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wiki style="margin:0 -10px -5px" {{{#bea06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1e2d,#DDD | <colbgcolor=#2faee0><colcolor=#fff> 산하 스포츠단 | <colbgcolor=#fff><colcolor=#bea064> 축구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스쿼드/간략) | |
역사와 문화 | 역사 | 역사 · 역대 감독(1~40 | 41~80 | 81~현재) | ||
역대 시즌 | 2023-24/리그 · 2024-25 | |||
기록 | 리그 1 9회 | 1936-37, 1947-48, 1970-71, 1971-72, 1988-89, 1989-90, 1990-91, 1991-92, 2009-10 | ||
쿠프 드 프랑스 10회 | 1923-24, 1925-26, 1926-27, 1934-35, 1937-38, 1942-43, 1968-69, 1971-72, 1975-76, 1988-89 | |||
트로페 데 샹피옹 9회/최다 우승 | 1971, 2010, 2011 | |||
UEFA 챔피언스리그 1회 | 1992-93 | |||
관련 상식 | 더비 매치 | |||
구단 시설 | 경기장 | 오렌지 벨로드롬 |
1. 개요2. 역사
2.1. 창단2.2. 초기 시대 (1900-1932)2.3. 전성기와 프로화 (1932-1940)2.4. 1940년대2.5. 1950년대2.6. 1960년대2.7. 1970년대2.8. 1980년대2.9. 1990년대2.10. 2000년대2.11. 2012-13 시즌2.12. 2013-14 시즌2.13. 2014-15 시즌2.14. 2015-16 시즌2.15. 2016-17 시즌2.16. 2017-18 시즌2.17. 2018-19 시즌2.18. 2019-20 시즌2.19. 2020-21 시즌2.20. 2021-22 시즌2.21. 2022-23 시즌2.22. 2023-24 시즌2.23. 2024-25 시즌
1. 개요
제목 그대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이다.2. 역사
2.1. 창단
|
르네 뒤포르 드 몽미레유(René Dufaure de Montmirail)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는 1899년 8월 31일에 마르세유에서 르네 뒤포르 드 몽미레유(René Dufaure de Montmirail)에 의해 설립되었다. 구단의 역사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1897년 8월 14일에 푸트볼 클뢰브 드 마르세유(Football Club de Marseille)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구단을 전신으로 하며 이 FC 마르세유는 약 1894년부터 활동했던 '주니어 클럽(Junior Club)'의 회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럭비를 하던 팀이었으나, 첫 축구 경기는 1897년 11월 7일 US 포세엔(US Phocéenne)[1]과의 경기였고 1-3으로 패했다. 1897년 11월 21일, 21세의 르네 뒤포르 드 몽미레유가 FC 마르세유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구단의 공식 유니폼은 'O'와 'M' 두 글자가 교차된 흰색 저지와 검은색 반바지였으며, 구단의 모토는 "Droit au But(골을 향한 권리)"이었다. 1899년 12월 12일 이사회 회의에서 뒤포르 드 몽미레유의 제안으로 구단명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로 변경하고 유니폼을 흰색 상의와 검정색 하의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이 변경사항은 1900년 1월 8일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올랭피크라는 이름은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근대 올림픽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마르세유 도시가 원래 고대 그리스인들에 의해 건설된 역사적 배경을 기념하는 의미도 가진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진정한 축구 역사는 1900년 1월 21일에 시작되었는데, 이날 OM은 US 포세엔과 첫 친선경기를 치러 4-0으로 승리했다. 1900년 2월 18일에는 첫 리토랄 챔피언십(Championnat du Littoral) 우승을 차지했다.
2.2. 초기 시대 (1900-193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는 1903년부터 1908년까지 6번 연속 리토랄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지역 수준에서는 강세를 보였다. 1902년부터 1937년까지 위반(Huveaune)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한 OM은 점차 전국적인 무대에 등장하게 되었다.1903년, 마르세유는 연속 4회 리토랄 챔피언십 우승 후 처음으로 USFSA 프랑스 챔피언십에 참가했으나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경쟁 클럽인 스타드 엘베티크 드 마르세유(Stade Helvétique de Marseille)가 1909년부터 마르세유의 지역 지배력을 종식시켰고, 심지어 USFSA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세 번이나 우승을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거의 모든 스포츠 활동을 중단시켰지만, 1917년에 새로운 대회인 쿠프 드 프랑스가 등장했다. 마르세유의 첫 경기는 모나코의 에르쿨리스를 상대로 7-0으로 승리했다. 대전 이후 마르세유는 1919년 USFSA 프랑스 챔피언십 마지막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했지만 르아브르에 1-4로 패배했다. 이 시점부터 마르세유는 부슈뒤론 지역을 넘어 명성을 쌓기 시작했다.
마르세유가 전국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부터이다. 1921년 마리노 달라포르타(Marino Dallaporta)가 회장이 되어 스타 선수 영입 정책을 펼쳤다. 그는 경쟁자 FC 세트(FC Sète)의 정책을 모방하여 1923-1924 시즌에 파리에서 에두아르 크루(Édouard Crut)와 장 부아예(Jean Boyer)를 영입했다. 크루는 군 국가대표였고, 부아예는 1921년 5월 프랑스가 잉글랜드를 상대로 거둔 역사적인 승리에서 프랑스의 두 골 중 하나를 넣은 선수였다.
마르세유는 1924년, 1926년, 1927년 세 차례에 걸쳐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했고, 이로써 지방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이 트로피를 획득했다. 또한 프랑스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트로피를 받은 첫 클럽이 되었다. 마르세유는 다시 지역 축구의 강자로 떠올라 두 번의 남동부(Sud-Est)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1929년에는 클럽 프랑수아(Club Français)를 상대로 프랑스 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도 우승했다.
크루의 후임으로 니스로 떠난 프로리픽 공격수를 대체하기 위해, 마르세유의 부회장이었던 샤를 엘카바크[2]는 1927년 오랑의 클럽 아틀레틱 리베르테에서 수비수로 뛰던 젊은 조제프 알카사르를 발견했다. 그러나 "페피토"라는 별명으로 불린 알카사르는 공격수로서 1920년대 말부터 1939년 릴로 떠날 때까지 마르세유를 이끌었으며, 프로 1부 리그에서 95경기 67골을 기록했다. 알카사르는 북아프리카에서 온 마르세유의 첫 번째 선수가 되었고, 1934년 월드컵에 프랑스 대표로 참가한 첫 번째 마르세유 선수가 되었다.
2.3. 전성기와 프로화 (1932-1940)
1930년대 초 마르세유는 남동부 챔피언십에서 다시 두각을 나타냈다. 이러한 모든 성공으로 마르세유는 프로 클럽 그룹에 가입하게 되었고, 1932년에 창설된 새로운 프랑스 프로 챔피언십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입으로 인해 마르세유 클럽은 회장, 사무총장 및 재무관을 임명하는 등 조직 전체를 개편하게 되었다.1930년대 초, 마르세유는 또 다른 쿠프 드 프랑스 경기에서 클럽 프랑수아와 맞붙었다. 이 16강전은 추가 시간까지 포함해 네 번이나 다시 치러졌다. 두 번째 경기에서 마르세유가 2-0으로 이겼지만, 자격이 없는 독일인 베르니케(Vernicke)를 출전시켜 경기 재개 판정을 받았다. 최종 결정은 1931년 3월 22일 콜롬브에서 이루어졌고, 약 1만 명의 관중 앞에서 마르세유는 알카사르의 골로 리드했으나 로베르 메르시에(Robert Mercier)가 동점골을 넣었고, 연장전에서 헝가리인 미클로시 보로시(Miklos Boros)가 파리지앵들의 결정적인 골을 넣었다.
이 챔피언십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프로팀으로서의 첫 시즌에서 마르세유는 FC 세트, 라싱 파리, 이에르 FC, 뮐루즈, 엑셀시오르 드 루베, SC 님, 올랭피크 릴루아즈와 같은 클럽들과 같은 그룹에서 경쟁했다. 흥미롭게도 마르세유는 시즌 개막전에서 올랭피크 릴루아즈를 7-0으로 대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즌이 끝날 무렵에는 올랭피크 릴루아즈가 그룹 1위를 차지했고 마르세유는 2위에 머물렀다. 이후 올랭피크 릴루아즈는 다른 그룹 1위 팀과의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최종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다.
1930년대는 마르세유의 두 번째 전성기였다. 쿠프 드 프랑스에서 네 번의 결승전에 진출해 1935년과 1938년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1937년에는 프랑스 리그 챔피언 타이틀도 획득했다. 또한 이 시기에 리그에서 네 번의 준우승을 기록하는 등 프랑스 축구계에서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시기의 동유럽은 당시 세계 축구계를 주름잡던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대표팀의 고향으로, 마르세유에 많은 재능있는 선수들을 제공했다. 왼쪽 윙어 요제프 아이젠호퍼(József Eisenhoffer)는 헝가리 공격수 코후트 빌리(Willy Kohut)와 바이스코프 에드몬드(Edmond Weiskopf), 오스트리아 감독 빈젠츠 디트리히(Vinzenz Dittrich)를 이끌었다.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공격수 에마뉘엘 아즈나르(Emmanuel Aznar), 마리오 자텔리, 라르비 벤 바레크(Larbi Benbarek)와 공격형 미드필더 에밀 제르마니(Émile Zermani), 수비수 압델살렘 벤 밀루드 살렘(Ben Miloud Salem)과 압델카데르 벤 부알리(Abdelkader Ben Bouali)가 영입되었다. 마지막으로, 마르세유는 로랑 디로르토, 막스 콘시(Max Conchy)와 앙리 콘시(Henry Conchy), 조르주 다르(Georges Dard)와 같이 이 지역 출신의 선수들에게도 의존했다.
