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3 10:32:11

아돌프 티에르

<colcolor=#23235A>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23235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제2공화국
초대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제3공화국
<rowcolor=#23235A>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쥘 그레비 사디 카르노
<rowcolor=#23235A>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rowcolor=#23235A>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rowcolor=#23235A> 제14대 제15대
폴 두메르
제4공화국
<rowcolor=#23235A> 제16대 제17대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제5공화국
<rowcolor=#23235A>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샤를 드골 조르주 퐁피두
<rowcolor=#23235A>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크 · 서프랑크 · 왕국
제1공화국 · 제국 · 7월 왕정 · 제2·3·4·5공화국
}}}}}}}}}}}}
아돌프 티에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e43, #002654 20%, #002654 80%, #001e4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장 조제프 데솔 엘리 디카즈
(제2대) 제5대 제6대 제7대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조제프 드 빌리에 장 바티스트 게이 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 드 로슈슈아르
[[7월 왕정|
7월 왕정
]]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자크 라피트 카지미르 페리에 장드디외 술트 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 에두아르 모르티에 빅토르 드 브로이 아돌프 티에르
제17대 (제11대) (제16대) (제11대)
마티외 몰레 장드디외 술트 아돌프 티에르 장드디외 술트
제18대 (제17대)
프랑수아 기조 마티외 몰레
[[프랑스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 프랑수아 아라고 루이외젠 카베냐크 오딜롱 바로
제23대 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 레옹 포셰
[[프랑스 제2제국|
제2제국
]]
제25대 제26대
에밀 올리비에 샤를 쿠쟁몽토방
[[프랑스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루이 쥘 트로쉬 쥘 아르망 뒤포르 알베르 드브뢰이 에르네스트 쿠르토 드시세
제31대 (제28대) 제32대 (제29대)
루이 뷔페 쥘 아르망 뒤포르 쥘 시몽 알베르 드브뢰이
제33대 (제28대) 제34대 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 쥘 아르망 뒤포르 기욤 워딩턴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36대 제37대 (제35대) 제38대
쥘 페리 레옹 강베타 샤를 드프레이시네 샤를 뒤클레르
제39대 (제36대) 제40대 (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 쥘 페리 앙리 브리송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르네 고블레 모리스 르비에 피에르 티라르 샤를 플로케
(제43대) (제35대) 제45대 제46대
피에르 티라르 샤를 드프레이시네 에밀 루베 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 제48대 (제47대) (제46대)
샤를 뒤피 장 카지미르페리에 샤를 뒤피 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 제50대 (제40대) (제47대)
레옹 부르주아 쥘 멜린 앙리 브리송 샤를 뒤피
제51대 제52대 (제42대) 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 에밀 콩브 모리스 루비에 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르네스트 모니 조제프 카요
제58대 (제55대) 제59대 제60대
레몽 푸앵카레 아리스티드 브리앙 루이 바르투 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 제61대 (제55대) (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 르네 비비아니 아리스티드 브리앙 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 (제54대) 제63대 제64대
폴 팽르베 조르주 클레망소 알렉상드르 밀랑 조르주 레이그
(제55대) (제58대) 제65대 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레몽 푸앵카레 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 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 (제55대) (제66대) (제58대)
폴 팽르베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두아르 에리오 레몽 푸앵카레
(제55대) 제67대 제68대 (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앙드레 타르디외 카미유 쇼탕 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 제70대 (제67대) (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 피에르 라발 앙드레 타르디외 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 에두아르 달라디에 알베르 사로 카미유 쇼탕
(제72대) (제60대) 제74대 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 가스통 두메르그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페르낭 부아송
(제70대) (제73대) 제76대 (제68대)
피에르 라발 알베르 사로 레옹 블룸 카미유 쇼탕
(제76대) (제72대) 제77대 제78대
레옹 블룸 에두아르 달라디에 폴 레노 필리프 페탱
[[비시 프랑스|
비시 정권
]]
(제70대) (제74대) 제79대 (제70대)
피에르 라발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프랑수아 다를랑 피에르 라발
[[프랑스 임시정부|
임시정부
]]
제80대 제81대 제82대 (제76대)
샤를 드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도 레옹 블룸
[[프랑스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4대)
폴 라마디에 로베르 슈만 앙드레 마리 로베르 슈만
제86대 (제82대) (제86대) 제87대
앙리 쾨유 조르주 비도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에드가르 포르 앙투안 피네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88대)
르네 마예르 조제프 라니엘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에드가르 포르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기 몰레 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 펠릭스 가야르 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미셸 드브레 조르주 퐁피두 모리스 쿠브 드뮈르빌 자크 샤방델마스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피에르 메스메르 자크 시라크 레몽 바르 피에르 모루아
제105대 (제102대) 제106대 제107대
