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23:02:17

원신/일본 서비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원신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 bordercolor=#004e6a,#383b40><bgcolor=#004e6a,#010101> [[원신|[[파일:원신 로고.svg|width=85]]]]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스토리|{{{#ffffff 스토리}}}]]'''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연표|연표]] · [[원신/임무|임무]] {{{-2 ([[원신/임무/마신 임무|마신]] · [[원신/임무/전설 임무|전설]] · [[원신/임무/월드 임무|월드]] · [[원신/일일의뢰|의뢰]])}}} · [[원신/이벤트|이벤트]] {{{-2 ([[원신/이벤트/1.n 버전|1]] · [[원신/이벤트/2.n 버전|2]] · [[원신/이벤트/3.n 버전|3]] · [[원신/이벤트/4.n 버전|4]] · [[원신/이벤트/5.n 버전|5]]  /  [[해등절]], [[원신/이벤트/여름 이벤트|여름 이벤트]])}}}}}} ||
||<|3> '''[[원신/지역|{{{#ffffff 지역}}}]]'''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티바트''': [[몬드]] · [[리월]] · [[이나즈마(원신)|이나즈마]] · [[수메르(원신)|수메르]] · [[폰타인]] · [[나타(원신)|나타]] · [[스네즈나야]] · [[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고대 국가''': [[살 빈다그니르]] · [[백야국]] · [[레무리아 제국]] · [[오치카나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 지역''': [[드래곤 스파인]] · [[층암거연]] · [[연하궁]] · [[지난날의 바다]] · [[잿더미 바다]] · [[셀레스티아(원신)|셀레스티아]] · [[금사과 제도]] · [[유리빛 신기루]] · [[시뮬랑카]]}}} ||
||<|2> '''[[원신/설정|{{{#ffffff 설정}}}]]'''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설정/몬드|몬드]] · [[원신/설정/리월|리월]] · [[원신/설정/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설정/수메르|수메르]] · [[원신/설정/폰타인|폰타인]] · [[원신/설정/나타|나타]] · [[원신/설정/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설정/켄리아|켄리아]]}}}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신(원신)|신]] {{{-2 ([[일곱 신]]· [[마신전쟁(원신)|마신전쟁]]· [[4명의 집정관]])}}} · [[신의 눈(원신)|신의 눈]] · [[원신/종족|종족]] · [[티바트 문자|문자 및 언어]] · [[심연(원신)|심연]] · [[대재앙]] · [[강림자(원신)|강림자]] · [[운명의 자리]] }}} ||
||<|2> '''[[원신/등장인물|{{{#ffffff 등장인물}}}]]'''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지역별''': [[원신/등장인물/몬드|몬드]] · [[원신/등장인물/리월|리월]]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이나즈마]] · [[원신/등장인물/수메르|수메르]] · [[원신/등장인물/폰타인|폰타인]] · [[원신/등장인물/나타|나타]] · [[원신/등장인물/스네즈나야|스네즈나야]] · [[원신/등장인물/켄리아|켄리아]] · [[원신/등장인물|기타]]}}}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세력 및 집단''': [[모험가 길드(원신)|모험가 길드]] · [[페보니우스 기사단]] · [[선인(원신)|리월 선인]] · [[수메르 아카데미아]] · [[도금 여단]] · [[수선화 십자]] · [[우인단]] · [[심연 교단]] · [[마녀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원신/콘텐츠|{{{#ffffff 콘텐츠}}}]]'''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캐릭터|캐릭터]] · [[원신/생물|생물]] · [[원신/비경|비경]] · [[원신/나선 비경|나선 비경]] {{{-2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3.n 버전|3]]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4.n 버전|4]] · [[원신/나선 비경/역대 메타/5.n 버전|5]])}}} · [[원신/현실 속 환상극|현실 속 환상극]] {{{-2 ([[원신/현실 속 환상극/일정|일정]] · [[원신/현실 속 환상극/그림 속 궤적|그림 속 궤적]])}}} · [[원신/속세의 주전자|속세의 주전자]] {{{-2 ([[원신/속세의 주전자/선물 세트|선물 세트]])}}} · [[원신/낚시|낚시]] · [[일곱 성인의 소환]] {{{-2 ([[일곱 성인의 소환/카드일람|카드일람]])}}} · [[선율이 흐르는 악보]] · [[원신/코스튬|코스튬]] · [[원신/명함|명함]]}}} ||
||<|2> '''[[원신/적|{{{#ffffff 적}}}]]'''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소 생명체]] · [[츄츄족]] · [[심연(원신)|심연]] · [[우인단/적|우인단]] · [[자동 장치(원신)|자동 장치]] · [[보물 사냥단]] · [[노부시패]] · [[도금 여단/적|도금 여단]] · [[부족 용 무사]] · [[돌연변이 마수]] · [[원신/적/기타 몬스터|기타]]
}}}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적/토벌 보스|토벌 보스]] · [[원신/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지방 전설]] {{{-2 ([[지방 전설/수중|수중]] · [[지방 전설/밤혼 시련|밤혼 시련]])}}}
}}} ||
|| '''[[원신/시스템|{{{#ffffff 시스템}}}]]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시스템/원소|원소]] · [[원신/전투|전투]] · [[원신/필드 기믹|기믹]] · [[원신/탐사|탐사]] · [[원신/기원|기원]] {{{-2 ([[원신/기원/캐릭터 이벤트 기원|캐릭터]] · [[원신/기원/무기 이벤트 기원|무기]] · [[원신/기원/묶음 기원|묶음]])}}} · [[원신/기행|기행]] · [[원신/업적|업적]]}}} ||
|| '''아이템'''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무기|무기]] {{{-2 ([[원신/무기/한손검|한손검]] · [[원신/무기/양손검|양손검]] · [[원신/무기/장병기|장병기]] · [[원신/무기/법구|법구]] · [[원신/무기/활|활]])}}} · [[원신/성유물|성유물]] · [[원신/육성 아이템|육성]] · [[원신/음식|음식]] {{{-2 ([[원신/음식/회복|회복]] · [[원신/음식/공격|공격]] · [[원신/음식/모험|모험]] · [[원신/음식/방어|방어]])}}} · [[원신/재료|재료]] · [[원신/간편 아이템|간편]] · [[원신/임무 아이템|임무]] {{{-2 ([[원신/임무 아이템/월드 임무|월드 임무]] · [[원신/임무 아이템/책|책]]) }}} · [[원신/귀중한 물품|귀중한 물품]] · [[원신/장식|장식]] {{{-2 ([[원신/장식/실외 장식|실외]] · [[원신/장식/실내 장식|실내]])}}} · [[원신/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e0e0e0><width=11%> '''미디어 믹스'''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3 ([[원신(애니메이션)|장편]] · [[원신/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원신/OST|OST]] · [[https://genshin.hoyoverse.com/ko/manga|만화]]}}} ||
|| '''온/오프라인 이벤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콘서트|콘서트]] · [[HoYoFair]] · 축제 {{{-2 ([[원신 2022 여름축제|2022 여름]] · [[원신 2023 여름축제|2023 여름]] · [[호요랜드|2024 가을]])}}}}}} · [[원신/한국 서비스|한국 서비스]] {{{-2 ([[원신 Cafe in Seoul]] · [[원신 PC 라운지 in Seoul]])}}} ||
|| '''기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업데이트|업데이트]] · [[원신/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원신/여담|여담]] {{{-2 ([[원신/플레이 팁|플레이 팁]] · [[원신/일본 서비스|일본 서비스]] · [[원신/여담/공식 정보|공식 정보]])}}} · [[원신/평가|평가]] · [[원신/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관련 사이트'''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원신 공식카페|카페]] · [[원신 project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원신 채널|채널]]}}} ||}}}}}}
}}}}}} ||



1. 개요

HoYoverse 원신의 일본판에 대한 내용 및 여담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일본어판의 특징

미호요는 일본어판을 각별하게 신경써서 디렉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어판, 영어판은 딱히 녹음 디렉팅을 하지 않지만, 중국어판과 일본어판은 예외적으로 녹음 디렉션에 대해 미호요쪽 사람과 디렉터가 의견을 나누며 녹음에 관여한다. 아래 성우 문단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 미호요 측에서 직접 오퍼를 넣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공식 라디오에서 미호요 직원들이 일본 성우들과 직접 접촉한다는 발언을 한 바 있다. 또한 역시 일본어판 한정으로 담당 성우들의 녹음에 대해선 처음부터 대량의 설정 자료(현재 공개되지 않은 자료 포함)를 배부한 뒤 녹음에 임하게 한다고 한다.[1]

이러한 상황에 따라 일본어판의 경우 원신의 설정이 방대해짐에 따라 각 설정마다의 설명글, 고유명사의 인토네이션[2] 표기법까지 성우들에게 배포하기도 한다.

