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7c30> 상징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 백루테니아 · 흑루테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소련(벨라루스 SSR) · 색깔혁명(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벨라루스/외교 · 벨라루스 여권 | |
경제 | 벨라루스 루블 | |
국방 | 벨라루스군 | |
교통 | 민스크 지하철 | |
문화 | 정교회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요리(보르시)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 |
인물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 |
지리 | 벨로베즈스카야 숲 | |
민족 | 벨라루스인(러시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미국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 벨라루스계 라트비아인 · 벨라루스계 영국인 · 벨라루스계 프랑스인 · 벨라루스계 독일인 · 벨라루스계 리투아니아인 · 벨라루스계 캐나다인 ·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벨라루스계 스페인인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Светлана Алексиевич | Svetlana Alexievich | ||
<nopad> | ||
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스뱌틀라나 알략산드라우나 알렉시예비치 (Святла́на Алякса́ндраўна Алексіе́віч)[1] | |
국적 | [[벨라루스| ]][[틀:국기| ]][[틀:국기| ]] | |
출생 | 1948년 5월 31일([age(1948-05-31)]세) [[소련| ]][[틀:국기| ]][[틀:국기| ]] 우크라이나 SSR 스타니슬라프주 스타니슬라프[2] | |
직업 | 작가 |
[clearfix]
1. 개요
벨라루스의 작가. 주요 작품으로는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체르노빌의 목소리》 등이 있다. 201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2. 생애
그녀의 생애(문학동네 블로그)1948년에 우크라이나 SSR의 스타니슬라프주 스타니슬라프(오늘날의 이바노프란키우시크 주 이바노프란키우시크)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벨라루스계, 모친은 우크라이나계이다.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지만 벨라루스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1972년 벨라루스 국립대를 졸업한 후 기자로서 벨라루스 잡지사였던 뇨만(Нёман)에서 첫 근무를 시작했다. 그녀는 기자로 근무하는 틈틈이 글을 쓰기 시작했고, 특히 기자로써의 경력을 살려 경험자들의 구술을 들려주는 방식으로 글을 썼다. 그녀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룬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아프간 전쟁을 다룬 《아연 소년들》, 체르노빌 사건을 다룬 《체르노빌의 목소리》를 썼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집권한 루카셴코 정권을 활발히 비판해 정권의 미움을 사[3] 2000년 벨라루스를 떠나 파리에 정착했다. 반체제 작가로써 주목받아 2007년 펜(PEN) 상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민스크로 돌아와 벨라루스에 거주하고 있다. 루카셴코도 노벨상 수상을 일단은 축하했고, 블라디미르 푸틴처럼 신변을 건드릴 위협은 하지 않는 듯 하다.
2015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5월 18일에는 프랑스 언론 등지에서 사망 오보가 떠서 큰 소동이 일어났다. 가짜 트위터 계정을 통한 오보로 밝혀졌다.#
2017년 5월 23일~25일 개최하는 '2017 서울국제문학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했다. 정확한 내한 날짜는 알 수 없으나 19일날 '독자와의 만남'을 가졌으므로 그 전에 한국에 온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 벨라루스에서 시위가 발생하면서 시위대를 지지했다. 동년 8월 26일에 조사당국에 출두했다.# 결국 9월 28일 독일로 떠났다. 본인은 도서 전시회 참가 때문이라고 했지만 귀국 일정이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실상 망명으로 보인다.# 실제로 출국 당시 상황 좋아지면 돌아오겠다고 덧붙여서 망명이라는 걸 간접적으로 인정했다. 루카셴코는 이 틈을 놓치지 않고 자국에서 기록말살형에 처하고 있다.
당연하겠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후에도 벨라루스 정부와 러시아 정부를 신랄하게 까는 코멘트를 내놨다.