로랑 파비위스 자크 시라크 미셸 로카르 에디트 크레송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피에르 베레고부아 에두아르 발라뒤르 알랭 쥐페 리오넬 조스팽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장피에르 라파랭 도미니크 드빌팽 프랑수아 피용 장마르크 에로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마뉘엘 발스 베르나르 카즈뇌브 에두아르 필리프 장 카스텍스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엘리자베트 보른 가브리엘 아탈 미셸 바르니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0069f 33%,#fedd00 33%,#fedd00 66%,#d50032 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역대 우르헬 측 안도라 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대주교 문장.png 우르헬교구장
<rowcolor=#23235A>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페레 두르치 기옘 데 몬카다 라몬 트레바이야
<rowcolor=#23235A>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페레 데 나르부나 니콜라 카포치 우고 데즈박 기옘 아르나우 데 파타우
<rowcolor=#23235A>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페드로 마르티네스 데 루나 베렝게 데릴 이 데 파야스
<rowcolor=#23235A>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아르나우 루제 데 파야스 자우메 카르도나 로데리크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페드로 폴크 데 카르도나
<rowcolor=#23235A>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조안 데스페즈 페드로 조르다 데 우리에스
<rowcolor=#23235A>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조안 페레스 가르시아 데 올리반 페레 데 카스테예트 조안 디마스 로리스 미켈 제로니 모레이
<rowcolor=#23235A>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우고 암브로스 데 몬카다 안드레우 카페야
<rowcolor=#23235A>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안토니오 페레스 파우 두란 후안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멜시오 팔라우 이 보스카
<rowcolor=#23235A>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페레 데 코폰스 이 데 테이시도 조안 데즈박 마르토레이
<rowcolor=#23235A>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시메오 데 긴다 이 아페스테히 호르디 쿠라도 이 토레블랑카 세바스티아 데 빅토리아 엠파란 이 로욜라 프란세스크 조제프 카탈란 데 오손
<rowcolor=#23235A>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프란세스크 페르난데스 데 샤티바 이 콘트레라스 호아킨 데 산티얀 이 발디비엘소
<rowcolor=#23235A>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프란세스크 안토니 데 라 두에냐 이 시스네로스 베르나트 프란세스 이 마테트 보니파시오 로페스 이 풀리도 시모 데 구아르디올라 이 호토네다
<rowcolor=#23235A>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조제프 카이샬 이 에스트라데 살바도르 카사냐스 이 파헤스
<rowcolor=#23235A>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조안 조제프 라구아르다 이 페노예라 조제프 푸자르김수교구장 서리 조안 베뇨크 이 비보 자우메 빌라드리크 이 가스파교구장 서리
<rowcolor=#23235A>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주스티 기타르트 이 빌라르데보 리카르트 포르네사 이 푸치데마사교구장 서리
<rowcolor=#23235A> 제61대 제62대
조안 마르티 이 알라니스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역대 프랑스 측 안도라 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푸아문장.png 푸아 백작
<rowcolor=#23235A> 제1대 제2대 제3대
로제 베르나르 3세 가스통 1세 가스통 2세
<rowcolor=#23235A> 제4대 제5대 제6대
가스통 3세 마티외 이자벨
<rowcolor=#23235A> 제7대 제8대 제9대
장 1세 가스통 4세 프랑수아
파일:나바라 왕국 국장.svg 나바라 국왕
<rowcolor=#23235A> 제9대 제10대 제11대
프란치스코 1세 페부스 카탈리나 1세 헨리케 2세
<rowcolor=#23235A> 제12대 제13대 제14대
호아나 3세 헨리케 3세 루이스 2세
파일:부르봉 왕조 문장.svg 프랑스 국왕
<rowcolor=#23235A>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파일:프랑스 제1제국 국장.svg 프랑스 황제
<rowcolor=#23235A> 제18대
나폴레옹 1세
파일:부르봉 왕조 문장.svg 프랑스 국왕
<rowcolor=#23235A> 제19대 제20대
루이 18세 샤를 10세
파일:프랑스 왕국 7월 왕정 국장.svg 프랑스인의 왕
<rowcolor=#23235A> 제21대
루이필리프 1세
파일:프랑스 공화국의 국새.svg 프랑스 대통령 파일:프랑스 제2제국 국장.svg 프랑스 황제
<rowcolor=#23235A> 제22대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3세
파일:프랑스 대통령 로고.svg 프랑스 대통령
<rowcolor=#23235A>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쥘 그레비 사디 카르노
<rowcolor=#23235A>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rowcolor=#23235A>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rowcolor=#23235A> 제35대 제36대
폴 두메르
파일:비시 프랑스 국장.svg 프랑스국 국가원수 파일: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국장.svg 임시정부 주석
<rowcolor=#23235A> 비공식 비공식
필리프 페탱 샤를 드골
파일:프랑스 대통령 로고.svg 프랑스 대통령
<rowcolor=#23235A>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뱅상 오리올 샤를 드골 조르주 퐁피두
<rowcolor=#23235A>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rowcolor=#23235A> 제45대 제46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 ||}}}
<colbgcolor=#ffffff><colcolor=#23235A>
프랑스 공화국 제2대 대통령
루이 아돌프 티에르
Louis Adolphe Thiers
파일:Adolphe_Thiers_Nadar_2.jpg
출생 1797년 4월 15일
프랑스 마르세유
사망 1877년 9월 3일 (향년 80세)
프랑스 생제르맹
재임기간 제16대 총리
1836년 2월 22일 ~ 1836년 9월 6일제1기
1840년 3월 1일 ~ 1840년 10월 29일제2기
제2대 대통령[1]
1871년 8월 31일 ~ 1873년 5월 24일
서명
파일:아돌프 티에르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23235a> 직업 정치인, 역사가
정당 [[오를레앙주의#s-2.1|
저항당
]] (1831년 -1836년)
[[오를레앙주의#s-2.2|
운동당
]] (1836년-1848년)
[[오를레앙주의#s-3|
질서당
]] (1848년-1852년)
[[중도주의|
제3당
]] (1852년-1870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70년-1873년)
[[공화주의|
현대공화국민회의
]] (1873년-1877년)
약력 프랑스 왕국 총리
프랑스 왕국 외무부 장관
프랑스 공화국 제2대 대통령
}}}}}}}}}}}}
1. 개요2. 생애
2.1. 청년기2.2. 초기 정치 경력2.3. 프로이센-프랑스 전쟁과 파리 코뮌2.4. 이후
3. 기타

