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2:12:58

정윤수(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kt Rolster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0a07> 감독 [[고동빈|고동빈
Score
]]
코치 [[김무성(e스포츠)|김무성
Museong
]]|[[손승익|손승익
Sonstar
]]
로스터
파일:TOP_icon_100.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민(2004)|이승민
PerfecT
]]
파일:JGL_icon_100.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MID_icon_100.pn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ADC_icon_100.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대길|서대길
deokdam
]]
파일:SUP_icon_100.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윤수(프로게이머)|정윤수
Peter
]]
2군 로스터
LCK 참가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정윤수_25_레드(수정본).png정윤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0a07> 소속 구단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2021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2022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2022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2023 · 2024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ESPORTS ACADEMY
2024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Rolster Challengers
2025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Rolster
2025
평가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기록 대회 경력
기타 여담
}}}}}}}}} ||
파일:KT.C_Peter_2025_Split_1.png
<colbgcolor=#000><colcolor=#ff0a07> kt Rolster
Peter
정윤수 (Jeong Yun su)
출생 2003년 4월 28일 ([age(2003-04-28)]세)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순천부영초등학교 (졸업)
순천연향중학교 (졸업)
순천복성고등학교 (중퇴)
가족사항 부모님
남동생 정휘찬(2006년생)[1]
ID Happy #day12 #
아름다운 나라 #K T #
포지션 서포터
데뷔 2021년 12월 10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1-12-09)]일째, [age(2021-12-10)]주년)
소속
[ 펼치기 · 접기 ]
NS Academy
(2020.11.27 ~ 2021.05.12)
NS ESPORTS ACADEMY[2]
(2021.05.12 ~ 2024.11.12)
KT Challengers
(2024.11.19 ~ 2025.03.30)
kt Rolster
(2025.03.30 ~ 2025.11.17예정)
국가대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대회 경력4. 주요 경력5. 선수 경력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kt 롤스터 소속 서포터.

2. 플레이 스타일

안정적인 육각형을 가진 서포터 플레이어. 1군에서 경쟁하는 서포터들이 각자 특출나게 강한 툴이 있다면, 피터는 특출나게 강한 툴은 없지만 서포터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역할에서 모두 평균 이상은 해 주며 팀게임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모난 부분 없이 플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틸리티 플레이어형 서포터로 평가된다.

경기 외적인 장점이 있다면, 바로 집중력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과거 프로 바둑 기사를 지망한, 롤 프로게이머로서는 상당히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고, 바둑 자체가 시작과 끝이 모두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그 계산에 따른 전략을 장시간 빌드업하며 수행해 나가는 두뇌 스포츠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과거 영향으로 농심에서 부진할 때도 소위 잘 긁히는 날에는 실수 하나 없는 완벽 그 자체에 가까운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했으며, 알을 깼다고 평가받는 KT 시절에는 저점이 뜨는 경우 빈도 수 자체가 줄어 강한 집중력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플레이를 선보이고 있다.

단점이 있다면, 대회 경험 자체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어 1군에서 기회를 받던 신인 시절에는 서포터라면 해서는 안 되는 기본적인 부분에서 실수가 많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어느 정도 경험치가 쌓인 지금도 본인에게 팀적으로 무언가 부담이 많이 가는 상황에서는 더 나은 경우의 수를 찾다가 종국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게임을 지는 아쉬운 결단력을 내비칠 때가 많다. 단적인 예시로 스킬 다 들고 팀원 서포팅을 안 해서 그대로 선수가 폭사하여 뭘 해보지도 못하고 경기를 진다던지, 암흑 시야애서 시야를 잡겠다고 팀원이 도와줄 수 없는 위치에서 시야를 잡다가 먼저 짤리고 시작한다던지, 성공 확률이 낮으나 다른 수가 없는 상황에서 이니시에이팅을 망설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팀파이트를 패배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이 가끔씩 나오기도 한다. 과거 동료였던 고스트의 말을 빌리자면, 가지고 있는 피지컬과 재능에 비해 경험이 부족한 점이 발목을 적지 않게 잡는 타입인 선수.# 단점의 원인으로는 데뷔 당시 선수 영입에 실패해 강제로 탱킹을 해야 하는 팀의 절망적인 상황 때문에 하위 리그에서 충분히 경험을 쌓지 못하고 1군에 올라와 단점을 개선할 시간이 없었고 이를 잡아줄 감코진도, 베테랑 선수도 없어서 기회를 많이 받은 것에 비해 부진했던 기간이 길었던 것으로 현재는 평가되고 있다.[3]

