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1:38:10

어니스트 헤밍웨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문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쉴리 프뤼돔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테오도르 몸젠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호세 에체가라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조수에 카르두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러디어드 키플링
파일:영국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셀마 라겔뢰프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울 폰 하이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모리스 마테를링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로맹 롤랑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파일:덴마크 국기.svg
수상자 없음 카를 슈피텔러
파일:스위스 국기.svg
크누트 함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1921년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
아나톨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하신토 베나벤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조지 버나드 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26년 1927년 1928년 1929년 1930년
그라치아 델레다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앙리 베르그송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그리드 운세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토마스 만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싱클레어 루이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에릭 악셀 카를펠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골즈워디
파일:영국 국기.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유진 오닐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제 마르탱 뒤 가르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펄 벅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프란스 에밀 실란패
파일:핀란드 국기.svg
수상자 없음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수상자 없음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파일:칠레 국기.svg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헤르만 헤세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드레 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포크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버트런드 러셀
파일:영국 국기.svg
1951년 1952년 1953년 1954년 1955년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프랑수아 모리아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윈스턴 처칠
파일:영국 국기.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할도르 락스네스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후안 라몬 히메네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알베르 카뮈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파일:소련 국기.svg
살바토레 콰시모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생존 페르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이보 안드리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존 스타인벡
파일:미국 국기.svg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장폴 사르트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수상 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가와바타 야스나리
파일:일본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일:소련 국기.svg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파블로 네루다
파일:칠레 국기.svg
하인리히 뵐
파일:독일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파일:호주 국기.svg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우제니오 몬탈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솔 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엘리아스 카네티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윌리엄 골딩
파일:영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파일:체코 국기.svg
클로드 시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월레 소잉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지프 브로드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밀로 호세 셀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옥타비오 파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나딘 고디머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데릭 월컷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토니 모리슨
파일:미국 국기.svg
오에 겐자부로
파일:일본 국기.svg
셰이머스 히니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파일:폴란드 국기.svg
다리오 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제 사라마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귄터 그라스
파일:독일 국기.svg
가오싱젠
파일:프랑스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21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V. S. 나이폴
파일:영국 국기.svg
케르테스 임레
파일:헝가리 국기.svg
존 맥스웰 쿳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엘프리데 옐리니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해럴드 핀터
파일:영국 국기.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오르한 파묵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도리스 레싱
파일:영국 국기.svg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헤르타 뮐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파일:스웨덴 국기.svg
모옌
파일:중국 국기.svg
앨리스 먼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트리크 모디아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밥 딜런
파일:미국 국기.svg
가즈오 이시구로
파일:영국 국기.svg
올가 토카르추크
파일:폴란드 국기.svg
페터 한트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루이즈 글뤽
파일:미국 국기.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압둘라자크 구르나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니 에르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욘 포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

파일:LIFE_LOGO.png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0년 미국의 시사잡지인 라이프에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100인을 선정했다. 순위는 없으며, 만장일치로 선정된 인물은 헨리 포드라이트 형제뿐이다.
제인 애덤스
<사회 개혁가>
무하마드 알리
<권투선수, 인권 운동가>
엘리자베스 아덴
<사업가>
룬 알레지
<방송 경영자>
루이 암스트롱
<재즈 뮤지션>
조지 발란신
<안무가>
존 바딘
<물리학자>
어빙 벌린
<작곡가>
에드워드 버네이스
<홍보 책임자>
레너드 번스타인
<작곡가, 지휘자>
말론 브란도
<배우>
베르너 폰 브라운
<로켓 공학자>
데일 카네기
<작가>
월레스 캐러더스
<발명가, 화학자>
윌리스 하빌랜드 캐리어
<에어컨 발명가>
레이첼 카슨
<작가, 해양생물학자>
빙 크로스비
<가수, 배우>
클래런스 대로
<변호사>
유진 데브스
<노동운동가, 사회주의자>
로버트 더그래프
<포켓북 창업자>
존 듀이
<철학자>
월트 디즈니
<기업가, 애니메이션 제작자>
W. E. B. 듀보이스
<NAACP 설립자>
앨런 덜레스
<CIA 국장>
밥 딜런
<포크 뮤지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물리학자>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시인>
윌리엄 포크너
<소설가>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교육자>
헨리 포드
<기업가>
존 포드
<영화감독>
베티 프리댄
<페미니스트 여성 작가>
밀턴 프리드먼
<경제학자>
조지 갤럽
<여론 분석가>
아마데오 지아니니
<은행가>
빌리 그레이엄
<목사>
마사 그레이엄
<댄서, 안무가>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영화감독>
조이스 홀
<사업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소설가>
올리버 홈스 주니어
<법학자>
존 에드거 후버
<FBI 초대 국장>
로버트 허친스
<교육자>
헬렌 켈러
<인권 운동가>
잭 케루악
<시인, 작가>
빌리 진 킹
<인권 운동가, 테니스 선수>
마틴 루터 킹
<목사, 인권 운동가>
알프레드 킨제이
<성과학자, 생물학자>
빌렘 콜프
<생명과학자>
레이 크록
<맥도날드 창업자>
에드윈 랜드
<과학자, 발명가>
윌리엄 레빗
<부동산 개발업자>
존 L. 루이스
<노동당 지도자>
찰스 린드버그
<비행기 조종사>
레이먼드 로이
<산업 디자이너>
헨리 루스
<편집자>
더글러스 맥아더
<군인, 정치인>
조지 C. 마셜
<군인, 정치인>
루이스 B. 메이어
<영화 제작자>
클레어 매카델
<패션 디자이너>
조지프 매카시
<변호사, 정치인>
프랭크 맥너마라
<신용카드 발명가>
마거릿 미드
<인류학자>
칼 메닝거
<정신과 의사>
찰스 E. 메릴
<주식 중개인>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가>
로버트 모세
<공무원>
윌리엄 멀홀랜드
<토목 기사>
에드워드 R. 머로
<종군기자>
랠프 네이더
<소비자 보호가, 환경보호가>
라인홀드 니부어
<윤리학자>
존 폰 노이만
<물리학자, 수학자>
유진 오닐
<극작가, 작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물리학자>
윌리엄 S. 페일리
<방송 경영자>
잭슨 폴록
<화가>
에밀리 포스트
<소설가, 작가>
엘비스 프레슬리
<가수>
재키 로빈슨
<야구선수>
존 데이비슨 록펠러 주니어
<기업가>
리처드 로저스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뮤지컬 작곡가, 작사가>
윌 로저스
<배우, 작가>
엘리너 루스벨트
<FDR의 아내, 사회운동가>
베이브 루스
<야구선수>
조너스 소크
<소아마비 백신 개발자>
마거릿 생어
<사회운동가>
앨프리드 P. 슬론
<사업가, 산업가>
벤자민 스팍
<소아과 의사>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사진작가>
로이 스트라이커
<공무원, 사진작가>
빌 윌슨
<AA 창립자>
앤디 워홀
<화가>
얼 워런
<대법원장>
제임스 듀이 왓슨
<생물학자, 유전학자>
토머스 왓슨 주니어
<사업가, 정치인>
테네시 윌리엄스
<극작가>
월터 윈첼
<신문기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건축가>
라이트 형제
<최초의 비행기 제작자>
말콤 엑스
<인권 운동가>
출처 }}}}}}}}}

