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50%; color:#F5572A"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fff,#1c1d1f><table align=center> GROUP | ||||||
| | ||||||
SOLO | |||||||
{{{#!wiki style="margin: -15.9px -10.7px" | 성주 | 최예나 | DáFF | }}} | |||
ACTOR | |||||||
{{{#!wiki style="margin: -15.9px -10.7px" | 이도현 | 박천 | 최우진 | }}} | |||
ETC | |||||||
장하오 | 리키 | 김규빈 | 한유진 | ||||
유승언 | 지윤서 |
}}}}}}}}}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width=1000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 연혁 · YH Trainee ||
- [ 한국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참여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000><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EVERGLOW/음반#나를 사랑한 스파이 OST 《LET ME DANCE》|LET ME DAN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000"]][[PROMISE(EVERGLOW)|PROMIS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 #228b22"]]
미아 · 이런 · 시현 · 아샤 · 온다 · 이유 The 5th Single Album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EVERGLOW 에버글로우 |
<colbgcolor=#603688><colcolor=#fff> 데뷔일 | 2019년 3월 2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9-03-20)]일, [age(2019-03-20)]주년) | |||
데뷔 음반 |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5e226f"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 |||
장르 | 댄스, EDM, 신스팝 | |||
리더 | 시현[1] | |||
소속사 | 위에화엔터테인먼트코리아 | |||
유통사 | 지니뮤직 | |||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 ||||
팬덤 | '''
''' | |||
링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 |STAFF||에버데이 | |||
| }}}}}}}}} |
1. 개요
'Ready? All Light! 안녕하세요, 에버글로우입니다!'[2] |
2. 멤버
| ||
이유 | 시현 | 미아 |
1998. 05. 19. ([age(1998-05-19)]세)
메인래퍼 메인댄서 | 1999. 08. 05. ([age(1999-08-05)]세)
리더 리드보컬 | 2000. 01. 13. ([age(2000-01-13)]세)
메인보컬 메인댄서 |
온다 | 아샤 | 이런 |
2000. 05. 18. ([age(2000-05-18)]세)
리드댄서 서브보컬 | 2000. 07. 21. ([age(2000-07-21)]세)
리드래퍼 리드댄서 서브보컬 | 2000. 12. 29. ([age(2000-12-29)]세)
센터 리드댄서 서브보컬 서브래퍼 |
2.1. 멤버 간 케미
- 언니즈, 리맏즈 - 이유 & 시현
최연장자인 이유와 둘째인 시현의 조합. 6명 중 4명이 공동 막내이라 이 둘에겐 동갑인 구성원이 없다는 점이 같고, 전 숙소나 현 숙소나 방을 같이 쓴다.
- 00즈 노잼단, 미다, 먀온 - 미아 & 온다
미아, 온다가 노잼이라고 해서 '에픽로그'에서 붙여진 별명/트위터에서 미아와 온다가 같이 찍은 영상에 해시태그로 #미다 라고 적혀있다, 위버스 댓글에서 먀온 더 나을 수도 라고 했다.
- 메댄즈, 은지원, 금발즈 - 이유 & 미아
미아와 이유의 본명인 한은지와 박지원을 합쳐서 '은지원'이라 부른다.[5] 금발즈는 DUN DUN 활동 때 이유와 미아가 금발로 활동해서 붙여진 별명이다.[6]
- 조용즈, 장단즈 - 이유 & 아샤
에버글로우 LAND 때 이유와 아샤를 제외한 네 명만 텐트 작업을 하고 있고 이유와 아샤는 조용히 지켜보기만 해서 생긴 별명[7], 팀 내 최장신과 최단신.
