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color=#9d0011> 일본어의 인칭대명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9d0011> 1인칭 | 아타이(あたい) · 아타쿠시(あたくし) · 아타시(あたし) · 우치(内) · 오이라([ruby(己等, ruby=おいら)]) · 오레(俺) · 오레사마(俺様) · 지분(自分) · 친(朕) · 보쿠(僕) · 마로(麻呂·麿) · 요(余) · 와이([ruby(私, ruby=わい)]) · 와가하이(我輩·吾輩) · 와시([ruby(儂, ruby=わし)]) · 와타쿠시([ruby(私, ruby=わたくし)]) · 와타쿠시메([ruby(私奴, ruby=わたくしめ)]·[ruby(私, ruby=わたくし)]め) · 와타시([ruby(私, ruby=わたし)]) · 와타시메([ruby(私奴, ruby=わたしめ)]·[ruby(私, ruby=わたし)]め) · 와라와([ruby(妾, ruby=わらわ)]) · 와레([ruby(我, ruby=われ)]) · 소생(小生) · 셋샤([ruby(拙者, ruby=せっしゃ)]) |
2인칭 | 아나타(あなた·貴方·貴女) · 안타(あんた) · 오타쿠(おたく·お宅) · 오누시([ruby(御主, ruby=おぬし)]) · 오노레([ruby(己, ruby=おのれ)]) · 오마에(お前·御前) · 키사마(貴様) · 키미(君) · 고젠([ruby(御前, ruby=ごぜん)]) · 소나타([ruby(其方, ruby=そなた)]) · 테메에(てめえ) · 난지(爾·汝·女) · 와이(私) | |
3인칭 | 카노죠([ruby(彼女, ruby=かのじょ)]) · 카레([ruby(彼, ruby=かれ)]) | }}}}}}}}} |
1. 개요
와라와([ruby(妾, ruby=わらわ)])는 일본어의 1인칭 인칭대명사이다. 주로 고풍스러운 공주나 여왕 등 고위층 여성들이 쓰는 사극투 1인칭이다. 보통은 이 1인칭에 더해 말 끝에 "~쟈"(じゃ), "~노오"(のお) 등을 붙이는 노인 어투를 함께 쓴다. 남성 1인칭의 오레사마, 와가하이와 비슷한데 와라와는 이들의 여성 버전 쯤으로 볼 수 있다. 고풍스러운 이미지를 감안하면 와가하이 쪽이 더 비슷하다.[1]2. 용례
한국으로 따지면 사극에도 나오는 소첩(小妾), 신첩(臣妾)등의 표현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와라와(妾)를 소첩이나 신첩으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서로 완전히 대응되는 단어가 아니다 보니 그렇게 하면 어색함이 느껴질 때가 종종 생긴다. 소첩은 상대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말인 반면 와라와는 상대의 신분과 상관없는 중립적인 1인칭 표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라와를 1인칭으로 쓰는 공주님 속성 캐릭터가 상대를 천하다고 업신여기면서 그 천한 사람 앞에서 자신을 소첩이라 낮춰부르는 이상한 상황이 만들어진다.그러므로 여왕 속성과 합쳐진 캐릭터라면 '짐'이나 '본녀(本女)'[2]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좀 더 강조해서 '이 몸(께서)'[3], '나 님께서'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애초에 한국에서는 이런 용법의 일인칭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말의 느낌보다는 그 캐릭터의 이미지를 살리는 쪽에 중점을 두어 번역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이다.
3. 창작물
- 괭이갈매기 울 적에 - 베아트리체
- 괴짜의 샐러드 볼 - 사라 다 오딘, 미즈사와 유메
- 그녀의 플래그가 꺾이면 - 나나미·K·블레이드필드
- 그랑블루 판타지 - 포리아, 메이브
- 꽃의 안드로이드 학원 - 카네시로 에루
- 나루토 - 오오츠츠키 카구야
- 난바카 - 스칼라 B 케펠 12세
- 날아라 호빵맨 - 두리안왕녀
-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 - 요도도노
- 누라리횬의 손자 - 하고로모기츠네
- 데드 오어 얼라이브 시리즈 - 뇨텐구
- 데스티니 차일드 - 클레오파트라
- 도우미 여우 센코 씨 - 센코
- 도화월탄 - 키쿄
- 돌아가는 펭귄드럼 - 크리스탈의 공주
- 드래곤, 집을 사다. - 넬
- 란스 시리즈 - 테로 에티에노
- 로드 오브 히어로즈 - 메이링
- 로미오 vs 줄리엣 - 발사자 아퀼라
- 마리오 시리즈
-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 곤자잔
- 마왕군 최강의 마술사는 인간이었다 - 세피로
- 마케몬 - 아마노 카구야
- 메이플스토리 - 키노코노코
- 명일방주 - 파죰카
- 명조: 워더링 웨이브 - 장리
- 몬스터 아가씨의 의사 선생님 - 아라냐 타란텔라 아라크니다
-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 하나사카 와라비