2.1.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가 다양한 일본인만큼 캐릭터별로 쓰는 인칭대명사도 다양한 편이다.

2.1.1. 1인칭

1캐릭터=아이테르, 1별=5, 1원소=여행자,
2캐릭터=케이아, 2별=4, 2원소=얼음,
3캐릭터=베넷, 3별=4, 3원소=불,
4캐릭터=레이저, 4별=4, 4원소=번개,
5캐릭터=종려, 5별=5, 5원소=바위,
6캐릭터=가명, 6별=4, 6원소=불,
7캐릭터=토마, 7별=4, 7원소=불,
8캐릭터=고로, 8별=4, 8원소=바위,
9캐릭터=사이노, 9별=5, 9원소=번개,
10캐릭터=알하이탐, 10별=5, 10원소=풀,
11캐릭터=라이오슬리, 11별=5, 11원소=얼음,
12캐릭터=키니치, 12별=5, 12원소=풀,
13캐릭터=타르탈리아, 13별=5, 13원소=물,

)]
1캐릭터=아라타키 이토, 1별=5, 1원소=바위,)]
1캐릭터=알베도, 1별=5, 1원소=바위,
2캐릭터=미카, 2별=4, 2원소=얼음,
3캐릭터=벤티, 3별=5, 3원소=바람,
4캐릭터=다이루크, 4별=5, 4원소=불,
5캐릭터=행추, 5별=4, 5원소=물,
6캐릭터=중운, 6별=4, 6원소=얼음,
7캐릭터=시카노인 헤이조, 7별=4, 7원소=바람,
8캐릭터=타이나리, 8별=5, 8원소=풀,
9캐릭터=세토스, 9별=4, 9원소=번개,
10캐릭터=카베, 10별=4, 10원소=풀,
11캐릭터=방랑자, 11별=5, 11원소=바람,
12캐릭터=리니, 12별=5, 12원소=불,
13캐릭터=프레미네, 13별=4, 13원소=얼음,
14캐릭터=올로룬, 14별=4, 14원소=번개,

)]
1캐릭터=백출, 1별=5, 1원소=풀,
2캐릭터=카미사토 아야토, 2별=5, 2원소=물,
3캐릭터=느비예트, 3별=5, 3원소=물,

)]
1캐릭터=소, 1별=5, 1원소=바람,

)]
1캐릭터=카에데하라 카즈하, 1별=5, 1원소=바람,

)]
}}}
1캐릭터=루미네, 1별=5, 1원소=여행자,
2캐릭터=엠버, 2별=4, 2원소=불,
3캐릭터=설탕, 3별=4, 3원소=바람,
4캐릭터=진, 4별=5, 4원소=바람,
5캐릭터=유라, 5별=5, 5원소=얼음,
6캐릭터=바바라, 6별=4, 6원소=물,
7캐릭터=로자리아, 7별=4, 7원소=얼음,
8캐릭터=모나, 8별=5, 8원소=물,
9캐릭터=응광, 9별=4, 9원소=바위,
10캐릭터=각청, 10별=5, 10원소=번개,
11캐릭터=감우, 11별=5, 11원소=얼음,
12캐릭터=호두, 12별=5, 12원소=불,
13캐릭터=연비, 13별=4, 13원소=불,
14캐릭터=운근, 14별=4, 14원소=바위,
15캐릭터=야란, 15별=5, 15원소=물,
16캐릭터=남연, 16별=4, 16원소=바람,
17캐릭터=쿠죠 사라, 17별=4, 17원소=번개,
18캐릭터=산고노미야 코코미, 18별=5, 18원소=물,
19캐릭터=쿠키 시노부, 19별=4, 19원소=번개,
20캐릭터=라이덴 쇼군, 20별=5, 20원소=번개,
21캐릭터=키라라, 21별=4, 21원소=풀,
22캐릭터=치오리, 22별=5, 22원소=바위,
23캐릭터=캔디스, 23별=4, 23원소=물,
24캐릭터=닐루, 24별=5, 24원소=물,
25캐릭터=나히다, 25별=5, 25원소=풀,
26캐릭터=레일라, 26별=4, 26원소=얼음,
27캐릭터=리넷, 27별=4, 27원소=바람,
28캐릭터=에밀리, 28별=5, 28원소=풀,
29캐릭터=샤를로트, 29별=4, 29원소=얼음,
30캐릭터=슈브르즈, 30별=4, 30원소=불,
31캐릭터=클로린드, 31별=5, 31원소=번개,
32캐릭터=카치나, 32별=4, 32원소=바위,
33캐릭터=마비카, 33별=5, 33원소=불,
34캐릭터=시틀라리, 34별=5, 34원소=얼음,
35캐릭터=차스카, 35별=5, 35원소=바람,
36캐릭터=아를레키노, 36별=5, 36원소=불,

)]
1캐릭터=디오나, 1별=4, 1원소=얼음,
2캐릭터=향릉, 2별=4, 2원소=불,
3캐릭터=북두, 3별=4, 3원소=번개,
4캐릭터=콜레이, 4별=4, 4원소=풀,
5캐릭터=데히야, 5별=5, 5원소=불,
6캐릭터=나비아, 6별=5, 6원소=바위,
7캐릭터=말라니, 7별=5, 7원소=물,
8캐릭터=유메미즈키 미즈키, 8별=5, 8원소=바람,

)]
1캐릭터=페이몬, 1별=5,)]
1캐릭터=리사, 1별=4, 1원소=번개,
2캐릭터=노엘, 2별=4, 2원소=바위,
3캐릭터=피슬, 3별=4, 3원소=번개,
4캐릭터=카미사토 아야카, 4별=5, 4원소=얼음,
5캐릭터=야에 미코, 5별=5, 5원소=번개,
6캐릭터=도리, 6별=4, 6원소=번개,

)]
1캐릭터=신염, 1별=4, 1원소=불,
)]
1캐릭터=신학, 1별=5, 1원소=얼음,
)]
1캐릭터=한운, 1별=5, 1원소=바람,
)]
1캐릭터=사유, 1별=4, 1원소=바람,
)]
1캐릭터=요이미야, 1별=5, 1원소=불,
2캐릭터=시그윈, 2별=5, 2원소=물,
3캐릭터=실로닌, 3별=5, 3원소=바위,

)]
1캐릭터=파루잔, 1별=4, 1원소=바람,
)]
1캐릭터=푸리나, 1별=5, 1원소=물,)]
1캐릭터=클레, 1별=5, 1원소=불,
2캐릭터=치치, 2별=5, 2원소=얼음,
3캐릭터=요요, 3별=4, 3원소=풀,

)]
}}}

2.1.2. 2인칭

1캐릭터=루미네, 1별=5, 1원소=여행자,
2캐릭터=노엘, 2별=4, 2원소=바위,
3캐릭터=설탕, 3별=4, 3원소=바람,
4캐릭터=미카, 4별=4, 4원소=얼음,
5캐릭터=바바라, 5별=4, 5원소=물,
6캐릭터=피슬, 6별=4, 6원소=번개,
7캐릭터=모나, 7별=5, 7원소=물,
8캐릭터=디오나, 8별=4, 8원소=얼음,
9캐릭터=응광, 9별=4, 9원소=바위,
10캐릭터=치치, 10별=5, 10원소=얼음,
11캐릭터=백출, 11별=5, 11원소=풀,
12캐릭터=향릉, 12별=4, 12원소=불,
13캐릭터=감우, 13별=5, 13원소=얼음,
14캐릭터=호두, 14별=5, 14원소=불,
15캐릭터=운근, 15별=4, 15원소=바위,
16캐릭터=요요, 16별=4, 16원소=풀,
17캐릭터=카미사토 아야카, 17별=5, 17원소=얼음,
18캐릭터=카미사토 아야토, 18별=5, 18원소=물,
19캐릭터=산고노미야 코코미, 19별=5, 19원소=물,
20캐릭터=라이덴 쇼군, 20별=5, 20원소=번개,
21캐릭터=도리, 21별=4, 21원소=번개,
22캐릭터=캔디스, 22별=4, 22원소=물,
23캐릭터=닐루, 23별=5, 23원소=물,
24캐릭터=나히다, 24별=5, 24원소=풀,
25캐릭터=레일라, 25별=4, 25원소=얼음,
26캐릭터=리넷, 26별=4, 26원소=바람,
27캐릭터=프레미네, 27별=4, 27원소=얼음,
28캐릭터=에밀리, 28별=5, 28원소=풀,
29캐릭터=클로린드, 29별=5, 29원소=번개,
30캐릭터=카치나, 30별=4, 30원소=바위,