요제프 아이젠호퍼는 "아이지(Eisie)"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932년 12월 하코아 비엔나에서 마르세유로 이적했다. 그는 1932년 10월 30일 위반 스타디움에서 마르세유와의 친선 경기 중 뛰어난 모습을 보여 영입되었다. 아이지는 이후 마르세유에서 7시즌 동안 활약했으며, 공격 부문의 지휘자 중 한 명이었다. 이후 그는 클럽의 감독이 되어 1937년 마르세유의 첫 번째 프로 챔피언 타이틀을 안겨주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마르세유와 FC 세트 간의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1933-34 시즌에는 세트가 마르세유의 리그와 컵 모두에서의 우승 가능성을 좌절시켰다. 세트는 모든 경기를 마친 상태에서 마르세유보다 1점 앞서 있었지만, 마르세유는 아직 세 경기를 남겨두고 있었고 득실차에서 유리했다. 마르세유는 이 세 경기 중 하나에서만 무승부 이상의 결과를 거두면 우승이 가능했다. 세트 선수들은 아프리카 투어 중이었고, 프랑스 신문 로토(L'Auto)는 1934년 4월 29일 마르세유가 SC 님을 7-3으로 이긴 후 "마르세유는 사실상 프랑스 챔피언"이라고 1면에 선언하는 등 언론은 이미 마르세유의 우승을 기정사실화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마르세유는 남은 세 경기를 모두 패배하여 세트가 프랑스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세트 선수들은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에서 마르세유를 이긴 후에야 자신들이 리그 챔피언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1937년 마르세유는 FC 소쇼와 동일한 승점을 기록했으나, 득실차 비율[3]이 더 좋았기에 프랑스 첫 리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1937년 6월 13일, 마르세유는 35,000석 규모의 스타드 벨로드롬에서 2-1 승리를 거둔 토리노 FC와의 친선경기를 통해 새 홈구장을 개장했다. 그 사이에 마르세유는 1935년과 1938년에 쿠프 드 프랑스에서 다시 우승하며 이 대회에서 레드 스타와 함께 최다 우승을 기록, "컵의 클럽"이라는 명성을 확고히 했다. 이후 로랑 디로르토가 소쇼로 떠난 후에도 팀은 프랑스인 공격수 마리오 자텔리, 브라질 골키퍼 자구아레 바스콘셀로스(Jaguaré Bezerra de Vasconcelos), '흑진주'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모로코 공격수 라르비 벤 바레크의 영입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마르세유는 1938년과 1939년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2.4.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축구는 계속되었지만, 스타드 벨로드롬이 군대에 의해 징발되어 마르세유는 다시 위반 스타디움으로 돌아가야 했다. 마르세유는 1939-40 시즌 남동부 지역 챔피언십에서 2위를 차지했고,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서는 라싱 파리에 1-2로 패배했다.1940-41 시즌에는 자유 지역(Zone libre)[4]의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으나, 이 타이틀은 마르세유의 공식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1942-43 시즌에는 마르세유의 공격진이 매우 강력했다. 챔피언십에서 100골을 기록했으며, 그 중 20골은 아비뇽 AC와의 단일 경기에서 나왔다. 이 경기는 20-2 스코어로 끝났고, 에마뉘엘 아즈나르는 9골을 기록했다. 컵 대회에서도 마르세유는 보르도를 상대로 4-0으로 대승을 거두며 여섯 번째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차지했다. 로제 스코티(Roger Scotti)나 조르주 다르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축구 선수들이 활약했다.
1943-44 시즌에는 비시 정권에 의해 설립된 연방 팀들이 등장했고, 이들이 챔피언십에서 클럽들을 대체했다. 여러 마르세유 선수들은 에퀴프 페데랄 마르세유-프로방스(Équipe fédérale Marseille-Provence)에서 뛰었다. 이 연방 팀들은 연합군의 프랑스 해방 후 해체되었다. 1945년에 마르세유는 해방컵[5]에 참가하여 위반 스타디움에서 메스와의 결승전에서 패배했다.
9위와 6위를 차지한 후, 마르세유는 1947-48 시즌에 11년 만에 다시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다. FC 소쇼와의 경기 후반 종료 직전 동점을 만들고, CO 루베-투르쿠앵과 메스를 상대로 각각 6-0, 6-3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해 마르세유는 3위를 차지했다. 1949년 마르세유 회장 루이 베르나르 당코스(Louis-Bernard Dancausse)는 "마르세유 II"라는 별명을 가진 두 번째 프로 클럽인 그룹 스포르팅 클럽 마르세유(Groupe Sporting Club Marseillais)를 설립했다. 이 팀은 빠르게 마르세유의 예비팀으로 변했고, 1951년에 사라졌다.
2.5. 1950년대
1952년, 마르세유는 2부리그 강등 위기에 놓였으나 스웨덴 출신 공격수 군나르 안데르손(Gunnar Andersson)[6]의 활약으로 발랑시엔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들은 1차전에서 1-3으로 패했지만 2차전에서 4-0으로 승리하며 마르세유가 1부 리그에 잔류하긴 했지만 해당 시즌에는 AS 생테티엔에게 3-10이라는 참패를 당하기도 했다.1953년, 스웨덴 공격수 군나르 안데르손은 35골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득점왕을 차지했다. 이는 마르세유 득점의 56%를 차지하는 기록이었다. 마르세유는 1953-54 시즌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니스에 1-2로 패배했고, 1957년 쿠프 샤를 드라고(Coupe Charles Drago)[7]에서는 랑스를 3-1로 이기며 우승했다.
이러한 컵 대회에서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마르세유는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57-58 시즌에서 간신히 최종전에서 리그 잔류에 성공한 후, 1959년 마르세유는 역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심지어 쿠프 드 프랑스에서도 2부 리그 최하위 팀이었던 FC 페르피냥에게 1-2로 패배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마르세유는 2부리그에서 어렵게 10위로 시즌을 마쳤다.
2.6. 1960년대
1961년에 첫 번째 승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후, 마르세유는 1962년 브라질 출신 감독 오투 글로리아의 지도 아래 마침내 1부 리그로 복귀했다. 글로리아는 1962년 2월 마르세유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목표는 마르세유를 1부리그로 승격시키는 것이었다. 공격수 에티엔 산소네티(Étienne Sansonetti)의 38경기 16골 활약에 힘입어 글로리아의 팀은 단 한 경기[8]만 패배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며 1부 리그 승격을 이뤄냈다. 그러나 글로리아는 목표를 달성한 후인 1962년 7월 브라질의 CR 바스쿠 다 가마를 지도하기 위해 마르세유를 떠났다.그의 빈 자리는 아르망 펜베른(Armand Penverne)으로 대체되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아 얼마 안가 바르셀로나에서 온 루이스 미로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미로 역시 여전히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고, 결국 마르세유는 1963년 챔피언십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 시즌에 마르세유는 인터-시티 페어스컵[9]에 첫 참가했으나 첫 라운드에서 벨기에의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에게 합계 3-4로 탈락했다.
1963-64 시즌, 장 로뱅(Jean Robin) 감독 하의 마르세유는 프랑스 국가대표 앙투안 켈러(Antoine Keller)의 20골 활약에도 불구하고 5위에 그치며 1부리그 승격에 실패했다. 다음 시즌이 시작되기 전 도글리아니, 밀라초, 켈러 등 주요 선수들과 AS 마자르그로 떠난 장 로뱅 감독까지 떠나면서 팀 구성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64-65 시즌 마르세유는 3부 리그 강등권과 가까운 성적을 기록했다.
마르세유 사업가 마르셀 르클레르(Marcel Leclerc)는 1965년, 팀이 2부 리그에서 침체되어 있고 끔찍한 시즌을 보내던 시점에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회장이 되었다. 당시 마르세유는 2부 리그에서 14위에 그쳤다. 레클레르의 야망 덕분에 마르세유는 점진적으로 1966년 1부 리그로 복귀했고, 1969년에는 7번째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했다.
1969-70 시즌, 마리오 자텔리 감독이 이끄는 마르세유는 생테티엔에 이어 프랑스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즌 마르세유의 좋은 성적은 카메룬 출신 공격수 조제프 예그바 마야(Joseph Yegba Maya), 샬리 루베(Charly Loubet), 요시프 스코블라르, 스웨덴 출신 로제 마그누손(Roger Magnusson) 등 매우 강력한 공격진 덕분이었다.
이듬해 시즌, 마르세이가 뤼시앵 르뒥(Lucien Leduc) 감독의 지도 아래 생테티엔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1971년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요시프 스코블라르와 로제 마뉘손으로 구성된 공격 듀오의 활약이 컸다. 유러피언 무대에서는 UEFA 컵 1라운드에서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에 탈락했다.
2.7. 1970년대
1971-72 시즌, 마르세유는 처음으로 유러피언컵에 참가했다. 이에 맞춰 마르세유 경영진은 라이벌 생테티엔에서 프랑스 국가대표 골키퍼 조르주 카르누(Georges Carnus)와 프랑스 국가대표 중앙 수비수 베르나르 보스키에(Bernard Bosquier)를 영입하는 대형 이적을 성사시켰다. 이 시즌 마르세유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리그와 컵 더블을 달성했다. 하지만 유러피언컵에서는 2라운드에서 리누스 미헬스가 이끄는 AFC 아약스에게 패하며 탈락했다.1972-73 시즌을 위해 마르세유는 생테티엔의 골잡이 살리프 케이타와 프랑스 국가대표 수비수 마리우스 트레소르를 영입했다. 마르세유는 1부 리그에서 3위를 차지했고, 유러피언컵 1라운드에서 유벤투스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한편, 자금 유용 혐의로 구단 회장 마르셀 르클레르는 1972년 사임해야 했다.[10]
1973-74 시즌은 마르세유에게 어려운 시즌이었다. 마그누손과 케이타의 이적으로 팀은 리그에서 12위에 그쳤다. UEFA 컵에서는 FC 쾰른에게 탈락했으며, 특히 쾰른 원정에서는 0-6이라는 대패를 당했다
다음 시즌은 완전히 달랐다. 마르세유는 이적 시장에서 공격 라인을 강화하기 위해 두 명의 국제적인 스타를 영입했다. 파울루 세자르 리마(Paulo César Lima)는 60만 달러에 마르세유로 이적했다. 이 브라질 선수가 향수병에 걸리지 않도록 회장 페르낭 메리크(Fernand Méric)는 1974년 10월, 브라질 국가대표 공격수이자 1970년 월드컵 득점왕인 자이르지뉴도 125만 프랑에 영입했다. 1975년 5월 13일, 파리 생제르맹과의 쿠프 드 프랑스 8강전에서 자이르지뉴가 선심을 공격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그는 결백을 주장했지만 유죄 판결을 받고 1년 실격 및 1년 집행유예 처분을 받았다. 이로써 자이르지뉴의 마르세유 시절은 한 시즌만에 끝났다. 그래도 이 브라질 스타들의 활약덕분에 마르세유는 AS 생테티엔에 이어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5-76 시즌, 마르세유는 리그에서 9위에 그쳤다. 시즌의 유일한 밝은 면은 아르헨티나 공격수 엑토르 야살데(Hector Yazalde)의 활약으로 9번째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한 것이었다. 이후 시즌들도 마르세유에게 어려웠다. 12위에 그친 후 다음 시즌에는 4위로 마무리했다. 1979년, 쥘 즈붕카(Jules Zvunka)의 복귀로 1978-79 시즌에 다시 12위를 차지한 침체된 마르세유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2.8. 1980년대
1980년대 초반은 마르세유에게 더욱 어려운 시기였다. 1979-80 시즌이 끝난 후 마르세유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마리우스 트레소르, 디디에 식스(Didier Six), 미셸 응곰(Michel N'Gom), 안데르스 린데로트(Anders Linderoth) 같은 선수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즌 내내 강등권에 머물렀다.1980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마르세유는 주축 선수들인 트레소르, 식스, 베르돌, 장 페르난데스 등을 방출했다. 시즌은 좋지 않게 시작되었고, 감독 장 로뱅은 9월에 알베르 바토로 교체되었다. 성적이 개선되었지만, 1981년 4월 구단은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결과적으로 모든 선수와 직원들이 실직 상태가 되었다.
