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kt Rolster 2025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0a07> 감독 | [[고동빈|고동빈 Score ]] | ||||
코치 | [[김무성(e스포츠)|김무성 Museong ]]|[[손승익|손승익 Sonstar ]] | |||||
로스터 | ||||||
TOP | PerfecT ]] | |||||
JGL | Cuzz ]] | |||||
MID | Bdd ]] | |||||
BOT | deokdam ]] | |||||
SPT | Peter ]] | |||||
2군 로스터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0> | 정윤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0a07> 소속 구단 | |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
2021 | |||
| Nongshim RedForce | ||
2022 | |||
|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 ||
2022 | |||
| Nongshim RedForce | ||
2023 · 2024 | |||
| NONGSHIM ESPORTS ACADEMY | ||
2024 | |||
| kt Rolster Challengers | ||
2025 | |||
| kt Rolster |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대회 경력 | ||
기타 | 여담 |
| |
<colbgcolor=#000><colcolor=#ff0a07> kt Rolster Peter | |
정윤수 (Jeong Yun su) | |
출생 | 2003년 4월 28일 ([age(2003-04-28)]세) |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동 | |
국적 |
|
학력 | 순천부영초등학교 (졸업) 순천연향중학교 (졸업) 순천복성고등학교 (중퇴) |
가족사항 | 부모님 남동생 정휘찬(2006년생)[1] |
ID | Happy #day12 # 아름다운 나라 #K T # |
포지션 | 서포터 |
데뷔 | 2021년 12월 10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1-12-09)]일째, [age(2021-12-10)]주년) |
소속 |
(2025.03.30 ~ 2025.11.17예정) |
국가대표 |
(2022) |
|
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kt 롤스터 소속 서포터.2. 플레이 스타일
안정적인 육각형을 가진 서포터 플레이어. 1군에서 경쟁하는 서포터들이 각자 특출나게 강한 툴이 있다면, 피터는 특출나게 강한 툴은 없지만 서포터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역할에서 모두 평균 이상은 해 주며 팀게임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모난 부분 없이 플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틸리티 플레이어형 서포터로 평가된다.경기 외적인 장점이 있다면, 바로 집중력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과거 프로 바둑 기사를 지망한, 롤 프로게이머로서는 상당히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고, 바둑 자체가 시작과 끝이 모두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그 계산에 따른 전략을 장시간 빌드업하며 수행해 나가는 두뇌 스포츠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과거 영향으로 농심에서 부진할 때도 소위 잘 긁히는 날에는 실수 하나 없는 완벽 그 자체에 가까운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했으며, 알을 깼다고 평가받는 KT 시절에는 저점이 뜨는 경우 빈도 수 자체가 줄어 강한 집중력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플레이를 선보이고 있다.
단점이 있다면, 대회 경험 자체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어 1군에서 기회를 받던 신인 시절에는 서포터라면 해서는 안 되는 기본적인 부분에서 실수가 많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어느 정도 경험치가 쌓인 지금도 본인에게 팀적으로 무언가 부담이 많이 가는 상황에서는 더 나은 경우의 수를 찾다가 종국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게임을 지는 아쉬운 결단력을 내비칠 때가 많다. 단적인 예시로 스킬 다 들고 팀원 서포팅을 안 해서 그대로 선수가 폭사하여 뭘 해보지도 못하고 경기를 진다던지, 암흑 시야애서 시야를 잡겠다고 팀원이 도와줄 수 없는 위치에서 시야를 잡다가 먼저 짤리고 시작한다던지, 성공 확률이 낮으나 다른 수가 없는 상황에서 이니시에이팅을 망설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팀파이트를 패배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이 가끔씩 나오기도 한다. 과거 동료였던 고스트의 말을 빌리자면, 가지고 있는 피지컬과 재능에 비해 경험이 부족한 점이 발목을 적지 않게 잡는 타입인 선수.# 단점의 원인으로는 데뷔 당시 선수 영입에 실패해 강제로 탱킹을 해야 하는 팀의 절망적인 상황 때문에 하위 리그에서 충분히 경험을 쌓지 못하고 1군에 올라와 단점을 개선할 시간이 없었고 이를 잡아줄 감코진도, 베테랑 선수도 없어서 기회를 많이 받은 것에 비해 부진했던 기간이 길었던 것으로 현재는 평가되고 있다.[3]
플레이 스타일이 유사한 선수로는 LPL의 항. 장점과 단점 둘 다 비슷하고 나이마저 같다.