)]}}}
1캐릭터=엠버, 1별=4, 1원소=불,
2캐릭터=리사, 2별=4, 2원소=번개,
3캐릭터=북두, 3별=4, 3원소=번개,
4캐릭터=신염, 4별=4, 4원소=불,
5캐릭터=쿠키 시노부, 5별=4, 5원소=번개,
6캐릭터=요이미야, 6별=5, 6원소=불,
7캐릭터=데히야, 7별=5, 7원소=불,
8캐릭터=라이오슬리, 8별=5, 8원소=얼음,
9캐릭터=나비아, 9별=5, 9원소=바위,
10캐릭터=실로닌, 10별=5, 10원소=바위,

)]}}}
1캐릭터=페이몬, 1별=5,
2캐릭터=케이아, 2별=4, 2원소=얼음,
3캐릭터=베넷, 3별=4, 3원소=불,
4캐릭터=레이저, 4별=4, 4원소=번개,
5캐릭터=중운, 5별=4, 5원소=얼음,
6캐릭터=종려, 6별=5, 6원소=바위,
7캐릭터=소, 7별=5, 7원소=바람,
8캐릭터=연비, 8별=4, 8원소=불,
9캐릭터=가명, 9별=4, 9원소=불,
10캐릭터=한운, 10별=5, 10원소=바람,
11캐릭터=쿠죠 사라, 11별=4, 11원소=번개,
12캐릭터=고로, 12별=4, 12원소=바위,
13캐릭터=아라타키 이토, 13별=5, 13원소=바위,
14캐릭터=콜레이, 14별=4, 14원소=풀,
15캐릭터=사이노, 15별=5, 15원소=번개,
16캐릭터=파루잔, 16별=4, 16원소=바람,
17캐릭터=슈브르즈, 17별=4, 17원소=불,
18캐릭터=키니치, 18별=5, 18원소=풀,
19캐릭터=차스카, 19별=5, 19원소=바람,

)]}}}
1캐릭터=아이테르, 1별=5, 1원소=여행자,
2캐릭터=진, 2별=5, 2원소=바람,
3캐릭터=알베도, 3별=5, 3원소=바위,
4캐릭터=유라, 4별=5, 4원소=얼음,
5캐릭터=로자리아, 5별=4, 5원소=얼음,
6캐릭터=벤티, 6별=5, 6원소=바람,
7캐릭터=다이루크, 7별=5, 7원소=불,
8캐릭터=각청, 8별=5, 8원소=번개,
9캐릭터=행추, 9별=4, 9원소=물,
10캐릭터=야란, 10별=5, 10원소=물,
11캐릭터=남연, 11별=4, 11원소=바람,
12캐릭터=토마, 12별=4, 12원소=불,
13캐릭터=시카노인 헤이조, 13별=4, 13원소=바람,
14캐릭터=키라라, 14별=4, 14원소=풀,
15캐릭터=치오리, 15별=5, 15원소=바위,
16캐릭터=타이나리, 16별=5, 16원소=풀,
17캐릭터=세토스, 17별=4, 17원소=번개,
18캐릭터=알하이탐, 18별=5, 18원소=풀,
19캐릭터=카베, 19별=4, 19원소=풀,
20캐릭터=방랑자, 20별=5, 20원소=바람,
21캐릭터=리니, 21별=5, 21원소=불,
22캐릭터=느비예트, 22별=5, 22원소=물,
23캐릭터=푸리나, 23별=5, 23원소=물,
24캐릭터=시그윈, 24별=5, 24원소=물,
25캐릭터=샤를로트, 25별=4, 25원소=얼음,
26캐릭터=마비카, 26별=5, 26원소=불,
27캐릭터=올로룬, 27별=4, 27원소=번개,
28캐릭터=시틀라리, 28별=5, 28원소=얼음,
29캐릭터=말라니, 29별=5, 29원소=물,
30캐릭터=타르탈리아, 30별=5, 30원소=물,
31캐릭터=아를레키노, 31별=5, 31원소=불,
32캐릭터=유메미즈키 미즈키, 32별=5, 32원소=바람,

)]}}}
1캐릭터=신학, 1별=5, 1원소=얼음,
2캐릭터=사유, 2별=4, 2원소=바람,

)]}}}
1캐릭터=카에데하라 카즈하, 1별=5, 1원소=바람,
)]}}}
1캐릭터=야에 미코, 1별=5, 1원소=번개,
)]}}}

2.2. 말투

일부 캐릭터들은 일본 여행자들의 정서에 맞게 현지화되기도 하는데 나열해보면 아래와 같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카에데하라 카즈하, 1별=5, 1원소=바람,
)]카에데하라 카즈하는 1인칭은 셋샤(拙者) 2인칭은 오누시(お主)를 쓰는 유일한 캐릭터다. 인칭대명사도 대명사지만 어미에 고자루(ござる)를 사용하는 등의 무사어를 구사하며, 일본어의 원천 문화다보니 다른 언어로는 표현이 어렵다. 굳이 번역하자면 하오체에 1, 2인칭으로는 '소인', '그대'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카미사토 아야카, 1별=5, 1원소=얼음,
2캐릭터=카미사토 아야토, 2별=5, 2원소=물,
)]카미사토 남매의 일본 로컬라이징 말투도 독특한 편이다.

먼저 카미사토 아야카부터 살펴보면, 아야카가 오빠 카미사토 아야토를 부르는 호칭은 나라별로 다르나 일본판만 얘기하자면 お兄様라 부르며 존댓말로 오빠를 대한다. 아야토의 경우, 여동생 카미사토 아야카처럼 존댓말 캐릭터이다. 일본어판의 1인칭으로는 아야토는 와타시(私), 아야카는 더 공손한 지칭인 와타쿠시(私)를 쓴다. 일본판의 2인칭도 둘 다 아나타.

카미사토 아야토의 존댓말과 상호 호칭은 각 나라별로 조금씩 다르다. 일본어판에서는 아야카와 토마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 적군에게까지 존댓말을 쓰나[3], 한국어판의 경우엔 아야카나 토마를 포함한 아랫사람들과 적에게는 반말을, 여행자에게는 존댓말을 쓴다. 한국어판 아야카는 아야토에게 오빠라고 부르며 말을 놓으나, 일본어판과 중국어판은 각각 お兄様, 兄长(오라버니)란 존칭을 쓰며 존댓말을 한다. 존칭이 없는 영어판은 이름만으로 부르니 논외.[4]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요이미야, 1별=5, 1원소=불,
)]요이미야앵아처럼 일본판에선 나타 시점에서도 유일하게 간사이벤을 구사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인데, 이는 덕후집단인 미호요 측에서 의도한 것이다. 퀄리티를 위해 일본에서 간사이벤 전문 성우라는 인식이 강한 우에다 카나를 지명 캐스팅했을 정도. 1인칭도 우치(うち), 2인칭은 안타(あんた)를 쓴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카베, 1별=4, 1원소=풀,
)]카베의 경우도 독특한 편인데, 1인칭은 보쿠(僕)이며, 2인칭은 기본적으로 아나타(貴方), 절친한 사이에겐 키미(君)를 쓴다. 여행자의 경우는 줄곧 아나타(貴方)라고 부르다가[5] 초대 이벤트를 진행하면 키미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말투 또한 기본적으론 예의 바르고 사근사근 하지만 친구들과 있으면 좀 더 가벼운 말투가 되는 등 번역에 꽤 공을 들인 편이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파루잔, 1별=4, 1원소=바람,
2캐릭터=시틀라리, 2별=5, 2원소=얼음,
)]파루잔과 시틀라리는 여행자 대사 모음집에서도 묶어놨을 정도로 비슷한 젊은 할머니 캐릭터이지만 세세하게 살펴보면 다른 점이 많다.

