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
쌀 소동으로 불타 버린 스즈키 상점 고베시 본사사옥. |
<nopad> |
쌀 소동의 발단이 된 곳. 우오즈의 쌀 소동(魚津の米騒動)이라고 적혀 있다. |
米騷動 / 米騒動 (こめそうどう)
1. 개요
일본사에서 쌀 유통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폭등해 혼란이 발생했던 사건들을 말한다.일본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쌀이 주식이고 생활필수품이므로 쌀 소동은 필연적으로 민중의 폭동을 초래한다. 원인은 흉년, 사재기 등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태 자체는 언제나 있어 왔다. 쌀 소동이라는 말 자체는 에도 시대부터 쓰였고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1890년, 1897년, 1918년, 1993년, 2025년까지 5번 발생했다. 다만 1993년과 2025년은 쌀값이 폭등해서 이른바 '헤이세이 쌀 소동', '레이와 쌀 소동' 식으로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이었을 뿐이지, 선진국으로 진입한 현대의 일이므로 다른 먹거리가 많아져 쌀 소비량 자체가 많이 줄어들었고 식량 사정 자체도 과거 대비 매우 나아졌기 때문에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식량 부족이나 그로 인한 폭동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역사적으로는 1918년의 쌀 소동이 가장 유명하여 '쌀 소동'이라는 말 자체가 1918년의 쌀 소동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1918년의 쌀 소동은 쌀 도매상이 가격을 담합해서 쌀 가격이 폭등하자 일본 농민들 사이에서 일어난 대규모 유혈시위를 일으키며 발생했다. 이하의 내용은 1918년의 쌀 소동에 대해 다룬다.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전국이 된 일본은 공업화에 박차를 가했다. 공업화가 진행될수록 농촌의 생산 인구는 도시로 유출되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쌀 생산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또 러시아 제국에서 10월 혁명이 일어나 공산주의 세력 파급을 막기 위한 시베리아 출병이 확실해지자 쌀값의 폭등을 예상한 쌀 도매업자들이 가격 담합을 하면서 쌀값이 폭등했다. 당시 일본의 식단은 철저히 곡류 중심이었고 육류나 어류의 비중은 높지 않았기 때문에 불만이 가증될 수밖에 없었다.[1]3. 경과
결국 1918년 7월 22일 도야마현의 우오즈(魚津)항에서 처음으로 불만이 폭발했다. 당시 쌀 1석의 가격 그래프. 쌀 소동이 일어난 1918년에는 0원이 되었다. 홋카이도로 가져갈 쌀을 실은 배를 주부 300여 명이 에워싸고 쌀을 팔라고 시위를 벌였다.[2] 도야마현은 일본에서 논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지만 이곳에서마저 당장 오늘 먹을 쌀을 걱정해야 될 지경이었던 것이다. 이후 8월 3일 역시 도야마에서 시민 200여 명이 쌀 도매업자들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고 이 소요를 시작으로 폭동이 교토·나고야 등 대도시를 비롯해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성난 군중들은 쌀 가게와 유통 회사를 불태우는 등 매우 공격적이었고 고베에서는 유통업계 재벌인 스즈키의 본사가 불타는 일도 발생했다.도시와 농촌을 뒤흔든 이 폭동은 탄광촌에까지 퍼졌고 사회는 9월 12일까지 혼란에 빠졌다.
4. 결과 및 영향
4.1. 정치
데라우치 마사타케 당시 내각총리대신(초대 조선총독)은 쌀 소동에 대해 언론통제 조치를 취하고 일본 육군을 출동시켜 폭동의 수습을 꾀하였다. 50일간 소요 369회가 발발해 군 병력 10만 명이 진압에 투입되었다. 7786명을 기소하여 그중 2명은 사형, 12명에게는 무기징역이 선고되는 등 잔혹하게 진압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민심이 흉흉해지자 결국 내각총사퇴가 시행되었다.흉흉해진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다이쇼 덴노는 메이지 유신 이후 최초로 평민 출신의 하라 다카시를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했고 하라 다카시는 쌀 등 생필품의 물가를 잡겠답시고 면사품의 수출을 금지하는 등 초강력 물가억제정책을 폈다. 그러나 당시 일본 경제는 군수품이 주도했던 전시 붐이 민수품으로 이어지면서 전후 붐이 발생하여 제분, 제당, 방직에[3] 버블이 끼는 참어었는데, 하라 내각의 경제 정책이 오히려 찬물을 끼얹었다. 여기에 미국의 전후 불황과 수출 부진까지 맞물리면서 버블이 터져 부실 사업체와 은행들이 무수히 양산되는 등 이른바 반동 불황을 일으켰다. 이 반동 불황은 일본의 1920년대 전반부를 통째로 말아먹었고 여기에 간토 대지진까지 겹치면서 결국 일본 경제는 1920년대를 침체 상태에서 보내야 했다.
4.2. 식민지 정책
<nopad> |
한편 산미증식계획이 한창 진행되던 중 대공황의 여파로 쇼와공황이 터져 일본 농촌경제가 파탄나고 안에서는 농산물 가격이 계속 하락하였다. 마침내 1929년 5월 다나카 기이치 내각은 '외지미 이입통제(外地米移入統制)' 방침을 세웠다. 식민지 쌀 수입을 허가제로 바꾸고 다른 식량의 수입관세율을 높이는 것이 골자였다.
