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0070bb><colcolor=#000> 안동시 | · · | <colbgcolor=#0070bb> 포항시 | |
구미시 | · | 경주시 | ||
김천시 | 영천시 | · | ||
상주시 | 경산시 | · | ||
문경시 | 영주시 | |||
예천군 | 봉화군 | |||
의성군 | 울진군 | |||
영양군 | 칠곡군 | |||
청송군 | 성주군 | |||
영덕군 | 고령군 | |||
울릉군 | 청도군 |
| |
유니시티를 투입해서 운행하는 도청신도시의 88번 | 풍산행 버스 |
醴泉旅客
1. 개요
경상북도 예천군에 위치한 농어촌버스 운수업체로, 1981년 6월 5일에 설립됐다. 차고지는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효자로 198 (백전리)에 있다.2. 노선
의 운행 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차량
한 때는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였으나, 2010년 이후로 절반 이상이 그린시티로 교체됐으며 주력차종이 자일대우버스에서 그린시티로 바뀌었다. 2012년에는 NEW BS090 2대를 구매했지만 2023년 7월에 대차돼 전 차량 현대버스로만 운행한다.현재 쓰고 있는 빨강·노랑·남색 무늬의 도색은 이전에는 좌석버스[1]와 예천공항 폐쇄로 흑역사가 된 대우 BH115H 안동-예천공항간 공항버스[2]에만 쓰였지만 2005년부터 일반버스에도 쓰이고 있다.[3]
빨강·노랑·남색 무늬 도색 중 최초 입석 차량이자 중형 최초 입석차량인 9318호 2005년식 BS090이 2015년 7월에 예천여객 최초 유로6 차량인 2015년식 그린시티 디젤로 대차됐다. 해당 차량은 예천여객 전중문형 및 그린시티 최초로 좌석버스 시트가 달려 있다.[4]
경북 최후의 영업용 BF105를 2008년 7월까지 굴린 업체이기도 하다.[5]
경북 최후의 무냉방버스를 굴린 업체로도 유명한데, 1999년식 BS106[6]으로 당시 수많은 동호인들에게 주목을 받기도 했으며, 심지어 6시 내고향에도 이 버스를 리포트하러 나오기도 했다.(!)[7]
2014년 12월 23일부터 용궁면 마을버스로 뉴 카운티를 투입했다. # 현재 뉴 카운티 차량은 예비차량으로 운용하다 일렉시티로 대차되었으며, 용궁면 마을버스로는 농어촌버스로 운행하던 그린시티로 바뀌다 예천에서 차량이 오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에는 남해여객 중고의 로얄 이코노미 2대 중 1대가 유니시티로 대차됐으며(다른 1대는 그린시티로 대차), 경북도청이전신도시 노선 투입 차량으로 뉴 카운티를 1대 더 투입했다.[8]
2017년에는 중형버스 최후의 전문형 차량이 그린시티로 대차되고, 유니시티가 1대 더 증차됐다. 유니시티의 경우 주로 점촌행 노선에 투입되나, 도청행, 풍산행, 풍기행, 용두행 등 다른 방면으로도 가끔씩 투입되다 99번에 고정으로 운행 중이다.
2018년에는 BS090 F/L 3대 중 2대가 그린시티 미개선형으로 대차되고, 9월 3일에 배차 간격이 1시간에서 25분으로 단축되는 경북도청신도시 노선 투입을 위한 증차분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 2대를 출고했다.
2020년에는 2010년에 최초로 출고한 그린시티 2대가 예천여객 최초의 그린시티 개선형으로 대차되면서 2년여만에 중형차량을 출고했다. 동시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2대를 증차했다.
2021년에도 뉴 슈퍼 에어로시티 2대를 증차해 경북도청신도시 노선에 투입한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경우 경북 군 단위에서 유일하게 로우백 시트가 적용되고 에어 서스펜션이 적용되나, 그린시티는 2015년부터 좌석형으로만 출고한다.
2024년 6월 7일, 경북 군 단위 중 울진에 이어 2번째로 일렉시티 EV를 2대 도입해 77번에 투입했으며 기존 도색과는 달리 무도색이다.
3.1. 현재 보유 차량
3.1.1. 현대자동차
3.2. 과거 보유 차량
3.2.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NEW BS090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H115H 로얄 익스프레스 디젤
- 대우 BH115E 로얄 이코노미 디젤
[1] 더 이전에는 대구, 경북 공통의 파란색 날개 도색이였다.[2] 당시 안동시 시내버스 업체인 경안여객 BH115H와 공동 배차했다. 준고속형 차량하면 동춘여객인데 왜 동춘여객이 아니었는지? 그저 안동버스만 지못미.[3] 2005년 이전까지의 일반버스 도색은 1986년 제정된 경상북도 시내일반버스 공용 구도색(아이보리색 바탕에 남색 줄, 현재는 의성, 문경에서만 볼 수 있다.)으로, 2013년 초 마지막 BS106이 그린시티로 대차하면서 남해여객 중고의 로얄이코노미 2대를 제외한 모든 대형차량이 사라지는 동시에 사라졌다. 1986년 이전에는 아이보리색 바탕에 붉은 무늬가 들어간 대구·경북 공용 구도색이었다.[4] 경상북도 농어촌버스에서 영덕버스, 청도버스의 그린시티와 의성여객, 청송버스의 NEW BS090도 2013년 상반기까지는 입석버스 옵션으로도 구매했지만, 동년 하반기 이후에는 일반·좌석버스 요금이 일원화돼도 좌석버스 옵션으로만 구매한다.[5] 예천 이외에 경북에서 마지막으로 BF105를 굴린 곳은 영주여객 봉화영업소(현 봉화여객)이며, 전국 최후의 영업용 BF105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한일교통에서 2008년 8월까지 굴렸다.[6] 해당 차량인 무냉방 로얄시티는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영덕버스에서도 굴린 적이 있다.[7] 당시 무냉방버스는 도시에서는 진작에 대차됐고(서울은 풍양운수가 2004년 6월까지 85-1번에 굴렸고, 부산에서도 마을버스로도 굴렸다.), 시골에서조차 찾아보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추억을 주제로 해서 나온 듯 하다. 예천여객의 무냉방 차량은 그린시티로 대차됐으며, 대차된 차량은 당연히 에어컨이 달린 냉방차량이다.[8] 현재는 도청신도시로 가는 77번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88번은 유니시티가 투입되며, 뉴 카운티는 99번에 투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