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02:11:19

임재현(e스포츠)

임재현(프로게이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2012d> 파일:T1 로고 화이트.svgT1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2012d><colcolor=#fff>감독[[김정균|김정균
kkOma
]]
코치[[임재현(e스포츠)|임재현
Tom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현준|문현준
On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민형|이민형
Gumayus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민석|류민석
Keria
]]
LCK 참가팀 로스터}}}}}}}}}
임재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24><tablebgcolor=#000324>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 코치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a42, #0264fb, #010a42)"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rowcolor=white> 시즌 이름 (ID) 국적 소속
시즌3 최병훈
(L.i.E.S)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SKT
김정균
(kkOma)
2014 최윤상
(Choi)
SSW
최우범
(DoGGi)
윤성영
(Homme)
2015 최병훈
(L.i.E.S)
SKT
김정균
(kkOma)
2016 최병훈
(L.i.E.S)
김정균
(kkOma)
이정현
(PoohManDu)
2017 최우범
(Edgar)
SSG
주영달
(oDin)
여창동
(TrAce)
2018 김정수
(Kim)
IG
원상연
(Mafa)
2019 천루즈
(Warhorse)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FPX
저우리펑
(Despa1r)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20 이재민
(Zefa)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WG
양대인
(Daeny)
2021 양지쑹
(Maoka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EDG
주카이
(KenZhu)
청핀룬
(CorG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2022 김상수
(Sson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RX
이재하
(Mowgli)
신동욱
(Shine)
2023 임재현
(Tom)
T1
김강희
(Roach)
2024 임재현
(Tom)
김강희
(Roach)
김정균
(kkOma)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aeaea><tablebg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Esports World Cup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0>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_black.png
COACH
2024 파일:T1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u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umayus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ria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ach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파일:600px-MiG_Frost_logo.png 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 파일:Team MVP.png 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 윈터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 스프링 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IA
2017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2018 스프링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 파일:DAMWON.png 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2021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 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 스프링 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 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2024 스프링 Kiin · Canyon · Chovy · Peyz · Lehends · Mata
서머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Doran · Peanut · Zeka · Viper · Delight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파일:PCS Square white.png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01725> 시즌 대회 우승팀 코치진
LMSLST의 재합병으로 PCS 출범.
2020 시즌 스프링 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 Bigfafa · Saroo
서머 파일:Machi E-Sports no text.png파일:Machi E-Sports no text white.png Mountain · Gengar · Leo · Dreamer · Dee · SoCool 
2021 시즌 스프링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Helper · Winged · Yuwan
서머
2022 시즌 스프링 CorGi · Tom · Maru · Yuwan
서머 파일:CTBC_Flying_Oyster_2022.png KMT · Achie
2023 시즌 스프링 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 CorGi · Zero · Maru
서머
2024 시즌 스프링 CorGi · Zero · Ale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2b><tablebgcolor=#e4002b> 파일:T1 로고 화이트.svgT1
역대 감독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병훈
L.i.E.S → cCarter

(2013~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균
kkOma

(2018~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수
Kim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대인
Daeny

(2021)
감독 대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석희
Stardust

(2021)
<rowcolor=#fff> 5대 6대 7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성훈
Polt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성웅
Bengi

(2022~2023)
감독 대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현
Tom

(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균
kkOma

(2024~)
2024 월즈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현
Tom

(2024)
}}}}}}}}} ||
<colbgcolor=#e2012d><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T1_Tom_2024_Split_1.png
T1 코치
Tom
임재현 (Lim Jae-hyeon)
출생 1995년 5월 22일 ([age(1995-05-22)]세)
경기도 평택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파풀러 #KR1 #
포지션 정글
소속
[ 펼치기 · 접기 ]
SK telecom T1
(2015.02.25 ~ 2015.11.25)

Qiao Gu Reapers
(2016.01.15 ~ 2016.02.09)
Snake Esports
(2016.02.09 ~ 2016.04.15)
Newbee Young 코치
(2016.05 ~ 2016.11.30)
BPZ 코치
(2017.04.14 ~ 2017.04.17)
Gen.G 코치
(2019.12.20 ~ 2020.11.11)
PSG Talon 코치
(2021.12.31 ~ 2022.09.27)
T1 코치
(2022.11.28 ~ 2023.07.08)
T1 감독 대행
(2023.07.08 ~ 2023.11.21)

T1 코치
(2023.11.21 ~ 2024.09.25)

T1 감독[1]
(2024.09.25 ~ 2024.11.02)
T1 코치
(2024.11.02 ~ )
에이전트 아지트매니지먼트 코리아[2]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주요 경력4. 선수 경력
4.1. 은퇴 이후
5. 지도자 경력
5.1. 대회 경력5.2. 코칭 스타일
6. 논란 및 사건 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T1 코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정글러.