파루잔은 1인칭도 와시(ワシ)를 쓰며 노인네 말투를 쓰지만 시틀라리는 1인칭은 와타시(わたし), 2인칭도 키미(君)를 쓰는 평범한 말투다. 대신 시틀라리는 가끔씩 유행어(조어) 등을 사용하는데 그 단어들이 전부 20년 30년정도 지나 한물 간 유행어들이다. 나루헤소(그렇구나)[6]나 원소 전투 필드 보이스인 밧치구(좋아)[7] 등등.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푸리나, 1별=5, 1원소=물,
)]푸리나는 일어판 기준 1인칭보쿠(僕), 2인칭키미(君)로 원신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보쿠 소녀 캐릭터이다. 느비예트의 1인칭이 와타시인 것과는 확연히 대조적이다.[8][9]
<rowcolor=#fff,#1c1d1f> 3.8 이전 3.8 이후
「吾の理想には一片の穢れも無い。」
나(吾)의 이상에는 한 치의 혼탁함도 존재하지 않는다.
「正そうか、ここでは、人間は神に罪を背負わん。裁きを下すのは、法律と裁判所だけ。」
바로 잡도록 할까, 이 곳에서 신은 인간에게 죄를 묻지 않는다.[10], 판결을 내리는 것은 법률과 재판소 뿐.
「この吾にも裁きを受ける。さあ、吾の崇高と純潔を讃えよう。」
이 나에게도 판결을 내린다. 자, 나의 숭고함과 순결함을 찬양하라.
「僕の理想には一片の穢れも無い。」
나(僕)의 이상에는 한 치의 혼탁함도 존재하지 않는다.
「訂正させてもらおう。ここでは、人が神の裁きを受けることはない。裁きを下せるのは、ただ法と法廷のみ。」
정정하도록 하지. 이곳에서 인간이 신의 판결을 받을 일은 없다. 판결을 내릴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법과 법정 뿐.
「この僕でさえ、断罪され得るのだからね。さあ、僕の崇高と純潔を讃えてくれたまえ。」
이 나조차 단죄받을 수 있으니 말이지. 자, 나의 숭고함과 순결함을 찬양하도록 하게.
'순수한 청금석'의 플레이버 텍스트에는 와레(吾)를 쓰고 있었으나 3.8 업데이트 이후 1인칭이 보쿠(僕)로 변경되고 뉘앙스가 캐릭터성에 맞게 약간 수정이 가해졌다. 덕분에 푸리나는 나타 시점에서도 유일한 보쿠 소녀 캐릭터이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슈브르즈, 1별=4, 1원소=불,
)]슈브르즈의 경우 1인칭은 와타시(私)를 쓴다. 옆동네아를란처럼 일본어 한정으로 간혹 가다가 무례한 사람들, 특히 범죄자들에게는 다소 거친 어투로 키사마라고 말하기도 한다. 2인칭은 오마에. 여담으로 평소톤은 클로린드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낮으며, 초반에 연기할 때는 일부러 높은 목소리톤을 내기도 한다. 한국어판은 일본어판처럼 차이가 크게 나타나진 않지만 마찬가지로 범죄자에게 하는 말투는 고압적으로 다소 변한다. 사이노와 비슷하지만 여지껏 원신에서는 여성 캐릭터 중 범죄자를 거칠게 다루는 캐릭터가 없었으므로 슈브르즈가 첫 사례인 셈이다.
[include(틀:원신 캐릭터 표시,
1캐릭터=타르탈리아, 1별=5, 1원소=물,
)]타르탈리아는 일본어판에서 1인칭은 오레(俺)를 사용하는 반면, 2인칭은 항상 정중한 표현인 키미(君)를 사용한다. 또한 일본어판 PV에서는 슬라브어권을 모티브로 한 스네즈나야 출신임을 강조하는 건지 초반에 러시아어를 잠깐 사용한다 (Дорогая Сестра - 사랑하는 동생에게).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에데하라 카즈하/여담, version=332, uuid=706260ab-9bc0-4995-9376-7272b067e9a3, title2=카미사토 아야토/여담, version2=114, uuid2=cba508cd-3dd7-41f3-8a41-d74409301a79,
title3=카미사토 아야카/여담, version3=79, uuid3=671be03d-9f67-4fc0-bdf3-1de1834c7c23,
title4=카베/여담, version4=248, uuid4=42410083-0c99-4a0b-a972-a7805449847f,
title5=시틀라리/여담, version5=336,uuid5=00d3185a-dda6-4d49-91d3-e40ecc48f734,
title6=푸리나/여담, version6=1546,uuid6=d5e669dc-9982-4679-b8df-f32045d4c1e5,
title7=포칼로스, version7=743,uuid7=a4c439eb-6a87-4659-912e-ccb832cda59e,
title8=슈브르즈/여담, version8=209,uuid8=a4c439eb-6a87-4659-912e-ccb832cda59e,
title9=타르탈리아/여담, version9=337,uuid8=65d60679-4607-4de1-9021-ab308bf33283,
title10=요이미야/여담, version10=119, uuid9=3faea873-b825-4e5e-9ac0-af33360017e9)]

3. 특별 방송 관련

일본어판의 경우 업데이트 특별 방송을 초기에는 하지 않고 중국 빌리빌리 쪽의 실시간 특별 방송 타이밍에 맞춰 트위터로만 정보를 알렸으나, Ver 3.2부터 특별 방송을 개시했다. 특이한 점은 연기하는 캐릭터 이외의 성우로써의 사담이 다른 나라 방송에서는 들어가나[11], 일본어판의 경우는 철저하게 캐릭터 본인이 방송에 출연한다는 컨셉으로 특별 방송을 이어간다. 단 대본을 쓰기 어려웠는지 3.8 버전부터는 다른 언어판처럼 성우들이 소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콜라보레이션

일본에서도 적극적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고 있다.

4.1. 2021년

파일:gnsn_sp_md.jpg
원신 x SWEETS PARADISE (일본, 2021년)
파일:gnsn_sp_liyue.jpg
원신 x SWEETS PARADAISE (일본, 2021년)

4.2. 2022년

파일:gnsn_sp_md.jpg
원신 x SWEETS PARADISE (일본, 2022년)
파일:gnsn_lawson.jpg
원신 x LAWSON (일본, 2022년)

4.3. 2023년

파일:카베 닐루 이벤트.png
원신 x GiGO (일본, 2023년)

4.4. 2024년

파일:키라라 콜라보.webp
원신 x 일본우편 (일본, 2024년)
파일:gnsn_skytree.jpg
원신 x 도쿄 스카이트리 (일본, 2024년)}}}
파일:gnsn_jagarico.jpg
원신 x 가루비 쟈가리코 (일본, 2024년)
파일:gnsn_minini.jpg
원신 x LINE FRIENDS (글로벌, 2024년)
파일:gnsn_kfc_jp.jpg
원신 x KFC (중국, 일본, 2024년)
奇迹瞬间、美味再见(기적의 순간, 진미와의 재회)
旅人よ。今日、ケンタッキーにしない?(여행자여. 오늘은 KFC로 안할래?)라고 쓰여있다.
파일:gnsn_c104.jpg
원신 x 코믹 마켓 (일본, 2024년)

5. 관련 여담

5.1. 성우

일본 성우의 경우에는 일종의 세일즈 요소가 되기 때문에 프로모션도 활발한 편이다.

5.1.1. 호리에 슌 (아이테르 役) & 유우키 아오이 (루미네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아이테르 JP CV.png파일:루미네 JP CV.png

루미네의 일본 성우 유우키 아오이는 알아주는 게임 덕후답게 원신도 열심히 플레이하고 있다. 본캐는 여행자이나 부캐로 남행자도 같이 쓰고 있다. 가챠 돌리기 전에 폭포에 캐릭터를 담궈 깨끗하게 한 다음에 가챠를 돌린다는 민간신앙을 피력하기도 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카미사토 아야토##의 팬아트를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유우키 아오이가 말하기를 일본어판 녹음 시에 소라(남행자)는 귀염성있게, 호타루(여자 여행자)는 당차게 해달라는 차별화된 디렉션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원신과 관계 없는 방송에서도 ‘10만엔을 받으면 뭘 할거냐’라는 질문에 원신에 쓸 거라고 말한 적이 있다. 최애 캐릭터는 백출. 소와 화박연 모두 풀돌을 했다. 소를 모티브로 한 향수 구입 인증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백출은 본계와 부계 둘 다 풀돌중이다. 이것도 모자라서 복각때는 가챠를 또 돌렸는데 2장이 나왔다고 한다.

아이테르의 일본 성우 호리에 슌의 최애는 자신이 무척 좋아하는 성우 타무라 유카리가 맡은 캐릭터인 치치라고 밝혔다. 야란도 취향인지 4돌을 했다. 카에데하라 카즈하타이나리#, 알하이탐#도 풀돌중이다. 타무라 유카리가 추가로 담당을 하는 나히다의 등장 이후에는 라디오에서 최애 자리가 치치에서 나히다로 바뀔 것 같다고 이야기하더니 풀돌을 했다. 이후 본인은 아직 출연 예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호요버스의 후속작인 붕괴: 스타레일에까지 손을 댄 것을 인증했다.#

TGS2021에서 개최된 원신 티바토크에서 남행자의 일본어 성우인 호리에 슌은 최근 가장 인상에 남은 버전으로 2.7 버전의 위험한 길, 수상한 발자취를 꼽았다. 층암거연 지하의 이공간에 갇힌 여행자에게 완전히 이입을 하고싶어서 스토리 순차 개방 기간 동안에는[16], 워프 포인트도 쓰지 않고 계속 지하에만 있었다고 밝혔다. 여행자 일본어 성우인 유우키 아오이 역시 를 많이 좋아하는 만큼 중간장에서 크게 감명을 받아 중간장의 감상을 말하고 싶다며 일본 원신 공식 라디오 최초로 게스트 재출연을 해냈다.(제33회)