[clearfix]

1. 개요

프랑스정치인이자 역사가, 언론인.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막바지에 강화교섭을 진행하였으며 직후 성립된 프랑스의 2대 대통령을 지냈다.

2. 생애

2.1. 청년기

마르세유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나 엑상프로방스[2]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대학교 졸업 이후 변호사로 등록했지만 정작 주전공인 법에는 별로 흥미가 없었고, 문학/역사/언론 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1821년 9월 티에르는 파리에 도착하면서 기자 겸 역사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티에르는 자유주의적 노선을 띄면서 퇴행적이고 억압적인 정치를 펼치던 샤를 10세를 강하게 비판하던 언론인이었다.

역사를 공부하면서 얻은 지식으로 1823년부터 1827년까지 "프랑스 혁명사"라는 역사책을 출간했는데, 이것이 제대로 대박을 쳐서 1834년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Académie française)에 들어가게 된다.[3]

2.2. 초기 정치 경력

티에르는 7월 혁명 과정에서 샤를 10세 축출에 상당한 공을 세웠고[4] 7월 왕정에도 참가하기 시작한다. 1832년 내무부 장관으로 시작하여 외무부 장관, 무역부 장관, 의회 의장과 같은 요직을 두루 거쳤고 1836년과 1840년, 두 차례에 걸쳐 총리에 임명되었다. 1832년 샤를 10세의 며느리 베리 공작부인의 반란을 [5] 저지했고, 1840년에는 세인트헬레나에 매장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유해를 프랑스 본토로 이장시키는 일을 추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직후 당시 내란이 한창이던 스페인 개입 문제[6]를 놓고 국왕 루이필리프와 충돌을 빚은 끝에[7] 모든 관직에서 사퇴하고 역사서 저술에 몰두한다.