2. 플레이 스타일

아마추어 시절엔 파풀러, 4mbulance라는 닉네임의 우디르 장인으로 유명했었다. 강력한 카운터 정글링과 날카로운 갱킹을 주무기로 삼아 변수를 생성해내는데 탁월한 정글러. 이러한 플레이스타일이 SKT T1의 미드라이너들과 상성이 잘 맞는 모습을 보여준다. 페이커와 같이 경기할 때는 페이커의 공격성을 극대화 시켜주는데 탁월하고, 이지훈과 경기할 때는 이지훈의 약점인 초반 다른라인에 대한 영향력이 떨어지는 것을 톰의 갱킹으로 보완하며 이지훈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면서도 다른 라인도 잘 풀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팀파이트 상황 역시 적절한 스킬 배분과 탱킹을 통해 어그로를 자신에게 집중시키며 한타를 대승으로 이끄는 일도 잦다.

그러나 신인이었기에 가끔씩 경험 부족에 의한 미숙함이 드러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플레이오프 CJ전이 있다. 톰은 이 날 CJ의 정글러인 앰비션에게 쉴새없이 휘둘리며 팀이 패배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특유의 카운터정글링이 앰비션에게 간파당하자 이후 큰 경기에서 멘탈이 완전히 깨졌다는 평가. 하지만 결승전 GE전에서 이를 극복하고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는데 성공, 톰톰벵벵벵의 한을 풀고 톰톰톰으로 결승전을 마무리했으며 15년도 기준으로 한체정의 유력한 후보로 꼽힐만큼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라이엇의 엔트리 제한 탓에 이지훈에 밀려 넘버 6 자리도 차지하지 못했고 MSI 출전이 좌절되어 국내 팬들이 라이엇을 성토하고 있다.(...)

이후 2015 롤챔스 섬머에선 본인이 부진에 빠졌고 본인의 활약을 본 뱅기가 완벽하게 부활하는데 성공, 이 둘이 아이러니하게 맞물리면서 벤치행이 되었다. SKT가 최전성기를 달리면서 정규리그를 도합 1패로 우승하는동안 뱅기는 35경기를, 톰은 단 6경기만을 뛰었다. 그마저도 정규리그에서 하루 2경기 이상을 뛴 날은 1라운드 나진전을 제외하면 전무.

우디르로 유명했지만, 짧은 프로생활을 대표하는 챔피언이라면 당연히 리메이크 전 세주아니. 준수한 갱킹과 한타때마다 궁을 다수에게 적중시키는 플레이를 여러 번 보여주면서 활약했다. 우디르 데뷔전을 제외하고 프로생활하는 동안 받은 2번의 MVP가 모두 세주아니 플레이로 받은 경기이다. 승률도 어쨌든 6전 전승.

Snake Esports가 엘라 때문에 출전할 수 없었던 톰을 노예계약으로 묶어둔 후 정작 엘라를 버리고 용병쿼터를 소비하는 베트남 정글러 SofM을 택했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이다. 이것은 톰이 운영형 정글러라는 증거기도 한데, 중국리그는 용병의 실력이 절대적으로 한 클래스 떨어지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현지인들의 부족함을 개인기량으로 메워줄 크랙을 선호한다. 즉 벵기, 댄디, 톰보다는 스위프트, 클리드, SofM과 같은 육식 정글러들이 LPL용병으로 선호되는 이유가 있다는 것.[3] 우습게도 톰의 행적은 저 3명과 모두 연관이 있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KT Arrows SK telecom T1 SK telecom T1