3. 작품
제목 | 국내 정발명 | 출판 연도 |
У войны не женское лицо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1985 |
Последние свидетели: сто недетских колыбельных | 마지막 목격자들: 어린이 목소리를 위한 솔로[4] | 1985 |
Цинковые мальчики | 아연 소년들[5] | 1991 |
Зачарованные смертью | - [6] | 1993 |
Чернобыльская молитва | 체르노빌의 목소리[7][8] | 1997 |
Время секонд хэнд | 세컨드핸드 타임: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최후[9][10] | 2013 |
그녀의 작품들은 한국에서는 문학동네 등 여러 출판사에서 번역해서 출간했으며, 전부 중역이 아니라 러시아어 번역가가 번역을 맡았다.
위에서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소련 여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고아가 된 벨라루스인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참전자들, 소련 붕괴 이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살한 이들의 주변인들 및 자살 미수자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의 관련자들, 소련 붕괴와 그 이후의 혼돈을 겪은 사람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책이다.
4. 기타
- EB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 출연한 적이 있다.
[1] Svjatlána Aljaksándraŭna Aljeksijévič. 러시아어 표기는 Светла́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Алексие́вич(Svetlána Aleksándrovna Aleksijévič).[2] Станислав. 현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이바노프란키우스크[3] 이 때문에 루카셴코는 알렉시예비치의 노벨문학상 수상 당시 떨떠름한 티를 팍팍 냈던 걸로도 유명하다.[4] 제목을 직역하면 "마지막 증언자들: 백여개의 천진난만하지 않은 자장가들" 정도가 된다.[5] 제목을 직역하면 "아연빛 소년들" 정도가 된다.[6] 아직 영어로도, 한국어로도 정발되지 않았는데 내용 전체가 후속 작품인 "세컨드 핸드 타임"(2013)의 일부로 재구성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타 작품들과 비교해 보아도 상대적으로 분량이 짧은 편이다. 제목을 직역하면 "죽음에 매료된 이들" 정도가 되며 영어권에서는 "Enchanted by Death"라는 번역명이 통용된다.[7] 제목을 직역하면 "체르노빌의 기도" 정도가 된다. 영어권에서도 "Voices from Chernobyl"로 정발되었다.[8] 2015년 노벨 문학상 수상작[9] 정발되기 이전에는 "다시 거치는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통용되기도 했다. "секонд хэнд"는 초침 혹은 중고품을 의미하는 영단어 "second hand"의 전사(transliteration)이다.[10] 전체적인 내용은 소련 붕괴 이후 르포를 다룬 1993년 출간된 "죽음에 매료된 이들"에 2011년 러시아 총선 사태 당시 반부정선거 시위를 다룬 르포와 함께 엮어서 재출간했다.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이바노프란키우스크[3] 이 때문에 루카셴코는 알렉시예비치의 노벨문학상 수상 당시 떨떠름한 티를 팍팍 냈던 걸로도 유명하다.[4] 제목을 직역하면 "마지막 증언자들: 백여개의 천진난만하지 않은 자장가들" 정도가 된다.[5] 제목을 직역하면 "아연빛 소년들" 정도가 된다.[6] 아직 영어로도, 한국어로도 정발되지 않았는데 내용 전체가 후속 작품인 "세컨드 핸드 타임"(2013)의 일부로 재구성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타 작품들과 비교해 보아도 상대적으로 분량이 짧은 편이다. 제목을 직역하면 "죽음에 매료된 이들" 정도가 되며 영어권에서는 "Enchanted by Death"라는 번역명이 통용된다.[7] 제목을 직역하면 "체르노빌의 기도" 정도가 된다. 영어권에서도 "Voices from Chernobyl"로 정발되었다.[8] 2015년 노벨 문학상 수상작[9] 정발되기 이전에는 "다시 거치는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통용되기도 했다. "секонд хэнд"는 초침 혹은 중고품을 의미하는 영단어 "second hand"의 전사(transliteration)이다.[10] 전체적인 내용은 소련 붕괴 이후 르포를 다룬 1993년 출간된 "죽음에 매료된 이들"에 2011년 러시아 총선 사태 당시 반부정선거 시위를 다룬 르포와 함께 엮어서 재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