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4:32:06

워즈맨

근육맨의 분기별 보스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괴수퇴치 제20회 초인올림픽 아메리카 원정 제21회 초인올림픽
더 빅파이트
근골맨 로빈마스크[1] 블러드 일루전스
(스컬 보즈 & 데빌 매지션)
워즈맨
7인의 악마초인 황금 마스크 꿈의 초인태그 근육별 왕위쟁탈전
버팔로맨 악마장군 헬 미셔너리즈
(넵튠맨 & 빅 더 무도)
근육맨 슈퍼 피닉스
완벽초인시조 오메가 센타우리의 육창객 초신 시간초인
더 맨 대마왕 사탄 더 원 ???
[1]: 구 애니판 한정 아메리카 원정 편 보스
}}}||

정의초인 세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의초인시조
실버맨
아이돌초인군
근육맨 알렉산드리아
미트
로빈마스크 테리맨 라면맨
(몽골맨)
워즈맨 울프맨 브로켄 Jr 제로니모 버팔로맨
초인혈맹군
근육 아타루 더 닌자 아수라맨 브로켄 Jr 버팔로맨
헤라클레스 팩토리
team AHO
근육 만타로 테리 더 키드 세이우친 가젤맨
제네레이션 EX
제이드 스카페이스 클리오네맨 데드 시그널
아이돌초인군(근육맨 2세)
케빈마스크 스카페이스 이류힌 한조 배리어프리맨
}}}}}}}}} ||
프로필
파일:be4e8b7d-bbc3-357c-93d7-3547e1291965(수정).png[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애니메이션 설정화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워즈맨.png
}}}}}}}}}
워즈맨
ウォーズマン|Warsma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313,#000000> 상세 프로필
이름 워즈맨 (ウォーズマン / Warsman)
니콜라이 볼코프 (Николай Волков)[2](본명)
클로에(오버보디)
벨몬드(오버보디2)
이명 파이팅 컴퓨터[3]
칠흑의 뇌세포
초인흉기
냉혹초인
말없는 검은 악마
최고의 잔학초인
강철의 심장
소속 SKGB → 정의초인(잔학초인) → 정의초인(아이돌초인군)
리얼 딜즈
출신 소련[4]
출생 1957년 10월 1일
나이 24세
25세 (황금 마스크 편)
27세 (왕위쟁탈전 편)
58세 (근육맨 2세)
가족관계 미하일맨 (아버지)
나타샤 볼코프 (어머니)
신장 210cm
체중 150kg
스리사이즈 B132 W81 H98
혈액형 A형
좋아하는 것 코사크 댄스, 발랄라이카 연주, 목각인형 제작
좋아하는 음식 바라쿠다가 만들어준 보르시
초인강도 100만 파워
개인 타이틀 레닌그라드 초인 헤비급 선수권
초인 올림픽 더 빅 파이트 2위
능력 카지바노 쿠소치카라
얼음의 정신[5]
필살기 베어클로
스크류 드라이버
파로 스페셜
워즈 레그브리커
워즈 피스톤 엘보
시베리아의 피의 눈보라
타워 브리지 네이키드
태그팀 경력 로빈마스크와 함께 초인사제콤비
마이클과 함께 헬즈 베어즈
태그팀 필살기 로빈마스크와 함께 더블 저먼 스플렉스
로빈마스크와 함께 태그 포메이션 A 롤링 베어크로
로빈마스크와 함께 타워 오브 바벨
마이클과 함께 테디 크래셔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료이치
근육맨[6]
호리 히데유키
근육맨〉·〈극장판〉[7]
카케가와 히로히코, 나카 토모코[8]
왕위쟁탈전
타나카 히데유키
근육맨 2세 1기〉
타케모토 에이지
근육맨 2세 2기〉[9]
카지 유우키
완벽초인시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세준, 문영래
근육맨VHS
정승욱
근육맨 2세 1기〉투니버스
박준형
근육맨 2세 2기〉투니버스 / 대원 재더빙판
}}}}}}}}} ||
1. 소개2. 특징
2.1. 외모2.2. 파이팅 컴퓨터2.3. 작중 묘사
3. 작중 행적4. 파이팅 스타일5. 주요 기술6. 전적
6.1. 태그 전적
7. 기타
7.1. 워즈맨 이론
8. 테마곡

[clearfix]

1. 소개

근육맨의 등장 초인. 구 소련 출신의 초인으로 본명은 '니콜라이 볼코프'.[10] 로빈마스크의 제자이다.