4. 선수 경력

2015 스프링 시즌 3월 20일 IM전에서 데뷔, 우디르로 MVP에 선정[4]되었다.
파일:skttom.jpg
우디르 외에 대세 정글 챔피언도 곧잘 다루는 모습으로 정규시즌에서는 벵기 못지않은 활약을 펼쳤으나, CJ와의 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는 앰비션의 노련함에 밀려 위축된 모습을 보이다 1, 2세트 패배 후 교체당했다.
파일:a76f82e5497e413c8f66eb0e1b32be33.jpg
때문에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으나 결승전에도 선발출격, GE 타이거즈를 3:0으로 완파하여 플레이오프의 부진을 완벽히 만회했다. 이지훈과 함께 상대과 같은 챔프를 번갈아 픽했는데, 참교육을 시전했다는 표현이 나올만큼 경기내용도 압도적이었다. 특히 결승전 1세트에선 세주아니로 모든 해설들의 극찬을 받으면서 팀을 캐리하며 세트 MVP를 수상하였고, 팀 우승을 통해 로얄로더로 등극하게 되었다.
파일:톰15섬.png
섬머 시즌에서는 6월 중반 시점까지 부진한 편. 스프링 시즌에서 페이커가 던지던 게임을 붙잡고 캐리하던 모습과는 극명히 대조된다. 팀이 전체적으로 라인전을 이기고 있음에도 존재감이 없고 강타싸움에서도 계속해서 밀리는 모습이 자주 보이는 편. 주 챔프 중 하나인 세주아니의 너프가 상당히 타격을 입힌 듯 하다. 요약하면 우디르와 렝가만 잘한다던 장인 플레이어가 잿불거인 메타에서 자신에게 잘 맞는 챔프들 덕분에 빠르게 메타에 적응했는데, 잿불거인 메타의 힘이 빠지면서부터는 오히려 메타 적응에 실패하며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고 있는 듯하다.

결국 케스파컵 종료 이후 팀에서 탈퇴했다. 서머 시즌 몇 안되는 출전기회에서 다소 부진했다고는 하지만 스프링 우승경력과 서머 시즌에도 충분히 뛰어났던 솔랭 퍼포먼스를 감안하면 전 세계의 러브콜을 받을법한 정글러인데 입단 소식이 없다가, 2016년 1월 15일부로 중국 LPL의 Qiao Gu Reapers에 공식 입단. 당시 QG의 정글러였던 스위프트가 계약문제로 팀을 나가는 상황에서 영입이 된 것이었는데, 이후 스위프트가 '팀에 서브 정글러가 없을 것'이라는 조건으로 재계약을 해버리면서 톰은 붕 떠버리게 되었다. 결국 QG를 나와 SS로 이적했으나, 중국 환경과 음식에 적응하지 못해 나왔다. 하지만 계약기간이 남아있어 이적료를 지불하면서까지 영입해줄 팀이 없다면 타팀으로의 이적은 불가능한 상태라고.

4.1. 은퇴 이후

2016년 연말 롤 이적시즌 즈음에 아프리카TV 방송을 하던 톰의 채팅방에 구단 컨택과 프로 복귀 여부에 대해서 시청자의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톰은 코치 제의가 왔으나, 해외로 가야하는데다 코치는 자신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에 거절하였다고 말하였다. LSPL리그 NBY팀 코치로 활동하였을 때 타지에서 겪은 힘든 경험이 기억에 많이 남은 듯하다.

주전먹기 힘든 팀만 골라서 이적하는 기적의 선구안을 가진 것으로도 유명하다. 뱅기가 아니라 변기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헤메던 SKT에서 데뷔해서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뱅기가 폼을 찾자 2군으로 밀려났고, 이후 스위프트가 팀의 주역으로 활동중인 QG에 이적했으나 스위프트의 비중이 워낙 크다보니 경기에 나오지 못했으며, QG를 떠나 이적한 팀은 마찬가지로 한국인의 비중이 커서 외국인 TO상 경기에 출전할 수 없을 것이 불보듯 뻔한 SS였다. 그리고 이젠 팀을 나왔으나 계약기간에 묶여있고 이적료를 감당하면서까지 데려갈 팀이 없다.

계약 내용중에는 벤치에 있다면 연봉을 못 받는 조항이 있다고 한다.

톰이 들어간 팀은 거의 모든 팀들이 성적이 상승했기에 농담삼아 토템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실제로 톰이 경기에 나오건 나오지 못했건 부진하고있던 15 SKT, QG, Snake는 톰을 영입한 이후 승승장구했으나, SKT를 제외하면 톰이 팀을 나간 이후에는 기세를 이어나가지 못했다. 이후 NBY도 LPL로 승급하며 톰템설이 점점 기정사실화 되어가는것 같다.