1848년 혁명 당시 루이필리프는 티에르에게 다시 총리직에 오를 것을 권유했지만, 이미 대세가 기울었다고 판단한 티에르는 이를 거부하고 혁명 세력에 참여한다. 새로 수립된 프랑스 제2공화국 초대 대선에서는 샤를 루이 나폴레옹을 뽑았으며, 이 선택은 두고두고 비난 받게 된다. 루이 나폴레옹의 친위 쿠데타에 의해 공화국이 붕괴되고 프랑스 제2제국이 수립된 후로는 의원직만 가진 채로 별로 두드러진 정치 활동을 보이지는 않았다.[8] 조용히 칩거하던 티에르는 그 당시로는 엄청난 고령이었던 70대에 접어들었고, 그렇게 그저그랬던 정치인으로 사라지는 듯이 보였다.

2.3. 프로이센-프랑스 전쟁과 파리 코뮌


1870년 엠스 전보 사건에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티에르는 프로이센과의 전쟁을 반대했다. 하지만 프랑스 내 다수의 반응은 전쟁을 원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여론에 휩쓸린 나폴레옹 3세는 준비도 안된 상태에서 프로이센 왕국에게 전쟁을 선포했다가 스당 전투에서 제대로 박살난다. 결국 나폴레옹 3세가 스당에서 항복해 포로로 잡힌 직후 분노한 민중들에 의해 제2제국은 붕괴된다.

앞서 전쟁을 반대한 선견지명을 보여준 덕분에 티에르의 정치적 위상은 급상승했고 임시 정부는 그에게 입각할 것을 제의한다. 하지만 계속해서 항전을 결의한 임시 정부와 달리 티에르는 조기 강화협상을 주장했기 때문에 결국 입각을 고사한다.[9] 그 대신 임시정부는 그에게 외교 특사를 맡겨서 영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바이에른 왕국, 러시아 제국 등의 개입을 이끌어 보려고 했지만 프로이센에는 당대 최고의 외교 천재 비스마르크가 있었고, 비스마르크가 전쟁 이전에 이미 다 손을 써놨던 탓에 여타 열강들의 개입은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1871년 2월에 접어들면서 임시정부는 항복을 하는 방향으로 결론을 내렸고, 티에르는 임시정부의 수장 겸 협상단 대표로 강화교섭을 진행한다. 하지만 1871년 3월 굴욕적인 강화[10]에 반대하는 반란이 일어나고[11] 일시적으로 밀린 티에르와 임시정부는 베르사유로 거처를 옮긴다. 한편 파리는 공산주의자들이 장악한 정부가 수립되니, 이것이 바로 파리 코뮌. 파리 코뮌과 임시정부 간의 대치는 5월까지 이어졌지만 결국은 프로이센군의 지원[12]을 받은 티에르의 임시정부가 코뮌을 붕괴시키는데 성공한다.

이후 나폴레옹 3세를 조졌던 독일 제국에선 프랑스에 보나파르트 제정을 복고하자는 주장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비스마르크의 반대파인 주불 독일 대사인 하리 폰 아르님 백작. 빌헬름 1세도 이에 지지를 표명했지만 비스마르크는 프랑스가 공화국이어야 군주국들의 대불 동맹이 유지될 수 있다고 프랑스 공화국의 유지를 강행하려 했고 이에 반발한 아르님 백작이 티에르 정부는 곧 공산주의자들이나 군부 독재로 대체될 것이 뻔하니 독일에서 쿠데타를 사주하여 왕정을 복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결국 대사건으로 번지게 된다.

2.4. 이후

코뮌을 진압한 이후 프랑스에는 공식적으로 공화정이 수립됐고, 티에르는 새 공화정의 첫번째 대통령이 된다. 취임 직후 티에르에게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의 상흔을 지우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졌고, 티에르의 노련한 국정 운영 덕분에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독일 제국에 조기 지불하면서 프랑스에 막대한 채무를 지워 이를 외교적으로 이용하려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하지만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무력하게 당한 군대를 재편하기 위해 복무기간 5년인 징병제를 도입하자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극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여기에 당시 의회 다수를 차지한 왕당파들과 공화국 선포를 두고 다툼을 벌였고[13], 공화파들과도 파리 코뮌 강제 진압으로 생긴 앙금으로 적극적인 협력은 하지 못했다. 헤게모니 싸움에서 밀리게 된 티에르는 의회를 압박하기 위해 1873년 대통령 사직서를 제출하는 강수를 두었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는 달리 의회가 이 사직서를 그대로 수령하면서 티에르는 얼떨결에 대통령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그리고 왕당파는 이를 기회로 삼아 티에르 대신 강성 왕당파 파트리스 드마크마옹을 대통령에 앉혀 왕정복고를 시도하지만 내분으로 인해 실패한다.