2. 특징

2.1. 외모

몸이 생체와 기계로 이루어진 기계초인이며, 그 맨 얼굴이 매우 흉하다. 보통 보이는 얼굴은 가면이고 맨 얼굴은 눈알이 한 쪽밖에 없는 기계 덩어리이다.[11] 애니메이션에서 근육맨에게 패배하고 마스크를 벗어던졌을 때 나온 측면 실루엣은 제대로 코가 있는 정상적인 형태로 보이나, 얼굴이 제대로 드러난 이후에 나온 실루엣은 흉측한 얼굴의 형태를 하고 있다.

몸이 기계로 이뤄진 덕분에 노화가 되지 않아서 2세 때는 주름살 하나 없는 모습으로 등장했고, 완벽초인시조 편에서는 자신은 기계초인이라서 수명이 없다고 밝혔다. 예전부터 있던 설정이었는지 유데타마고가 그린 또 다른 만화인 SCRAP 산다유에서는 세월이 흘러 동료 초인들이 다 죽었는데도 혼자 살아 있었다.

복면 초인들중에서 유독 복면이 자주 벗겨지는 초인이다.[12] 아무래도 로빈이나 스구루와는 다르게 복면이 벗겨지면 자결해야 한다는 등의 규율이 따로 없어서 그런 듯.

2.2. 파이팅 컴퓨터

파일:워즈맨스마일.png

워즈맨의 체내에 내장된 컴퓨터로. 라면맨과의 준결승전에서 드러난 설정으로, 상대의 모든 기술, 움직임, 맥박, 호흡등을 분석해 상대의 모든 기술을 공략해나가는 기능이 담겨져있다. 하지만 시합개시 이후 상대를 30분 이내에 쓰러뜨렸지만, 어느센가 30분 이내에 쓰러뜨려야한다고 설정되어, 그 이상의 시간을 넘기면 컴퓨터에 이상에 와 몸에 무리가 오며 과열하게 된다는 약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 약점을 통해 몸에 오는 발열로 더 만리키의 스크럼블 바이스를 풀게 만들도록 하였으며, 폴라맨과의 싸움에서는 30분이 다했지만, 동료들의 격려와 응원으로 우정파워 발현으로 시간을 연장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트레이드마크는 코-호- 라는 의미불명의 숨소리[13], 그리고 상대방을 잔혹하게 죽일 때 가면에 숨겨진 입이 딸깍하고 벌어지며 나오는 워즈맨 스마일.[14][15][16] 코-호-란 숨소리는 과거 다스 베이더의 숨소리의 일본어 표기로도 쓰인 글자이다. 디자인 면에서도 검은색이 사용된 것을 볼 때 다스 베이더가 모델인 듯. 이름인 워즈맨도 스타워즈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베어클로'라는 손등에 장착하는 클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초인레슬링에서는 일단 흉기 타격은 반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워즈맨의 경우엔 대체 어떻게 된 거냐며 말이 많지만 정확히 말하면 숨겨둔 흉기라던가 이런 '암기'류만 금지인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신체의 일부라든지, 의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물건은 '무장'으로 취급하여 문제는 없는 걸로 보인다. 근육맨의 미국 원정과 악마장군과의 대전 때 라면맨이 흉기를 탈탈 털면서 금지라고 하는 장면은 전부 옷 속에 숨겨둔 흉기들이다. 그리고 악마장군 전에서 악마장군은 '지옥의 메리고라운드'로 양팔에 수납된 칼을 사용했다. 버팔로맨의 뿔이나 맘모스맨의 빅 터스크, 로빈마스크의 투구나 넵튠맨의 가시달린 조끼도 상대방을 찌르는 흉기로 사용했지만 당당한 무장으로 취급된다. 다만 벨몬드의 모습으로 메테오맨과 싸울 때 손 안에 숨겨두고 베어크로를 썼던 건 명백한 반칙이다. 특이하게도 보통 악행초인들이 정의초인으로 각성한 뒤로는 흉기 타격은 그만두는 경우가 많은데, 워즈는 베어크로를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는 편이다. 베어크로를 사용하게 된 첫 계기는 버팔로맨과 싸우는 도중 파워 차이가 너무 나게 되자 "내가 다시 이걸 쓰게 될 줄이야..." 하면서 쓰게 된 것.