<colbgcolor=#000><colcolor=#fff> 어니스트 헤밍웨이
Ernest Hemingway
파일:hemingway.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195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
Ernest Miller Hemingway
출생 1899년 7월 21일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 파크
사망 1961년 7월 2일 (향년 61세)
미국 아이다호주 케첨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소설가, 언론인
장르 소설, 평론
서명 파일:어니스트 헤밍웨이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학력 오크 파크 앤 리버 포레스트 고등학교 (졸업)
부모 아버지 클래런스 헤밍웨이
어머니 그레이스 헤밍웨이
배우자 해이들리 리처드슨 (1921년 – 1927년, 이혼)
폴린 피에프 (1927년 – 1940년, 이혼)
마사 젤호른 (1940년 – 1945년, 이혼)
메리 웰시 헤밍웨이 (1946년 결혼)
자녀 잭 헤밍웨이
패트릭 헤밍웨이
글로리아 헤밍웨이
가족 동생 레스터 헤밍웨이 (1915~1982)[1]
조카딸 힐러리 헤밍웨이 (1961~)
조카사위 제프 린제이
주요 작품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무기여 잘 있거라
노인과 바다
종교 개신교가톨릭(냉담자?)[2][3][4] }}}}}}}}}

1. 개요2. 일대기
2.1. 사생활
3. 사진들4. 문체와 집필 스타일5. 각종 일화들
5.1. 루머 (아기 신발)
6. 작품 목록
6.1. 소설6.2. 단편6.3. 비소설
7. 어록8. 대중매체에서
8.1. 영화8.2. 소설8.3. 만화 및 애니메이션8.4. 게임

[clearfix]

1. 개요

파일:헤밍웨이.jpg

미국소설가, 종군기자.

어니스트 밀러 헤밍웨이는 노인과 바다,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의 저자다. 그의 작품 전반에 허무주의적인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어서 영문학을 넘어 세계 문학사적으로도 허무주의 하면 빠질 수 없는 작가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윌리엄 포크너와 함께 미국이 크나큰 자부심을 가지고 자랑하는 작가이다.[5] 로스트 제너레이션의 등장 이후,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로, 문학의 주도권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넘어간다.

헤밍웨이는 잃어버린 세대 작가들 중 대표 3인방 어니스트 헤밍웨이, 스콧 피츠제럴드, 윌리엄 포크너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인물이다. 후배 작가들이 가장 많이 롤모델로 삼는 작가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에는 대체로 극기주의, 허무주의, 하드보일드 스타일과 강인한 남성상 등이 잘 표현되어 있다. 미국 문학사에서 19세기 미국 최고의 작가로 마크 트웨인허먼 멜빌이 꼽힌다면, 20세기에는 헤밍웨이와 포크너가 꼽힌다.

쿠바에서 몇 년간 생활을 했고, 말년에는 피델 카스트로와도 알고 지내는 사이였다. 이 때문에 간첩으로 오해받아 몇 년간 미국 수사당국의 감시를 받기도 했다.