농심에서 주전으로 나오던 시절에는 점점 안 좋은 모습을 보여 CL만 전전하다 그대로 은퇴 수순을 밟아 잊혀질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2025년 친정팀인 농심을 떠나 kt 챌린저스로 이적한 후 2군에서 천천히 경험을 습득하며 데뷔 초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던 폼을 되찾는데 성공했고, 마침 1군에 있던 서포터 웨이의 부진으로 2025 LCK부터 다시 1군 무대에 복귀하는데 성공하였다. 콜업된 이후에는 비디디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저점을 찍는 와중에 비디디 다음 가는 2옵션 소리를 들었고,[4]나머지 선수들이 다시 폼이 올라온 뒤에는 본인이 저점일 때의 모습들이 한두번씩 나오기는 하지만 1, 2군을 오가며 단점들을 개선하고 어느 정도 안정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포지션에서 요구받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점점 우상향하는게 눈으로 보인다는 것이 중론.
다만 레전드 그룹 합류 후에는 경쟁자가 듀로, 딜라이트, 리헨즈, 케리아라는 리그를 넘어 세계구급으로 평가되는 서포터들이기에 상대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그래도 완전히 무너지진 않고 덕담을 보좌하는 역할에는 충실한 편이고, 잠깐 웨이를 올려 써보니 웨이가 좋지 않은 모습과 함께 덕담의 폼까지 같이 나락으로 빠지려 하자 몇 경기도 지나지 않아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전체적으로 KT에서 커즈, 비디디, 덕담같은 베테랑들과 함께하며 점점 기량이 상승되어가고 있으며, 아직까지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긴 하지만 바텀 듀오인 덕담과의 합이 좋고 벼락같은 이니시와 라인전 기량 또한 좋아지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시기인 플레이오프에서 그 젠지를 패자조로 떨어뜨리는데 성공하면서 점차 상위권 서포터 경쟁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기 시작했다.
3. 대회 경력
- 2020 LCK Academy Series Championship 준우승
- 2021 LoL KeSPA Cup ULSAN 16강
-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8위
-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우승
-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B조 3위
-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우승
-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우승
-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10위
-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9위
-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8위
-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7위
- 2024 LoL KeSPA Cup 6위
-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우승
- 2025 LoL Champions Korea 3위
4.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우승 | ||||
DK Challengers | → | NS Challengers | → | DK Challengers |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우승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 |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우승 | ||||
대회 출범 | → | Team Deft | → | Team JGL |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우승 | ||||
KT Challengers | → | KT Challengers | → | BNK FEARX Youth |
준우승 경력 | ||||
2020 LCK Academy Series 챔피언십 준우승 | ||||
DRX Challenge | → | NS Academy | → | AF Academy |
5.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윤수(프로게이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윤수(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여담
- 농심 레드포스 온라인 팬미팅에도 등장했다. 말을 막힘없이 잘하고 내용도 좋아서 수많은 팬들에게서 귀엽다는 반응을 끌어냈다. 간식창고 권한을 걸고 벌어진 퀴즈대결에서도 마지막 문제를 맞혀 우승자가 되었다.
- 윤민섭 기자에 따르면 전라남도 바둑 대표 출신으로, # 아마추어 4단이다.[11]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바둑을 했다고 한다. 피터로 추정되는 초등학생시절 2015년 전국바둑대회 입상기사, 중학생 시절 전국소년체전 출전기사 비슷한 사례로 12살까지 바둑을 했다가 아마추어 5단에서 그만둔 클템의 사례가 있다.
- 프로 바둑 기사를 지망하던 기량과 재능이 어디 안 간다는 듯, 소위 '잘 긁히는 날'에는 굉장히 일관성 있는 높은 집중력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많다.[12] 정적인 움직임과 별개로 대국 시작부터 종료까지 엄청난 경우의 수를 계산하며 한 수 한 수 신중하게 두어야 하는 바둑 특성 상 굉장한 체력과 집중력을 요구하는데, 이는 다전제에 능한 선수들이 가지는 장점과 공유하기 때문에 향후 스텝업하여 빅게임에서 모습이 기대되는 선수 중 한 명.