2부 리그에서 구단 경영진은 "미노(Minots)"[11]를 1군에 통합하는 젊은 선수들의 육성 정책을 실시했다. 이들 중에는 크리스티앙 카미니티(Christian Caminiti), 호세 아니고(José Anigo), 에릭 디메코, 마르셀 드 팔코(Marcel De Falco), 장샤를르 드보노(Jean-Charles De Bono) 등이 있었다. 이 젊은 선수들은 시즌 마지막 6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하며 3부 리그 강등을 면했고, 새로 승격한 몽펠리에까지 3-1로 꺾으며 2부 리그 A조에서 6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는 1부리그 승격에는 부족했다.
다음 시즌, 롤랑 그랑사르(Roland Gransart) 감독이 이끄는 마르세유는 공격수 마르크 파스칼(Marc Pascal)의 활약으로 좋은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시즌 중반 부진으로 인해 승격권인 1, 2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3위에 그쳤다. 1982-83 시즌에는 시즌 초반 부진으로 결국 2부 리그에서 4위로 마무리했다.
1983년 여름, 회장 장 카리외(Jean Carrieu)는 세네갈 출신 사르 부바카르(Sarr Boubacar)와 프랑수아 브라치(François Bracci) 등을 영입하며 팀을 재구성했고, 득점력 높은 시즌 끝에 마르세유는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세네갈 윙어 사르 부바카르, 마르크 파스칼, 세르비아 출신 자르코 올라레비치(Žarko Olarević)가 각각 25골, 23골, 20골을 기록하는 놀라운 활약을 펼쳤다.
프랑스 축구 정상으로 복귀하면서, 마르세유 경영진은 승격을 이끈 대부분의 선수들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고, 1984년 10월 피에르 카위작(Pierre Cahuzac) 감독이 SC 바스티아로 떠난 롤랑 그랑사르를 대신해 새 감독이 되었다. 마르세유는 1부 리그 하위권에 머물다가 2부리그 강등을 간신히 모면했다. 다음 시즌도 비슷했고, 12위로 마무리했다. 그러나 1985-86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서는 보르도에게 연장 끝에 1-2로 패배했다.
마르세유 시장 가스통 드페르의 제안으로 1986년에 사업가 베르나르 타피[12]가 구단의 회장이 되었고, 유러피언컵 우승이라는 그의 확고한 목표가 있었다. 베르나르 타피의 부임은 구단 역사상 가장 영광스러운 시대의 시작이었다. 이 시기는 팀과 감독의 잦은 변화로 특징지어졌다. 시즌이 지날수록 마르세유의 선수진은 타피의 목표 달성을 위해 변화하고 강화되었다.
타피의 부임과 함께 그는 두 번의 월드컵에 출전한 독일 수비수 카를하인츠 푀르스터, 라이벌 보르도에서 영입한 알랭 지레스, 그리고 AS 모나코로 이적할 뻔했던 장피에르 파팽을 영입했다. 1986년, 미셸 이달고는 프랑스 축구 연맹 기술 이사직(DTN)을 떠나 마르세유의 스포츠 디렉터가 되었다. 타피 시대의 첫 시즌은 리그 준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1987-88 시즌, 제라르 바니드( Gérard Banide) 감독은 장피에르 파팽을 지원하기 위해 가나 출신 윙어 아베디 펠레와 독일 공격수 클라우스 알로프스를 영입했다. 알로프스의 영입은 마르세유에서 첫 해에 어려움을 겪었던 파팽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었다. 파팽은 46경기에서 총 23골을 기록했다. 이러한 영입에도 불구하고, 1987년 보르도에 밀려 준우승을 차지한 후, 그 다음 시즌에 마르세유는 1부 리그에서 6위에 그쳤다. 유럽 대항전에서는 1988년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데니스 베르캄프의 아약스에게 패배하며 탈락했고, 베르나르 타피는 제라르 질리(Gérard Gili)를 마르세유 감독으로 임명했다.
1988-89 시즌을 위해 마르세유는 골키퍼 가에탕 위아르(Gaëtan Huard), 미드필더 에릭 디메코와 프랑크 소제, 공격수 에릭 칸토나와 필리프 베르크루이스(Philippe Vercruysse)를 영입하며 이적 시장에서 의욕을 보였다. 파팽을 중심으로 한 마르세유는 73점으로 리그에서 우승했고, AS 모나코를 4-3으로 꺾으며 쿠프 드 프랑스도 차지했다. 이 쿠프 드 프랑스는 마르세유에게 더블을 안겨주었으며, 파팽이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모나코를 꺾은 전설적인 경기로 기억된다. 트로피 수여식에서 파팽은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과 입맞춤을 나눴다. 후에 모나코는 1991년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서 마르세유를 이기며 복수했다.
1989-90 시즌, 미셸 이달고는 마누엘 아모로스, 카를루스 모제르와 엔조 프란체스콜리를 영입했다. 크리스 워들의 영입은 타피 자신의 작품이었다. 그는 토트넘의 영국 공격수 폴 월시를 보러 갔다가 워들에게 매료되었다. 제라르 질리 감독 하의 선수들은 리그를 지배했고 새로운 1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유럽 무대에서는 1990년 유러피언컵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SL 벤피카와의 경기에서 2:2 동률을 이뤘으나 원정 다득점에서 밀려 탈락했다. 마르세유는 홈에서 열린 준결승 1차전에서 2-1로 승리했지만, 벤피카가 2차전에서 1-0으로 이겼고 이 결승골은 바타(Vata)의 핸드볼로 득점되었다.
2.9. 1990년대
2.9.1. 1991 유러피언컵 결승전
'''''' | ||||||||||
| 팀 | |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녹아웃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5:2 승 | 1:1 무 (홈) | 4:1 승 (원정) | 1라운드 | | 5:1 승 | 5:1 승 (홈) | 0:0 무 (원정) | ||
| 4:1 승 | 3:0 승 (홈) | 1:1 무 (원정) | 2라운드 | | 8:4 승 | 2:3 패 (원정) | 6:1 승 (홈) | ||
| 6:0 승 | 3:0 승 (홈) | 3:0 승 (원정) (몰수승)[1] | 준준결승 | | 4:1 승 | 1:1 무 (원정) | 3:0 승 (홈) (몰수승)[2] | ||
| 4:3 승 | 2:1 승 (원정) | 2:2 무 (홈) | 준결승 | | 5:2 승 | 3:1 승 (원정) | 2:1 승 (홈) | ||
5승 3무 0패 (19득점 6실점) | 합계 성적 | 5승 2무 1패 (22득점 8실점) | ||||||||
◀ 1989-90 | 결승 | ▶ 1991-92 |
[1] 후반 23분에 디나모 드레스덴 관중의 폭동으로 경기가 중단, 2-1로 앞서고 있던 츠르베나 즈베즈다에게 3-0 몰수승이 주어졌다.[2] 후반 추가시간때 경기장 조명이 꺼지는 소동이 일어났고, 곧바로 조명이 켜졌지만 AC 밀란이 경기를 계속하기는 것을 거부하여 1-0으로 앞서고 있던 마르세유에게 3-0 몰수승이 주어졌다.
'''''' | ||
스타디오 산 니콜라 (바리) | ||
주심: 툴리오 라네세 (이탈리아) | ||
관중: 51,587명 | ||
| | |
츠르베나 즈베즈다 | 마르세유 | |
감독:류프코 페트로비치 | 감독:레몽 후탈스 | |
0 | 0 | |
<rowcolor=#000,#fff> - | | - |
- | ||
◀ 1990 유러피언컵 결승전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1992 유러피언컵 결승전 |
승부차기 | ||||
츠르베나 즈베즈다 | <colcolor=#000,#ddd> 5 : 3 | 마르세유 | ||
선축 (GK: 스테반 스토야노비치) | 후축 (GK: 파스칼 올메타) | |||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 | 1 | | 마누엘 아모로스 |
드라기샤 비니치 | | 2 | | 베르나르 카소니 |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 | 3 | | 장피에르 파팽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 | 4 | | 카를루스 모제르 |
다르코 판체프 | | 5 | - | - |
1990-91 시즌을 앞두고, 마르세유 선수단은 골키퍼 파스칼 올메타(Pascal Olmeta)와 중앙 수비수 바질 볼리의 영입으로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이 시즌은 감독직의 큰 불안정성이 특징이었다. 베르나르 타피가 1990년 9월 프란츠 베켄바워의 영입을 발표하자, 제라르 질리는 자신의 권위가 손상되었다고 판단해 마르세유를 떠났다. 베켄바워는 독일 대표팀을 월드컵 우승으로 이끈 후 마르세유에 합류했으나, 몇 달만 머물렀다. 1991년 1월, 보르도를 리그 준우승으로 이끈 벨기에 감독 레몽 후탈스가 팀을 맡았다. 이러한 잦은 감독 교체에도 불구하고 팀은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유럽 무대에서 마르세유는 1990-91 유러피언컵에 참가했다. 1라운드에서 알바니아의 디나모 티라나를 홈에서 5-1로 대파한 후 원정에서 0-0으로 비기며 합계 5-1로 통과했다. 2라운드에서는 폴란드의 레흐 포즈난과 맞붙어 원정에서 2-3으로 패했으나 홈에서 6-1로 대승하며 합계 8-4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당시 2연속 유러피언컵 우승팀이었던 AC 밀란과 맞붙었다. 원정 1차전에서 장피에르 파팽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991년 3월 20일 열린 홈 2차전은 크리스 워들의 골로 1-0으로 앞서나가던 중, 후반 추가시간에 경기장 조명 네 개 중 두 개가 꺼지는 소동이 벌어졌다. 당시 마르세유는 합계 2-1로 앞서고 있었다. 15분 후 전원이 복구되었으나 AC 밀란의 단장 아드리아노 갈리아니는 선수들이 다시 경기장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했고, 경기는 영구적으로 중단되었다. UEFA는 마르세유에게 3-0 자동 승리를 부여하고 밀란에게 1년 유럽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내렸다.