2. 일대기

의사인 아버지와 예술을 사랑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둘 다 인종차별주의자였고 어렸을 때 어머니의 강요로 자주 여장을 당하고, 여장한 상태에서 지인들을 만나는 일을 경험했다. 당시 아기들에게 성별 무관하게 여자 옷을 입히는 일이 잦긴 했으나, 헤밍웨이의 마초 기질을 생각하면 몹시 불쾌한 일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다. 여장당한 일 때문인지 모르나 어머니와는 평생 사이가 나빴다. 아들의 생일에 어머니가 그에게 선물을 소포로 보냈는데, 열어보니 그 안에는 아버지가 자살할 때 썼던 권총이 들어있었다는 일화도 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아버지 쪽을 완전히 닮았다고 볼 수 있었다. 사냥꾼/모험가 기질이었으나 쇠락한 아버지와 잔소리 많은 전직 음악가 어머니는 서로 종종 싸웠고, 어니스트는 위의 언급처럼 강인하고 조용한 남자의 표본인 아버지를 따랐다. 어니스트는 쇠락했지만 남자다운 아버지를 평생 존경하였고 자신의 롤모델로 삼았다. 가정의 주도권은 어머니가 가지고 있었고, 아버지는 낚시, 사냥 등을 하며 집 밖을 배회하였다. 어머니는 여성이 참정권도 없던 시절에도 당당하고 진취적인 여성이었기 때문에, 조용한 성격의 초라한 아버지와 대조되는 어머니의 모습은 더욱 부각되었다. 아들과 어머니의 악연은 어머니가 죽는 날까지 이어진다. 아버지가 죽었을 때 어니스트는 곧바로 달려갔지만, 《노인과 바다》를 쓸 무렵에 어머니가 죽자, "난 글을 마저 써야 한다. 돈을 부치면 가족들이 알아서 할 거다."라는 식으로 가볍게 무시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ErnestHemingwayBabyPicture.jpg

어릴 적 사진. 보다시피 여아용 옷을 입고 있다. 이 사진을 볼 때마다 헤밍웨이는 무척 짜증냈다고 한다.

처음 사회생활을 기자로 시작했고,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려 미 육군에 입대하려 했으나, 권투 선수 시절에 얻은 눈 부상과 어머니에게서 얻은 선천적인 시력 낮음으로 인해 미 육군, 해병, 해군 모두 신체검사에서 탈락했다. 그래서 그는 이탈리아 전선에서 적십자사 소속의 구급차 운전사 모집공고가 뜨자 바로 신청하여 민간인 신분으로 참전했었다. 1918년 5월부터 운전사로 일하는 중 7월 8일에 두 다리가 박격포탄 파편에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어 일시적 불구가 되었다. 병원에서 치료받던 도중, 전쟁이 끝났고 다리 부상도 회복되어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겪은 걸 기반으로, 자전적 소설인 논픽션과 허구를 약간 섞은 무기여 잘 있거라 책을 집필했다. 이후 신문사의 특파원 자격으로 1차 대전 이후의 파리에 체류하며, 스콧 피츠제럴드, 거트루드 스타인, 에즈라 파운드 등등의 미국작가들과 교류하며 문학적 소양을 키워갔다. 거트루드 스타인은, 무명이지만 능력 있는 예술가들을 지원해 준 사람이다. 이 후원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파블로 피카소도 있었고, 이 인연 덕분에 피카소는 헤밍웨이와 지인이 된다. 참고로 남동생 리오 스타인은 시인 겸 평론가다.

이들처럼 파리에 체류하며, 파리의 풍요한 예술적 토양과 자유를 즐기면서 산 문학가 집단들을 문학계에선 잃어버린 세대(Lost Generation)라 칭하며, 이 표현을 최초로 쓴 사람은 앞서 얘기한 거트루드 스타인이다. 이들이 1차 세계대전을 겪은 충격으로 자신들이 구세대에게 버려진 잃어버린 중간 세대라고 느끼면서, 이전 세대와 단절된 새로운 문학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파리의 프랑스인 지성인들은, 전후 풍요를 구가하는 미국에서 보내주는 넘치는 달러로 호화로운 생활을 하면서, 파리와 프랑스 문화에 열렬히 환호하는 척 하지만, 실제론 프랑스어도 배우지 않고 수박 겉핥기로 껍데기 문화만 섭취하는 이들을 경멸했다고 한다. 쉽게 말해 고급쓰레기. 헤밍웨이는 물론 그들의 퇴폐적인 위선을 증오했으며, 자신도 자신의 마초적인 성향 때문인지, 이 당시 '계집애 같이'(?) 예쁘장하고 퇴폐적인 문화에 탐닉한 자신의 젊은 시절을 흑역사로 여겼다. 이 때의 경험을 기반으로, 헤밍웨이는 1926년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라는 소설을 집필했다.

헤밍웨이가 첫 번째 부인인 해들리와 함께 파리 생활을 돌이키며 썼던 회상록을, 4번째 부인인 메리 헤밍웨이(본명은 메리 웰시)가 헤밍웨이 사후 출판한 《이동 축제일(Movable Feast)》에서 '잃어버린 세대'의 유래가 나온다. 거트루드 스타인은 자신의 차를 고치려고 정비소에 맡겼는데, 젊은 직원이 빨리 고치지 못하자 정비소 사장이 "너희들은 전부 '허탕 치는 세대'야." 라고 호통 쳤다. 거트루드는 이를 나중에 헤밍웨이에게 그대로 전하면서 덧붙였다. "자네도 그래. 자네는 물론… 전쟁을 겪은 모든 젊은이들이 그렇다고. 이 잃어버린 세대들아." lost에는 '길을 잃은' 뜻만이 아니라 '타락한'이란 뜻도 있다는 걸 감안하면, 이 타락한/인생 헛산 세대들아! 라는 일갈이 위에서 설명한 상황에 더 적절하다.