2.3. 작중 묘사

구 근육맨에서의 워즈맨은 근육맨과의 싸움 이후로 주로 강한 적에게 압도적으로 패배당해 적을 띄우는 역할로 종종 나왔다. 아이돌초인(인기 초인)으로서의 역할은 극장판이나 애니 오리지날 에피소드 등 다른 매체에서 보조된 초인이다. 실제 근육맨 원작에서의 워즈맨의 활약은 많지 않아서 활약 없다는 제로니모나 브로켄 Jr하고 비등할 정도. 오히려 갈수록 스승을 따라 기행을 하다가 당하는 모습이나 보인다. 그래서 2세 제1회 인기투표 시상식에선 초대 당시의 자신의 처분에 분개해서 작가에게 베어클로를 갈겨버리기도 했다. 그나마 신 근육맨에서는 테리맨과 로빈마스크를 대신해[17][18] 가장 가까이에서 근육맨의 친구로서 보좌를 맡고 활약하는 등 상당한 푸쉬를 받고 있다.[19]

2세에서의 워즈맨은 케빈을 보좌하는 세컨드이자 스승으로써 로빈의 의지를 이어받아 이루지 못한 승리를 대신 이뤄주는 역할을 맡았으며, 라이벌이라는 인상이 강한 편이다. 하지만 케빈에게 근육족 타도를 위해서 잔학 파이트를 부추기는 훈련을 가하였고, 이 훈련의 결과로 케빈은 만타로를 쓰러뜨려 로빈 왕가에 승리를 가져다주었지만, 이 계기로 케빈과 만타로와의 사이가 안 좋아지고 말았다.[20] 데몬시드 편에서 케빈의 수행에 큰 도움을 주고, 서로간의 갈등이 해소되어 동료가 되어 더 봇짱즈를 결성할 수 있게 되었다. 궁극의 초인태그 편에서는 케빈을 구하고자 나섰지만 여러 트러블이 생겨 제대로 이루지 못했지만 완벽초인으로 타락한 세이우친을 구하고자 클린 파이트로 그를 일깨우고 정의초인으로 다시 전향시켜주는 모습을 보여주며, 한때 함께해왔던 동료들간의 우정을 기억해주는 모습으로 나왔다.

취급이 박해도 특유의 비장한 설정, 깔끔하고 쿨한 외견[21], 정의초인이 된 이후에 보여준 착한 모습 때문에 팬들에서의 인기는 꽤 상위권의 초인이다.[22] 근육맨 2세 인기투표 1회 때 3위를 하기도 했으며, 이후에도 케빈마스크의 세컨드 클로에로서 2위로 상승. 유데타마고도 인기에 비해 원작의 활약상이 저조했다는 것을 인지했는지 근육맨 2세와 신 근육맨에서는 비중이 상승하였다. 2세에서 케빈마스크를 코치해 근육 만타로를 이기는 성과를 냈고, 궁극의 초인 태그에서는 원숙함을 간직한 채로 등장해 역대 최고의 기행도 함께 했지만 상당히 활약했다. 그 덕에 궁극의 초인태그 당시 인기투표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냈으며, 2013년의 신 근육맨 인기투표에서도 2872표를 획득하며 1위에 등극했다. 구 근육맨 때는 대우가 너무 야박했지만 이후 2번이나 인기투표 1위에 오르며 설욕에 성공했다. 강적 폴라맨을 상대로 간만에 1승을 기록하는 쾌거를 이루었고 초신편에서는 맘모스맨이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응원을 하는가 하면 초신인 오닉스맨을 상대로 무승부로 끝났지만 초신 편에서 가장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는 등 활약이 크게 늘었다.