플레이 스타일이 유사한 선수로는 LPL. 장점과 단점 둘 다 비슷하고 나이마저 같다.

농심에서 주전으로 나오던 시절에는 점점 안 좋은 모습을 보여 CL만 전전하다 그대로 은퇴 수순을 밟아 잊혀질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2025년 친정팀인 농심을 떠나 kt 챌린저스로 이적한 후 2군에서 천천히 경험을 습득하며 데뷔 초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던 폼을 되찾는데 성공했고, 마침 1군에 있던 서포터 웨이의 부진으로 2025 LCK부터 다시 1군 무대에 복귀하는데 성공하였다. 콜업된 이후에는 비디디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저점을 찍는 와중에 비디디 다음 가는 2옵션 소리를 들었고,[4]나머지 선수들이 다시 폼이 올라온 뒤에는 본인이 저점일 때의 모습들이 한두번씩 나오기는 하지만 1, 2군을 오가며 단점들을 개선하고 어느 정도 안정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포지션에서 요구받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점점 우상향하는게 눈으로 보인다는 것이 중론.

다만 레전드 그룹 합류 후에는 경쟁자가 듀로, 딜라이트, 리헨즈, 케리아라는 리그를 넘어 세계구급으로 평가되는 서포터들이기에 상대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그래도 완전히 무너지진 않고 덕담을 보좌하는 역할에는 충실한 편이고, 잠깐 웨이를 올려 써보니 웨이가 좋지 않은 모습과 함께 덕담의 폼까지 같이 나락으로 빠지려 하자 몇 경기도 지나지 않아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전체적으로 KT에서 커즈, 비디디, 덕담같은 베테랑들과 함께하며 점점 기량이 상승되어가고 있으며, 아직까지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긴 하지만 바텀 듀오인 덕담과의 합이 좋고 벼락같은 이니시와 라인전 기량 또한 좋아지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시기인 플레이오프에서 그 젠지를 패자조로 떨어뜨리는데 성공하면서 점차 상위권 서포터 경쟁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기 시작했다.

3. 대회 경력

4.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우승
DK Challengers NS Challengers DK Challengers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우승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우승
대회 출범 Team Deft Team JGL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우승
KT Challengers KT Challengers BNK FEARX Youth
준우승 경력
2020 LCK Academy Series 챔피언십 준우승
DRX Challenge NS Academy AF Academy

5.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윤수(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윤수(프로게이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윤수(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7. 둘러보기