3. 특징
3.1. 로고
||<tablebordercolor=#60368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600><width=33%>
||<width=33%>
||<width=33%>
||
ARRIVAL OF EVERGLOW | HUSH | REMINISCENCE |
| | |
-77.82X-78.29 | Last Melody | RETURN OF THE GIRL |
EVERGLOW의 로고 속 E는 시그마로 널리 쓰이는 더하기 기호로 멤버들을 의미하고, g는 델타 변화율값의 문자로 멤버들의 변화를 뜻한다. 각기 다른 멤버들의 매력이 하나가 되어 트렌디하고 감각적인 음악적 다양성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로고는 앨범마다 자전하며 변경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때문에 컴백 시 가장 먼저 바뀐 로고가 공개된다. 하지만 오랜 공백기를 끝내고 컴백한 싱글 4집 ALL MY GIRLS에서는 데뷔 당시와 똑같은 디자인의 로고로 회귀했고 로고 모션 영상이 업로드되지 않았다.[9] 이후로 2023년부터 데뷔 앨범 때 사용했던 로고에 색상만 바꾸어 사용중이다.
3.2. 그룹명
팀명인 '에버글로우'는 'EVER'(언제나, 항상) 'GLOW'(빛나다)의 합성어로 '태양의 빛이 비추는 날과 비추지 않는 밤이 생기듯이 빛과 그림자 모두 우리만의 시간으로 만들겠다'는 신인 그룹의 강인한 의지와 에너지가 담겨있다.데뷔 전, 팀명 후보 중 하나가 '울트라 바이올렛'이었다고 한다.
3.3. 포지션
3.3.1. 보컬
it’s KPOP LIVE - “ZOMBIE” Band LIVE Concert |
메인보컬인 미아와 리드보컬인 시현이 대부분의 곡에서 많은 보컬 지분을 차지한다. 미아의 경우 걸그룹 메인보컬에 필요한 음색, 성량, 테크닉은 물론 퍼포먼스 그룹을 추구하는 에버글로우가 가장 필요로 하는 댄스 라이브 안정성까지 겸비해, 에버글로우 음악 색깔을 주도해 나간다. 시현은 청량한 음색이 특징인 스탠다드형 보컬로, 곡을 중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위에화에 입사하며, 보컬 트레이닝에 힘쓴 것 같고 현재는 미아에 버금가는 보컬 실력을 가지게 되었다. 곡의 성격에 따라 미아 대신 메인 후렴구와 하이노트를 담당한다.
'서브보컬'인 아샤, 온다, 이런은 보컬라인과 또 다른 음색으로 에버글로우 곡에 포인트를 더하고 있다. 중저음의 음역대에서 강점을 보이는 아샤는 블루지하고 딥한 곡에서 그 진가가 발휘되며, 온다와 이런은 맑은 미성을 지녀, 발랄한 곡들을 선보일 때 돋보인다. 매활동을 거치고 휴식기에는 보컬 트레이닝을 꾸준히 받으며 비보컬라인 멤버들도 라이브 안정성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음색들을 가지고 있어 어떤 멤버가 무슨 파트를 불렀는지 확연히 구분되는 것도 장점이다.
'메인래퍼'를 담당하는 이유의 경우, 데뷔 앨범 수록곡 <D+1>에서 후렴구 코러스에 참여한 것을 제외하면, 보컬 파트를 담당한 적이 한 번도 없었지만, TWICE의 <FANCY> 커버 무대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보컬 파트가 호평을 받았으며 싱글 5집 활동에선 타이틀곡 ZOMBIE에서 보컬파트를 소화했다.
3.3.2. 댄스
Ariana Grande 'No Tears Left to Cry' Cover |
실제로 에버글로우의 퍼포먼스의 난이도는 K팝 커버 댄스를 가르치는 수많은 국내외 댄스 강사 및 댄스 커버 팀이 입모아 난이도가 세다고 말할 만큼 높지만, 여섯 명의 멤버 전원 퍼포먼스를 소화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그 중에서도 이유와 미아 더블 메인댄서 체제로 이유의 경우 과거 학창시절부터 스턴트 치어리딩 활동을 통해 팀원들의 댄스 합과 난이도 있는 동작들에 장점이 있다. 미아는 힙합, 얼반 등 파워풀한 장르부터 딥하우스 장르의 고혹한 장르까지 모든 장르에 최적화 된 댄스가 가능하고, 단독 댄스브레이크까지 할당 받을 만큼 춤의 중심에 있는 멤버다. 이들은 각각 메인래퍼와 메인보컬까지 겸하고 있다.