초기에 나온 미트가 찍은 일상생활 모습을 보면 평상시에는 고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조용히 책을 읽는 의외로 고상한 취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고상한 모습과는 반대로 보드카를 벌컥벌컥 나발로 마시는 모습 또한 자주 볼 수 있다...[23] 아무리 초인들이 기본적으로 인간보다 신체능력이 넘사벽급이고 특히나 워즈맨은 반기계초인이라곤 하지만 로빈마스크가 술집에서 주정을 부리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초인도 술에 취하긴 하는데 워즈맨은 반이 로봇이라 술에도 잘 안 취하는 모양이다. 또한 특기로 발랄라이카 연주와 코사크 댄스가 있다.

주역 정의초인들 중 오버보디를 가장 많이 입은 초인이다. 그가 입은 오버보디들은 각 사연이 있다는 것도 특징. 클로에로써는 케빈의 성장을 위해서 SKGB의 불화를 방지하고자 변장, 그리고 데몬시드 편에서는 케빈의 수행을 돕고자 도인으로 변장했으며, 궁극의 초인태그 편에서는 수수께끼의 참가자 헬즈베어즈의 일원으로써 변장하는 등.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워즈맨/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파이팅 스타일

컴퓨터 두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계산적인 파이트에 능한 테크니션 초인, 하지만 신체가 기계라서 30분 이상 파이트할 경우 오버로드(몸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연출이 있다)한다는 치명적인 스테미너 제약이 존재한다. 그래서 보통은 30분 이전에 잔학 파이트로 속전속결로 끝내는 전투방식을 사용하지만, 30분이 넘어버릴 경우 대책이 안 선다는 것이 문제. 또한 작중 파워 부족이 느껴지는 묘사가 많다. 다만 왕위쟁탈전에선 만리키의 홀드를 오버로드 때 나는 연기를 통해 빠져나오고 파로 스페셜로 승리했다. 참고로 컴퓨터 두뇌 덕분에 한 번 싸운 상대의 데이터를 확실히 알고 반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다. 그 시스템 덕분에 버팔로맨과 싸울 때 근육맨의 카지바노 쿠소지카라를 사용하기도 했다. 다만 제대로 된 건 아니어서 그런지 그 상태로 그 유명한 워즈맨 이론을 이용한 스크류 드라이버를 쓰기도 했다.

클로에 상태로 페시미맨과 대적할 때 자신의 아버지의 미하일맨을 기리며, 베어클로의 사용을 자제해 관절기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5. 주요 기술


6. 전적

상대 결과 경기
티백맨 승리 초인올림픽 더 빅 파이트 A조 제1시합
펜타곤 승리 초인올림픽 더 빅 파이트 8강전 제3시합
라면맨 승리 초인올림픽 더 빅 파이트 준결승
근육맨 패배 초인올림픽 더 빅 파이트 결승
버팔로맨 패배 7인의 악마초인 편
더 만리키 승리 근육별 왕위쟁탈전(vs 제브라 팀)
폴라맨 승리 완벽초인시조 편
오닉스맨 무승부[25] 초신 편
페시미맨 시간초인 오대각편


그 외 경기에 나서지 않았지만 7인의 악마초인 전에서 스테카세킹의 기습공격으로 리타이어 당한 전적과 왕위쟁탈전 결승전 이전에 맘모스맨에게 습격당해 패배한 전적도 있다. 다만 스테카세킹은 기습이었고 맘모스맨의 습격은 워즈맨이 훈련에 지친 상태에서 습격 당한것이기 때문에 순수 실력으로 당한것은 아니다.

6.1. 태그 전적

상대 결과 경기
블러드 일루전스 승리 꿈의 초인태그 연습시합
헬 미셔너리즈 패배 꿈의 초인태그 예선전
상대 결과 경기
팀 코스마스 승리 궁극의 초인태그 1회전
헬 익스펜션즈 패배 궁극의 초인태그 2회전

7. 기타

29주년 단편에선 근육 스구루가 결혼 선물로 정의초인들과의 진검 스파링을 원해서 스파링을 하게 되었는데 그 전에 나온 울프맨, 라면맨, 브로켄 주니어 등이 연속 패배를 당한 데 비해 파로 스페셜로 기브업을 받아내었다.