2024년 본토인 상하이에서 진행하는 원신 페스티벌에는 호리에 슌, 유우키 아오이페이몬의 성우 코가 아오이 모두 초청을 받았다고 하나, 스케쥴의 문제로 아이테르의 성우인 호리에 슌만 직접 상하이 원신 페스티벌에 참가하였다.빌리빌리 공식 녹화본 #1, #2 유우키 아오이와 코가 아오이는 코멘트로 영상 출연 하였다.# 호리에 슌의 캐스팅 에피소드도 공개되었는데, 2018년미호요의 높으신 분이 호리에 슌이 스테이지에서 춤추고 노래하던 작품을 보고[17] 아이테르를 맡아줬으면 해서 오퍼를 했다고 한다. 같은 스테이지에 등단했던 아이테르의 중국어 성우인 루인의 캐스팅은 2019년 6월경에 결정이 되었는데, 당시에 소년 목소리를 주력으로 하는 중국 성우가 별로 없어 본인도 그다지 캐스팅이 될거라는 자신이 없었다고 한다.#

이후 원신 4주년 테마곡인 ‘Passing Memories(중국어명 经过, 일어명 記憶の旅)‘를 호리에 슌, 유우키 아오이가 공식 커버한 버전이 HoYoFair를 통해 공개되었다.#

5.1.2. 코가 아오이 (페이몬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페이몬 JP CV.png
서비스 개시 1주년 (2021년)
페이몬의 일본어 더빙 특유의 하이텐션과 톡 쏘는 목소리 덕분에 일본 더빙도 인기가 많은 편이다. 북미팬들 사이에서는 벌써 페이몬의 일본어판 대사 중 하나인 "Ehe te Nandayo!!!(한국어판 기준 "「에헤」가 뭐야 에헤가...!")"[18] 는 원신 플레이어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밈으로 자리잡았다.[19] 밈 원본, 크로마키 영상, 패러디, 언어별 비교 영상, 리믹스. 그리고 해당 밈은 일본 공식 광고영상에도 등장했다. 또한 역시 일본어 음성 기준으로 1.4버전의 주요 이벤트인 윈드블룸 축제의 전설임무 중 바람과 사랑의 시 부분에서, 몬드 주민인 알버트에게 벤티의 사랑 시 숙제를 걷으려 하자 숙제를 까먹었던 알버트가 당황하여 "저, 정말? 어...하지만..." 이라고 하는데 이때 페이몬이 "Demo ja nai(일어발음: 데모자 나이)!!!"[20] 라고 츳코미를 건다. 북미 팬들 사이에선 에헷떼 난다요 다음으로 인기있는 대사가 되었다. 훗날 연하궁 NPC 다테도 자신이 설계한 미궁 2개를 푼 여행자와 페이몬 앞에서 "에헤가 뭐야. 에헤가!" 대사를 날린다.[21] 산해 여덞 곳의 초대 이벤트에서도 페이몬이 여행자에게 "에헤가 뭐야 에헤가! 어이!" 대사를 했다.

5.1.3. 타나카 리에 (리사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리사 JP CV.png
일본어판의 리사는 타나카 리에가 맡았는데 평소 게임을 좋아하며, 원신 역시 즐기다보니 자신의 유튜브 채널 영상에 직접 플레이한 영상을 올린다. 리사로 할 때는 자기 연기를 즐거워하는 반응을 보여준다. 외국 유저들 사이에선 일반 리사는 똥캐지만 일본 성우 리사는 S티어 캐릭터라는 농담을 하곤 한다. 실제로 계정 내 리사는 그 힘들다는 풀돌이 되어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코스프레를 종종 하는 점도 잊지 않고 직접 한 리사 코스프레를 트윗에 올리고 유튜브 원신 플레이 섬네일 영상에도 그걸 올리기도 했다.

5.1.4. 토리우미 코스케 (케이아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케이아 JP CV.png
일본어판의 경우 원신에서 맨 처음으로 녹음이 시작된 캐릭터가 케이아라고 한다. 떡밥이 많은 만큼 공식 라디오에서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설정 자료집의 분량이 상당히 많았으며 일부 내용은 취급 주의로 다뤄졌다고 한다.

성우인 토리우미 코스케도 케이아의 발언이 진짜인지 거짓인지 갈피를 못잡게 하는 부분을 의식하며 녹음했다고 한다. 케이아가 기사단 일을 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천사의 몫에 가거나 일대일로 다이루크를 대할 때는 살짝 동생 느낌을 내달라고 디렉션을 받은 적도 있지만, 케이아의 연기에서 동생 느낌을 내는게 어려웠다고 한다.

코스케의 연기덕에 일본 한정으로 "予想ガイアだぜ…(요소가이아다제)"라는 밈이 있다. 전투불능 대사 중 "フンッ、予想外だぜ…(흥, 예상 밖이야…)"의 예상 밖(요소가이) 부분에 이름인 ガイア(가이아)를 합성한 음성이 인기를 끌어 이곳저곳에서 밈으로 쓰인다.

5.1.5. 무라세 아유무 (벤티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벤티 JP CV.png

5.1.6. 마에노 토모아키 (종려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종려 JP CV.png

5.1.7. 마츠오카 요시츠구 (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소 JP CV.png
소의 일본어 성우 마츠오카 요시츠구는 소의 첫 픽업때 소를 뽑아 현재 원신을 플레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처음에는 '쿨해보이지만 마음에 뜨거운 것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 그걸 지금까지의 삶과 선인이라는 포지션, 경험으로 덮어두고 있는 것 같다. 소는 꽉 잡아두지 않으면 흘러갈거 같은 캐릭터'라고 평가했었는데, 이후 라디오에서는 '원신을 플레이 하고 있는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여행자 남매에게 상냥해져 있어서 소와 여행자가 대화하는 연기 때 "너무 상냥하다. (이 말투는)더 이후네요"'라는 디렉션을 자주 받았다고 한다. 또한 2주년 인터뷰에서는 중간장의 감상을 아주 길게 얘기하고 있다. 이후 '앞으로 보고싶은 장면'에 대해 질문을 받자 "'한편 그때 소와 종려는...'이라는 감각으로 좋으니 소와 종려가 둘이서 밥을 먹는 모습을 보고 싶다. 긴장해서 조금 귀여운 소를 볼 수 있지 않을까"라고 말했었는데 그 다음 세번째 해등절 선율이 흐르는 밤에서 실현되었다. 종려와 소가 같이 식탁에 앉아있는 일러스트도 추후 춘절 기념으로 중국 공식에서 공개되었다.# 여담으로 캐스트 인터뷰를 할 때마다 항상 최장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릴리즈 초기 인터뷰는 21분, 2주년 기념 인터뷰는 무려 28분 남짓.

일본어 여행자 성우인 호리에 슌유우키 아오이 모두 소를 많이 좋아하는 듯 하다. 유우키 아오이는 원신에서의 최애캐가 소라고 밝힌 적이 있다. TGS2021에서 개최된 원신 티바토크에서 남행자의 일본어 성우인 호리에 슌은 최근 가장 인상에 남은 버전으로 2.7 버전의 위험한 길, 수상한 발자취를 꼽았다. 층암거연 지하의 이공간에 갇힌 여행자에게 완전히 이입을 하고싶어서 스토리 순차 개방 기간 동안에는[27], 워프 포인트도 쓰지 않고 계속 지하에만 있었다고 밝혔다. 그당시 이벤트에 대한 반응을 공식 라디오 제29회에서 확인 가능하다. 여행자 일본어 성우인 유우키 아오이 역시 가 원신에서의 최애캐라 팬아트를 그릴 정도인데, 중간장에서 크게 감명을 받아 감상을 말하고 싶다며 일본 원신 공식 라디오 최초로 게스트 재출연을 해냈다.(제33회) 소를 모티브로 한 공식 굿즈 향수도 구입 인증을 한 적이 있다.# 두 명 다 중간장을 끝내고 동작의 사당에서 향을 피웠다고 한다.

소의 사망 시 대사 중 하나인 '이게... 업보인가...'의 일본어 음성 버전(これは、報いなのか…)은 담당 성우인 마츠오카 요시츠구의 대표작인 소드 아트 온라인의 24화의 키리토의 대사와 완전히 같다.[28] 3.0 버전의 설문 조사에서 '시청한 적 있는 애니메이션'의 선택지에 소드 아트 온라인이 나온 것도 있고 제작사인 HoYoverse는 은근히 일본 성우들의 성우 개그를 시전하는 편.[29]
파일:xiaobird1.jpg
파일:xiaobird2.jpg
마츠오카 요시츠구3.1 버전 특별 방송 2주년 코멘트에서 소를 모티브로 한 새 모습의 공식 굿즈 인형(중국과 일본에서 판매중이다.)을 들고 X자 봉제 부분을 설명하다가 해당 부분을 본의 아니게 뜯어 파괴해 버렸다. 인기 유명 성우인만큼 일본 뿐만 아니라 중국 빌리빌리, 서양 팬들도 많이 보는 유튜브와 트위터에서도 동영상이 번역되어 나돌아다니며 모두가 재밌어하는 개그를 본의 아니게 선보였다. 파괴된 직후 인터뷰를 하던 미호요의 스탭의 웃음소리도 들린다. 심지어 일본어판 3.1 버전 특별 방송은 100만 재생이 넘었는데, ufotable과의 장기 애니메이션 합작 발표 영상보다도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본 부분이 이 부분으로 집계되고 있다.