이후 앞에서 언급한 《무기여 잘 있거라》로 큰 명성을 얻은 뒤, 당시 혁명 스페인의 공화제를 열렬히 지지하여 종군특파원으로 자진해 스페인으로 갔고, 혁명군과 함께 보수파 프랑코의 군대를 비판했다. 이때의 경험으로 그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쓰게 된다. 국내서는 헤밍웨이가 스페인에서 총 한 방 안 쏘고 도시에서 아무런 일 없이 노닥거리다 판타지로 가득한 글줄을 뽑았다는 식의 이야기가 간혹 떠도는데, 애초에 헤밍웨이는 종군기자였다. 그리고 그는 1차 세계 대전의 참전 용사였던 만큼 그런 비겁자도 아니었다. 헤밍웨이가 스페인 내전에서 총을 안 쐈다는 이야기는, 당대에 "헤밍웨이가 스페인 내전에서 열렬하게 싸웠다"는 과장된 오류가 퍼지고 그게 헤밍웨이의 명성에 일조했다 정도에 불과하다. 그리고 사건 자체가 워낙 전 세계적으로 반파시스트 성향 지식인, 문화인들이 주목했던 사건이니 조지 오웰, 앙드레 말로 같은 실재로 참전하여 전장에서 싸웠던 다른 네임드 문필가들에 일방적으로 비교당한 면도 있다.

이때 만난 국민당 장군들에 대해 '솔직하고 직설적이고 총명하고 말재주가 좋다' 라고 좋은 평가를 했다. 참고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이어진 파리해방전투에도 참여했다. 이렇게 열정적인 마초의 호칭은 우리말로 "아빠"에 해당하는 '파파'였다. 본인도 그렇게 불러주길 원했고. (1899년생이니 노르망디면 40대 중반이다. 당시는 징병제시대였으므로 병사들은 대부분 20대 초.) 참고로 파리 해방 이후 파리에서 당시 군인이었던 J. D. 샐린저를 만났다고 한다. 그리고 4번째 아내이자 당시 특파원으로 런던에 있던 메리 웰시와 만나서 1946년에 결혼하게 된다.

그리고 노인이 되면서 늙어 약해지는 자신을 싫어하게 되었다. 1차대전 당시 저승가기 직전 부상을 당한 것을 시작으로, 말년의 비행기 사고로 크게 다쳐서 그 후유증이 커졌다고 한다. 그 때문에 더욱 사냥 같은 취미에 몰두하다 급기야 정신착란까지 일으키게 된다. 결국 7월 2일 이른 아침, 그는 자신에게 헌신적이었던 아내가 자게 놔둔 채 엽총을 입에 물고 쏴 자살해 생을 마감한다. 하지만 늘그막에 작품이 지지부진한 점으로도 고민하여 온 점도 자살 원인으로 꼽기도 한다. 죽기 전 몇 달 동안 글을 쓰다가 맘에 들지 않아 계속 찢고 쓰던 걸 던지고… 술을 마시며 괴로워했고, 6월 28일, 자살을 시도하다가 실패했는데, 이런 절규를 터뜨렸다고 한다. "이젠 써지지 않는다! 써지질 않아!"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자살은 피할 수 없는 자살의 한 사례로 소개되어 지고 있다. 그를 포함해서 그의 가족 중 5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아버지, 형, 누나, 손녀, 본인) 또한 아들 중 한 명은 평생을 우울증으로 고생하였고 여러 차례 전기경련치료를 받기도 하였다.

말년에 그는 여러 차례 자살 시도를 하였고 우울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다. 그의 마지막 입원은 1961년 Mayo clinic이었다. 그는 누군가가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망상과 인지 저하,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신체적 노화, 폭음으로 건강 상태가 매우 나빴었다. 7주 동안 입원하며 항우울제 치료, 전기경련치료, 정신치료를 받았고 1961년 6월 26일 퇴원하였다. 퇴원 당시 그는 치료진에게 "선생님과 저는 제가 어느 날 저한테 무슨 짓을 할 것인지를 알고 있습니다"라고 했다고 한다. 퇴원 후 6일 뒤 1961년 7월 2일 그는 자살한다.

헤밍웨이는 자살의 요소인 여러 생물학적, 정신적, 사회학적 요소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전성, 정신 질환, 약물 오남용, 자살 사고, 소아기 외상 등이 위험 요소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헤밍웨이 단편선 1의 전기적 정보에서는 장례를 가톨릭 의식에 따라 치루었다고 나온다.