준결승에서 마르세유는 소련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상대했다. 원정 1차전에서 아베디 펠레, 장피에르 파팽, 필리프 베르크뤼스(Philippe Vercruysse)의 골로 3-1 승리를 거두었고, 홈 2차전에서도 아베디 펠레와 바질 볼리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합계 5-2로 결승에 진출했다.
1991년 5월 29일 이탈리아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마르세유는 류프코 페트로비치 감독이 이끄는 유고슬라비아의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와 맞붙었다. 양 팀은 90분 정규시간과 30분 연장전에서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고, 결국 승부차기에서 마르세유의 마누엘 아모로스가 첫 번째 키커로 나서 실축하며 3-5로 패배했다. 이로써 마르세유는 첫 유러피언컵 결승 진출에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참고로 이 대회는 완전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마지막 유러피언 컵이었으며, 다음 시즌부터는 조별 리그가 도입되었고, 다다음 시즌부터는 UEFA 챔피언스 리그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가 붕괴되기 직전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가 유고슬라비아 클럽으로서 유일하게 이 대회에서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1991-92 시즌, 조슬랭 앙글로마가 마르세유의 오른쪽 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영입되었다. 다시 한번 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유러피언컵 2라운드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AC 스파르타 프라하에게 4:4 동률에서 원정 다득점으로 밀려서 패하는 바람에 조기 탈락했다. 1992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장피에르 파팽은 AC 밀란으로, 카를루스 모제르는 SL 벤피카로, 크리스 워들은 셰필드 웬즈데이로 이적했다. 마르세유는 파팽의 이적을 대비해 수비수 마르셀 드사이와 공격수 알렌 복시치, 루디 푈러를 영입했다. 이 선택은 성공적이었고 마르세유는 다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1992년 5월 5일, SC 바스티아와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 경기를 코르시카 섬의 아르망드-세사리 스타디움에서 펼칠 예정이었으나, 경기 시작 전 경기장이 무너지면서 1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일어나 경기가 취소됐다.
2.9.2. 1993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파비앵 바르테즈, 프랑크 소제, 마르셀 드사이, 루디 푈러, 바질 볼리, 에릭 디메코, 장자크 에들리, 알렌 복시치, 디디에 데샹, 아베디 펠레[13], 조슬랭 앙글로마. |
'''''' | ||||||||||
| 팀 | |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녹아웃 | 대진 | 합계 | 1차전 | 2차전 | ||
| 8:0 승 | 5:0 승 (원정) | 3:0 승 (홈) | 1라운드 | | 7:0 승 | 4:0 승 (홈) | 3:0 승 (원정) | ||
| 2:0 승 | 0:0 무 (원정) | 2:0 승 (홈) | 2라운드 | | 5:0 승 | 1:0 승 (원정) | 4:0 승 (홈) | ||
대진 | 결과 | 조별 리그 | 대진 | 결과 | ||||||
| 2:2 무 (원정) | 경기일 1 | | 4:0 승 (홈) | ||||||
| 3:0 승 (홈) | 경기일 2 | | 2:1 승 (원정) | ||||||
| 1:1 무 (원정) | 경기일 3 | | 1:0 승 (원정) | ||||||
| 6:0 승 (홈) | 경기일 4 | | 1:0 승 (홈) | ||||||
| 1:1 무 (홈) | 경기일 5 | | 1:0 승 (원정) | ||||||
| 1:0 승 (원정) | 경기일 6 | | 2:0 승 (홈) | ||||||
A조 1위 (3승 3무 0패 승점 9점) | 조별 리그 순위 | B조 1위 (6승 0무 0패 승점 12점) | ||||||||
6승 4무 0패 (24득점 4실점) | 합계 성적 | 10승 0무 0패 (23득점 1실점) | ||||||||
◀ 1991-92 | 결승 | ▶ 1993-94 |
'''''' | ||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뮌헨) | ||
주심: 쿠르트 뢰틀리슈베르거 (스위스) | ||
관중: 64,444명 | ||
| | |
마르세유 | 밀란 | |
감독:레몽 후탈스 | 감독:파비오 카펠로 | |
1 | 0 | |
<rowcolor=#000,#fff> 44' 바질 볼리 (A. 아베디 펠레) | | - |
- | ||
◀ 1992 유러피언컵 결승전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1994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1993년 5월 26일, 뮌헨에서 열린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마르세유는 파비오 카펠로의 AC 밀란을 만났다. 두 팀은 각각 자신의 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마르세유는 A조에서 레인저스, 클뤼프 브뤼허, CSKA 모스크바와 경쟁했는데 마르세유RK 이들을 상대로 3승 3무를 기록하여 6경기 무패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마르세유는 CSKA 모스크바를 상대로 6-0이라는 대승을 거두었고, 프랑크 소제가 A조에서 4골을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다.
반면 밀란은 B조에서 완벽한 성적을 거두었다. 예테보리, 포르투, PSV와 한조를 이뤘고 6경기 모두 승리하며 그들을 제압했다. 특히 밀란은 6경기에서 단 1실점만 허용하는 강력한 수비력을 보여주었고, 첫 경기에서 마르코 반 바스텐이 예테보리를 상대로 4골을 기록하는 등 공격력도 뛰어났다.
그렇게 치뤄진 결승전 전반 44분, 아베디 펠레의 코너킥을 프랑스 국가대표 수비수 바질 볼리가 헤더로 연결하면서 득점, 마르세유가 리드를 잡았다. 이후 더 이상의 득점은 나지 않은채로 1-0 스코어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마르세유가 빅 이어를 들어올렸으며, 이는 프랑스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유럽 대회에서 우승한 것이었다. 또한 마르세유 팬들에게 "영원한 최초(À jamais les premiers)"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탄생시켰다.
AC 밀란은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물론 마르세유도 무패로 결승에 도달하였지만, AC 밀란은 아예 전승으로 결승에 진출했기 때문에 제 아무리 강해진 마르세유라고 해도 AC 밀란까지 이기기에는 부족해 보였다. 밀란은 마르코 반 바스텐, 프랑크 레이카르트, 장피에르 파팽 등 세계 최고의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고, 조별리그에서 11득점 1실점이라는 압도적인 골득실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막상 경기가 시작되니 마르세유의 수비진은 AC 밀란의 공격수들의 발을 꽁꽁 묶었고, 질식 수비 끝에 헤더 한방으로 유럽의 거함을 침몰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마르세유의 레몽 후탈스 감독은 베테랑으로서 파비오 카펠로를 상대로 전술적 우위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결승전에서 대망의 승리를 얻어 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는 2년 전의 아픔을 딛고 리그 1 최초의 챔피언스 리그 우승이라는 대업을 이루어냈으며, 2025년 현재까지도 리그 1 소속으로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해낸 마지막 구단으로 남아있다.[14]
그러나, 마르세유의 영광은 승부조작 스캔들로 심각하게 얼룩지게 된다.
먼저 1992-93 시즌 마지막 경기 상대인 발랑시엔 FC와의 경기에서 발랑시엔 선수들이 자수하는 바람에 마르세유의 승부조작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발랑시엔 선수인 자크 글리스만(Jacques Glassmann)이 감독인 보로 프리모락(Boro Primorac)[15]한테 마르세유 선수인 장자크 에들리(Jean-Jacques Eydelie)에게 자신이 매수당했다고 고백한 게 계기가 되어 드러났다. 이후 호르헤 부루차가, 크리스토프 로베르도 마르세유에 매수당했다고 고백하면서 일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들은 에들리가 발랑시엔 선수들에게 경기에서 져줄 것과 부상 위험을 줄여달라고 부탁했다. 당시 마르세유는 5월 20일에 발랑시엔과 경기를 치르고 엿새 뒤에 챔스 결승전을 치르고자 했다. 이로써 이들은 손쉽게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럽 정상을 노리겠다며 검은 돈을 사용한 것이다.
이에 대한 처벌로서 마르세유는 1994년 2부 리그로 강등되고 리그 우승 타이틀을 박탈당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슈퍼컵, 인터컨티넨탈컵 등의 각종 국제대회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또한 2006년 당시 마르세유의 선수인 장자크 에들리가 자서전에서 당시 루디 푈러를 제외한 선수 전원이 금지 약물을 도핑 후 경기에 임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결승 상대 팀이었던 밀란 관계자들과 팬들은 챔스 트로피를 돌려받아야겠다고 거센 반발을 하기도 했다. 다만 이에 대해 UEFA는 공소시효인 10년이 지났다는 것을 근거로 무혐의 처분하였다.