아이테르의 일본어 성우인 호리에 슌이 2024년 원신⭐︎FES로 중국 상하이에 방문하여 이벤트에 등단했을 때도 소의 중국어 성우인 kinsen이 위 디자인의 소형화된 소 굿즈를 호리에에게 선물로 주기도 하였다.# 호리에는 기뻐하며 다른 성우들에게 자랑하겠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5.1.8. 키무라 료헤이 (타르탈리아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타르탈리아 JP CV.png
일본어 담당 성우인 키무라 료헤이는 타르탈리아 풀돌 오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을 쓰는 것을 좋아해서 주로 활로 사냥을 하고있다. 또한 첫 녹음시에는 상당히 의견을 주고받으며 주의깊게 녹음했는데, 방향성 수립을 위해 미호요쪽 사람과 디렉터가 의논을 하고 있을 때 키무라 료헤이 본인도 직접 그 회화에 끼어들어서 캐릭터를 정립을 해 간 케이스라고 말했다. 본인의 유튜브에서도 가끔 원신을 방송하는데 마에노 토모아키 문단에서 언급했듯 그와 함께 이것저것 상담을 한다고 한다.

본인의 인스타그램에는 자작한 달콤달콤 닭고기 스튜도 업로드했다.# 공식 라디오 티바트 방송국 제51회에서는 타르탈리아의 명대사 "내가 내줄게(俺が払うよ)"[30]를 말하자 마에노 토모아키가 좋아했다. 원신 스태프 계정의 타르탈리아도 본인이 뽑아줬다고 한다.

5.1.9. 하나모리 유미리 (연비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연비 JP CV.png
한국어, 중국어, 영어 보이스에 비해 하나모리 유미리가 연기한 일본어 보이스가 상당히 이질적이다. 이 때문에 보이스 관련 호불호가 존재하는 캐릭터이다. 다른 언어판은 밝은 성격의 소녀 느낌으로 더빙되었지만, 일본어판은 '법률 자문가'라는 직책에 초점을 맞췄는지 베테랑 법조인 같은 이미지다. 성우 더빙 자체가 애니톤보다는 일본 드라마톤에 가까우며 생김새에 비해 매우 성숙한 보이스로 녹음되었기 때문에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연기의 온도차도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 톤의 높낮이 변동이 심한 다른 언어판과 달리 일본어 보이스는 시종일관 평이한 톤을 계속 유지하며, 듣다보면 현실 배경 작품의 등장인물 같은 느낌이 들 정도다.

연비 일본어 보이스 대체로 동양보다 좀 더 성숙한 음색을 선호하는 서구권에서는 연비의 일본어 음성을 부러워하는 경향[31]이 강하다.

5.1.10. 시마자키 노부나가 (카에데하라 카즈하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카즈하 JP CV.png

5.1.11. 니시카와 타카노리 (아라타키 이토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이토 JP CV.png
파일:【原神】キャストインタビュー 西川貴教(荒瀧一斗 役).png
니시카와 타카노리 인터뷰 (2021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본어판 성우인 니시카와 타카노리는 본업은 가수로 T.M.Revolution으로도 유명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애니메이션에서 성우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니시카와도 상당한 근육질 몸매로 유명하며[33] 본인이 출신지인 시가현에서 2009년부터 주최해왔던 록 페스티벌 이름이 '이나즈마 록 페스티벌'.[34] 심지어 2018년까지의 이나즈마 록 페스티벌의 스테이지에는 이나즈마의 문양과 동일한 미츠도모에 형상의 무대장치가 존재하기도 하였다.#2018년 본인도 캐스트 인터뷰에서 아라타키의 근육에 대한 평가와 함께 이나즈마에서 록 페스티벌을 열고 싶다면서 언급하기도 하였다.#

5.1.12. 이시다 아키라 (카미사토 아야토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아야토 JP CV.png
카미사토 아야토는 원신 게임 내에서도 이례적일 정도로 꽁꽁 싸매고 빌드업이 긴 캐릭터였는데 아야토의 성우가 이시다 아키라[37]인 것이 밝혀지며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 원신 팬덤에 화제를 몰고왔다.[38] 트위터 등지에서 대대적으로 발표를 하지 않고 캐릭터 PV 개요란에 캐스트 크레딧을 살짝 적어놓았을 뿐인데도 이랬다. 오죽하면 원신 라디오를 진행하던 같은 성우들조차(남행자-호리에 슌[39]종려-마에노 토모아키) 이시다 아키라의 목소리를 듣고 깜짝 놀랐을 정도며#, 여행자 성우인 유우키 아오이는 아야토의 일러스트 공개 직후 팬아트를 트위터에 올리기도 하는 등 반응이 뜨거웠다.

중국 쪽도 마찬가지로 아야토의 성우가 공개된 뒤로 화제성이 엄청났는데, 상술했듯 아야토의 중국 성우도 일본의 이시다와 동일한 오토 아포칼립스를 담당한 자오루였기 때문에 똑같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더불어서 일본 성우계뿐만 아니라 중화권 오덕계에서도 이시다 아키라의 인기는 엄청나서 카미사토 아야카의 원어(중국어) 담당 성우 샤오N[40]은 "자오루(중국 성우)의 아야토는 내 오빠. 이시다 아키라의 아야토는 내 남편"이라고 발언할 정도.#

일본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아야토의 일러스트는 공개 7시간 만에 리트윗 12.5만 건, 좋아요 수 19.3만 건 이상을 달성하며 직전의 야에 미코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를 찍었다.# 글로벌 계정 쪽도 리트윗 10.6만, 좋아요 27.9만으로 야에 미코에 이어 2위.# 중국 본토 쪽 웨이보에 올라온 게시물도 15.3만으로 신학에 이어 역대 2위이다.#[41]

5.1.13. 타무라 유카리 (나히다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나히다 JP CV.png
타무라 유카리가 선보인 일어판 나히다의 경우 혀만 살짝 짧을 뿐 성숙한 여성에 가까운 어투와 연기톤을 보여주는데, 이는 모티브 캐릭터인 테레사 아포칼립스연기톤을 의식한 듯하다. 실제로 일본 쪽 유저들 사이에서도 이에 대해 자주 언급되며 유카링이 붕괴3rd에서 선보였던 테레사의 연기톤에 익숙한 유저들 사이에서 호평받았다. 작중에선 어린 외형과는 대비되는 '신'이라는 직책의 위엄을 강조했다는 반응이다. 반대로 한국판의 경우에는 외모와 일치하는 앳된 목소리를 보여준다.

2024년의 4주년 기념 코멘트에서는 10명이 넘는 일본 성우의 기념 코멘트 중에서도 유일하게 성우로서가 아닌 담당 캐릭터인 나히다로서만 메세지를 남겼다. 성우의 요청인지, 이벤트를 앞뒀기에 준비된 것인지는 불명.

5.1.14. 우메하라 유이치로 (알하이탐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알하이탐 JP CV.png

5.1.15. 우치다 마아야 (피슬 役) & 우치다 유우마 (카베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피슬 JP CV.png
파일:카베 JP CV.png
피슬의 일본판 성우는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타카나시 릿카 등 중2병 캐릭터를 여럿 맡은 우치다 마아야가 담당했다. 다만 성우에게 이런 실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단어나 추가 디렉션으로 끝나면 꽤 보람을 느낄 정도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동생인 우치다 유우마는 카베를 맡았는데 3.2 버전 공개 직전, 일러스트와 함께 일본어 성우가 유일하게 선행 공개되었다. 카베는 오디션이 아닌 지명이었다고 한다. 실제 두 캐릭터도 색조가 살짝만 다른 금발인데다, 각각의 이유로 나사빠지긴 했지만 나름 유능하다는 점, 그리고 비인간 조력자[42]를 데리고 다닌다는 점에서 닮은 점이 많다. 심지어 카베의 첫 픽업 때 피슬도 픽업 라인에 포함되었다.