다른 멤버들도 길게는 유년시절, 짧게는 학창시절 부터 꾸준히 댄스 트레이닝을 받아 왔다. 이런은 학창시절부터 난이도 있는 중국 전통무용을 전공해 엄청난 유연성을 자랑하고, 아샤는 유년 시절부터 댄스에 두각을 보였고[10] 170대 중반의 엄청난 장신의 키를 지녔음에도, 깔끔한 춤선으로 압도적인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시현은 애초에 입사 전 개인 연습생 신분일 때 댄스에 두각을 보이던 멤버였고, 온다는 멤버들 중 정식 연습생 경력이 가장 짧지만 장기간 다닌 실용음악학원 댄스부에서 함께 다니는 다른 학생들의 댄스를 지도하는 등 멤버 전원의 주 포지션이 댄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3.3.3. 랩
곡 대부분의 래핑은 메인래퍼인 이유와 리드래퍼인 아샤가 담당한다. 이유는 하이톤의 랩이 특징으로, 무대 위에서도 눈길을 끌면서 에버글로우에게 필수적인 존재가 된 래퍼로 랩 포지션을 겸하는 타 멤버들이 전부 보컬 포지션을 담당할 때도 홀로 랩 파트를 소화해내는 경우가 많으며, 랩 작사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아샤는 이유와 정반대의 중저음의 묵직한 래핑을 하기 때문에 이유와 서로를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며, 본인의 음색과 어울리는 중저음의 랩트랙에서는 메인 랩 파트를 담당하며, 전반적인 곡의 분위기를 주도해나간다.미아의 경우 메인보컬 포지션 상 보컬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출중한 랩 실력까지 갖추고 있어 일부곡에선 랩까지 겸하고 있으며 이런은 앨범을 낼 때마다 눈에 띄게 발음이 좋아지면서 래퍼라인과 함께 랩을 하는 트랙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서로 비슷한 맑은 음색을 지니고 있으나 보컬 비중이 늘고 있는 온다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4.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음반#|]][[EVERGLOW/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뮤직 비디오
EVERGLOW 뮤직비디오 2025년 4월 1일 12시 기준 에버글로우(EVERGLOW)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 ||||
게시일 | 앨범명 | 곡명 | 조회수 | |
2019. 03. 18.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5e226f" | 봉봉쇼콜라 | 130,397,133 | |
2019. 08. 19.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59f60" | Adios | 178,409,832 | |
2020. 02. 03.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542771" | DUN DUN | 301,213,748 | |
2020. 09. 21.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 LA DI DA | 135,870,950 | |
2021. 05. 25.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8141A" | FIRST | 104,337,846 | |
2021. 12. 01.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0492e" | Pirate | 75,326,648 | |
2023. 08. 18.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 SLAY | 31,150,572 | |
2024. 06. 10.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 ZOMBIE | 10,843,770 |
6. 활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활동#|]][[EVERGLOW/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 콘텐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콘텐츠#|]][[EVERGLOW/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V LIV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V LI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V LIVE#|]][[EVERGLOW/V LIV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Wevers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Wevers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Weverse#|]][[EVERGLOW/Wevers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 음악 방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음악 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음악 방송#|]][[EVERGLOW/음악 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5. 