사실 결론부터 얘기하면 굳이 UEFA의 판결이 아니더라도 에들리의 마르세유의 약물 복용 주장은 설득력이 거의 없는 발언이라고 할 수 있다. 당장 에들리가 2006년에 출간한 자서전에서 물증 없이 언급된 것인데다가, 실제로 결승전 당시 도핑 테스트에서는 선수단 전원 음성이 나왔기 때문에 에들리의 폭로는 신빙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에들리의 자서전 폭로 이후 17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2023년에 게시된 BBC 뉴스에 따르면 에들리의 前 동료였던 크리스 워들과 토니 카스카리노가 에들리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을 하면서 연달아 터지는 폭로에 의해 여론이 시끄러워졌으나, 결국 프랑스 축구 연맹과 프랑스 프로축구연맹이 UEFA에게 신속한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하여 UEFA는 1993년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당시 실시된 도핑 테스트를 다시 검토하여 음성이 맞았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랑스 축구 연맹 회장 장피에르 에스칼레트와 프랑스 프로축구연맹 회장 프레데릭 티리즈는 공동 성명을 통해 마르세유의 해당 도핑 검사를 재검토한 결과, 음성으로 판명되었음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물증으로 따진다면 오히려 마르세유의 무죄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기록밖에 없기 때문에 마르세유 선수들의 도핑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무리 내부자 출신 인물들의 폭로가 있었다고 해도 가장 중요한 물증이 없으면 유죄를 증명할 수가 없고, 폭로자들이 마르세유 구단에 개인적인 악감정을 품고 저지른 행동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후 마르셀 드사이 등 당시 결승전에서 뛰었던 마르세유의 선수들이 해당 논란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해당 사건에 대한 대체적인 여론은 장자크 에들리를 포함한 일부 선수들이 마르세유 구단과의 불화로 인해 보복성 거짓 폭로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
어쨌든 이에 대한 처벌로, 마르세유는 1993년 리그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UEFA는 마르세유를 1993-94 시즌 유럽 대회[16]에서 제외했고, FIFA는 마르세유의 인터컨티넨탈컵 참가 자격을 박탈했다. 이러한 국제 대회 참가 금지로 인해 마르세유의 예산에 약 1억 프랑의 손실이 발생했다. 선수들의 급여를 법적으로 삭감할 수 없어, 베르나르 타피는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알렌 복시치와 마르셀 드사이 등 여러 선수를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브라질 공격수 소니 안데르송이라는 선수가 등장하게 되었다. 타피는 유럽 대회 참가 금지 결정에 대해 스위스 법원에 법적 조치를 취했고 승소했다. 그러나 UEFA는 마르세유가 항소를 철회하지 않으면 모든 프랑스 축구 팀을 대회에서 제외하겠다고 위협했다. 리그 1 회장 노엘 르그라에(Noël Le Graët)는 타피에게 편지를 보내 제재를 수용해달라며 "프랑스 축구를 그렇게 높이 끌어올린 사람이 그 추락의 원인이 될 수는 없다"고 썼다. 프랑스 축구 전체에 제재가 가해지는 것을 원치 않아 타피는 항소를 철회했다. 마르세유는 1993-94 시즌 파리 생제르맹에 이어 리그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1994년 4월 22일, 발랑시엔-마르세유 사건에 따라 프랑스 축구 연맹 위원회는 마르세유를 2부 리그로 강등시키되 1994-95 UEFA컵 참가는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구단의 강등은 파산으로 이어졌는데, 이는 2부 리그의 TV 중계권 수입이 1부 리그보다 10배나 적었기 때문이었다. 계약이 없는 선수들만 영입할 수 있다는 제한에도 불구하고[17], 마르세유는 2부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당시 베르나르 타피의 정치적 반대자였던 앙드레 술리에( André Soulier)가 의장으로 있던 프랑스 프로축구연맹 재정관리위원회(DNCG)는 2억 5천만 프랑의 부채를 이유로 1부 리그 승격을 불허했다. 이러한 "스캔들스러운" 결정에 따라 타피는 1994년 12월 11일 마르세유 회장직을 사임했고, 임시로 피에르 캉지오니( Pierre Cangioni)가, 1996년 1월에는 베르나르 카이아조(Bernard Caïazzo)가 후임이 되었다. 이후에는 장미셸 리파(Jean-Michel Ripa)가 1996년 2월부터 6월까지 임시 회장을 맡았고, 그 후 마르세유 시장 장클로드 고댕(Jean-Claude Gaudin)이 클럽 매각 전까지 회장직을 맡았다. 유럽 대항전에서는 그리스 올림피아코스를 꺾은 후 UEFA컵 16강 진출을 놓고 스위스 시옹과의 경기에서 간발의 차로 탈락했다. 마르세유는 파산 신청을 해야 했고, 2부 리그에서 새 시즌을 치러야 했다.
1995-96 시즌, 시즌 초반 어려움으로 앙리 스탕불리 감독에서 다시 제라르 질리 감독으로 교체된 후, 마르세유는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다. 팀 주장 마르셀 디브( Marcel Dib), 브뤼노 제르맹(Bruno Germain), 미셸 드볼프(Michel De Wolf), 토니 카스카리노(Tony Cascarino)[18], 베르나르 페레르(Bernard Ferrer), 그리고 2부 리그 강등에도 불구하고 클럽에 남은 베르나르 카소니(Bernard Casoni), 장필리프 뒤랑(Jean-Philippe Durand), 장마르크 페레리(Jean-Marc Ferreri) 등 대부분 경험 있는 선수들로 구성된 팀과 하마다 잠베이(Hamada Jambay), 장크리스토프 마르케(Jean-Christophe Marquet), 마르크 리브라( Marc Libbra) 등 마르세유 유스 아카데미 출신 젊은 선수들이 활약했다. 따라서 마르세유는 2부 리그 챔피언이 된 캉과 3위를 차지한 낭시와 함께 1부 리그로 복귀했다.
1996년 12월, 사업가이자 농산물 판매 재벌 로베르 루이드레퓌스(Robert Louis-Dreyfus)는 마르세유 시청의 요청으로 마르세유의 주요 주주이자 후원자가 되었다. 1996년 12월 14일, 루이드레퓌스는 마르세유 구단의 회장이 되었다. 축구에 대한 그의 열정 외에도, 이 인수는 경제적 전략의 일환이었다. 아디다스의 회장인 그는 나이키의 축구계 야망에 맞서기 위해 "각 나라에서 국가대표팀과 적어도 하나의 전설적인 클럽을 유지하여 리더십을 보존"하고자 했다.
1997년 롤랑 쿠르비스(Rolland Courbis)가 새 회장 주주 루이드레퓌스에 의해 마르세유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루이드레퓌스는 1990년 월드컵 우승자인 독일 국가대표 골키퍼 안드레아스 쾨프케와 이탈리아 국가대표 공격수 파브리치오 라바넬리를 영입했다. 이 명망 있는 영입으로 마르세유는 승격 이후 최고 성적인 4위를 차지하며 UEFA컵에 진출할 수 있었다.
1998-99 시즌, 마르세유는 창립 100주년을 맞아 로베르 피레스, 페테르 뤼생, 조슬랭 구르방네크와 같은 미드필더와 공격수 플로리앙 모리스(Florian Maurice), 크리스토프 뒤가리와 같은 많은 재능 있는 선수들을 영입했다. 롤랑 쿠르비스 감독 아래, 팀은 엘리 보프(Élie Baup)가 이끄는 지롱댕 보르도와의 치열한 접전 끝에 최종 2위를 차지했다. 준우승팀으로서 경기당 평균 포인트 기록[19]을 세웠고, UEFA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파비오 칸나바로, 릴리앙 튀랑, 잔루이지 부폰의 파르마 AC에게 0-3으로 패배했다. 이 시즌은 또한 잊을 수 없는 경기로도 기억된다. 벨로드롬에서 열린 몽펠리에 HSC와의 경기에서 몽펠리에의 이브라힘 바카요코(Ibrahima Bakayoko)가 2골, 로랑 로베르(Laurent Robert)가 1골, 한때 마르세유의 선수였던 프랑크 소제가 1골을 넣으며 전반전에 0-4로 뒤졌으나, 후반전에 극적인 역전극을 펼쳤다. 플로리앙 모리스 1골, 크리스토프 뒤가리가 2골, 에릭 로이가 1골을 득점하며 마르세유가 4-4 동점을 만들었고, 마지막 순간 주장 로랑 블랑의 페널티킥으로 5-4 역전승을 완성했다.
1999-2000 시즌에는 전력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특히 여름 초 주장 로랑 블랑의 이적은 팀에 큰 공백을 남겼다. 챔피언스 리그에 간만에 참가한 마르세유는 벨로드롬에서 열린 경기에서 당시 유럽 챔피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격파하는 이변을 연출했으나, 리그 성적은 전체적으로 부진했다. 결국 롤랑 쿠르비스 감독은 시즌 초반 저조한 성적으로 1999년 11월 사임했고, 그 자리를 베르나르 카소니가 이어받았다. 다행히 1차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슈투름 그라츠와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를 제치고 맨유에 이은 2위로 통과하였다.
그러나 이후 진행된 챔피언스 리그 2차 그룹 스테이지에서 마르세유는 더욱 힘겨운 여정을 겪었다. 홈에서 라치오에 0-2로 패배한 것을 시작으로 페예노르트 원정에서 0-3으로 패배했고, 그나마 벨로드롬에서 첼시를 맞이하여 1-0으로 첫 승리를 따냈지만 곧바로 원정에서는 0-1로 패배했다. 특히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 스벤예란 에릭손 감독의 SS 라치오와의 최종 경기에서는 1-5라는 대패를 당했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 공격수 시모네 인자기가 혼자 4골을 몰아넣었고, 전 마르세유 선수였던 알렌 복시치가 1골을 추가하며 옛 팀을 상대로 자신의 이름을 스코어시트에 올렸다. 어쨌든 이 패배로 탈락을 확정지은 마르세유는 페예노르트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0-0으로 끝나며 조 꼴찌로 마감하였다. 이로써 마르세유의 1999-2000 시즌 유럽 무대 도전은 쓰라린 결말을 맞이했다.
2.10. 2000년대
2000년대 초반은 마르세유에게 불안정한 시기였다. 구단은 2000년과 2001년 두 차례나 리그 15위를 기록하며 강등 위기를 맞았다. 특히 2000-01 시즌에는 스페인인 하비에르 클레멘테 감독 하에서 마르세유는 르아브르 AC와의 쿠프 드 라 리그에서 1-4로 패배하고, 샤토루와의 쿠프 드 프랑스에서 0-1로 패배하며 조기 탈락하는 부진을 겪었다.전환점은 2002-03 시즌 알랭 페랭의 감독 부임과 함께 찾아왔다. 대대적인 선수단 개편을 통해 마르세유는 3위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 2003년 여름, 마르세유는 갱강에서 코트디부아르 국가대표 공격수 디디에 드록바를 영입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플레이오프에서 아우스트리아 빈을 제치고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에 진출했으나, 그룹 스테이지에서 FC 포르투와 레알 마드리드에 패배하며 일찍 탈락했다.
2004년 1월, 알랭 페랭의 사임 이후 호세 아니고(José Anigo)가 지휘봉을 잡았고, 로랑 바틀레(Laurent Batlles) 영입으로 공격력을 강화했다. 리그에서는 7위에 그쳤지만, 유럽 무대에서는 디디에 드록바의 활약에 힘입어 UEFA컵에서 인터 밀란, 리버풀, 뉴캐슬을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벨로드롬에서는 58,897명의 기록적인 관중이 뉴캐슬전을 지켜보았다.
그러나 예테보리의 울레비에서 열린 결승전은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의 발렌시아 CF에 0-2로 패배했다. 전반전 종료 직전 파비앵 바르테즈가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심판에 의해 퇴장당했고, 부상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은 드록바와 함께 수적 열세 속에 경기를 마쳐야 했다. 이로써 마르세유는 5년 만에 다시 한번 UEFA컵 결승에서 패배하는 아쉬움을 겪었다.
어쨌든 이후로 마르세유가 다시 리그 우승을 거두기까지 17년을 기다려야 했다.
그 동안 리그 상위권으로서 챔피언스 리그에 꾸준히 진출했지만 93년 우승 이후로 챔피언스 리그 32강에서 늘 밀려나야 했다. 그나마 유로파리그 전신인 UEFA 컵 1998-99, 2003-04 시즌에서 준우승하면서 클럽 국제 대회에서 저력을 보여줬고 2010-11 시즌에 첼시 FC 다음으로 조 2위를 거두면서 11년 만에 챔피언스 리그 16강에 올랐다.
