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2:17:56

스티븐 하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00d0c, #700f1e 20%, #700f1e 80%, #500d0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1대2 제3대
존 맥도널드 경 알렉산더 매켄지 존 맥도널드 경 존 애벗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존 스패로 데이비드 톰프슨 매켄지 보얼 찰스 터퍼 윌프리드 로리에
제8대 제9대 제10대 제9대2
로버트 보든 아서 미언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아서 미언
제10대2 제11대 제10대3 제12대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리처드 베드퍼드 베넷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루이 생로랑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존 디펜베이커 레스터 B. 피어슨 피에르 트뤼도 조 클라크
제15대2 제17대 제18대 제19대
피에르 트뤼도 존 터너 브라이언 멀로니 킴 캠벨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장 크레티앵 폴 마틴 스티븐 하퍼 쥐스탱 트뤼도
※ 캐나다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역대 국왕 · 역대 총독
}}}}}}}}}}}}

캐나다 제22대 총리
스티븐 조세프 하퍼
Rt Hon. Stephen Joseph Harper
파일:Rt Hon. Stephan Joseph Harper.jpg
<colbgcolor=#700F1E><colcolor=#fff> 출생 1959년 4월 30일 ([age(1959-04-30)]세)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 주 토론토 리사이드[1]
재임기간 제22대 총리
2006년 2월 6일 ~ 2015년 11월 4일
서명 파일:스티븐 하퍼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00F1E><colcolor=#fff> 배우자 로린 하퍼 (1993년 결혼)
자녀 아들 벤저민 하퍼
레이첼 하퍼
학력 존 G. 앨트하우스 중학교 (졸업)
리치뷰 대학 고등학교 (졸업)
파일:UofT 아이콘.png 토론토 대학교 (중퇴)
파일:캘거리 대학교 아이콘.png 캘거리 대학교 (경제학 / B.A.)
파일:캘거리 대학교 아이콘.png 캘거리 대학교 (경제학 / M.A.)
종교 개신교
신체 188cm
정당
의원 선수 8 (하원)
지역구 캘거리 웨스트 (1993.10.25~1997.1.14)
캘거리 헤리티지 (2002.1.28~2016.8.26)
}}}}}}}}}
1. 개요2. 생애3. 정치 경력
3.1. 총리 이전3.2. 총리 시절 (2006~2015)3.3. 실각과 사퇴3.4. 총리 퇴임 후
4. 선거 이력5. 평가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정치인.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제22대 캐나다 총리를 역임하였으며, 2018년부터 국제민주연합 의장을 맡고 있다.

2. 생애

토론토 출신으로 고등학교를 수석 졸업하고 토론토 대학교에 들어갔으나 두 달만에 중퇴하고 앨버타로 이주하여 석유회사에 근무하며 캘거리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다.

3. 정치 경력

3.1. 총리 이전

젊은 시절부터 캐나다 진보보수당[2]에 가입했으나, 곧 탈당하고 개혁당으로 옮겼다. 1988년 캘거리에서 개혁당 소속으로 연방 하원 의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하였고, 1993년 다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의회 진출 후 개혁당의 중심적 인물로 부상하였으나, 1997년 선거에는 개혁당 지도부와의 마찰로 출마하지 않고 정계를 떠나 당시 여당이던 캐나다 자유당의 정책을 비판하는 칼럼 등으로 유명해졌다.

그런 가운데 2000년 개혁당을 모체로 한 보수 성향의 캐나다 동맹이 창당되었고, 그는 2002년 그 당수로 선출되었다. 그 때 피터 맥케이 의원이 당 부대표로 재임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 해에 다시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2003년, 캐나다 동맹과 예전의 거대 보수 정당이던 진보보수당이 합당하여, 보수당이 창당되면서 오랫동안 분열되었던 캐나다의 보수 세력의 단일화가 이루어졌고, 그는 그 당수에 선출되었다. 그 다음해 총선에서 보수당은 전보다 더 많은 의석을 얻었으나, 자유당 정권은 계속 유지되었다.

3.2. 총리 시절 (2006~2015)

2005년, 여당인 자유당의 부패 스캔들로 보수당을 비롯한 야당들은 폴 마틴 총리를 불신임하였으며, 이에 따라 2006년 1월 조기 총선이 실시되었다.

보수당은 총선에서 자유당을 꺾고 하원 제 1당이 되었으며, 다수 의석은 확보하지 못했으나 내각을 구성하여 그는 2006년 2월 6일 제22대 총리가 되었다. 2008년 조기 총선을 실시하여 보수당은 19석을 추가하여 계속 제 1당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며, 그는 총리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보수당보다 더 많은 의석을 확보한 야당은 경제위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를 불신임하여 새로운 연정을 구성하려고 하였다. 여기서 캐나다 자유당 + 캐나다 신민주당 위주의 연정안이 구성되었으나 부결되었다.