공연 및 행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공연 및 행사#|]][[EVERGLOW/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6. 광고 및 화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광고 및 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광고 및 화보#|]][[EVERGLOW/광고 및 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7. 숏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숏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숏폼#|]][[EVERGLOW/숏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수상 경력
7.1. 시상식
날짜 | 시상식 | 부문 |
2021년 12월 2일 | | AAA 베스트 뮤직비디오 |
2023년 2월 10일 | | 포스트 제너레이션 |
7.2. 음악 방송 1위
EVERGLOW 음악 방송별 1위 수상 기록 | |||
<rowcolor=#fff> 방송사 | 프로그램 | 1위 횟수 | 트리플 크라운 횟수 |
| | 2회 | - |
| | 1회 | - |
| | - | - |
| | - | - |
[[MBC| | | - | - |
| | - | - |
합계 | 3회 | - |
<rowcolor=#fff> 수상일 | 프로그램 | 활동곡 | 비고 |
2019년 | |||
09. 24. | | [[HUSH(EVERGLOW)| Adios ]] | 데뷔 첫 1위[11] 더 쇼 첫 1위 |
2021년 | |||
06. 01. | | [[Last Melody| FIRST ]] | 더 쇼 1위 |
2023년 | |||
08. 30. | | [[SLAY| SLAY ]] | 쇼챔피언 첫 1위 |
8. 팬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θRΣVΣ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θRΣVΣR#|]][[FθRΣVΣ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1. 응원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응원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응원법#|]][[EVERGLOW/응원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여담
- 위에화엔터테인먼트코리아가 차기 아이돌 그룹을 준비한다는 이야기는 팬들과 관계자들 사이에서 암암리에 떠돌고 있었고,[12] 특허청에 위에화 명의로 ‘에버글로우’라는 브랜드가 등록된 것이 알려지며 2019년에 데뷔가 확실시되고 있었다. 다만 ‘에버글로우’가 남성 아이돌 그룹인지 여성 아이돌 그룹인지 공개되지 않았으나, 2019년 2월 18일에 로고와 함께 ‘#YUEHUA #NEW_GIRL_GROUP’라는 해시태그가 올라오면서 여성 아이돌 그룹 이름인 것이 밝혀졌다. #
- 원래 에버글로우의 데뷔 연도는 2017년도였는데 미루어진 바람에 2019년에 하게 되었다. 실제로 이유가 공개됐을 당시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아직까지도 존재하고 있다.
- 에버글로우의 공식 트위터 계정은 2개인데, 에버글로우 공식 계정과 에버글로우 스태프 계정으로 나뉜다. 에버글로우 계정에는 보통 멤버들의 메시지나 사진과 동영상을 올리고 본인들의 근황을 알리면서 팬들과 소통을 하며 스태프 계정은 에버글로우와 관련된 공지 사항[13]을 전달한다.
- 데뷔 프로모션인 멤버별 ‘Crank In Film’을 각기 다른 콘셉트을 가지고 찍었다. 팬들은 그룹의 콘셉트를 종잡을 수 없다며 놀라다가 다양한 캐릭터성을 반기고 있다.
- 멤버들의 활동명이 일반 단어와 겹치는 경우[15]가 많고, 단어가 아닌 이름을 예명으로 쓰는 시현도 동명이인이 많기[16] 때문에 검색이 어려운 그룹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언급되고 있는데, 그나마 아샤는 문제 없다. 심지어 팀명인 에버글로우도 콜드플레이의 노래 제목과 겹친다.[17]
- 1998년생 이유와 1999년생 시현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미아, 온다, 아샤, 이런) 모두 2000년생으로, 막내가 네 명인 셈이다. 그 가운데 생일이 가장 늦은 이런이 실질적인 막내로 간주된다. 또한, 모든 멤버들이 같은 회사 남성 아이돌 그룹인 TEMPEST와 나이가 겹친다.[18]
- 시현은 〈프로듀스 101〉과 〈프로듀스 48〉, 이런은 〈프로듀스 48〉 경력자 출신이다. 온다는 〈아이돌학교〉에 출연한 후 위에화에 입사했으며, 입사 소식이 들린 후 데뷔 조에서 준비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20]
- 숙소 룸메이트는 이유·아샤가 한 방, 시현·온다가 한 방, 미아·이런이 한 방이다.[21]
- 데뷔와 동시에 주목된 같은 소속사 최예나[22]의 IZ*ONE 활동 종료 후 합류 여부를 놓고 한 기자가 데뷔 쇼 케이스에서 질문했는데 “오래 전부터 함께 연습 생활을 했으며 에버글로우에 합류하는 걸 기대하고 있으나 당장 결정하는 부분이 아니고 지금 말씀을 드리기 어렵다.”라고 답변하였다. 또한 “에버글로우와 예나가 속한 아이즈원이 각자 자리에서 열심히 하길 바라며 예나의 합류는 언제든 환영한다.”라고 덧붙였다. 기사[23] 하지만 최예나는 솔로 활동을 결정하면서 합류는 사실상 불발되었다.