파리 생제르맹 FC과 라이벌이다. 마르세유 거주민들 중 아랍 및 아프리카계가 많기 때문에 마르세유 서포터들과 선수들 중에도 그 쪽 출신이 많아서 프랑스의 백인 우월주의자들에게 혐오감을 많이 받았고 인종 차별로는 알아주는 장 마리 르 펜이 여길 유달리 싫어하기로 유명했다. 또한 지네딘 지단도 아랍계로서 마르세유가 고향인지라 여기 소속이었다고 잘못 아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지단은 여기가 아닌 지롱댕 드 보르도 소속으로서 리그앙에서 뛰었고 마르세유에선 뛴 적이 없다. 하지만 지단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열렬한 팬으로 유명하다. 마르세유 선수로 뛰는 것이 본인의 꿈이었지만 끝내 이루지 못해서 아쉽다고 밝힌 바 있다. 부진에 빠져있던 고향팀을 상승세로 바꿔놓은 비엘사 감독에게 고맙다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와 같이 그만큼 축구 열기는 엄청나서 과격한 응원 및 폭력 사태로 알아주기도 한다. 2009-10 시즌 리그 앙에서 모처럼 우승하자 마르세유에서 폭죽이 터지고 아주 열광적인 잔치 분위기였다. 이처럼 서포터들의 지지와 열기가 커서 리그 앙에서 꽤 안정적인 자본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9-10 시즌에는 한때 팀의 주장이자 레전드였던 디디에 데샹이 마르세유의 감독으로 부임하고 바로 그 시즌에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18년 만의 리그 우승이었다.
2010-11 시즌에는 챔피언스 리그에서 18년 만에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2011-12 시즌에는 챔스 조별리그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올림피아코스를 제치고 아스널 FC에 이어 조2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그 후 FC 인테르나치오날레까지 잡고 19년만에 챔스 8강 진출이라는 대업을 이루지만 FC 바이에른 뮌헨에게 0-4로 박살이 나며 탈락.
리그에서는 시즌 10위로 마무리했다. 그나마 리그 컵인 쿠프 드 라 리그에서 올랭피크 리옹을 1-0으로 이기고 우승하면서 3연패 우승을 거두고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얻었다. 다만 FA 컵인 쿠프 드 프랑스에선 3부 리그 팀인 US 퀘빌리에게 덜미를 잡혀 4강에서 탈락하는 아쉬움을 남겼다.[20]
2.11. 2012-13 시즌
시즌이 끝나고 디디에 데샹이 프랑스 국대로 떠나면서 다시 과도기로 접어들게 된다.유로파 리그 48강 예선에선 C조에 속해 페네르바흐체 SK,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AEL 리마솔 FC(남키프로스)와 격돌하게 되었다. 안방에서 리마솔을 5-1로 이긴 걸 제외하고 페네르바흐체와 묀헨글라트바흐에게 안방에서도 고전하면서 1승 2무 2패, 조 3위로 32강 탈락이 확정됐다. 마지막 6차전 리마솔 원정을 이기고 2위 묀헨글라트바흐가 페네르바흐체 원정에서 지면 승점 8점으로 같아지긴 하지만, 묀헨글라트바흐에게 1무 1패로 뒤져 승자승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리그에선 초반 6연승을 달리고 되살아나는 분위기가 맴돌고 있으며 리옹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즌 초반부터 무승부만 캐던 PSG와 리옹의 분위기가 살아나면서 결국 12차전까지 리그 4위로 밀려나 있었다. 물론 1위와 승점 2점 차에 지나지 않아서 역전 가능성이 있었지만 끝내는 PSG가 우승하고 그에 8점이 뒤진 2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12. 2013-14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선 아스날, 도르트문트, 나폴리와 조를 이뤘는데 1차전 안방 경기에서 아스날에게 1:2로 패하고 연이어 동네북이 되면서 4전 전패로 일찌감치 16강 탈락을 결정지었다. 그나마 남은 2경기를 이기고 3위인 도르트문트가 2패를 하면 극적으로 3위나마 차지하여 유로파 리그로 갈 수 있으나 5차전이 아스날 원정이었다.결국 아스날 원정에서 잭 윌셔에게 탈탈 털리고 4위가 확정되었다. 마지막 6차전에서 도르트문트와 만나는데 덕분에 아스날과 도르트문트가 16강 확정이라고 하고 있으니 말 다 했다. 결국 도르트문트에게 1-2로 패하여 6전 전패라는 아쉬움을 남겼다. 퇴장으로 한 명이 적은 상황에서 1-1로 선전하고 있었으나 80분 정도에 습기찬 잔디에 미끄러지며 슛을 찬 케빈 그로스크로이츠에게 원더골로 결승골을 허용하여 패했다. F조 테이블을 보면 1, 2, 3위가 전부 4승 2패로 동일, 득실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조 2위로 최종전 시작 → 마르세유와 동점인 상황에서 나폴리가 아스날을 상대로 앞서 감 → 조 3위 → 경기 막판 결승골 → 다이렉트 1위'라는 만화 같은 전개로 최종 승자가 되어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 챔피언스 리그 역사에 이런 진흙탕 조는 전무했다. '마르세유도 16강에 무난히 진출할 수 있는 팀인데 뽑기 운이 나빴다'는 것이 세간의 평이었다.
리그에선 15차전까지 4위를 기록했다. 15차전에서 18위 강등권인 발랑시엔과의 안방 경기를 1-1로 비긴 게 두고 두고 아쉬울 듯. 17차전에선 5위로 내려갔으며 결국 더 내려가면서 30차전까지 12승 8무 10패로 7위를 기록,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인 3위 이내로 마칠 가능성은 낮은 가운데 이젠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신경써야했으나 툴루즈와 스타드 렝스에게 1점 차로 추격 당했다. 결국 최종전까지 릴 OSC와 유로파 리그 진출권을 놓고 경쟁했으나 두 팀 모두 승리하면서 6위로 시즌 종료, 승점 1점 차이로 유럽 대항전 진출이 무산되었다.
2.13. 2014-15 시즌
프리 시즌을 앞두고 마르셀로 비엘사 감독이 새로 부임하였다. 시즌 초반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었으나, 막판 뒷심을 발휘한 모나코와 더불어 후반기로 갈수록 삽질을 하며 자멸을 하고 이로 인해 3위도 내주면서 유로파 리그에 그쳤다. 시즌 초반의 마르세유가 선두를 달렸던 것을 생각하면 많이 아쉽지만, 지냑의 활약 덕분에 다음 시즌을 기대할 수가 있던 것이 다행이었다.2.14. 2015-16 시즌
FA가 되자 스완지로 떠난 앙드레 아이유를 시작으로, 모렐은 라이벌 리옹으로, 앙드레피에르 지냑은 멕시코 리그로, 디미트리 파예는 웨스트햄으로 떠났다. 게다가 임불라는 본인과 회장의 인정으로 인테르행이 확실시 되는 상황.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아직은 떠나지 않은 은쿨루, 멘디, 만단다 등 떠날 낌새가 보이고 감독인 비엘사마저 EPL행 루머가 뜨는 등 상황이 지난 시즌 사우스햄튼 때보다 더 심각하다. 갑자기 마르세유가 이런 행보를 보여주는 이유는 구단주인 마르가리타 루이드레퓌스에게 있는데 이유는 항목 참조.그리고 우려가 현실처럼 일어났다. 홈에서 개막전이 치러졌지만 답이없는 결정력으로 인해 삽질만하다가 SM 캉에게결국 0-1로 패배, 비엘사마저 경기직후 갑작스런 사임을 하면서 더욱 암울해졌다.
결국 공석이 된 감독직을 메우기 위해 여러 후보들을 탐색하다가 무직 상태였던 위르겐 클롭에게 감독직을 제안했다! 하지만 클롭이 아직 복귀할 때가 아니라며 거절을 당했다. 애초에 도르트문트보다 재정이 안좋은 마르세유였기에 클롭이 부임 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 외에도 현 알 자지라 감독이자 전 마르세유 감독인 에릭 헤러츠나 지단, 비에이라, 마켈렐레도 물망에 오른 상황이다.
2라운드에서 스타드 드 랭스를 만나 0-1로 또 패했다. 이로써 리그 2연패를 기록하고 더더욱 암울해졌다.
새로운 감독은 레알 마드리드의 레전드이자 올림피아코스 감독인 미첼이 선임되었다.
그리고 마르세유의 막장 행보가 더욱 심각해졌다. 가뜩이나 전력 누수가 매우 큰데 거기에 임불라, 토뱅까지 다른 팀으로 보내버렸다. 이런 미친 행보에는 아무래도 보드진이 한 몫을 하고 있다. 평균 관중도 프랑스 최대인 데다가 부자 구단주까지 뒀음에도 야망이 없는 건지 프랜차이즈 스타를 내다버리고 있다. 게다가 무슨 연유인지 재정에 문제가 많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그러나 트루아전에서 갑자기 6-0 대승을 거두면서 반전을 일으키나 싶더니 갱강전에서 0-2로 패배를 하는등 들쑥날쑥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리그 초반인 현재 1승 3패로 안좋은 상황을 보내고 있다.
9월 20일 스타드 벨로드롬에서 열린 6라운드 리그 경기 리옹전에서 마르세유의 서포터들이 마티유 발부에나에게 야유를 하며 난동을 부리자 경기가 20분간 지연되고 경기 결과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한때 마르세유 팬들에게 사랑받던 발부에나가 프랑스 무대를 라이벌 클럽에서 복귀하자 서포터들이 배신감에 분노를 표출한 것. 물론 이 근본적인 원인은 마르세유 구단주에게 있다.
그리고 마르세유는 무재배만 실컷하다가 렌에게 2-5로 패하며 사실상 멸망한 시즌이 되었다 그동안은 어찌어찌 버텨냈던게 체력적으로 한계가 오며 단점들이 모두 터지고 만셈, 결국 이번 시즌도 쉬어가게 되었다. 불과 작년만해도 챔스권 경쟁을 하던 팀이었지만 34라운드까지 8승 16무 10패를 거두며 승률이 25%까지 내려앉고 말았다. 이것은 1999/2000 시즌이후로 처음[21]이며, 리그에서 가장 무승부가 많다는점도 불안요소로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강등권과의 승점차는 단 6점, 자칫하면 22년만에 2부리그에서 뛰게 되는 치욕을 받게 생겼다.
그러나 귀신같이 2승 2무를 거두면서 13위로 도약, 중위권에 안착하면서 강등은 면하게 됐다.