코치카메와 근육맨의 콜라보레이션 에피소드에선 베어클로를 끼고 다녀서 흉기소지죄로 체포(...). 이후 다른 동료 초인들과 싸우며 난장판을 치자 아키모토 카트린느 레이코에게 파로 스페셜을 당한다.
파일:GT7Qws8b0AANEfb.jpg
요코타 마모루의 그림 #

과거사가 스구루와 비슷하다. 둘 다 외모 때문에 불우한 삶을 살았으나, 로빈과 미트와의 만남으로 새로운 삶을 가졌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둘의 차이점은 로빈을 만나면서 냉혹한 잔학초인으로 성장해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고, 스구루는 미트를 만나면서 서로를 가족처럼 아껴주면서 주변인들을 이끌어주었다는 점이었다. 후에 둘이 싸우면서 스구루의 우정과 카지바노 쿠소치카라에 감화되어 워즈맨은 크게 성장하게 되고, 이를 지켜본 로빈은 그동안의 초인올림픽에서의 미련을 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파일:ch2047001_img01.webp
구 근육맨 당시 본편에서는 입고 나오지않았지만, 왕위쟁탈전에서의 속표지로 공개된 워즈맨의 코스튬이 있었는데, 나름 인기가 있어서 종종 공식 미디어나 굿즈에서도 입는 모습이 나온다. 후에 익스트림 배틀 모드라는 명칭으로 신 근육맨 481화에서 본편에서 공식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7.1. 워즈맨 이론

파일:워즈맨 이론.jpg파일:afafa5ce-6ca2-3ebc-a0ed-e9c18b21f0a5.png
ウォーズマン理論
"100만 파워 + 100만 파워로 200만 파워-![26]"
"평소의 2배 점프가 더해져 200만 × 2의 400만 파워-!"
"그리고 평소의 3배 회전을 더하면 400만 × 3의..."
"버팔로맨, 너를 상회하는 1200만 파워닷-!"

초인 파워가 1000만인 버팔로맨과 싸울 때 언급한 이론이다. 힘을 추가로 덧대는데 왠지 덧셈이 아니라 그대로 배가시키는 기묘한 공식이 특징으로 일명 워즈맨 이론. 통하긴 했는지 버팔로맨의 롱혼을 하나 부러뜨리는데 성공했다. 다른 작품에서 자주 패러디되는 것이니 알아두도록 하자. 근육맨 2세에서는 만타로가 이 공식을 언급하며 버팔로맨의 롱혼을 부러뜨리려 했다.
이후 신 근육맨에서 초신 오닉스맨을 상대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워즈맨 이론을 시전한다. 베어클로 2도류 × 평소의 2배 점프 × 평소의 5배 회전 × 초우정모드의 잔여시간을 5초까지 압축해 1억 파워 스크류 드라이버를 시전하여 무승부를 따낸다.

이것 외에도 여러 2차 창작물에서 간간히 써먹히는 개그로 유명하다. 얼토당토않은 계산법을 운운하는, 특히 무기나 장비를 2개 써서 위력을 올린다던지 속도나 높이에 비례해 위력이 올라간다는 식의 계산은 거의 다 워즈맨 이론을 패러디한 것이다.[31]

8. 테마곡


테마곡 '슬픔의 베어클로'. 구슬프면서 비장한 가사와 음색이 인상적이다.
---대사

オレはウォーズマン。人呼んでファイティングコンピューター。
오레와워즈만 히토욘데파이팅구콤퓨타
내 이름은 워즈맨. 사람들은 나를 파이팅 컴퓨터라 부른다.

(ボンボンボンボン…)
(봄봄봄봄....)

オレのことをロボ超人だと笑わば笑え。
오레노코토오로보초진다토와라와바와라에
나를 로봇초인이라고 비웃으려면 비웃어라

確かにオレは、体の半分はロボットで半分は超人だ。体の中に機械やコンピュータが組み込まれている。
다시카니오레와카라다노한분와로봇토데한분와초진다 카라다노나카니키카이야콤퓨타가쿠미코마레테이루
확실히 나는 몸의 절반은 로봇이고 절반은 초인이다. 몸 속엔 기계나 컴퓨터가 가득 차있지.