도인비의 웨이보 글에 맞장구를 치면서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는데, 자신이 왜 스위프트가 이미 주전을 꿰찬 QG에 들어갔는지에 대한 이유가 있다. 이적 당시 스위프트는 계약 문제로 타 팀으로 이적하려고 하는 중이어서 톰이 들어갔는데 와보니 스위프트가 팀과 재계약을 해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버렸다. 사장은 정글러가 두 명이므로 스크림을 돌려서 잘 하는 사람을 쓰겠다고 했지만 실상은 1군 측에서 스크림을 단 한 판도 하지 않았고, LPL에서 선수 등록 2주 후에야 경기가 가능한데 2주 동안 톰이 경기에 못 나오는 상황을 악용하여 스위프트가 톰이 있으면 경기를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심지어 보리살, 다데, 도인비 등 미드를 갈아치운 이유도 비슷한 이유 때문. 계속 벤치에 있었기 때문에 톰도 타 팀으로 이적을 알아보았고, QG에서는 좋게 빠져나왔지만 스네이크와는 계약 문제로 발이 묶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중국을 갈 프로 지망생이나 프로들은 꼭 계약서를 꼼꼼히 읽어보라는 말을 끝까지 덧붙인 걸 봐서는 계약 관련으로 굉장히 억울했던 모양이다..그리고 중국 밥이 맛없고 한국 밥이 최고라고 한다.

10월 23일자 보겸방송에 게스트로 출연해 지난 프로 시절의 썰들을 풀었는데 그 중 중국팀과의 계약 문제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계약 기간은 3년인데 이제 1년이 지난 상황이라 남은 2년 동안 타 팀에서 선수로 뛰는건 불가능해졌고 본인도 이에 대해서는 포기한 듯하다.

2016년 3월말 아프리카 개인 방송을 시작하였다.# 가끔 채팅창에 듀오가 놀러와 어그로를 끌다 나간다. 주로 롤 솔로랭크와 오버워치, H1Z1을 플레이한다. 별풍선에 대해서 큰 관심이 없으므로 리액션은 특별히 없으나(감사 인사는 물론 한다.) 오히려 자신의 기분이 좋으면 시청자가 요구하지 않아도 스스로 장기자랑을 한다.[5]

9월 5일 인터뷰가 올라왔다.

시즌 중에는 롤챔스 중계를 한다. 경기 중 선수들이 취하는 액션(동선, 스킬사용, 전략 등)에 대한 이유를 알려주거나, 일반 시청자들이 알기 힘든 선수의 개인적인 플레이 성향을 알려주는 경우가 있어 일반적인 중계진 해설과 다른, 선수의 시각으로 듣는 해설의 묘미가 있다.

은근 침투력이 좋아서 롤챔스 중계에서 톰이 직,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톰이 트위치 방송에서 시청자들에게 알려준 그라가스 콤보 ER플에 대해 해설진이 언급한 적이 있고, Jin air의 탑라이너 익수 선수는 MVP 인터뷰에서 톰의 나띵러스를 전수받았다는 답변을 했으며 클템도 인터뷰 종료 후 익수에게 좋은 스승이 있다는 말을 덧붙였다.

SKT가 16 서머 후반 정글러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롤벤이나 SKT T1 갤러리 에서 다시 데려오고 싶다는 여론도 나왔다. 특히 벵기의 폼이 좋지 않았을 때 자리를 지켜준 톰에 비해 블랭크는 같이 망해버린지라 불만이 유독 많았다. 포스트시즌 역스윕 이후에는 SKT 연습생 출신인 러쉬와 함께 꾸준히 그림의 떡으로 언급되고 있다.

첼코팀인 BPZ와 2~4주간 합숙하며 무료 코칭을 했다. 원래 감독도 코치도 없는 팀이라 예전부터 스카이프로 원격 코칭을 했는데, 아직까지도 코치가 없길래 안쓰러워서 결정한 거라고.

괜찮은 해설력과 게임 내에서의 팁 전수 덕분에 주가가 올랐고, 2017년 7월 입롤의 신 케인 편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9월 초부터 롤드컵 전까지 챌린저를 찍겠다고 잠시 개인 방송을 쉬고 있다. 방송 중 언급한 내용으로 보아 계약이 내년에 만료되기에 혹시 모를 취직에 대비하기 위해서 솔랭 점수를 올린다고 이유를 밝혔다. 선수 생활이든 코치 생활의 가능성은 남아있다. 아직은 선수생활을 이어가기에 충분히 젊은 나이기 때문에 다시 선수로 뛰는 톰의 모습을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11월 1일에 확실하게 은퇴를 선언했다. 코치로 활동한다고.