무능한 보드진 때문에 마르세유는 이 위기를 극복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15. 2016-17 시즌
다행히 시즌을 앞두고 구단주가 마르가리타 루이드레퓌스에서 LA다저스를 가졌던 미국의 사업가 프랑크 맥코트로 교체 되었다. 그 과정에 내부 인사교체도 진행되었는데, 마르세유의 단장직에 바르샤의 레전드 골키퍼 안도니 수비사레타가 임명되었고, 공석이던 감독 자리에는 루디 가르시아가 부임하였다.○ 마르세유가 푸마와 스폰서쉽 계약을 체결하면서 2018-19시즌부터 30년에 걸친 아디다스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푸마가 마르세유의 킷을 제작하게 되었다.
2.16. 2017-18 시즌
시즌은 4위로 유로파리그 진출을 얻어냈으나 챔피언스리그 진출인 3위와 겨우 1점 승점차라서 아쉬움이 컸다. 참고로 5위와 승점 차가 19점이나 되었기에. 쿠프 드 프랑스는 8강에서 우승팀인 파리 생제르맹에게 0-3으로 패해 탈락. 2017-18 UEFA Europa League Final | |||||
2018. 05. 17 / OL 스타디움 (프랑스, 리옹) |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 클루브 아틀레티코 데 마드리드 | |||
0 - 3 | |||||
21' 앙투안 그리즈만 49' 앙투안 그리즈만 89' 가비 페르난데스 |
무엇보다 유로파 리그에서는 14년 만에 결승에 올랐으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0-3으로 패해 준우승했다. 이로써 마르세유는 역대 유로파 리그에서 준우승만 3번, 그것도 결승전 0득점 8실점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이어나갔다. 이전엔 2003-2004 시즌 결승에서 발렌시아에 0-2, 1998-1999 시즌 결승에서 이탈리아의 파르마에 0:3으로 패했었다. 한편 준결승전인 레드불 잘츠부르크전에서 오심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2018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참조
2.17. 2018-19 시즌
18승 7무 13패로 5위에 오르며 아쉽게 유럽 대항전 진출에는 실패했다. 감독인 뤼디 가르시아가 사임을 발표했으며, 루카스 오캄포스, 마리오 발로텔리, 아딜 라미 등이 팀을 나가게 되었다.2.18. 2019-20 시즌
뤼디 가르시아의 후임으로 1주일만에 안드레 빌라스보아스가 신임 감독으로 취임했다. 수석코치는 안비보가 포르투 시절 인연을 맺은 히카르두 카르발류로 낙점되었다.2019-20시즌을 앞두고 잉글랜드 EFL 리그 원소속 애크링턴 스탠리 FC에게 2대1 패배를 당하면서 새 시즌 전부터 걱정이 쌓이게 되었다.
개막 후 2경기를 1무 1패로 마쳐 암담했으나, 3연승으로 9월 현재 리그 4위까지 뛰어올랐다. 9월 15일 경기에서는 AS 모나코 FC와의 경기에서 전반 초반에 0-2로 끌려갔으나 4골을 넣어 4-3으로 승리했다.
13경기를 끝낸 현 시점에서 리그 2위로 순항하고 있다.
28라운드까지 치른 현재 16승 8무 4패로 2위에 올라 있다. 그리고 이상태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가 종료되어 파리 생제르맹 FC, 스타드 렌 FC과 같이 다음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조기종료 초창기에는 UEFA에서 조기종료된 리그팀들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박탈하기로 방침을 정했으므로 다음 시즌을 기약해야 할것으로 보였으나, 이후 UEFA측에서 방침을 변경하면서 조기종료를 원하는 리그의 경우 경기가 평균 승점으로 순위를 매겨 진출하게끔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2.19. 2020-21 시즌
COVID-19이슈로 리그앙 일정이 꼬이게 되면서 1라운드가 뒤로 밀리게 되었다.첫 경기인 2라운드 - 스타드 브레스투아 29전 플로리앙 토뱅의 1골 2어시의 환상적인 활약으로 3대2로 승리하였다.
3라운드 - 파리 생제르맹 FC전 31분 플로리앙 토뱅의 골로 1대0 우위를 점했고, 이대로 경기를 끝내며 PSG에게 1984-85시즌 이후 최초로 개막후 2연패를 안겨줬다. 여담으로 경기도중 심판의 안일한 판정이 이어졌고, 끝내 경기가 과열되며 종료직전 난투극이 벌어져 레뱅 퀴르자와, 레안드로 파레데스, 네이마르 주니오르, 조르당 아마비, 다리오 베네데토 총 5명이 퇴장당하기도 했다. 이 경기에서, 알바로 곤살레스의 뒤통수를 때려 퇴장당했던 네이마르 주니오르 측에서 알바로 곤살레스가 네이마르 주니오르를 원숭이로 칭하는 인종차별성 발언이 있었다고 주장하여 화제가 되었었다. 이후 독순술 전문가들은 네이마르 주니오르 역시 사카이 히로키에게 '더러운 중국인'이라고 발언했다고 주장하여 논란이 있었으나, 사카이 히로키측에서 직접 그런 일은 없었다고 일단락지었다. LFP측에서는 이 두 사건을 모두 혐의없음으로 결론내렸다.
1라운드 - AS 생테티엔전 0대2로 패배하였다. 전 라운드에서 베네데토와 아마비가 퇴장당했던 것이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친듯.
4라운드 - LOSC 릴전 1:1로 무승부를 거뒀다.
5라운드 - FC 메스전 또다시 1대1로, 95분까지 끌려가다 모르강 상송의 기적적인 득점으로 겨우 무승부를 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 추첨식에서 FC포르투, 맨체스터 시티, 올림피아코스와 함께 C조에 편성됐다.
6라운드 - 올랭피크 리옹전 1:1로 또또 무승부를 거뒀다. 파예트가 16분에 골을 넣자마자 19분에 옐로카드 2장으로 퇴장당한것은 덤.
7라운드 - FC 지롱댕 드 보르도전 플로리앙 토뱅의 환상적인 감아차기로 선제골을 만들었으며, 조르당 아마비의 헤딩골과 파블로 카스트로의 자책골로 3:1 승리를 거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1경기 - 올림피아코스 FC 원정 경기를 가졌으며 후반 추가시간 아흐메드 하산 선수에게 골을 헌납해 0대1로 패배하였다.
8라운드 - FC 로리앙전 레오나르도 발레르디의 골로 1대0 승리하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2경기 - 맨체스터 시티전 3대0 패배하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3경기 - FC 포르투전 또 3대0 패배하였다...[22]
COVID-19 이슈로 9라운드인 렝스전이 뒤로 밀리게 되었다.
10라운드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전 모르강 상송의 결승골로 1대0 승리하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4경기 - FC 포르투전 다시 한번 더 2대0 패배하였다. [23]
COVID-19 이슈로 또 다시 11라운드가 뒤로 밀리게 되었다.
12라운드 - FC 낭트전 플로리앙 토뱅, 디미트리 파예트, 다리오 베네데토의 골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5경기 - 드디어 챔스를 이겼다. 탈락이 확정된 이후 조별리그 5차전 올림피아코스와의 경기에서 디미트리 파예트의 멀티골 활약으로 2:1 승리를 가졌다.
13라운드 - 님 올랭피크전 다리오 베네데토와 발레르 제르맹이 각각 1골씩 넣어 2:0으로 승리하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C조 6경기 - 역시나 맨체스터 시티에 3:0 패배하였다. 올림피아코스와는 승점 3점으로 같지만, 골 득실차에 밀려 조 4위로 챔피언스리그를 마감하였다.
14라운드 - AS 모나코 FC전 토뱅과 베네데토의 골로 2대1 승리하였다. 이로써 리그 6연승, 원정 14경기 연속 무패로 리그 3위에 안착하였다.
15라운드 - 스타드 렌 FC전 파파 게예가 전반 24분경 골을 넣었지만 약 13분 뒤 퇴장당하고 총 2:1로 패배하였다.
16라운드 - 스타드 드 랭스전 토뱅이 득점을 했지만, 나가토모 유토의 자책골로 1:1 무승부.
17라운드 - 앙제 SCO전 2골을 먼저 헌납하고 발렌틴 론지에가 만회골을 넣었으나 2:1로 패배.
18라운드 - 몽펠리에 HSC전 라도니치, 파예, 제르맹이 득점하며 3대1로 승리.
19라운드 - 디종 FCO와의 경기 내내 우위를 점했지만, 0대0 무승부.
스타드 드 랭스와의 22라운드는 2021년 1월 31일에 개최돼야 했으나, 전날 팬들이 자크 앙리-에로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훈련장에서 폭동을 벌인 탓에 킥오프 3시간 전에 연기했다.
전반기 14라운드의 모나코전 이후로 21라운드에 다시 모나코를 만나기까지, 8경기 1승 2무 5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보여주며 단숨에 9위로 내려앉았다. 언론을 통해 팀 분위기에 큰 문제가 생겼다는 식의 내용이 보도되고 있다.
1월 30일, 마르세유의 울트라스들이 성적 부진과 구단의 운영을 문제삼으며 폭동을 일으켰다. 이들은 가스를 이용해 훈련장에 불을 지르고 시설물을 부쉈다. 팬들은 곳곳에 보드진과 구단 회장인 '자크앙리-에로'를 비난하는 욕설 낙서를 남겨두었다.
2월 2일, 안드레 빌라스보아스가 자진 사퇴를 선언했다. 주된 이유는 선수 영입문제로, 아스톤 빌라로 이적한 모르강 상송은 보아스가 꼭 지키고 싶어했던 선수였으며,올리비에 은참 임대 영입과 관련해서 본인은 구단으로부터 전혀 들은 바가 없다는 것이다. 즉 구단의 일방적인 일처리에 강한 불만을 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진 사퇴 사실을 스티브 망당다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모르고 있었으며, 선수단도 기자회견을 보고 나서야 알았다고 한다. 빌라스보아스는 기자회견에서 “나는 돈을 원하지 않는다. 그냥 (구단을) 떠나고 싶다”고 말했다.[24]
결국 2월 3일 구단은 보아스를 경질하고, 나세르 라르게를 감독대행으로 세운다.
23라운드 - 스타드 드렝스와의 경기는 보아스 경질 24시간 이내에 벌어졌다. 2:2로 무승부.
2월 4일에는 알바로 곤살레스가 마스크를 쓰지 않고 시내를 활보하다가 이를 지적하는 경찰에게 욕설을 하고 벌금형을 선고받게 되었다.
24라운드 - 파리 생제르맹과의 르 클라시크이다. 전반기에 워낙 난투극에 가까운 경기를 펼쳤기에 파리 선수들의 의욕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나, 마르세유측은 감독의 사임과 경질, 팬들의 폭동으로 선수단 분위기가 침체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예상대로 시종일관 두들겨 맞으며 2:0으로 무기력하게 패배하고 만다.