정윤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f05c><tablebgcolor=#d7f05c>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 (블루).svgLeague of Legends
Season Kickoff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1ab6> 시즌
<rowcolor=#001ab6> 파일:TOP_icon_SKE.png
TOP
파일:JGL_icon_SKE.png
JGL
파일:MID_icon_SKE.png
MID
파일:BOT_icon_SKE.png
BOT
파일:SPT_icon_SKE.png
SPT
2023 LCK
Team Def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orga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uzz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hov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ef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Peter
LCS
Zoomers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Reveng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Spica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jojopyu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erserker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Busio
LEC
Team Dynasty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Evi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Finn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Exakick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Rekkles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Trymbi
LPL
Create Our Legac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TheShy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XLB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Yagao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JackeyLov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Wink
CBLOL
Team dyNquedo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Tay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Aegis
[[대한민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
dyNquedo
[[대한민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
DudsTheBoy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Cavalo
LJL
Team Recruit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Nap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achamecha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Ar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Yutapon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Raina
LLA
La Grellneta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Kaze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rell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cody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Ceo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
Ackerman
PCS
Team Nash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Lika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Gemin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ubao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Wako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Enso
VCS
Team Artemis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Kiaya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DNK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Glory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Artemis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Taki
2024 LCK
Team JGL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On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IDEO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Lucid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Sylvie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Peanut
2025 LCK
Team MID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hov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VicLa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ShowM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d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CGV Best Ceremony of the Wee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3 서머 1주 2023 서머 2주 2023 서머 3주 2023 서머 4주 2023 서머 5주
DRX
디알엑스

DRX | TEAM
Gumayusi
이민형

T1 | BOT
Viper
박도현

HLE | BOT
Rascal
김광희

DRX | TOP
Doran
최현준

GEN | TOP
2023 서머 6주 2023 서머 7주 2023 서머 8주 2023 서머 9주
Lehends
손시우

KT | SPT
UmTi
엄성현

BRO | JGL
Karis
김홍조

BRO | MID
Peter
정윤수

NS | SPT
Paduck
박석현

DRX | BOT
2024 스프링 1주 2024 스프링 2주 2024 스프링 3주 2024 스프링 4주
DnDn
박근우

NS | TOP
Jiwoo
정지우

NS | BOT
Bull
송선규

KDF | BOT
Keria
류민석

T1 | SPT
PerfecT
이승민

KT | TOP
2024 스프링 5주 2024 스프링 6주 2024 스프링 7주 2024 스프링 8주 2024 스프링 9주
Gumayusi
이민형

T1 | BOT
Rascal
김광희

DRX | TOP
Teddy
박진성

DRX | BOT
Jiwoo
정지우

NS | BOT
Quantum
손정환

KDF | SPT
2024 서머 1주 2024 서머 2주 2024 서머 3주 2024 서머 4주 2024 서머 5주
DRX
디알엑스

DRX | TEAM
Teddy
박진성

DRX | BOT
Kingen
황성훈

DK | TOP
kt Rolster
케이티 롤스터

KT | TEAM
윤수빈, 배혜지, 이은빈
LCK ANNOUNCER
2024 서머 6주 2024 서머 7주 2024 서머 8주 2024 서머 9주
Lehends
손시우