- 바둑 기사였던 과거와 같이 서는 원딜이 고스트라는 점에서 고스트 바둑왕 밈이 한 때 유행했었다. 당연히 고스트가 은퇴하며 사장된 밈.
- 농심 유스 시절 동료들에게 러셀로 불렸다고 한다.
- 프로 데뷔 이전 실력이 좋았음에도[13] 고2때까지 야자를 할 정도로[14] 당시까지는 프로를 할 생각이 없었던 듯 하다. 고2때 마스터를 찍고 프로가 되기로 결심, 1년만에 바로 챌린저를 찍고 1군으로 콜업되었다.
- 고3 올라가는 시기에 고등학교를 자퇴해 최종 학력은 중졸이다.
- 리그 오브 레전드를 처음 시작한 시기는 중학생때 크레이지슈팅 버블파이터를 하다가 친구들을 따라 시작했다고한다. 배운지 얼마되지 않아 친구들이 너 못하니까 서포터하라고 해서 서포터를 하게 되었으며 처음 플레이 한 챔피언은 럭스.
- 농심의 성골 유스 출신으로 과거 팀 다이나믹스 시절 아카데미 시리즈에서 서포터로 출전한 적이 있다. 특히나 2021년 스토브리그 당시 농심의 모든 1군 선수가 이적하게 되어 프랜차이즈 스타가 없다는 아쉬움을 샀으나 1군 콜업 되자마자 출전까지 하고 맹활약하여 스포트라이트를 받게되자 농심의 차기 프랜차이즈 스타로 지지를 받았었다. 하지만 농심에서 좋은 모습보다는 부진한 모습을 더 많이 보여주고, 농심에서의 커리어 막바지에는 선수들 간 불화와 워크에식이 불량하다는 루머까지 돌 정도로 팬들의 여론이 악화되기도 했다. 결국 피터가 2024년 스토브리그 때 kt로 이적하며 농심 팬들 입장에서는 ’잘 키워내지 못한 아픈 손가락’과 ‘기회를 주었음에도 증명해주지 못한 망픽‘이라는 애증의 평가가 공존하는 편이다.
- LCK 시청자들 사이에서 둥글둥글하고 어려보이는 인상이 귀엽다는 의견이 많다.
- 롤모델은 울프다.[15]
- 고등학생때 사회·문화와 정치와 법, 지구과학, 생명과학을 배운 전형적인 문과 학생이었으며 가장 좋아한 과목은 역사다.
- 남동생이 T1 루키즈 팀의 미드라이너 'Hwichan' 정휘찬이다.
- 경기할때마다 마우스 장패드를 거꾸로 놓고 쓰는데 장패드 끝부분이 닳은 게 신경쓰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 현재 가장 자신 있는 챔피언으로 카르마를 꼽았다.
- 농심 시절 팀 내에서 가장 친한 선수로 동갑내기인 피에스타를 꼽았다.
- 닉네임 유래는 영어 학원에서 지어줬다고 한다.
- 독특한 웃음소리와 높은 텐션으로 인해 경기 중간중간에 큰 웃음을 주고 있다.
- MBTI는 ENFP이며, 25 KT 멤버 중 유일한 E성향이다.
- 아직 해외여행을 한번도 가보지 못했다고 하며 그로 인해 올해 꼭 월즈를 가고 싶다고 한다.[17] 그리곤 2025 플옵 2라운드에서 한번도 이기지 못한 젠지를 상대로 승리하며 월즈 진출뿐 아니라 LCK 최초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까지 성공하며 그의 여권이 빛을 발하게 되었다.
