을버스 제외) |
[1] 토요일 12대 / 공휴일 10대 운행[2] 편도 정차 정류소: 중화역입구대원사약국, 태릉시장입구, 태릉프라자약국농협, 태릉시장입구굴다리, 중랑역동부시장1, 중랑교동부시장, 중화2동새마을금고, 성은교회앞, 중화2동체육공원, 중화2동주민센터[3] 편도 정차 정류소: 묵동구길, 동양쇼핑, 우리은행[4] 반대 방향 정류소는 320번이 정차한다. 320번과 2114번이 각각 편도 정차하는 셈.[양뱡향정차정류소] 태릉입구역, 한진한화그랑빌아파트, 석계역 2번출구, 석계역1번출구 A, 석계역[6] 이 탓에 2236번과 같이 수동행선판을 끼우고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