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3:07:31

전지적 독자 시점(영화)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전지적 독자 시점 (2025)
Omniscient Reader
파일:전지적 독자 시점(영화) 런칭 포스터.jpg
장르 현대 판타지, 액션, 재난, 모험, 포스트 아포칼립스
감독 김병우
각본
원작 싱숑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 원동연[1], 정문구[2]
주연 이민호, 안효섭, 채수빈, 신승호, 나나, 지수
촬영
편집
미술
음악
의상
촬영 기간 2023년 12월 5일 ~ 2024년 5월 30일
제작사 리얼라이즈픽쳐스
공동제작 스마일게이트리얼라이즈[3]
제공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스마일게이트홀딩스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7월
화면비
상영 타입
상영 시간
제작비 약 300억 원[4]
월드 박스오피스
북미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미정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설정8. 줄거리9. 사운드트랙10. 평가11. 흥행12. 기타13. 관련 문서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싱숑현대 판타지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을 원작으로 하는 한국 영화. 2025년 7월달로 개봉 확정이 났다.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전지적 독자 시점 런칭 포스터.jpg 파일:전지적 독자 시점(영화) 런칭 포스터.jpg
시나리오 표지 런칭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

4. 예고편

런칭 예고편

5. 시놉시스

10년 동안 연재된 소설처럼 멸망해버린 현실에서 유일하게 결말을 알고 있는 김독자(안효섭)가 소설 속 주인공 유중혁(이민호)과 함께 세상을 구하기 위한 대장정을 그린 영화.

6. 등장인물

〈전지적 독자 시점〉 인물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 }}} ||

7. 설정

8. 줄거리

일명 전독시의 주인공 김독자가 자신이 15살부터 읽었던 소설이 3149화의 긴 연재를 끝내고 이름 모를 공모전에 통과하였다는 작가의 소식을 마지막으로 소설 유료화를 진행하는데 현실에서 유료화를 한다는 소리가 들리고 김독자는 현실이 소설이 된다는 사실을 바로 알게된다. 이후 김독자는 소설 속, 현실의 동료들과 죽음과 고통이 난무하는 시나리오를 헤쳐나가며 살아가게 된다.

9. 사운드트랙

<bgcolor=#000000> 전지적 독자 시점 OST
음악감독: 이름편집
발매일: 2025. mm. 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트랙 곡명 러닝 타임 아티스트 링크
01 <colbgcolor=#f5f5f5,#2d2f34> 곡명 🆃
영제
00:00 아티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곡명
영제
00:00 아티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앨범 소개 펼치기 · 접기 ]
----
소개

10.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11. 흥행

12. 기타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파일:전독시_기타_로고.png
----
줄거리 · 등장인물(성좌 · 외전) · 설정(멸살법 · 시나리오)
----
평가 · 논란 · 사건 사고 · 웹툰 · 영화 · 애니메이션 ·오디오북
무대탐방 · 명문장


[1]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인과 연, 광해, 왕이 된 남자 등 제작[2] 영화 도둑들, 변호인, 대립군 등 제작[3] 영화제작사인 리얼라이즈픽쳐스와 게임회사인 스마일게이트가 세운 합작회사이다. #[4] 관련 보도에서 일관적으로 본작의 제작비를 약 300억 원으로 언급하고 있다.[5] 대체로 영화화 판권 계약 정도로 추측되는 상태.[6] 유중혁은 매료되지 않는 이가 있다면 비정상적일 정도의 미남이라고 묘사된다.[7] D.P.에서 황장수 역을 연기했다.[8] 개봉 전까지 공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9] 엄밀히 따지면 현대 판타지 웹소설의 최초 실사화라기보다는, 현대를 배경으로 하면서 상태창 문법을 활용하는 퓨전 판타지 장르의 최초 실사화이다. 이미 웹소설 가운데에서도 단순히 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꽤나 많았기 때문.[10] 일례로 웹소설 실사화 최대의 히트작 중 하나인 재벌집 막내아들 같은 경우 회귀물로 분류되지만, 본질은 한국 드라마계의 단골 소재인 기업물이기에 기존 드라마 향유층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특유의 사이다 감성도 이미 드라마 쪽은 사이다를 중시하는 쪽으로 대세가 기운 상태라 오히려 환영을 받았으며, 심지어 회귀 설정도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 유행한 드라마 계열과 겹치는 면이 있다.[11] 전지적 독자 시점 이전에 시도된 웹소설 영화화인 그래서 나는 안티팬과 결혼했다의 경우 중국 영화이며, 시맨틱 에러: 더 무비는 드라마 시맨틱 에러의 극장판이다.[12] 객관적으로 볼때 평균 이상이지만 김독자 컴퍼니를 포함한 주요 인물들이 대부분 수준급 미남미녀로 묘사되다보니 상대적으로 평범수준인 이쪽이 빛바랜 면이 커진 것.[13] 물론 제 4의 벽의 영향으로 얼굴이 흐릿하게 보여 그렇게 서술된 영향도 있다.[14] 실제로 해당 비판에서 지적된 이지혜의 배후성은 조선 중기 시절에 활동했던 이순신이었기 때문에 이지혜 본인도 칼같은 냉병기를 주로 다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