GEN | SPT
Peyz
김수환

GEN | BOT
Lehends
손시우

GEN | SPT
BuLLDoG
이태영

KDF | MID
Kingen
황성훈

DK | TOP
2025 컵 1주 2025 컵 2주 2025 컵 3주 2025 컵 4주 2025 컵 5주
Berserker
김민철

DNF | BOT
LazyFeel
쩐바오민

DRX | BOT
Siwoo
전시우

DK | TOP
Ucal
손우현

DRX | MID
ShowMaker
허수

DK | MID
2025 1주 2025 2주 2025 3주 2025 4주 2025 5주
Hanwha Life Esports
한화생명 이스포츠

HLE | TEAM
Peanut
한왕호

HLE | JGL
ShowMaker
허수

DK | MID
Kingen
황성훈

NS | TOP
Oner
문현준

T1 | JGL
2025 6주 2025 7주 2025 8주 2025 9주 2025 10주차
Gumayusi
이민형

T1 | BOT
Pony
임주완

LCK | Reporter
ShowMaker
허수

DK | MID
Gumayusi
이민형

T1 | BOT
2025 11주차 2025 12주차 2025 13주차 2025 14주차 2025 15주차
ShowMaker
허수

DK | MID
Kellin
김형규

BFX | SPT
BuLLDoG
이태영

DNF | MID
ShowMaker
허수

DK | MID
Croco
김동범

BRO | JGL
2025 플레이-인
ShowMaker
허수

DK | MI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CK 폐지 후 LCK CL 출범.
2021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Roach · Mowgli · Mireu · Berseker · Asper · Hoit
서머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onely · Flawless · Karis · Ophelia · Dice · Envyy · Kael
2022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Rahel · Bible · Kingdom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nDn · Sylvie · FIESTA · Jiwoo · Peter · Goliath · Blessing
2023 스프링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Saint · Rahel · Bible · Loopy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Mihile · Sounda · Callme · Calix · vital · HH
2024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Casting · HamBak · Zinie · Pout · Hype · Way
서머
2025 킥오프 Casting · Sero · YoungJae · Zinie · Paduck · Peter
정규 시즌 파일:BNK FearX 2025.png Soboro · Willer · Daystar · Enosh · Career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 파일:ECEA 로고.svgEsports Championships East Asia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국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fff><rowcolor=#61b52f> 20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lllI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onn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nvy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eo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Bazi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hot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c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IES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he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blesse
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os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mBa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li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t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lac
2024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Nuo
파일:중국 국기.svg
climber
파일:중국 국기.svg
xqw
파일:중국 국기.svg
chips
파일:중국 국기.svg
Mitsuki
- 파일:중국 국기.svg
BoBo
}}}}}}}}} ||


[1] 현 KT Esports Academy 소속 미드 라이너[2] Nongshim RedForce
(2021.12.07 ~ 2022.07.10)
Nongshim RedForce
(2022.11.22 ~ 2024.05.28)
[3] 실제로 KT 이적 이후 개인방송에서 ’와드 박는 방법부터 다시 배웠다‘고 피터 본인이 직접 언급하였고 2025 LCK에서 굉장히 스텝업한 모습을 보이자, 그를 프랜차이즈로 육성하려던 농심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의문부호를 표시하는 여론이 늘어났다.[4] 이 당시에는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가 아니었지만, 2라운드 이후 팀의 기량이 복구된 후 시점에서 복기했을 때 피터가 생각 외로 무너져 가는 팀을 잘 지탱해준 것이 보였다. 일반적인 경기 양상에서는 사실상 미드인 비디디가 모든 것을 해결해야만 하는 1대5 수준의 경기였는데, 피터의 피아 모두에게 혼란스러운 플레이가 게임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그나마 5대5에 가깝게 만들어준 덕에 몇경기라도 승리할 수 있었던 것.[5] 가장 대표적인 별명, 팬들 사이에서 가끔 거론된다. KT전이 끝나고 실제로 거미줄을 쏘는듯한 흉내를 내면서 본인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것 같다.[6] 통통하고 귀여운 생김새로 인한 별명[7] 고스트 선수와의 바텀 듀오가 고스트 바둑왕 밈을 가져 생긴 별명. 보통 고스트 바둑왕으로 부른다.[8] 선수 본인이 원하는 별명[9] 케리아의 역천괴를 잇는 역대 최강 귀요미 서포터[10] 파트너 원딜이 지우가 되면서 생긴 별명. LCK 공식 썸네일에도 박제되었다.[11] 아마 4단 정도면 바둑 좀 한다는 일반인들 중에선 탑클래스에 해당하며, 프로 바둑 기사들과도 2~3점 접바둑으로 대국하면 반반싸움은 할 수 있는 정도다.[12]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가능성이 낮아도 일단 들이 박아야 하는 불리한 구도에서 더 나은 수를 찾다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대로 게임이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13] 파일:포니과거피터평가.jpg 2년 전 피터가 고2일 당시 해설을 갔던 포니의 평가이다.[14] 개인 방송에서 밝혔다.[15] 재밌게도 같은 팀 선배 에포트도 롤모델이 울프다.[16] 참고로 두 스킨 모두 본인의 우상인 울프의 헌정스킨이다.[17] 이미 여권도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