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휴게소 龍仁休憩所 / Yongin Service Area | ||
인천 방면 용인IC ← -.- km | 강릉 방면 용인JC -.- km → | |
주소 | ||
인천 방향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주북로 66-14 (고림동 81-2) | |
강릉 방향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주북로94번길 30-1 (고림동 12-6) | |
운영 | ||
SPC삼립 | ||
개장 | ||
1994년 |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 상의 양방향 고속도로 휴게소이며, 휴게소 명칭은 소재한 용인시에서 유래되었다.2. 역사
- 4차로 시절[1]
- 6차로 시절 (2차 확장)
- 2010년 2월 10일 수요일 17:00 - 영동고속도로 용인휴게소 ~ 양지IC 구간 강릉 방향 3차로 확장.[3]
- 2010년 7월 23일 금요일 18:00 - 영동고속도로 용인IC ~ 용인휴게소 구간 강릉 방향 3차로 확장.[4]
- 2010년 9월 17일 금요일 18:00 - 영동고속도로 마성IC ~ 용인휴게소 구간 인천 방향 3차로 확장.[5]
- 2010년 12월 29일 수요일 16:00 - 영동고속도로 용인휴게소 ~ 양지IC 구간 인천 방향 3차로 확장.[6]
- 8차로[7] (3차 확장)
3. 상세
2022년 5월 2일에 안산휴게소가 개업하기 전까지만 해도 이 휴게소는 강릉 방향 첫 번째 휴게소, 인천 방향 마지막 휴게소 였다.[9] 영동고속도로 건설 당시 용인휴게소 일대는 시골 중에 시골이었던 터라 휴게소를 만들기 아주 좋았다. 사실 용인휴게소는 2024년인 지금도 주변은 시골에 불과하지만, 고림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예정돼 있어서 땅값 상승이 확정된 곳이다. 2020년대에 용인휴게소를 만들겠다고 하면 땅값 비싸거나 도시계획시설에 걸려서[10] 하고 싶어도 못 할 것이다(...). 죽전휴게소와 더불어서 꽤나 선견지명이 있는 사례.4. 다음 휴게소
- 영동고속도로 인천 방향: 안산휴게소
-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덕평자연휴게소
- 세종포천고속도로 포천 방향: 처인휴게소
-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 죽전휴게소
-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 기흥휴게소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 방향: 시흥하늘휴게소
- 서해안고속도로 목포 방향: 매송휴게소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창JC() - - 군자JC() - - - - - 안산JC() - 둔대JC() - - - - - - 신갈JC() - - 서용인JC() - - - 용인JC() - - - - 호법JC() - - - 여주JC() - - 문막SA인천방향 - - 문막SA강릉방향 - 만종JC() - 원주JC() - - - - - - - - - - - - - 강릉JC() | }}}}}}}}} |
[1] 신갈 ~ 이천 구간이 1차 확장된 1994년 7월 23일 이후.[2] 영동고속도로 용인 휴게소 개장 연합뉴스 941207[3] 영동고속도 용인휴게소-양지나들목 확장, 머니투데이, 2010-02-08[4] 영동고속도 용인IC→용인휴게소 확장 개방 머니투데이 100722[5] 추석연휴 용인휴게소~신갈 1차로 확장 개방...소통원할 뉴시스 100917[6] 영동고속도로 신갈~양지 구간 확장 개방 아주경제 101228[7] 용인IC ~ 양지IC 구간 한정. 신갈 ~ 용인은 10차로로 늘어났다.[8] 영동고속도 신갈분기점-양지나들목 10차로 확장 아주경제 110719[9] 영동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가 만나는 서창 분기점에서 용인휴게소까지 거리는 55km로 상당히 긴 거리여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인천에서 중간에 휴게소가 없고 용인 나들목을 지나야만 첫 휴게소를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고속도로로 이동할 시 안산 분기점과 만나는 서해안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매송휴게소나 화성휴게소까지, 신갈 분기점과 만나는 경부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기흥휴게소와 죽전휴게소까지 이동해야만 첫 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었다. 심지어 경부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안성휴게소(서울방향)에서 영동고속도로 인천방향으로 이동할 시 서창 분기점까지 거리가 67km나 되어서 인천으로 올라가시는 운전자 분에게는 매우 불편했었다.[10] 안산휴게소는 원래 수원시에 지을 예정이었는데, 광교신도시 도시계획 부지에 휴게소 부지가 포함되는 바람에 건설 계획이 무산되고 부득이 안산시로 밀려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