だが言っておくが、オレを馬鹿にするヤツはこの鉄の爪、ベアークローが胸に突き刺さるのを覚悟しておくがいい!
다가잇테오쿠가, 오레오바카니스루야츠와코노테츠노츠메, 베아쿠로가무네니츠키사사루노오가쿠고시테오쿠가이이!
하지만 분명히 말하는데 나를 바보 취급하는 놈들은 이 강철의 손톱, 베어클로가 가슴에 꽂히는 걸 각오해 두는 게 좋을 거야!

ベアークローが鋭く光り
베아쿠로가스루도쿠히카리
베어클로가 날카롭게 빛나면

マットに広がる地獄絵図
맛토니히로가루지고쿠에즈
매트에 펼쳐지는 지옥도

パロスペシャルで 返り血浴びる
파로스페샤루데 카에리치아비루
파로 스페셜로 피를 잔뜩 뒤집어 쓴

冷たいファイティング・コンピューター
츠메타이파이팅구콤퓨타
차가운 파이팅 컴퓨터

ウォーズマン 苦しみを超えた時
워즈만 쿠루시미오코에타토키
워즈맨 괴로움을 넘어섰을 때

ウォーズマン ほほ笑みさえ無くしちまった
워즈만 호호에미사에나쿠싯치맛타
워즈맨 미소마저 사라지고 말았다

ロボットでもない
로봇토데모나이
로봇도 아니고

超人でもない
초진데모나이
초인도 아니고

悲しみがリングに こぼれ落ちる
카나시미가링구니코보레오치루
슬픔이 링에 넘쳐흐른다

愛を知らずに 夢にはぐれて
아이오시라즈니 유메니하구레테
사랑을 모르고 꿈마저 잃어버린

Ah-Lonely night
아아 론리 나이트
아아 외로운 밤

---대사

シベリアの冬は厳しい。オレが生まれ育ったのは、そのシベリアの小さな村。
시베리아노후유와키비시이 오레가우마레소닷타노와, 소노시베리아노치이사나손
시베리아의 겨울은 가혹하다. 내가 태어난 곳은 그 시베리아의 작은 마을이지.

出来損ないの超人として、皆に石を投げられたものさ。そして、次に入ったのが蛇の穴…やられ専門のレスラー養成機関。
데키소코나이초진토시테,민나니이시오나게라레타모노사, 소시테츠기니하잇타노가헤비노아나...야라레센몬노레스라요세기칸
불완전한 초인이라서 모두가 내게 돌을 던졌었다. 그 뒤에 들어간 곳이 뱀의 구멍... 자버 전문의 레슬러 양성기관이었지.

だが、生まれながらにオレに備わっている闘う本能が、負けることを許さなかった!。
다가, 우마레나가라니오레니소나왓테이루타타카이노혼노우가,마케루코토오유루사나캇타!
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나의 전투 본능이 지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オレは、相手をぶちのめして雪の中を逃げたのさ
오레와, 아이테오부치노메시테유키노나카오니게타노사
나는, 상대를 성에 찰 때까지 패 주고는 눈보라 속으로 도망쳤다.

この世は勝たなければやられる!だから勝つためにオレは闘う!!
코노요와카타나케레바야라레루! 다카라캇츠타메니오레와타타카우!!
이 세상은 이기지 않으면 당해버린다! 그러니까 이기기 위해 나는 싸운다!

だが言っておく。オレの体の中にも赤い血が流れているんだぜ。
다가잇테오쿠 오레노카라다노나카니모아카이치가나가레테이룬다제
하지만 내 몸 속에도 붉은 피는 흐르고 있었지.