이와 별개로 〈예나는 동물탐정〉과 〈뽕숭아학당〉에서 같은 소속사 식구이자 입사 동기인 시현이 게스트로 출연하거나 〈뽕숭아학당〉에도 시현과 최예나가,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온다와 최예나가 2인조로 출연하는 등 최예나와 친밀한 관계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 국내보다 해외의 반응이 더 뜨거운 그룹이다. 특히 YouTube 조회 수는 프로모션을 감안하더라도 높고, 커버 댄스 곡과 안무 영상, 릴레이 댄스 조회 수도 상당하다. 발표 곡마다 해외 C-POP 팬들의 댄스 커버 영상에 자주 등장한다.
- 랜덤 플레이 댄스에 강하다.[24]
- 2019년 11월 1일 인스타그램에 ‘EVERDAY’라는 페이지가 생기면서 ‘#EVERGLOW #에버글로우 #EVERDAY #글적글적 #Diary #TMI’라는 태그와 함께 사진이 올라왔다. 이후 일주일 중 일요일을 제외한 6일에 멤버 한 명씩 사진을 올리고 있다. 매일 한 멤버씩 사진을 올리고 있으나, 11월 마지막 주 일주일 간 업로드가 안되었던 기간이 있었다. 2020년 2월에 발매한 《REMINISCENCE》 첫 주 활동 이후로 한동안은 에버데이 인스타그램에는 잘 올라오지 않고 주로 공식 인스타에 올라왔으나 7월부터 다시 ‘에버데이’에 사진이 올라오고 있다.[25] 아래의 각 멤버들 색깔이 colorcodedlyrics의 사이트 색깔들과 똑같은데, # ‘이유’와 ‘온다’는 바뀌어 있다.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시현 주황색 | 온다 노랑색 | 아샤 초록색 | 이유 하늘색 | 미아 파랑색 | 이런 보라색 |
- 멤버들의 이국적인 외모와 일본어 같은 예명 때문에 외국인 멤버가 많은 그룹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작 외국인 멤버는 이런 단 한 명뿐이고 나머지는 토종 한국인이다. 물론 국적이 다른 외국인이 한 명이 포함되어 있어 다국적 걸그룹인 것은 맞다. 참고로 특이한 예명들과 달리 한국인 멤버들의 본명인 지원, 시현, 은지, 세림, 유림은 모두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여성들한테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이름들이다.
- 성이 같은 멤버가 하나도 없다.[26]
- 평균 신장이 166.3 cm[27] 정도로 약간 큰 편이다.