우치다 유우마는 본인의 라디오에서 카베에 대한 질문을 받자 3.6 업데이트 전이라 스포일러 때문에 말하지 못하면서도 은근 믿음직한 친구라는 한마디를 해주며 수록 시에도 스태프가 세심한 부분까지 챙겨주며 녹음해 갔다고 한다. 원신 서비스 개시 직후 잠깐 플레이를 하다가 카베가 참가한 23년 5월경부터 본격적으로 원신을 시작해 3달만에 모험 레벨 52, 최근 마신 임무인 카리베르트 클리어까지 달성해 요즘엔 성유물 엄선중이라고 한다. 알하이탐은 풀돌중이다. 이 시점에서 야에 미코가 레벨 90, 누나가 담당한 피슬은 레벨 8이었다. 추후 공식 라디오에 출연한 친누나는 라디오 코너에서 카베의 초대 이벤트를 플레이하기도 했다.

5.1.16. 카미야 히로시 (느비예트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느비예트 JP CV.png

카미야 히로시에 대한 연기는 국가 간에 보이스 평가가 나뉘었었는데 결론적으로만 보자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폰타인 마신 임무가 진행 중이었던 당시에는 일본어 더빙에 호불호가 갈렸었다. 한국어와 중국어, 영어 쪽은 성우들이 중후한 연기톤을 보여주는데 비해 일본어는 미성에 가까운 하이톤이라 캐릭터와 음성이 따로 노는 느낌이 강해서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은 편. 후술된 일본 유저들 견해와는 정반대로 카미야 히로시의 클래스를 인정하고 그 실력을 의심하는 바는 아니지만 느비예트와는 어울리지 않았다고 평했었다.[43]

일본 본토 쪽은 이견 없이 호평이다.# 성우 카미야 히로시의 연기력에 대한 신뢰가 높다보니 성우 때문에 캐릭터를 뽑은 경우도 자주 발견되었다. 그가 담당한 배역들 중 티에리아 아데트라팔가 로와 가장 이미지가 비슷하다고 평가되기도 했다. 드물게는 역으로 일본 외 국가 음성이 너무 낮아서 미청년 외모에 맞지 않는다는 평가가 있기도 한 편.

5.1.17. 미나세 이노리 (푸리나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푸리나 JP CV.png
일본어판의 캐스팅은 HoYoverse 측의 오퍼로 밝혀졌다. 미나세 이노리 본인도 캐스트 코멘트에서 ‘본인의 이름에도 가 들어가는데[44] 물과 연관 깊은 캐릭터를 맡게 돼서 정말 기쁘다’고 코멘트했다.

캐릭터 자체를 중성적인 컨셉으로 정해 톤이 상대적으로 낮아 차분한 느낌이라 벤티같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실제로 4.1 방송의 성우 인터뷰에서 미나세 이노리 본인이 중성적인 요소를 의식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마신 임무의 진행도에 따라 푸리나의 캐릭터와 상황에 맞춰서 목소리톤과 연기톤을 섬세하게 나눈 것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포칼로스의 목소리, 인격 푸리나가 막 만들어졌을 때의 목소리, 평소의 물의 신 연기를 하던 중성적인 목소리(초반에는 높았으나, 점점 연기를 하면서 본인을 물의 신으로 포장해 목소리에 점점 자신감이 넘치며 중성적으로 변한다.), 마신 임무가 끝난 뒤 모든 것이 밝혀지고 더 이상 연기를 하지 않게 된 목소리를 잘 구분지어 연기를 선보였다.

5.1.18. 오노 다이스케 (라이오슬리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라이오슬리 JP CV.png
일본 음성 담당 성우가 그 유명한 쿠죠 죠타로의 성우인 오노 다이스케라 관련 드립이 성행했다.

목소리 외에도 검은 메인컬러 특히, 가쿠란을 입은 3부 죠타로 한정이지만 죠타로의 가장 상징적인 이미지가 3부 죠타로이므로 죠타로의 상징으로 봐도 무방해 어울리며 거친 이미지, 주먹으로 싸운다는 점[45] 이외에 라이오슬리가 빙결을 걸면 스타 플래티나 더 월드를 발동시켰다는 드립도 나왔을 정도.

그리고 일판 기준 정말로 오라오라를 하며 또다시 성우 개그를 등장시켰다. 재미있게도 같은 성우가 담당한 스타레일경원은 칼을 쓰는 대신 스탠드와 유사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단 목소리 톤은 죠타로의 굵직한 보이스가 아닌 세바스찬 미카엘리스을 연상케 하는 미청년 보이스로 표현했다. 그나마 전설 임무 컷신에서 두지에를 몰아붙일 때 약간 목소리가 굵어지면서 쿠죠 죠타로의 느낌이 나긴 한다.

5.1.19. 토요사키 아키 (나비아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나비아 JP CV.png

토요사키 아키의 캐스팅 사실에 아키 역시 유명한 성우라 화제가 됐는데 원신 각본팀의 지명 캐스팅으로 알려졌다. 앞서 언급했듯 일본어판의 경우 오타쿠 개발사 호요버스답게 지명이 많은 편이다. 캐릭터 디자인 단계에서 성우가 내정되어 있던 종려마에노 토모아키의 케이스도 존재하는데 토요사키 아키 역시 이런 호요버스의 행보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겠다.

토요사키 아키 본인이 중국의 빌리빌리 오피셜 채널을 가지고 있어 나비아를 그리는 동영상 컨텐츠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빌리빌리 월드 참가 일정 소화하며 페이몬의 중국어 성우인 도도poi와 직접 상하이에서 만나[46] 원신에서 페이몬과 여행자가 대화중에 나온 아란나라 잰말 놀이를 함께 연습하기도 하였다.

5.1.20. 나카토미 마나 (한운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한운 JP CV.png
일본어판 목소리를 담당하는 나카토미 마나는 2019년에 데뷔해 경력이 오래되지 않은 비교적 신인성우다. 데뷔 2년차에 류운차풍진군, 몬드의 마죠리와 티미로 원신에 참여하다가 3년 뒤에 한운으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다시한번 참여하게 되어 감동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축하한다는 유저들의 말에 눈물이 나올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출연한 원신 라디오(제87회) 역시 본인의 성우 커리어중 처음으로 출연한 라디오이다. 본인 계정의 한운의 가챠는 같은 사무소 후배이자 작중에서 선인 동료인 평 할머니 역의 이이즈미 모모네와 함께 뽑았다고 전해진다.#, # 릴리즈 초기때부터 게임을 즐겨와 최애캐는 중운이었는데, 가명의 등장 후 마음이 흔들리고 있다고 한다.

5.1.21. 모리 나나코 (아를레키노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해당 성우가 소속된 가극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아를레키노 JP CV.png
일본어판 성우인 모리 나나코다카라즈카 가극단 소속 오토코야쿠(남자 역) 출신의 성우인데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특징이 일본어판 더빙에 잘 나와있다. 오퍼로 전해졌으며, 캐스트 인터뷰에서 공개된 바로는 첫 녹음시(한겨울 밤의 광대극 PV)에 미호요 스태프로부터 받은 렉쳐는 ‘명백하게 적도 절대악도 아닌 캐릭터이지만 주인공과의 관계는 그다지 좋지도 않은, 우호적이지도 않은’ 위치의 캐릭터였다고 한다. ‘더 멋지게’/‘남자보다 더 멋진 목소리로’라는 디렉션도 받았었다고 전해진다.[47]

또한 일본어판의 애니메이션 ‘잿불의 노래‘의 녹음은 개별 수록으로 진행되었으며, 완성된 애니메이션을 보며 수록을 한 것이 아닌 콘티 상태에서 녹음을 진행했다고 한다. 게임 내 애니메이션 컷신의 경우에는 외화 더빙처럼 중국 원어의 음성을 동시에 들으면서 수록하는 경우가 많기에 방식이 다르다.

5.1.22. 스기야마 노리아키 (키니치 役) & 타케우치 준코 (쿠훌 아쥬 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5 (이전 역사)
문서의 r2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키니치 JP CV.png
파일:쿠훌 아쥬 JP CV.png
키니치의 일본어 성우가 우치하 사스케로 유명한 스기야마 노리아키이며 PV에서 같이 붙어 나온 쿠훌 아쥬 역시 우즈마키 나루토로 유명한 타케우치 준코다. 키니치의 부족이 "나무 살이-일본어명 현목의 백성(懸木の民)"이라 사스케와 나루토의 출신지인 나뭇잎 마을도 연상된다.

스기야마 노리아키의 경우 키니치 역을 맡으면서 원신 플레이를 시작하였다.# 성우 본인이 기계장비에 조예가 깊어 8K Dolby Vision HDR로 원신의 색조 설정을 여러 가지 시험해보며 플레이할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로 키니치는 픽뚫로 뽑았다고 한다.