鉄のハートが重いおまえは
테츠노하토가오모이오마에와
강철의 심장이 무거운 너는

闘うことが生きがいなのか
타타카우코토가이키가이나노까
싸우는 것이 살아가는 의미인가

黒い悪魔と 仇名されても
쿠로이아쿠마토 아다나사레테모
검은 악마라는 별명이 붙어도

無口なファイティング・コンピューター
무쿠치나파이팅구콘퓨타
침묵하는 파이팅 컴퓨터

ウォーズマン 残酷なラフ・ファイト
워즈만 쟌고쿠나 라후파이토
워즈맨 잔혹한 러프파이트

ウォーズマン 仮面の下に悲劇を隠す
워즈만 카멘노시타니히게키오카쿠스
워즈맨 가면 아래에 비극을 숨기고

ロボットでもない
로봇토데모나이
로봇도 아니고

超人でもない
초진데모나이
초인도 아니고

悲しみがリングに こぼれ落ちる
카나시미가링구니코보레오치루
슬픔이 링에 넘쳐흐른다

愛を知らずに 夢にはぐれて
아이오시라즈니 유메니하구레테
사랑을 모르고 꿈마저 잃어버린

Ah-Lonely night
아아 론리 나이트
아아 외로운 밤

ウォーズマン 苦しみを超えた時
워즈만 쿠루시미오코에타토키
워즈맨 괴로움을 넘어섰을 때

ウォーズマン ほほ笑みさえ無くしちまった
워즈만 호호에미사에나쿠싯치맛타
워즈맨 미소마저 사라지고 말았다

ロボットでもない
로봇토데모나이
로봇도 아니고

超人でもない
초진데모나이
초인도 아니고

悲しみがリングに こぼれ落ちる
카나시미가링구니코보레오치루
슬픔이 링에 넘쳐흐른다

愛を知らずに 夢にはぐれて
아이오시라즈니 유메니하구레테
사랑을 모르고 꿈마저 잃어버린

Ah-Lonely night
아아 론리 나이트
아아 외로운 밤


[1] 애니메이션에서는 갑옷 이외의 부분도 검은색으로 변경되었으며 갑옷의 테두리 부분도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갈색부분은 타이즈 같은게 아니라 워즈맨 본인의 피부색이다(...)[2] 부칭까지 포함하면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볼코프.[3] 워즈맨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명이다.[4] 근육맨 2세에서는 러시아 시민권을 포기하고 영국으로 변경.[5] 카지바노 쿠소지카라같은 초능력이기보단 잔학 파이트를 할 때의 마음가짐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노리스펙트의 하카바노 쿠소지카라가 있다.[6] 47화 ~ 58화, TV스페셜.[7] 65화 이후. 58화에서 리타이어한 후 65화까지 등장이 없었다.[8] 소년 시절.[9] 근육 아타루와 성우가 같다.[10] 동명의 프로레슬러에게서 따온 듯하다.[11] 얼굴이 완전 기계라서 그런지 마스크는 케이스 같은 느낌이다.[12] 초인올림픽전, 초인태그전, 맘모스맨 기습전, 폴라맨 전. 공식전에서만 3번, 비공식전에서 1번 복면이 벗겨졌다. 그 외에도 다른 초인들과는 다르게 맨얼굴이 자주 그려진다.[13] 초기 애니메이션에서는 사람 목소리로 조금 인위적으로 내는 듯한 소리지만, 왕위쟁탈전에서는 사람이 방독면을 쓰고 숨을 쉬는 듯한 리얼한 소리를 낸다.[14] 워즈맨 스마일은 독자 응모에 나온 초인 스마일맨을 모티브로 했다. 여담으로 분명 처음 워즈맨 스마일이 공개되었을 때 로빈마스크 왈 "워즈맨이 경기 중에 웃게 되면 그 상대는 반드시 죽게 되지!" 라고 했는데 정작 워즈맨 스마일을 선보이고 나서 상대가 죽은 적은 단 한번도 없다...[15] 숨소리와 워즈맨 스마일 둘 다 근육맨과의 대결 이후 한동안 안 나오다가 왕위쟁탈전에서 만리키와의 대전에서 오랜만에 둘 다 나왔다.[16] 신 근육맨에선 더 노토리우스가 비슷한 스마일 기믹을 들고 나왔다.