2.1. 사생활

그는 평생 인생을 격렬하고 폭력적이며, 진취적인 진정한 마초로 살았다. 그는 6피트(183cm)가 넘는 거구였으며 항상 끓어오르는 정열을 주체하지 못해, 사냥, 복싱 등 위험하고 강렬한 스포츠를 즐기고, 싸움도 꽤 잘했다는 등 자신의 강인함을 세상에 자랑하고 다녔다. 하지만 막상 정식 복싱 대결을 붙여주자 슬그머니 도망갔다고 언급한 지인도 있다. 1943년에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가 샘 우드(1883–1949)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는데, 시사회에서 영화화 수준에 불만을 품고[6] 감독을 주먹으로 패서 코뼈를 부러뜨렸다는[7] 일화가 있다.[8] 자신을 세상에 과시하는 것도 매우 즐겼으며, 매스컴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유명 연예인과도 같이 자신의 화려한 사생활을 노출하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하루가 멀다 하고 유명 인사들을 자신의 집에 초대했다고 한다. 자살한 이유들 중 하나가 자신이 늙어 세상의 관심이 멀어지는 걸 견디지 못했던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여자를 밝혔으며 사생활도 문란해 여러 차례 결혼과 이혼을 반복하고, 결혼 중에도 수많은 여자들과 놀아나며 지냈다. 일단 그의 아내들을 정리해 보면

위의 셋은 헤밍웨이의 주체할 수 없는 막장 행보에 질렸거나 그와 마찬가지로 막장으로 놀다 떠나갔고, 마지막 아내인 메리가 헤밍웨이와 금슬이 좋았다고 한다.

위의 이야기는 사회적 페르소나를 다룰 때 자주 나오는 사례들 중 하나다. 한 친구의 증언을 인용해보자. 그의 사망 뒤에 친구가 저건 그의 성격이 아니며, 실제로는 겁쟁이에 울보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어느 날 호텔에 머물면서 어느 영국인이 '에릭 블레어'라고 소개하며 인사하기에 퉁명스레 답했더니, 그 사람이 "아, 그리고 조지 오웰이라고도 합니다."라고 해서 헤밍웨이가 깜짝 놀랐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위 스페인 내전에 반 프랑코 파에 섰던 경력, 그리고 쿠바아바나에 살았던 것과 관련해서, 그가 실제로 소련의 스파이로 활동했었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렇다 할 확증은 없는 상황이며, 거꾸로 미국의 정보원이었다는 설까지 제기되어 실은 이중 스파이가 아니었냐는 의혹도 있었다.

그가 자살했다는 소식이 전 세계에 퍼졌을 때, 모스크바바티칸 시국에서도 그의 죽음에 유감을 표명했다는 믿지 못할 이야기가 전해진다.

모델이자 영화배우였던 손녀 마고 헤밍웨이(1954-1996)[11]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상술했듯 말년에 정신질환이 심해져[12] 자신이 도청과 계속되는 감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당시 정말 FBI 측에서 1940년대에 쿠바에 거주한 등의 과거력을 이유로 그의 주소 변동을 예의주시하였고 1950년대에는 존 에드거 후버가 인정했듯 실제로 감시까지 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헤밍웨이 말고도 무수한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벌인 짓이었으며 헤밍웨이처럼 노벨문학상을 받은 존 스타인벡도 감시당해왔으며 그 역시 헤밍웨이처럼 생전에 똑같이 말하고 아예 법무장관에게 전화를 걸며 "후버의 졸개놈들이 날 감시하는 걸 지겹게 보고 있는데 좀 후버 놈에게 그만두라고 말해보시오!"라고 따져들 정도였다.

다만 헤밍웨이가 정말 이 사실을 알아서 피해를 주장한 것인지, 아니면 정신질환 때문에 생긴 편집증인지는 알 길이 없다. 일각에서는 이때 병원에서 전기 충격 요법을 받고 정신상태가 더 악화되었다는 기록을 들어 "헤밍웨이는 누군가에 의해 폐인으로 전락한 게 아닌가?"라는 음모론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런데 당시는 전두엽 절제술 같은 폐인 제조기법을 의료행위랍시고 자행하던 시절이라 우울장애에 대한 전기충격요법은 상당히 일반적인 처방이었다. 그의 후손들이 비슷한 질환과 최후를 겪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유전적으로 정신적인 질환에 상당히 취약한 체질이라, 정신질환에 비정상적인 환경까지 합쳐진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그를 괴롭게 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3. 사진들

파일:external/pbs.twimg.com/CrjaXeqXEAUTe_M.jpg
1923년 여권사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rnest_Hemingway_in_Milan_1918_retouched_3.jpg
1918년(19세), 적십자의 일원으로 이탈리아 북부의 호사루타 전선에 엠뷸런스 기사로 있을 무렵의 사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rnestHemingway.jpg
1939년, 소설을 집필 중.

파일:2314123.jpg
노년기의 모습. 인물 포토그래프의 거장 유서프 카쉬의 작품.

4. 문체와 집필 스타일

It seems she had one haemorrhage after another. They couldn’t stop it. I went into the room and stayed with Catherine until she died. She was unconscious all the time, and it did not take her very long to die.
캐서린은 계속해서 출혈을 하는 모양이었다. 의사는 그것을 멎게 하지 못했다. 나는 방 안으로 들어가서 캐서린이 죽을 때까지 같이 있었다. 캐서린은 줄곧 의식이 없었고, 죽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도 않았다.
- 《무기여 잘있거라》 中

헤밍웨이의 문체는 하드보일드 스타일(Hard-Boiled Style)이라고 부른다. 이 문체는 잡다한 수식이 없고 간결하다. 또한 제3자의 시각으로 사실만 덤덤하게 나열한다. 헤밍웨이는 초창기부터 장년기까지 계속했던 신문기자 및 자유기고가 생활을 통해 간결하고 정확한 문체에 익숙해졌고, 당시 유행하던 하드보일드 대중소설들(대실 해밋이나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 등)도 자신의 마초적인 성격과 부합했기에 영향을 받았다.[13]