- 현재까지 아샤가 왼손잡이로 확실히 밝혀졌다. 여러 팬 사인회 영상에서 왼손으로 펜을 들고 사인을 한 것이 찍혔기 때문이다. 물론 왼손잡이임에도 불구하고 오른손으로 필기를 하는 경우도 꽤 있어서, 나머지 멤버들 가운데 왼손잡이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 멤버 전원이 반려견을 키우고 있다. 그 가운데 온다와 아샤는 2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반려견과 반려묘를 한 마리씩 키웠던 시현의 반려견은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 할로윈 때마다 엄청 고퀄리티의 코스프레를 보여 준다. 이유는 2019년에 개인 사정으로 불참한 대신[28] 2020년에 영화 〈터미네이터〉의 사라 코너를 보여 주었고, 시현은 처녀귀신(’19년) / 스칼렛 위치(’20년), 미아는 말레피센트(’19년) / 마틸다(’20년), 온다는 유령신부(’19년) / 할리퀸(’20년), 아샤는 뱀파이어(’19년) / 라라 크로프트(’20년), 이런은 마녀(’19년) / 블랙위도우(’20년)를 보여 주었다.
|
|
- 멤버 모두한테 다리를 꼬고 앉는 버릇이 있다. 온다와 달리 이런은 트위터나 라이브 영상 등에서 가끔 목격되며, 이유, 시현, 미아, 아샤는 V LIVE, 트위터, 각종 영상 등지에서 다리를 꼬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 2020년 11월 12일 데뷔 후 처음으로 에버글로우가 OST를 냈는데, 그것은 〈나를 사랑한 스파이〉의 OST인 〈Let me Dance〉(원곡자: 렉시)였다. 첫 리메이크 곡이자 첫 OST, 첫 유닛 곡이기도 한다.[29]
- 멤버 전원의 형제자매 관계에 남동생이 없다.[30]
- 멤버 전원의 생일인 달이 모두 31일까지 있다.[31]
- 뮤직 비디오 1억 뷰가 무려 5개[32] 존재한다.
- 컴백 기간이 5개월부터 시작해서 1개월씩 늘어나던 법칙이 있었다. 그러나 이 법칙은 미니 3집에서 깨졌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스페셜 싱글을 발매한 것을 제외하면 1년 8개월 가량의 공백기를 보낸 뒤 싱글 4집 《ALL MY GIRLS》를 발매했다.[33]
- 2024년 12월 21일 이유와 시현이 합동 유튜브 채널인 ‘션이유’를, 같은 달 25일에는 온다가 개인 유튜브 채널인 ‘온세상세림’을 개설했다. 아샤는 같은 달 26일에 개인 블로그 ‘aishabella’를, 2025년 3월 20일에 개인 YouTube 채널을 추가로 개설했다.
10.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VERGLOW/논란 및 사건 사고#|]][[EVERGLOW/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역대 프로필 사진
역대 OFFICAL PHOTO | |||
| | | |
ARRIVAL OF EVERGLOW | HUSH | REMINISCENCE | -77.82X-78.29 |
| | | |
Last Melody | RETURN OF THE GIRL | ALL MY GIRLS | ZOMBIE |
[1] 원래 이유였으나 Last Melody 활동부터 시현으로 바뀌었다.[2] 이 인사법에 관해 말이 많이 나오고 있다. All Right라 쓸 때도 있고 All Light라 쓸 때도 있다. (심지어 공식 유튜브 채널도 이 점을 헷갈려한다.)[3] 다만 온다는 수풀 림(林)을, 아샤는 아름다울 림(琳)을 쓴다는 점이 다르다.[4] 외국 팬들은 영어로 Airen이라고도 한다.[5] 주로 해외 팬덤 사이에서 eunjiwon이라고 불린다.[6] 브이앱에서 아주 잠깐 언급되어 또 쓰이진 않을 것 같다.[7] 이것도 에버글로우 LAND에서 아주 잠깐 언급되어 또 쓰이진 않을 것 같다.[8] 션샤[9] 그러다가 2023년 8월 14일, ALL MY GIRLS 앨범 커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금까지 나온 로고들이 합쳐진 모습으로 이미지를 만들었고 로고는 데뷔 앨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사실상 자전하는 컨셉이 종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10] 가수 이채연과 같은 댄스스쿨에 다녔으며, 그녀의 증언에 따르면 그 때부터 춤실력이 뛰어났다고 한다.