2018년 1월 8일, 입대했다. 예비군을 간 롤갤러에 의해 근황이 공개됐다. # 2019년 9월 10일 전역했다. 바로 다음 날부터 트위치에서 개인방송을 진행하는 중이며, 라이엇 코리아 측의 현역선수 및 코치, 관계자 중계 제한규정에 걸려 롤드컵 2019를 중계하지 못하게 된 이재완, 박의진을 대신하여 중계를 맡고 있다.

2019년 9월 16일, 자낳대3에 출전하는 쌍베의 정글러 코치 역할을 맡게 되었다.

5.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재현(e스포츠)/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대회 경력

5.2. 코칭 스타일

2018년~2019년으로 대비되는 LCK의 암흑기 이후 정말 오랜만에 나타난 명장이라고 호평을 받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LoL e스포츠 역대 최고의 명장에 도전할 수 있다는 소리도 들을 정도다.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호평을 받는 부분은 밴픽. 특히 밴 카드 사용인데, OP 챔피언 트레이드를 선호하고 OP 챔피언을 풀고 카운터 픽을 가져가는 일명 우틀않을 거의 보여주지 않으며 상대의 모스트 픽은 과감하게 칼같이 밴하고, 전 세트 패배의 원인이 된 픽을 다음 세트에서 바로 닫는 모습을 보여주며 결단력만큼은 SKT vs ROX 벵기의 그날이나 SKT vs RNG 5연갈에서 보여준 김정균 코치를 닮은 것 같다는 의견이 다수 있다. 단순히 패치에 따른 티어 정리를 넘어 당일 매치의 특성까지 고려한 티어 정리와 그에 따른 밴 카드 활용이 깔끔하며, 이후 남은 티어픽들과 티어가 다소 낮더라도 조합을 완성시키는 픽들을 활용해 최적의 조합을 구성하는 것이 임재현의 가장 큰 장점이다. 이로 인해 조커픽들이 다소 무리수였다는 평가는 나와도, 조합의 구성이 어정쩡하거나 티어가 밀린다는 평가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또 동시대의 감독들과 비교했을 때 메타 파악 능력, 밴픽의 다양성과 유동성 면에서도 앞선다는 평이 있다. 2023 월즈에서 그 능력을 여실히 보여줬는데, 젠지전 패배 이후 밴픽과 플레이의 방향성을 바꾸었고, 8강 LNG전에서 당시 후반 밸류 위주의 밴픽 트렌드를 극한의 초중반 라인전 주도권, 적극적인 교전 위주의 밴픽으로 재정립함으로써 대회 전체에 막강한 영향력을 끼친 메타 체인저의 역할을 수행했다. 4강에서는 369의 크산테에 의해 패하자 바로 크산테를 닫아버렸다. 결국 결승에서 상대 웨이보가 이를 의식해 주도권 픽에 밴 카드를 과도하게 소모하자 밸류 픽의 대표 주자라 꼽히는 자야-라칸을 가져가며 T1이 7년 만에 월즈 트로피를 손에 얻게 했다.

이러한 능력은 외부만이 아니라 팀 내에서도 확실하게 인정받고 있는지, 2024 월즈에서는 현장 밴픽에 참여하려면 감독이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6] 임재현이 밴픽을 주도하게 만들기 위해서 김정균 감독과 보직 트레이드까지 감행했다. 그리고 스위스 스테이지부터 4강까지 자신의 진면목을 충실히 보여주며 그것이 올바른 선택임을 증명하고 있다.

결승전에서는 BLG 감코진 측의 기존 밴픽과 다른 방식으로 구도를 틀어버리는 식의 밴픽으로 인해 조금 당황해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끝까지 가면 이긴다" 를 증명하듯 유연한 밴픽 수정 능력이 빛을 발했다, 결승전 5세트, 강력한 돌진 조합을 짠 BLG를 상대로 완벽하게 맞받아치는 조합을 구성하면서 밴픽에서 판정승을 거뒀다.[7]