5.2. 라디오 관련

파일:【原神】公式ラジオ テイワット放送局 第100回.png

[1] 시카노인 헤이조를 담당하는 이구치 유이치의 경우 A4용지 9장분의 설정 자료를 받았다고 한다.[2] 음의 높낮이를 뜻하며, 일본어의 경우 이 인토네이션이 다르면 단어의 의미가 바뀔 정도로 상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같은 ‘하시’라는 단어라도 인토네이션에 따라 젓가락 혹은 다리로 들릴 수 있다.[3] 에피소드 PV에서는 같이 있던 아야카, 토마에게 존댓말을 쓰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후 인게임에서는 일대일 상황의 경우에는 아야카와 토마에게 반말을 쓴다.[4] 여담으로 중국어판 아야카의 성우 샤오N의 아야토 가챠 영상에서도 샤오N은 아야토를 뽑은 후 연신 일본어로 ‘오니이사마(お兄様), 아니우에(兄上)’를 외쳐댔다. 이는 한국어로는 오빠보다는 오라버니에 가까운 격식을 차린 지칭이기도 하다.[5] 매의 장에서 키미라고 부르는 부분이 있었으나 후에 패치로 수정되었다.[6] なるへそ. 80년대에 유행한 일본어 ‘나루호도(なるほど)’를 뜻하는 말.[7] バッチグー. 딱이다(バッチリ)+굿(good)의 합성어. 90년대에 유행했다.[8] 이제껏 1인칭으로 보쿠(僕)를 쓰는 남성 캐릭터는 많이 존재했지만 플레이어블 여성 캐릭터 중에서는 푸리나가 최초이다. 그나마 성별에 맞지 않게 1인칭을 쓰는 다른 캐릭터로는 오이라(オイラ)를 쓰는 페이몬이 있다.[9] 일곱 신 중에서는 벤티도 보쿠를 1인칭으로 사용하지만, 벤티는 가타카나로 보쿠(ボク)라 표기하며, 푸리나는 한자로 보쿠(僕)라 표기된다는 텍스트로 나오는 호칭 표기에 차이가 있다.[10] 직역하면 '인간은 신에게 죄를 짊어지지/맡기지 않는다' 라는 문장이 된다. 문맥상 난해한 문장으로, '(판결은 신이 아니라 법의 몫이니) 인간은 신으로부터 죄를 물을 일이 없다' 는 뜻으로도 볼 수 있다.[11] 예를 들어, A캐릭터를 맡은 성우가 A캐릭터를 3인칭으로 언급하고 해당 캐릭터의 성격이나 특징 등을 언급하는 식.[12] 한국어판, 대만판은 영어 제목이 붙지 않는다.[13] 성우들 스케쥴이 하늘의 별따기로 어려운 것이 알려져 있어(특히 코로나 이후로는 1년 뒤의 스케쥴까지 잡혀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다들 이해한다는 분위기이다. 반대로 64회나 매주 방송이 되었던 것이 대단할 따름.[14] 온필드 공격 대사인 ‘판결한다’는 일본어에선 영어인 ‘저지먼트’로 말하는데, 중국 본토 팬들은 담당 성우인 사토 리나의 대표 배역 미사카 미코토를 의식한 성우 장난으로 보고 있다.빌리빌리 영상 지금까지 일본 성우 장난을 수없이 쳐온 미호요의 전적을 보면 충분히 의심이 가는 상황.[15] 유마의 한국판 성우인 류승곤 역시 본작에서 토마의 성우로 출연한다.[16] 당시 3일에 걸쳐서 스토리가 개방되었다.[17] 아이돌 마스터 SideM으로 추정된다. 피에르 역을 담당중이다.[18] 원어: "えへってなんだよ!"[19] 작중에서 페이몬과 주인공이 온갖 고생을 하면서 벤티가 부탁한 천공의 하프를 되찾아 왔더니 하프에 바람의 힘이 부족해서 술집에서 노래하는 것 정도나 할 수 있을거 같다는 말에 페이몬이 고작 술주정뱅이한테 노래 불러주려고 천공의 하프를 훔치게 시켰냐고 화내는 부분이다.[20] 한국어 기준으로 "하지만은 무슨!"[21] 2.6 버전 예고 방송 마지막에 페이몬이 "에헤가 뭐야. 에헤가!"를 했다.[22] 한국어에서는 자막은 '참 귀엽네' 로 번역되었지만 음성은 자막과 달리 존댓말인 '참 귀엽네요'로 나온다.[23] 다만 해당 항목에도 쓰여 있듯 종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대다수인데, 마에노 본인도 관홍의 창을 유용하게 쓸 수 있는건 라고 평하였고 실제로도 소에 장비를 시켜줬다.[24] 12-1 7분 42초, 12-2 6분 47초, 12-3 6분 45초.[25] 버전 업데이트 당일은 항상 하고있다.[26] 마비카의 경우 풀돌까지 별빛 포착을 빼면 전부 픽뚫이며, 무기 역시 늑말 2 시선 3으로 한번에 태양이 나오는 경우가 없었다.[27] 당시 3일에 걸쳐서 스토리가 개방되었다.[28] 전작인 붕괴3rd업적에서는 아예 스타 버스트 스트림이라는 업적명이 존재한다.[29] 붕괴3rd 쪽에서도 성우 장난이 상당수 존재하고, 원신에서는 대표적으로 페이몬 성우의 귀여우셔라 드립이 있다. 항목 참조.[30] 마신 임무에서 종려가 아산파에게 연을 살 때 타르탈리아가 등장하며 말했던 "잔금은... 제가 내죠"의 일본어판 번역. 일본에서는 대한민국에서의 나탈매강 급으로 흥한 대사이다.[31] 그래서인지 영판의 성우 리지 프리먼잭 아귈라와의 합방에서, 한/중음과 일음 사이의 적절한 지점으로 톤과 해석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물론 실제 연기는 자의식 과잉 로스쿨 여대생에 가깝게 나왔지만.[32] HoYoverse 자체도 나스 키노코를 필두로 하는 TYPE-MOON에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노부나가의 이런 행적도 다 파악중인 것으로 보여진다.[33] 캐스트 발표가 되기 전 아라타키를 암시한 의상을 라이브에서 입기도 하였다.#[34] 동원수 평균이 15만명 정도 되는 상당히 큰 규모의 록 페스티벌이다.[35] 해당 곡이 '콜라를 흔들 뿐'이라는 매드무비로 꽤 인기를 끈 적이 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밈에 카메오로 이토가 들어가는 작품도 생겼다.[36] 싱글 ‘独裁 -monopolize-’가 1996년 5월 13일에 발매되었다.[37] 파일:이시다 아키라, 오토 아포칼립스.png
전작 붕괴3rd의 메인 빌런인 오토 아포칼립스와 제작사인 호요버스가 강하게 영향을 받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주요 캐릭터 나기사 카오루를 맡은 것으로 유명하다. 위 사진은 오토 아포칼립스 성우 공개당시 올라왔던 사진이다. 그 외에도 동서양 팬에게 모두 인지도가 높은 유명한 작품들의 캐릭터들을 다수 담당하였다.
[38] 당일 전세계 실시간 트위터에 랭크되었을 정도.[39] 한술 더 떠서 아야토의 일러스트가 공개된 직후엔 "세상이 멸망해도 카미사토 아야토만큼은 뽑겠다"고 트윗했다.#[40] 여담으로 전작인 붕괴3rd에서도 아야토의 중일성우가 담당한 오토의 부하 역인 리타 로스바이세를 담당하였다.[41] 상기 지적대로 웨이보에서는 좋아요 수가 매우 높은 것에 반해 베스트 댓글이 일러스트의 퀄리티에 대한 불평일 정도로 아쉽다는 의견이 존재한다.[42] 피슬은 까마귀 오즈, 카베는 적왕의 유적 코어를 활용해 만든 자율형 도구 상자 메흐락.[43] 한국은 대체적으로 판사, 검사 스타일에 맞는 음성을 많이들 원한 반면, 일본은 미청년 스타일의 음성을 원한 차이가 크다. 한국에선 마토 신지, 아라라기 코요미, 티에리아 아데 같은 젊은 남성 캐릭터로 카밍을 접한 경우가 많아서 차라리 카베, 타르탈리아, 방랑자 같은 캐릭터를 맡았으면 좋았겠다 하는 의견도 나오는 편이었다.[44] 미나세(水瀬)의 미나.[45] 착용하는 건틀릿도 죠타로의 스탠드 스타 플래티나의 주먹과 유사하게 생겼다.[46] 도도poi가 가장 좋아하는 성우가 토요사키라고 한다.[47] 캐릭터와의 공통점을 묻는 인터뷰에서는 아를레키노가 꽁지머리라는 것이 드러나지 않았을 땐 모리 나나코 본인과 머리스타일이 비슷한 줄 알았으나 알고 보니 아니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