-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 키시리카 키시리스
- 문호 스트레이독스 - 요사노 아키코
- 버츄얼 유튜버
- 베이블레이드 X - 시로보시 오메가
- 벽람항로 - 시라누이, 뇨텐구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 - 퀸 세크토니아
- 보석의 나라 - 웬트리코스스
- 봉신연의 - 달기
- 불꽃의 임신 시리즈
- 좀더! 임신! 불꽃의 가슴 이세계 초 에로 서큐버스 학원! - 소피아 폰 마나그라스
- 붕괴3rd - 야에 사쿠라
- 블랙 불릿 - 아이하라 엔쥬
- 블루 아카이브 - 류우게 키사키, 쿠즈노하
- 블리치 - 슈타라 센쥬마루, 카스미오오지 루리치요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미코토
- 사신 짱 드롭킥 - 에큐트
- 성검의 블랙스미스 - 샬롯 E. 피로비셔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 - 바알제붑
- 신 광신화 파르테나의 거울 - 나츄레
- 아카메가 벤다! - 도로테아
- 알드노아. 제로 - 페미앤
- 암컷 뽑기 - 베그나리아
- 어나더 에덴 ~시공을 넘는 고양이~ - 하이나
- 어서 오세요! 음란 엘프의 숲으로 - 노르
- 에빌리오스 시리즈 - 릴리안느 루시펜 도트리슈
- 에토타마 - 샤아땅
- 에픽세븐 - 알렌시아
- 역전재판 시리즈 - 가란 시가탈 쿠라인, 레이파 파드마 쿠라인
- 영원한 7일의 도시 - 시로
- 오버로드 - 샤르티아 블러드폴른
- 오버로드 MASS FOR THE DEAD - 규코
- 오자루마루 - 오카메 공주
- 원신 - 야에 미코, 한운
- 원피스 - 보아 행콕
- 유라기장의 유우나 씨 - 히오기 카루라
- 은하영웅전설 - 마르가레테 폰 헤르크스하이머
- 은혼 - 오토히메
- 이능배틀은 일상계 속에서 - 칸자키 토모요
- 이세계 식당 - 붉은 여왕
- 이세계 원턴킬 누나 ~누나 동반 이세계 생활 시작했습니다~ - 킬마리아
- 이터널 리턴 - 비앙카
- 자동판매기로 다시 태어난 나는 미궁을 방랑한다 - 스오리
- 작혼 - 카구야히메
- 전국무쌍 시리즈 - 가라샤
- 전국 바사라 시리즈 - 쿄고쿠 마리아
- 전국요호 - 세츠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루미너스 발렌타인
- 정들면 고향 코스모스장 - 우메키 루리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주술회전 - 아마나이 리코
- 천외마경 2: 만지마루 - 하마구리 히메
- 천재 왕자의 적자국가 재생술 ~그래, 매국하자~ - 트루첼라 솔제스트
- 케모노 프렌즈 3 - 기린
- 코즈믹 시리즈 - 츠쿠요미 미코토
- 쿠키런 시리즈 - 구미호맛 쿠키
- 타임보칸 시리즈
- 얏토뎃타맨 - 미렌죠
-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 크레센도
- 파괴신 마그 - 몽환의 노스=코슈
- 파랜드 심포니 - 쉬퍼
- 파워프로군 포켓 - 모모코
- 페어리 테일 - 미네르바 올랜드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고지카, 하푸우
- 프리티 시리즈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이리야
- 하나우쿄 메이드대 - 지히오 시즈카
- 함대 컬렉션 - 하츠하루
- 헤븐 번즈 레드 - 리 잉시아
- 호오즈키의 냉철 - 이자나미
- 흑의 소환사 - 츠바키 후지와라
- 히나로지 ~from luck & logic~ - 리오네스 에리스토라토바, 로자
- 히프노시스 마이크 - 유메노 겐타로
- Fate 시리즈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 루나 공주
- Nine Sols - 구망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프리실라 바리에르
- Top War: Battle Game - 야오토메 나데시코
4. 여담
- 한국어의 여사(女史)도 여성을 높이는 말이라 비슷하지만, 여사는 1인칭으로 쓰이지는 않는 말이라 다른 면이 더 많다. 따라서 번역에서 여사는 와라와보다는 고젠(御前)에 대응해 쓰이는 편이다.
- 일본 서브컬처계에서 '외형은 어리지만 신분이 높은 여성 캐릭터'[4]들도 종종 와라와 or 와시 + 노인 말투(~노쟈)를 쓰는데 이런 경우는 노쟈+로리 합성어인 '노쟈로리(のじゃロリ)', 혹은 로리인데 할머니라는 뜻으로 로리바바(ロリババア)라고 부른다.
[1] 한국어로 비유해보자면 "소녀, (어쩌고저쩌고)" 정도.[2] 무협지에서 여성 고수가 으레 사용하는 1인칭. 본좌의 여성판으로 쓰이는 단어인데 표준어는 아니다. 본좌도 여성이 쓸 수 있지만 사용자가 여성임을 강조하고 싶을 땐 본녀가 자주 쓰인다.[3] 여담이지만 이 몸은 일본에서 この身와 아예 1대 1 대응되는 단어가 있다.[4] 한 나라의 공주나 여왕인데 외모가 어린이거나 인간보다 훨씬 오랜 세월을 산 인외 종족이면서 인간 어린이처럼 보이는 캐릭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