헤밍웨이는 위 예시처럼 주인공과 사랑을 나누던 사람의 죽음마저 차갑게 묘사하는 등 인물들의 감정묘사를 거의 하지 않고, 인물들의 행동과 복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묘사한다. 헤밍웨이 같은 거물급 작가가 왜 이렇게 화려한 수식어구 없이 간결하고 쉬운 문체로 작품을 썼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 수도 있지만, 문체가 쉽다 하더라도 그 문체가 담고 있는 작품의 분위기나 내용의 깊이, 작가의 의도 등이 상당히 깊다. 전반적으로 헤밍웨이의 장편에서 자주 엿보이고 실제로도 그렇게 살았던, 씹어 뱉듯이 말하면서도 악으로 깡으로 버티는 상남자 이미지가 강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Hemingway's legacy to American literature is his style.
헤밍웨이가 미국문학에게 남긴 유산은 그의 문체다.

이런 이유로 영문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 혹은 영문학도들이 가장 선호하는 작가로 꼽힌다. 문장이 간결하고 평이한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어실력이 대단하지 않아도 쉽게 읽힌다. 윌리엄 포크너 같은 난해하고 복잡한 작품을 읽다가 헤밍웨이를 펴면 무슨 초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보는 듯한 느낌이 '잠깐' 든다. 그의 만년 대표작인 <노인과 바다>의 일부가 중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실린 적이 있다.

이를 두고 포크너는 "헤밍웨이의 책에서 어려운 단어는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고 했고, 헤밍웨이는 "어려운 단어를 써야만 감동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단순한 단어와 절제된 묘사만으로도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읽기 쉬운 글이 가장 쓰기 어렵다"라는 너새니얼 호손의 말대로, 헤밍웨이는 스스로 《무기여 잘 있거라》의 첫 부분을 적어도 50번은 고쳐 썼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무기여 잘 있거라》는 마지막 부분을 포함해서 39번이나 고쳐썼다.[14]

이러한 문체 때문인지 일부 평론가들은 헤밍웨이의 진가는 장편이 아닌 중·단편소설에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헤밍웨이의 장편은 비판하면서 단편에는 격찬을 보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관심이 간다면 인디언 부락, 깨끗하고 불이 환한 곳, 살인자들, 킬리만자로의 눈 등의 소설들을 한 번 읽어보자. 단편이라지만 손바닥소설 급으로 짧은 소설들도 아주 많다.

5. 각종 일화들

5.1. 루머 (아기 신발)

파일:attachment/6wrdnvl.jpg
팝니다:
아기 신발. 사용한 적 없음.

헤밍웨이 문체의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 유명 루머6단어 소설. 친구들이 단어 6개로 자신들을 울릴 만한 소설을 써 보라고 장난삼아 내기를 걸자 즉석에서 이 글을 지어냈다는 내용이다.

비록 6단어로 이루어진 문장 하나에 불과하지만, 이 안에는 그 자리에 있었던 친구들을 울려버릴 만한 많은 내용이 함축되어 있다. 사용한 적 없는 아기 신발을 판다는 뜻은 아이가 유산 혹은 사산되었거나 걸음마를 떼기도 전에 요절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도 모자라 이걸 팔아야 할 만큼 찢어지게 가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이 헤밍웨이의 완전한 창작인지에 대해서는 근거가 부족하다. 문체는 전형적 헤밍웨이 스타일이지만 헤밍웨이가 글을 쓰기 이전부터 있어왔던 이야기라고. 영어 위키백과 참조. 완전한 거짓말로 치부되지 않는 이유는 이 일화를 1991년에 언급한게 아서 C. 클라크이고 이 일화가 언급된 편지의 원본까지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다보니 진위 여부는 제쳐두고 그 자체로도 수없이 회자된다. 게다가 문장이 너무나 간결하다보니 패러디를 만들어내기엔 더없이 좋은 소재. 토비 폭스는 이 이야기를 두고 "슬픈 이야기야. 아기가 새로 사준 신발을 싫어했다니 믿을 수 없군."이라는 드립을 날렸다.

차트를 달리는 남자에서 가장 짧은 이야기로 나왔다.