[17] 테리맨은 가장 친한 친구라는 말이 무색하게 맥스 레이디얼, 저스티스맨과의 혈전으로 근육맨의 곁을 떠나있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18] 로빈마스크는 네메시스에게 패배하여 오랫동안 리타이어 했고 이후 부활한 이후에도 근육맨과의 재대결을 원한다는 설정 때문에 근육맨과 어느 정도 선을 두는 라이벌 위치에 있어 이전과는 다르게 근육맨을 보좌하지 않는다. 물론 사이가 험악하거나 흑화한 것은 절대로 아니고 여전히 근육맨과는 친한 친구사이다. 단순히 한명의 초인으로써 근육맨과의 재대결을 간절히 바라고 있기에 선을 두고 있을 뿐이다.[19] 2세의 케빈마스크처럼 로빈마스크(보좌)과 테리맨(친구)의 역할을 모두 워즈맨이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20] 다만 클로에의 지도 자체는 틀리지는 않았다. 당장 억지로 정의초인으로 싸우려다가 정체성에 혼돈이 와서 패배한 히카르도의 경우도 있으며 클로에는 단순히 잔학 파이트를 가르친 것이 아니라 케빈의 콤플렉스였던 로빈과의 갈등을 해결하는데는 큰 영향을 주었다.[21] 복잡한 장식 없는 외관 덕에 어린이들이 그리기 쉬운 디자인인 것이 옛날 근육맨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애니 오리지널 활약상과 더불어 인기의 이유였다고도 한다. 여러모로 애니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은 초인[22] 초인올림픽 당시 라면맨보다 인기가 많아서 라면맨을 누르고 결승전 최종보스가 되었다.[23] 보드카는 도수가 높은 술이지만 러시아에서는 그냥 음료 수준으로 가까운 술이기 때문에 소련 출신인 워즈맨이 보드카를 나발로 마시는 모습은 사실 그렇게까지 이상한 모습은 아니다.[24] 허리가 아니라 어깨에 올라타서 고간으로 목을 압박한다.[25] 오닉스맨이 1억 파워 스크류 드라이버에 당해 먼저 쓰러졌기에 엄밀히 말하면 승리라 할 수 있지만, 직후 워즈맨도 일시적으로 기능이 정지되었기에 양자 녹다운 무승부로 판정났다.[26] 보통 워즈맨은 베어클로를 1개만 장착하는데, 2개를 끼면서 하는 말.[27] 그래플러 바키에서 레츠 카이오피클과의 싸움에서 자신에게 승기가 없음을 깨닫자, 자신이 자랑하는 중국 무술이 원시인에게 패배할 수 없다는 이유로 막싸움을 벌일 때 쓰던 붕쯔붕쯔붕붕펀치를 패러디한 것이다.[28] 워즈맨은 이 모드의 최종 실험 단계를 앞두고 볼그 콤나타에서 탈출해 로빈마스크의 제자가 되었고, 그 실험을 모처럼 워즈맨이 돌아왔으니 지금 하려는 것.[29] (발목 4개 + 정강이 3개 + 무릎 4개 + 허벅지 8개) × 다리 2개 + (어깨 3개 + 상박 3개 + 하박 3개) × 팔 2개 + 허리 2개 & 등 4개 & 가슴 2개 총 64개.[30] 황금 마스크 편까지 근육맨의 적 세력 중에 2200만을 넘는 초인강도 보유자는 없으며, 살인유희 콤비 및 근육맨 제브라의 기교팀은 제브라가 기교신의 빙의를 받지 않는 이상 전부 2200만보다 낮다.(스크류 키드 1300만, 켄다맨 1500만, 더 만리키 721만, 모터맨 460만, 바이크맨 1200만, 파르테논 1500만, 제브라 97만) 이외에 신 근육맨의 적들 중에서는 말린맨미라쥬맨이 2200만, 카라스맨이 2000만, 마벨러스페인맨이 1800만, 저스티스맨이 1500만, 그림 리퍼 = 사이코맨이 1000만으로 2200만 이하다. 2세의 적들은 초인강도 자체가 낮아서 파이브 디제스터즈(썬더 3000만, 라이트닝 2400만)를 제외하면 전부 2200만 미만.[31] 다만 판타지처럼 마법 같은 특수한 개념이 존재하는 창작물에선 그래도 뭔가 논리적으로 그럴싸한 계산법으로 묘사하며, 해당 장면도 원작처럼 '목숨을 걸고 이길 수 없는 적에게 최소한의 유효타라도 입히기 위한 필사의 전법'으로 비장하게 표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