하지만 조선을 포함한 식민지들이 일본의 식량공급지로 완전히 개조된 상태에서 갑자기 수출길이 막히면 당연히 경제가 큰 타격을 받는다. 식민지 하층민의 주식인 만주산 조(粟)의 수입관세율이 인상되면 생계가 어려워진다. 어쩌면 10년 전 일본이 겪었던 ‘쌀 소동’이 식민지 전역에서 재현될지도 모를 일이었다.
이것이 식민지 현실에 정통한 마츠다 겐지(松田源治) 척무대신[4]과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조선총독의 주장이었다. 그들은 "허가제는 내지본위주의(內地本位主義)"라며, 총리의 계획을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결국 허가제와 관세율 인상 계획은 유보되었다. 본토를 향한 식민지의 승리였다.
당시 재조(在朝) 일본인들은 본국의 방침을 거스르고 조선인 편에 섰다. 조선의 지주들도 쌀을 '수탈당한다'는 생각을 '수출한다'로 바꿨다.(식민지 수혜론자들의 주장의 근거가 여기에서 기인한다) 조선의 지주들도 소작농을 착취하여 이익을 보았다. 조선총독부와 식민지 지주계급 사이에 형성된, 이런 애매한 유대감은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이라는 맹자의 말 그대로였다.
한편 이 무렵 맹자의 고향 중국에서는 쌀 문제가 조선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산미증식계획 이후 굶주린 조선의 하층민들은 만주로 진출했다. 수확물의 일부를 보장받는 조건으로 광활한 그곳 땅을 부지런히 개간했다. 그런데 조선 이주민들이 늘어나면서 현지 중국인들과 크고 작은 마찰이 이어지고 만보산 사건의 먼 원인이 되었다.
쌀 수입 허가제 문제는 대공황 기간 중 일본에서 여러 차례 논란이 되었다. 특히 쌀값 하락으로 재정독립이 불가능해진 총독부는 1930년대 들어 결국 조선의 병참기지화 정책으로 선회했다. 조선은행 문제도 마찬가지였다. 이 은행이 일본 콜시장에 의존하는 것을 막고자 만주 재진출을 통해 자립토록 했다. 결국 군부에 기대야 했다. 이는 쌀 수입 허가제를 두고 다나카 총리가 조선총독부(군부)를 의식했던 것과 일맥상통한다.
5. 여담
- 헤이세이 시대인 1993년에는 일명 '헤이세이 쌀 소동(平成の米騒動)'이라고 불리는 쌀값 폭등 현상이 일어난 적이 있었는데, 이 사건은 이상기후로 낮아진 기온 탓에 발생한 흉작으로 인해 일어난 사건이다. 이 해에는 일본의 식량자급률이 40퍼센트 이하로 내려갔다고 한다.
- 2021년, 위 쌀 소동의 시초가 된 토야마현 우오즈항의 주부 300여 명의 쌀 수송선 억류를 다룬 영화인 '쌀 대소동(大コメ騒動)'이 개봉하였다.
- 2023년, 주니치 드래곤즈의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이 주니치 선수단에 쌀밥을 못 먹게 하는 쌀밥 금지령을 내려 이 소동이 회자되었다. 다만 이후 본인의 해명에 따르면 진짜로 쌀밥을 금지시킨 것은 아니고 경기 직전에 과식하면 배가 불러서 몸이 안 움직여지니 간단하게만 먹으라고 선수들에게 지시했다가 선수들이 말을 안 듣자 밥솥을 치운게 와전된 것이라고 한다.
- 2024년 8월 이후 일본에서 다시 쌀값 폭등 및 쌀 품귀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는데, 2025년 들어 진정되기는 커녕 옆 나라인 한국에서 일본인 관광객들이 쌀을 사올 정도로 사태가 악화되면서 '레이와 쌀 소동(令和の米騒動)'이라 불리고 있다.[5]
1918년 ~ 1930년 일본 제국의 경제공황 | ||||||||||
쌀 소동(1918년) | → | 반동공황(1920년) | → | 진재공황(1923년) | → | 쇼와금융공황(1927년) | → | 대공황(1929년) | → | 농업공황(1930년) |
[1] 특히 일본에서는 흰 쌀밥을 부의 상징으로 보는 관점이 한국이나 다른 국가들보다도 강해서 각기병의 피해가 동아시아에서도 유독 높았던 적도 있었다.[2] 시대상 여자가 나서서 시위하는 게 가능한가 싶겠지만, 당시 가정의 생계는 여자가 꾸려가야 했다. 그러니 훨씬 필사적으로 나서는 게 당연.[3] 제분, 제당, 방직은 1950년대 한국에서도 중요한 산업이었기에 삼백산업이라는 명칭으로 묶여 불리기도 했다.[4] 일본 제국에서 속령, 식민지, 괴뢰국 등 본토 바깥의 영토를 총괄하고자 설치한 중앙행정조직 척무성(拓務省)의 수장 격 국무대신.[5] 원래 '레이와 쌀 소동'은 위의 타츠나미 감독의 '쌀밥 금지령'을 가리키는 별명이었는데, 2024년의 쌀 품귀 현상이 일어난 이후 '레이와 쌀 소동'은 이쪽을 가리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