[11] 데뷔 188일 만의 1위이다.[12] 2015년부터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13] 예를 들어, 에버글로우가 음악 방송에 출연하면 팬들이 에버글로우가 출연하는 음악 방송에 방청을 하기 위한 안내 등이 있다.[14] “기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15] 다만 ‘이런’은 예명처럼 보일 수 있지만, 본명인 ‘왕이런’에서 따온 활동명이다.[16] 당장 프로듀스 시리즈에 나선 김시현만 3명이다(여자 2 + 남자 1). 이는 김민서가 이어받게 되는데, 김시현과 반대로 여자 1 + 남자 2에 해당된다.[17] 사실 해당 단어 자체를 크리스 마틴이 만들었다.[18] 1998년생인 이유는 한빈과, ’99년생인 시현은 형섭과 동갑이며, 2000년생인 나머지 멤버들(미아, 온다, 아샤, 이런)은 모두 혁과 동갑이다.[19] 이유 - 하남시, 시현 - 성남시, 온다 - 부천시, 미아 - 김해시, 아샤 - 수원시. 이 중에서 김해만 경기도의 관활 권역이 아닌 경상남도의 관할 권역으로, 한국인 멤버 5명 중에서 미아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지역 출신이다.[20] 온다가 연습생 시절 한 팬이 생일 서포트 업체에게 포장 주문을 맡겼는데, 그 업체에서 데뷔 조라는 이야기가 먼저 나왔었다.[21] 사다리 타기를 통해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유·시현, 미아·온다, 아샤·이런이 각각 한 방을 함께 사용한 적이 있다.[22] 멤버 시현, 이런과 함께 〈프로듀스 48〉에 참가하였다.[23] 이러한 기자의 질문에 WIZ*ONE, 특히 최예나의 팬들은 상당히 분노했다. IZ*ONE 활동에 집중 중인 최예나의 합류를 언급하는 것은 서로의 팬들에게 있어 예민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한 발언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일 이후에는 언급에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팬들끼리 서로 과열될 필요는 사라졌다. 최근 IZ*ONE 컴백 시기와 맞물려 음방에서 서로의 모습이 잡혔는데 프로듀스 시리즈에 참여한 멤버들끼리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24] 음악과 파트가 바꾸어도 모든 멤버가 단 1초만에 자리를 잡고, 충돌도 없고, 동작 하나하나가 딱딱 맞는다. 제2의 여자친구라고 할 정도로 랜덤 플레이 댄스 실력을 갖고 있다.[25] 다만 전에 정한 요일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올라온다.[26] 이유(박지원), 시현(김시현), 미아(한은지), 온다(조세림), 아샤(허유림), 이런(왕이런)[27] 아샤: 174.3 cm, 시현: 170 cm, 온다: 166 cm, 미아: 163 cm, 이런 163 cm, 이유: 161.4 cm[28] 어디론가 출장을 떠났다고 하는데 이 V LIVE에서 멤버들이 나눈 얘기를 들어 보면 할리퀸 코스프레를 할 예정이었던 것 같다. 할리퀸은 온다가 2020년 할로윈에 코스프레를 한다.[29] 온다와 이런은 녹음에 불참했다.[30] 온다는 여동생이 있는 유일한 첫째이고, 이유, 아샤, 이런은 모두 언니가 있다. 그리고 시현은 오빠, 미아는 오빠와 언니가 있다.[31] 이유 5월, 시현 8월, 미아 1월, 온다 5월, 아샤 7월, 이런 12월.[32] 〈봉봉쇼콜라〉, 〈Adios〉, 〈DUN DUN〉, 〈LA DI DA〉, 〈FIRST〉[33] 그래도 스페셜 싱글까지 포함하면 9개월로 절반 가량 줄어든다.[34] 다만〈SLAY〉, 〈ZOMBIE〉는 논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