결국 T1 월즈 리핏을 성공시켜 다시 한번 T1 왕조를 재건함으로써 임재현 코치는 명장 반열에 이름을 당당히 올렸다.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임재현 코치 과거사 왜곡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재현 코치 과거사 왜곡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1] 2024 월즈 기간 동안 감독으로 직무 변경.[2] #[3] 유일한 예외가 DAN의 에이스인 카린 정수종인데 위너스 시절부터 DAN까지 계속 운영캐리형 정글에 가까웠다. 하지만 LSPL에서 올라온 것이고 LPL 와서 잘나가다 분석당하고 다시 수직낙하하는 등 역시 LPL에 성공적으로만 안착했다고 보기는 난감한 면이 있다. 결국 LPL 18연패를 기록하면서 폼이 완전히 망가졌고, 마린의 데뷔전을 보면 알지만 예전의 카린이라고는 보기 힘들 정도로 부진했다.[4] 이후 표식이 다시 우디르로 MVP에 선정될 때 까지 2134일 동안 우디르는 LCK에서 승리한 적이 없다.[5] 오버워치 윈스턴(오버워치) 성대모사, 뚱인데요? 성대모사 등[6] 정확히는 현장 밴픽에 참가할 수 있는 인원이 감독 1명과 코치 1명으로 규정돼 있어서, LCK에서처럼 감독 없이 코치 2명이 밴픽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임재현 코치가 감독으로 보직을 바꿔서 김강희 코치와 함께 밴픽에 참가하는 것.[7] 특히나 5세트 4픽에서 뽀삐를 픽해 '4세트와 마찬가지로 오너에게 뽀삐 정글을 줄 것이다.' 라는 페이크 정보를 BLG에게 심어 두었고, BLG가 이에 반응해 4픽과 5픽으로 자르반과 렐을 픽하자 5픽에서 신 짜오를 픽해 뽀삐를 서포터로 변환시키는 작전이 경기 내내 유효하게 작용했다.[8] 실제로 프로필 촬영장에서 만나는 사람마다 사과를 했을 정도라고...[9] IM 역시 2라운드에 위즈덤의 손목 부상으로 정글러를 구했으나 해당 정글러인 아레스의 부진으로 전패하고 말았다. 많은 팬들이 말하길 톰이 IM으로 갔으면 롤챔스 2라운드 판도가 달라졌을 거라고.[10] 코코의 부캐 닉은 Bye See u later , 톰의 부계정은 Bye C u later.[11] 실제로 skt의 96년생인 페이커, 뱅, 울프와 반말을 하는 사이이다.[12] 특히 익수와 많이 친한 것으로 보이는데 익수가 스플릿을 하다가 잘려먹히거나 스킬을 못맞추기라도 하면 "전익수 X발X끼 개 X도 못하죠~" 이런 식으로 극딜을 날리고 익수가 POG라도 받는 날에는 저걸 저렇게 했는데 저X끼가 MVP냐며 열폭을 했었다.[13] 후에 젠지의 유튜브 라이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익수 선수와 일반인 한명 이렇게 4명이서 원피스 랜덤 디펜스라는 게임을 하다가 친해졌다고 한다. 당시 중3이던 Clid가 교복을 입고 대학생이었던 톰을 만나러 갔던게 오프라인에서의 첫만남이었다고...[14] 심지어 톰 성대모사까지 했다. 지도자의 길을 걷고 있어, 많이 참는 것으로 보인다. 성격은 어디 가지 않는데, 대표적으로 챔피언스큐를 돌리던 중, 같은 팀의 트롤로 과거의 성깔을 일부 보여주기도 했다.[15] 원래는 배치기 -> 점멸 이후 술통폭발 콤보가 많이 알려져 있었으나 제대로 맞으면 당하는 입장에서 점멸과 이동기를 멀쩡하게 들고 있는데도 배달당해서 맞아 죽을 수 밖에 없었던 눈뜨고 코베이는 수준의 사기적인 콤보라서 6.17 버전에서 저격너프를 당했다. 이 패치 이후 배치기 -> 점멸과 술통폭발 사이에 무조건 한 틱이 남아서 점멸이나 이동기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는데 톰이 개인방송에서 기존의 콤보를 살짝 비틀어 술통폭발과 배치기 사이에 딜레이 없이 배달시킬 수 있는 콤보를 개발했다. 대처법이 아예 없진 않은데, 궁극기가 시전되는 모션을 보고 곧바로 점멸로 반응하면 그라가스의 궁극기만 방생궁이 되어버린다. 다만 심리전을 통해 궁극기만으로 상대의 점멸은 뽑고 자신의 점멸은 아끼는 이지선다도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