2월 26일, 호르헤 삼파올리가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마르세유는 과거 마르셀로 비엘사에게 좋은 추억을 간직하고 있어서, 비엘사학파의 적통 후계자 취급을 받는 삼파올리를 열렬히 환영하는 모양새이다. 또한 팬들의 비판을 받던 자크앙리-에로 회장을 경질하고, 파블로 롱고리아가 회장직에 올랐다.
34라운드까지 팀의 성적은 15승 10무 9패로 리그 6위. 유로파리그 진출권이 걸린 4위와 승점 차가 12점이나 된다.
36라운드를 앞두고, 팀의 간판 스타 플로리앙 토뱅이 티그레스 UANL로의 다음시즌 이적이 확정되었다. 앙드레피에르 지냑에 이어서 또다시 팀 간판스타를 멕시코리그로 내어주게 된 마르세유 팬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결국 시즌을 5위로 마무리하며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확보하였다.
2.20. 2021-22 시즌
삼파올리가 비엘사 학파답게 일반적이지 않고 특이한 전술을 구사하는 만큼, 감독의 취향에 맞는 선수단 구성이 필요해보인다. 회장인 파블로 롱고리아 역시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했다.IN'
제르송 (CR 플라멩구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이적료 €25M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완전영입 이적료 €11M
루앙 페리스 (산투스 FC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이적료 €4.5M
콘라드 데라푸엔테 (FC 바르셀로나 B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이적료 €3M
파우 로페스 (AS 로마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임대료 €720,000, 완전영입 옵션 존재
젠기즈 윈데르 (AS 로마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임대료 €500,000 완전영입 옵션 존재
마테오 귀앵두지 (아스날 FC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임대료 €1M, 완전영입 의무 11M
윌리엄 살리바 (아스날 FC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임대
살림 벤 세기르 (OGC 니스 B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A자유계약
비알 나디르 (OGC 니스 B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A자유계약
네마냐 라도니치 (헤르타 BSC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임대복귀
OUT
막심 로페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US 사수올로 칼초) 이적료 €2M
사카이 히로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이적료 €1.5M
플로리앙 토뱅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티그레스 UANL) FA 계약만료
크리스토퍼 로치아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디종 FCO) FA 계약만료
사이프에딘 카우이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클레르몽 푸트 63) FA 계약만료
발레르 제르맹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X) FA 계약만료
요한 펠레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X) FA 계약만료
나가토모 유토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X) FA 계약만료
케빈 스트로트만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칼리아리 칼초) 임대
루카스 페랑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임대
압달라 알리 모하메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FC 스타드 로잔 우치) 임대
올리비에 은참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셀틱 FC) 임대복귀
미카엘 퀴장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FC 바이에른 뮌헨) 임대복귀
폴 리롤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US 사수올로 칼초) 임대복귀
굉장히 많은 수의 영입과 방출이 이루어졌지만, 신임 회장 파블로 롱고리아가 미친듯한 속도로 많은 딜을 성사시켰다. 팬들로부터 롱고리아에 대한 찬사가 끊이지 않는 중.
이적 명단과 프리시즌 경기로 보았을 때, 삼파올리는 3-3-3-1에 기반한 전술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리그앙 1라운드에서는 몽펠리에 HSC와 경기를 펼쳤다. 주장 스티브 만단다의 연이은 실수로 2-0으로 끌려갔으나, 콘라드 데라푸엔테와 디미트리 파예의 맹활약으로 3-2 역전승을 거두었다.
리그앙 2라운드에서는 황의조가 있는 FC 지롱댕 드 보르도와 붙는다. 젠기즈 윈데르와 디미트리 파예의 골로 2-0으로 앞서갔으나, 보르도가 2골을 따라붙으며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또다시 실수를 범한 망당다는 다시 한 번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8월 23일 OGC 니스와의 2R에서는 카스페르 돌베르에게 실점하여 1:0으로 뒤쳐지던 중, 니스의 팬들중 한명이 디미트리 파예에게 물병을 집어던졌고, 이에 파예는 참는듯 했으나, 날아온 물병을 들고 관중석으로 걸어가 니스 관중석 쪽으로 그 물병을 다시 집어던졌다. 이에 마르세유 선수들과 니스의 팬들사이에 충돌이 발생했고 경기는 일시중단되었다. 선수들은 락커룸으로 피신했고, 마르세유측은 선수들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면 경기를 재개할수 없다는 의사를 밝혔다. 결국 그날 경기는 일시중단되었고, 10월 27일에 경기를 다시하여 1-1로 비겼다.
이후 18라운드까지 9승 5무 3패를 기록하며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다. 1위인 파리 생제르맹이 13점이나 승점이 앞서있기에 추격이 힘들어보이고, 3위 스타드 렌과 1점차, 4위 니스와 2점차이다.
유로파리그에선 E조에 속해 갈라타사라이, 라치오,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와 같은 조가 되었다. 조별리그에서 로코모티브를 홈에서 1-0으로 이긴 거 빼고 이기질 못해 1승 4무 2패로 조 3위로 유로파리그에서 탈락하고 UEFA 컨퍼런스 리그 플레이오프에 나가게 되었다. 상대는 카라바흐 FK. 원정에서 3-0으로 압승을 거두고 홈경기도 3-1로 이기며 컨퍼런스리그 16강에 올랐다.
이후 16강에서 FC 바젤을 4-2로 쉽게 이기며 8강에 진출한다. 8강 상대는 PAOK.
8강에서도 쉽게 상대를 잡았지만 4강에서 네덜란드의 강호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에게 패배하며 탈락한다.
37라운드까지 68점으로 승점이 같은 상태에서 AS 모나코 FC와 2등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상황에서 38라운드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를 상대로 4:0 대승을 거뒀으나 모나코가 정규시간까지 2:1로 앞서고 있어 득실차가 뒤져 3위로 챔스 조별리그 직행을 놓칠 뻔했으나 모나코가 추가시간 6분 RC 랑스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마르세유가 리그를 2위로 마무리했다. 오랜만의 비단축시즌 챔피언스리그 진출.
2.21. 2022-23 시즌
챔스 조편성 결과 프랑크푸르트, 토트넘, 스포르팅과 함께 D조에 속했다. 프랑크푸르트에게 0-1, 토트넘에게 0-2로 패하며 4위로 추락하나 했더니 스포르팅을 4-1, 2-0으로 연이어 이겨 2위로 올라가 16강 진출 희망을 이어갔으나 5차전 프랑크푸르트 원정에서 카마다 다이치한테 3분 만에 선제골을 내줬다. 전반 21분 마테오 귀엥두지가 동점골을 넣었다가 6분 뒤인 전반 27분 프랑크푸르트의 콜로 무아니한테 역전골을 내주며 점수는 2-1이 되었고 이 스코어가 후반전에도 그대로 유지되면서 패하였고 스포르팅이 토트넘과의 경기에서 비기면서 최하위로 추락했다. 최종전 토트넘 홈경기에선 샹셀 음벰바가 선제골을 넣으며 앞서갔으나 후반에 랑글레한테 동점골을 먹힌 뒤에 후반 추가시간 호이비에르한테 극장 결승골을 내주며 2경기 연속으로 역전패를 당하며 2승 4패 승점 6점으로 3위인 스포르팅와의 승점에서 1점 차이로 밀리면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2.22. 2023-24 시즌
2.23. 2024-25 시즌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올랭피크 드 마르세유]]}}}{{{#!if external != "o"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uuid=83ccdc25-79d5-44e1-be47-8d20ee237af2|r6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uuid=83ccdc25-79d5-44e1-be47-8d20ee237af2#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올랭피크 드 마르세유?from=60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올랭피크 드 마르세유]]}}}{{{#!if external != "o"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uuid=83ccdc25-79d5-44e1-be47-8d20ee237af2|r6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올랭피크 드 마르세유?uuid=83ccdc25-79d5-44e1-be47-8d20ee237af2#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올랭피크 드 마르세유?from=60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1892년에 창단된 종합 스포츠 클럽[2] 장피에르 엘카바크의 아버지[3] 1.76 대 1.33[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하에 있지 않던 프랑스 남부 지역[5] 후에 승리컵으로 개명[6] 당시 챔피언십 득점왕[7] 1953년부터 1965년까지 개최되었던 대회[8] 앙제와의 쿠프 드 프랑스 경기[9] 現 UEFA 유로파 리그[10] 4년후인 1976년에는 마르세유에 330만 프랑의 손해를 입힌 횡령 혐의로 르클레르는 결국 유죄 판결을 받았다.[11] 두 해 전 쿠프 감바르델라에서 우승한 젊은 선수들[12] 1990~1994년까지 아디다스를 소유한 바 있다. 이 외에도 프랑스 하원의원과 유럽 의회 의원, 사회당 의원, 미테랑 정부 도시문제 장관 등 정치인 생활도 했었지만 부패 및 탈세, 횡령 등으로 구속 수감 및 피선거권까지 박탈된 적이 있는 굴곡진 삶을 산 인물이다. 이 외에도 니콜라 사르코지 정부에서 거액의 배상금을 지급한 걸 두고 부당 혜택 의혹에 휘말리기도 했다. 2021년 10월 3일 78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13] 덧붙이자면 안드레 아이유와 조던 아이유의 아버지가 아베디 펠레이다.[14]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이후로 2004년과 2020년에 각각 AS 모나코 FC와 파리 생제르맹 FC가 결승전에 진출하여 두번째 자리를 노렸으나 둘 다 준우승에 머물고 말았다.[15] 1997~2018년까지 아스날 수석코치를 역임하며 아르센 벵거 감독을 도왔다.[16]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슈퍼컵[17] 즉, FA 선수만 영입 가능[18] 2부 리그에서 마르세유 유니폼을 입고 61골을 기록하였다.[19] 34라운드 후 71포인트, 2.09[20] 쿠프 드 프랑스는 리옹이 퀘빌리를 제치고 우승했다.[21] 이땐 리그앙의 참가 팀수가 18팀이라서 34라운드가 최종라운드 였다. 이 시즌에 마르세유가 거둔 성적이 9승 15무 10패로 승률이 25% 밖에 안 됐다. 그럼에도 강등은 안된 이유가 강등권팀인 낭시와 승점이 같았으나 득실에서 겨우 앞서 다행히 최악의 사태만은 면할수가 있었다.[22] 이로써 2012년부터 현재까지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만 12연패 중이다.[23] 챔스 13연패중인데 13경기 연속 무승이 아니다. 13경기 연속 '패배'이다.[24] I don’t want money, I just want to le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