이에 그는 미카엘 장 캐나다 총독에게 의회 개원정지 명령을 받아내 자신의 총리 자리를 간신히 지켰다. 이 분과 이 분의 당이 총선에서 1당이 된건 2006년이지만 단독 과반수를 통한 총리가 된건 2011년이다.[3]

따라서 그 사이에 고생을 많이했다. 뭐만하면 야당들이 연합해서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하겠다고 협박하고 조기총선을 열자고 했다. 실제로 2008년과 2011년 총선도 야당의 협박에 못이겨 열린 총선이였다.

2011년 때 총선을 위해서 의회 해산을 진행하면서, 당시 캐나다 총독인 데이비드 로이드 존스턴 총독에게 직접 의회해산을 부탁하기도 했다. 명목상 국왕총독에게 의회해산권이 있기는 하나, 실질적으로는 총리에게도 의회 해산 권한이 있으므로 불필요한 행위이다.

존스턴 총독의 의회 해산 선언도 실질적으로는 하퍼 총리가 해산을 진행하고 사후에 총독이 이를 승인한 형태에 불과하다. 즉 정치적 상징성을 위해 스티븐 하퍼가 행한 행동이다. 그 전에 2008년 총선 때도 같은 이유로 당시 미카엘 장 총독에게 의회해산을 부탁한 적이 있었다.[4]

20세기 초에 캐나다가 중국계 이주자들의 대량이민을 규제하기 위해 인두세를 부과하고 인프라 건설에 강제노역에 동원한 일에 대해서 2007년에 공식 사과한 적이 있다.

3.3. 실각과 사퇴

그런데 2015년 불거진 F-35 도입 관련 문건 비공개로 인해 정치적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걸로 의회가 내각불신임결의을 제출하자 그해 8월 의회해산을 선언하고 총선거를 실시했다가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에 단독 과반의석을 내주는 참패를 당하고 사실상 정계 은퇴에 몰리게 되었다. 결국 2016년 의원직 사퇴를 선언하여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3.4. 총리 퇴임 후

2018년 국제민주연합의 새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2020년 2월 5일에는 국제민주연합 의장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해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를 예방했다.[5]

2022년 2월 14일 국제민주연합 의장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해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예방하였고, 윤석열 대선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캐나다 연방 하원의원 선거 캘거리 웨스트 개혁당 9,074 (16.6%) 낙선(2위)
1993 30,209 (52.2%) 당선(1위) 초선
2002 캘거리 사우스웨스트 동맹당 13,202 (71.7%) 재선
2004
35,297 (68.4%) 3선
2006 41,594 (72.4%) 4선
2008 38,538 (73.0%) 5선
2011 42,998 (75.1%) 6선
2015 캘거리 헤리티지 37,263 (63.8%) 7선[6]

5. 평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레드 토리) · 내셔널리즘(성직자 · 캐나다) · 대중주의(트럼프주의) · 사회보수주의 · 재정보수주의(블루 토리)
연관 개념 경제적 자유주의 · 군주주의 · 보호무역주의 · 왕당파 · 연방제 · 작은 정부 · 캐나다 가치
현존 정당 연방 캐나다 보수당 · 캐나다 인민당
지역 BC 연합 · 서스캐처원당 · 연합보수당 ·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 유콘당 · 퀘벡미래연합
인물 로버트 보든 · 브라이언 멀로니 · 스티븐 하퍼 · 조던 피터슨 · 존 디펜베이커 · 존 맥도널드 경 · 콘래드 블랙
그 외 영국의 보수주의(대영제국)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전체적으로는 사회문화 관련에서는 온건한 편이였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신보수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고 평가받는다.

6. 기타

존 F. 케네디랑 생긴게 많이 닮았다.

7. 관련 문서


[1] 비록 그는 토론토에서 태어났지만 실질적으로 정치적 커리어를 쌓은 곳은 앨버타 캘거리이다.[2]보수당의 전신으로 이름과 다르게 중도우파가 주를 이룬다.[3] 이 선거 때도 운이 따랐는데 마이클 이그나티예프 밑에서 자유당이 극도로 부진했었고 반면에 신민당은 엄청난 도약을 펼치면서 진보, Centre-left계열 표들이 분리됐었다.[4] 하지만 의원내각제에서 국가원수는 총리와 별개이기에, 이 형식은 중요하다. 법적으로는 국가원수인 캐나다 국왕캐나다 총독에게만 의회 해산권이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5] 당시는 아직 미래통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기 이전이었다. 자유한국당이 미래통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한 것은 2월 17일의 일이다.[6] 2016. 8. 26 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