이후 티에르는 공화주의 보수파의 막후 보스로 활동하다가 1877년 사망한다. 사후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됐다.

3. 기타

파리 코뮌을 진압했던 탓에 공산주의자들에게 티에르는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고, 사후 15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의 무덤은 종종 공산주의자들에게 반달당하곤 한다.

개인적인 취미로 미술품 수집을 즐겼는데, 르네상스 시기에 만들어진 회화부터 동양의 미술품까지 다양한 종류를 수집했다. 동양미술품은 만국 박람회에서 판매를 전제로 출품된 작품을 통해 구했다고 한다.

다른 프랑스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여자 문제가 매우 화려(?)했다. 학생 시절에는 어느 부잣집 여성과 연애하다가 그녀의 오빠와 다툼이 벌어져서 결투까지 벌였는데 둘다 총에 맞지 않아서 유야무야 끝났다. 또한 1833년에 20살 연하인 엘리스와 결혼했는데, 티에르는 이전부터 그녀의 어머니 에우리디케와 친한 사이여서 엘리스가 사실 티에르의 친딸이 아니냐는 악성 루머가 돌기도 했다. 그 외에도 여럿 정부를 두었다.

"샹보르 백작(앙리 5세)이 프랑스 공화국의 수립자임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앙리 5세를 칭찬하는게 아니라, 앙리 5세의 고집 탓에 프랑스의 왕정 복고가 완전히 끝나버린 것을 비꼰 것이다. 이부분은 앙리 5세 문서를 참고할 것.


[1] 안도라 공동 영주 겸임.[2] 당시 이름은 엑스 Aix[3] 그러나 오늘날 역사학자들은 티에르의 저작을 제대로 된 저작물로 쳐 주지 않는다.[4] 역사가로 얻은 명성이 언론인으로써 대중에 호소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5] 샤를 10세의 손자인 샹보르 백작을 왕위에 앉히려 한 사건[6] 이 당시 스페인은 이사벨 2세와 이사벨 2세의 외삼촌이었던 카를로스 대공 사이의 왕위계승전쟁이 한창이었다. 카를로스 대공의 이름을 따 보통 카를로스 전쟁이라고 많이 불리는 편.[7] 티에르는 스페인에 개입할 것을 원했지만 평화주의자였던 루이필리프는 개입을 꺼렸다.[8] 사실 루이 나폴레옹이 대통령이던 시절에 그를 비판한 적이 있었고, 쿠데타 직후 코렁탕 먹어 몸을 사려야 했다.[9] 그리고 굴욕적인 종전 이후 '티에르가 하자는 대로 일찍 강화했으면 이런 개쪽은 안 당했을거 아니냐'라는 여론이 대두되면서 티에르는 패전에 대한 비난 여론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사실 프로이센군이 파리 시내에서 하루종일 승전 퍼레이드를 펼치는 것을 허락해서 미친듯이 까이긴 했다.(...) 단지 패전이 티에르의 책임으로 돌아가지 않았을 뿐이다.[10] 파리 시내에 설치된 모든 대포를 철거할 것을 비스마르크가 요구했다.[11] 그 당시 티에르를 두고 많은 프랑스인들이 매국노라고 깠지만, 현실은 시궁창이었던만큼 티에르가 실질적으로 취할 수 있는 포지션이 많진 않았다. 일단은 티에르 역시 기분이 좋진 않았는지 비스마르크와 강화교섭을 끝내고 돌아오는 마차 안에서 엉엉 울었다고 전해진다.[12] 특히 프로이센이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시기 스당과 메츠에서 잡은 군인 포로들을 석방했는데 이들이 파리 코뮌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3] 웃긴건 티에르는 본인도 왕당파였음에도 국왕 선출을 거부하고 공화국을 멋대로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