7. 둘러보기
정윤수 관련 틀 | |||||||||||||||||||||||||||||||||||||||||||||||||||||||||||||||||||||||||||||||||||||||||||||||||||||||||||||||||||||||||||||||||||||||||||||||||||||||||||||||||||||||||||||||||||||||
|
[1] 현 KT Esports Academy 소속 미드 라이너[2] Nongshim RedForce
(2021.12.07 ~ 2022.07.10)
Nongshim RedForce
(2022.11.22 ~ 2024.05.28)[3] 실제로 KT 이적 이후 개인방송에서 ’와드 박는 방법부터 다시 배웠다‘고 피터 본인이 직접 언급하였고 2025 LCK에서 굉장히 스텝업한 모습을 보이자, 그를 프랜차이즈로 육성하려던 농심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의문부호를 표시하는 여론이 늘어났다.[4] 이 당시에는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가 아니었지만, 2라운드 이후 팀의 기량이 복구된 후 시점에서 복기했을 때 피터가 생각 외로 무너져 가는 팀을 잘 지탱해준 것이 보였다. 일반적인 경기 양상에서는 사실상 미드인 비디디가 모든 것을 해결해야만 하는 1대5 수준의 경기였는데, 피터의 피아 모두에게 혼란스러운 플레이가 게임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그나마 5대5에 가깝게 만들어준 덕에 몇경기라도 승리할 수 있었던 것.[5] 가장 대표적인 별명, 팬들 사이에서 가끔 거론된다. KT전이 끝나고 실제로 거미줄을 쏘는듯한 흉내를 내면서 본인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것 같다.[6] 통통하고 귀여운 생김새로 인한 별명[7] 고스트 선수와의 바텀 듀오가 고스트 바둑왕 밈을 가져 생긴 별명. 보통 고스트 바둑왕으로 부른다.[8] 선수 본인이 원하는 별명[9] 케리아의 역천괴를 잇는 역대 최강 귀요미 서포터[10] 파트너 원딜이 지우가 되면서 생긴 별명. LCK 공식 썸네일에도 박제되었다.[11] 아마 4단 정도면 바둑 좀 한다는 일반인들 중에선 탑클래스에 해당하며, 프로 바둑 기사들과도 2~3점 접바둑으로 대국하면 반반싸움은 할 수 있는 정도다.[12]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가능성이 낮아도 일단 들이 박아야 하는 불리한 구도에서 더 나은 수를 찾다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대로 게임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13]
2년 전 피터가 고2일 당시 해설을 갔던 포니의 평가이다.[14] 개인 방송에서 밝혔다.[15] 재밌게도 같은 팀 선배 에포트도 롤모델이 울프다.[16] 참고로 두 스킨 모두 본인의 우상인 울프의 헌정스킨이다.[17] 이미 여권도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2021.12.07 ~ 2022.07.10)
Nongshim RedForce
(2022.11.22 ~ 2024.05.28)[3] 실제로 KT 이적 이후 개인방송에서 ’와드 박는 방법부터 다시 배웠다‘고 피터 본인이 직접 언급하였고 2025 LCK에서 굉장히 스텝업한 모습을 보이자, 그를 프랜차이즈로 육성하려던 농심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의문부호를 표시하는 여론이 늘어났다.[4] 이 당시에는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가 아니었지만, 2라운드 이후 팀의 기량이 복구된 후 시점에서 복기했을 때 피터가 생각 외로 무너져 가는 팀을 잘 지탱해준 것이 보였다. 일반적인 경기 양상에서는 사실상 미드인 비디디가 모든 것을 해결해야만 하는 1대5 수준의 경기였는데, 피터의 피아 모두에게 혼란스러운 플레이가 게임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그나마 5대5에 가깝게 만들어준 덕에 몇경기라도 승리할 수 있었던 것.[5] 가장 대표적인 별명, 팬들 사이에서 가끔 거론된다. KT전이 끝나고 실제로 거미줄을 쏘는듯한 흉내를 내면서 본인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것 같다.[6] 통통하고 귀여운 생김새로 인한 별명[7] 고스트 선수와의 바텀 듀오가 고스트 바둑왕 밈을 가져 생긴 별명. 보통 고스트 바둑왕으로 부른다.[8] 선수 본인이 원하는 별명[9] 케리아의 역천괴를 잇는 역대 최강 귀요미 서포터[10] 파트너 원딜이 지우가 되면서 생긴 별명. LCK 공식 썸네일에도 박제되었다.[11] 아마 4단 정도면 바둑 좀 한다는 일반인들 중에선 탑클래스에 해당하며, 프로 바둑 기사들과도 2~3점 접바둑으로 대국하면 반반싸움은 할 수 있는 정도다.[12]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가능성이 낮아도 일단 들이 박아야 하는 불리한 구도에서 더 나은 수를 찾다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대로 게임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