6. 작품 목록

6.1. 소설

6.2. 단편

6.3. 비소설

7. 어록

정말 재미있는 책을 쓰려면 수많은 강타를 맞아봐야 한다.(punishment는 권투에서 "강펀치"를 뜻하기도 한다)
- 1981년, 카를로스 베이커가 편집하고 헤밍웨이가 자비로 출판한 《1917–1961년에 엄선된 편지들》 중 1924년 12월 6일에 썼던 "편지"에서.
책에 있는 좋은 부분들이란 작가가 운 좋게 주워듣거나 그의 일생 동안 실패한 것들뿐이다. 그래도 전자는 후자만큼 귀중하다.[20]
-위에서 언급한 같은 책 중 1929년 9월 4일에 스콧 피츠제럴드에게 썼던 편지에서.
그 가을, 전쟁은 그곳에 항상 있었지만 우리는 더이상 그곳으로 가지 못한다.
- 1927년, 《여자 없는 남자들》 중 《다른 나라에서》에서. 헤밍웨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여한 전적이 있다.
세상이 모두를 파괴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폐허를 딛고 강해진다. 하지만 파괴되지 않을 사람들 - 그러니까 아주 선하고, 아주 상냥하며, 아주 용감한 사람들은 무자비하게 죽는다. 당신 역시 이 중 어디에 속하지 않더라도 죽겠지만, 특별히 먼저 죽지는 않을 것이다.
- 1929년, 《무기여 잘 있거라》에서.
모든 미국의 현대문학은 마크 트웨인의 《허클베리 핀》으로부터 나온다. 미국식 글쓰기도 거기서 나왔다. 그 전에는 아무것도 없었고, 그 후로도 없었다.
- 1935년, 《아프리카의 푸른 언덕들》에서.
여기서 이길 수 있다면 어디서나 이길 수 있다. 세상은 괜찮은 곳이자 싸울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며, 여길 떠나는 게 무척 싫다.
오늘은 수많은 날들 중 그저 하루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하지만 다른 날들에 벌어지는 일은 네가 오늘 뭘 하냐에 달려 있다. 올해 내내 그랬다. 너무 많이 그랬다. 모든 전쟁도 그런 식이다.
- 1940년,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태양은 또 다시 떠오른다. 태양이 저녁이 되면 석양이 물든 지평선으로 지지만 아침이 되면 다시 떠오른다. 태양은 결코 이 세상을 어둠이 지배하도록 놔두지 않는다. 태양이 있는 한, 절망하지 않아도 된다.
- 1926년,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에서.
But man is not made for defeat. A man can be destroyed but not defeated.
사람은 패배하기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다. 사람은 파괴될 수는 있어도 패배하지는 않는다.
- 1952년, 《노인과 바다》에서.
우리 모두는 그 누구도 '거장'이 될 수 없는 길드에 속한 실습생들이다.
- 1961년 7월 11일, 《뉴욕 저널-아메리칸》에서.
난 파리의 지붕 위에 서서 내다보며 생각했다. "걱정하지 마라. 넌 예전에도 항상 썼었고, 지금에도 쓸 수 있다. 네가 해야 되는 것은 진실한 글을 쓰는 것뿐이다. 네가 아는 가장 진실한 글을 써라."
- 1964년, 《이동 축제일》[21]에서.
네 운은 스스로 만들렴, 지그. 무엇이 훌륭한 패배자를 만드는지 아니? 연습이야.
- 1976년, 헤밍웨이의 딸인 글로리아 헤밍웨이가 쓴 《파파의 개인적인 언행록》에서 글로리아가 어렸을 적에 들은 말.
그대가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배워야 한다는 건 그들이 상관할 바가 아니다. 그대가 그걸 위해 태어났음을 그들이 생각하게 하라.
- 1984년, 아놀드 새뮤얼슨이 쓴 《헤밍웨이와 함께》에서 헤밍웨이가 작가 생활 2년차일 때 그 동안 쓴 원고가 전부 담긴 가방을 잃어버린[22] 일에 대해 언급할 때.
문학 좆까. (Fuck literature.)
- 1924년, 에즈라 파운드에게 보낸 편지에서[23]
그들은 노년기에 국가를 위한 아름답고 조화로운 죽음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그러나 현대전에서는 더 이상 아름답거나 조화로운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은 아무 이유 없이 개처럼 죽을 것이다.
- <Notes on the next war: A serious topical letter>, Esquire Magazine v.IV: no.3, 1935년 9월 1일 기고문 중
You can't get away from yourself by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Ernest Hemingway , The Sun Also Rises , chapter II)[24]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고 해서 자신에게서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제2장)

8. 대중매체에서

8.1. 영화

8.2. 소설

8.3. 만화 및 애니메이션

8.4. 게임



[1] 동생과 조카 힐러리도 소설가이며 레스터가 죽은 이유도 권총자살이다.[2]Ernest Hemingway,” Celebrity Atheist List, 2011년 10월 1일 수정됨.[3] Julia Furmanek, “A Common Faith: Religious Faith and Political Fanaticism in “For Whom the Bell Tolls”[4] Angela Alaimo O’Donnell, “Ernest Hemingway's Dark Night of the Soul,” Church Life Journal | University of Notre Dame, 2020년 7월 31일.[5] 하지만 재미있게도, 이 둘의 필체는 극과 극을 달리는데, 포크너가 의식의 흐름 기법을 기반으로 한 등장인물들의 세세한 생각까지 치밀하게 써 내려간 반면, 헤밍웨이는 빙산이론에 입각하여 극단적으로 적고 표면적인 서술만을 제시하고 세부적 이해는 독자들의 손에 맡겼다.[6] 90년 초반에 이선영의 영화음악실에 나온 일화로는 이 영화 여주인공을 맡은 잉그리드 버그만이 나중에 헤밍웨이를 만나 이 영화보셨냐고 질문했는데 헤밍웨이는 "극장에서 6번 봤지요."라고 대답했다. 버그만이 그만큼 재미있었나요? 라고 하자 "아니요, 보다가 마음에 안 들어서 포기하고 마저 보느라고 다시 보고 그렇게 해서 6번을 본 끝에 겨우 다 봤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영화가 미국에서만 제작비 3.5배가 넘는 가까운 흥행을 거둬들이며 흥행에 성공하자 헤밍웨이는 더 언짢아했다고 한다.[7] 조정래의 <황홀한 글감옥>에 소개된 에피소드다. 조정래는 이 일화를 인용하며, “어떤 작품이 영화화되거나 무대에 각색되어 오를 때에 거기에 지나치게 원작자가 개입하면 오히려 그 결과물은 산으로 가버린다”며 자신의 작품에 대한 2차 창작에 굉장히 관대한 자세를 보인다.[8] 심지어 일제 강점기 조선에도 "헤밍웨이가 사람 팼다"는 기사가 동아일보에 실린 적이 있는데 피해자는 미국의 시인이자 평론가였던 맥스 이스트먼(Max Forrester Eastman, 1883–1969)과 배우(기사에서는 법률가로 나와 있다) 에드워드 채프먼(Edward Chapman, 1901–1977). 둘 다 헤밍웨이의 가슴털을 보고 놀린 게 화근이었다. 이스트먼은 헤밍웨이더러 "자네 가슴털은 진짜 털인가 아니면 붙인 건가?"라고, 채프먼은 "완고한 자식마냥 가슴털 하고는"하고 헤밍웨이의 얼굴을 건드리자 격분해서 턱을 날려버렸다.출처: 동아일보 1939년 4월 2일 기사[9] 그녀는 1922년에 파리의 기차역에서 헤밍웨이의 원고가 담긴 여행 가방을 분실한 일이 있었다. 이 원고는 90년이 넘도록 행방을 알 수 없어서 이걸 다룬 소설도 여럿 나왔다. 다이앤 길버트 매드슨이 쓰고 국내에서도 정발된 《잃어버린 헤밍웨이를 찾아서》도 이걸 다룬 소설이다.[10] 2012년 HBO에서 이 두 사람을 소재로 한 TV영화를 만들었다. 제목은 《헤밍웨이와 겔혼(Hemingway & Gellhorn)》. 클라이브 오웬이 헤밍웨이를, 니콜 키드먼이 겔혼을 연기했다. 드라마의 평은 썩 좋은 편은 아니다.[11] Margot Louise " Margaux " Hemingway. 첫 번째 부인이었던 엘리자베스 해이들리 리처드슨 사이에서 낳은 잭 헤밍웨이(1923-2000)의 딸. 연예계 데뷔전이었던 10대 시절부터 이미 알코올 중독, 우울증 등을 앓았다고 전해지며, 사인도 약물과다 복용으로 인한 자살이었다. 여담이지만, 마고의 막내동생인 마리엘 헤밍웨이(1961-)는 2013년 언니인 마고와 작은 언니 머펫(Muffet)이 아버지 잭과 계모 안젤라에게 갖은 학대와 성폭행을 당했다고 증언해 파문이 인 적도 있었다.[12] 1959년에는 글이 도저히 써지지가 않는다고 호치너(A. E. Hotchner)라는 작가를 불러서 글을 쓰는 데 도움을 받았는데, 호치너가 이때 본 헤밍웨이의 모습을 재현하길 시력 악화로 고통스러워하고 있었으며 정신 상태도 매우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것이 보였다고 한다.[13] 대부분의 하드보일드 소설들은 '금주법 시절 마피아나 그만큼 부패한 관료제와 맞서 싸우는 탐정'처럼 안티히어로적인 면이 강했는데, 이게 헤밍웨이의 반골 기질과 잘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14] 무기여 잘 있어라 민음사판(김욱동 옮김)에 따르면, 《무기여 잘 있거라》의 '있거라'는 오역이다. '있어라'(구어) 내지는 '있으라'(문어)가 맞다. '-거라'라는 어미는 '가-' 어간에만 붙는 어미이기 때문('거라' 불규칙 활용). 그러나 '가거라' 외의 '먹거라', '잡거라' 등이 이미 자연스러워졌다고 판단했는지 현행 교육 과정에서는 '거라' 불규칙 활용을 가르치지 않는다. 즉 이제는 오역이라 보기 힘들다.[15] 조지 패튼의 사단 소속이였다.[16] 60년대 휘문출판사 헤밍웨이 전집에 실려있다[17] 60년대 휘문출판사 헤밍웨이 전집에 실려있다[18] 아직 항목이 개설되지 않았는데, 조용필의 노래 제목(킬리만자로의 표범)도 이 글에서 일부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일단 초반에 표범의 얼어붙은 시체가 나오기는 한다.[19] 영화화가 자주 되었던 소설로,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도 영화화한 적 있다.[20]노인과 바다》는 정말로 주워들은 걸 토대로 썼다고 한다. 문서 참고.[21] 몇째 주 무슨 요일 하는 식으로 날짜가 정해지지 않은 축제일. 좋은 예로 부활절이 있다.[22] 이탈리아 난민 문제를 취재하느라 먼저 가 있던 상황이라 아내 해들리에게 원고를 가져오라고 했는데, 해들리가 원고가 든 가방을 잃어버렸다고 한다. 헤밍웨이는 현상금까지 걸고 이 원고를 찾았으나 평생 동안 찾지 못했고, 이후 여러 작품에서 모티브가 된다.[23] 소설가로서 문학을 씹은 건 아니고, 당시의 관료제에 묶이고 지연되던 인쇄 산업에 대해 깐 것이라고 한다. 하기야 소설가로서 첫 작품이 나온다니 신났는데 출간 날짜가 계속 달라지거나 미뤄지니 화가 날만도 하다.[24] \[The Project Gutenberg eBook\] Ernest Hemingway , The Sun Also Rises , chapter II https://www.gutenberg.org/cache/epub/67138/pg67138-image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