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44:46

조명가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본 웹툰이 원작인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조명가게(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본 웹툰이 원작인 디즈니+ 오리지널 드라마:
조명가게(드라마)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ffff ; min-width: 33%"
{{{#!folding [ 호러 · 액션 ]
{{{#!wiki style="margin: -6px -1px"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f2023> 미스테리 심리 썰렁물
#!wiki style="margin:0px -5px 0px -5px; min-width: 95px; word-break:keep-all''
'''{{{#000000 강풀 액션만화}}}'''
히든
}}}}}}}}}
[ 순정만화 ]
||<-6><bgcolor=#fbcfd0,#fbcfd0><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0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 순정만화 시리즈 ||
[ 기타 ]
||<-4><bgcolor=#d9d9d9,#191919><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width=10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 기타 만화 ||

}}} ||
조명가게
<nopad> 파일:조명가게 리커버.webp
장르 공포, 미스터리
작가 강풀
출판사 재미주의
연재처 카카오웹툰
카카오페이지
연재 기간 2011. 08. 01. ~ 2011. 12. 06.
연재 주기 월, 목
단행본 권수 초판: 3권 (2011. 12. 12)
재판: 3권 (2024. 12. 10.)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출간 현황5. 등장인물
5.1. 조명가게 주인5.2. 현민5.3. 지영5.4. 회색 옷의 남자5.5. 황중석5.6. 주현주5.7. 녹색 옷의 손님5.8. 윤선해(혼자 사는 여자)5.9. 지웅(노래 부르는 학생)5.10. 펜션 주인 노부부5.11. 경선(야자하는 여고생)5.12. 야근하는 간호사5.13. 정유희(내성적인 여고생)5.14. 중만(아파트 2층 사는 아저씨)5.15. 장발의 여자5.16. 양성식 형사(저승사자, 까메오)
6. 미디어 믹스

[clearfix]

1. 개요

한국의 공포 미스터리 웹툰. 작가는 강풀.

2. 줄거리

강풀 작가의 미스테리심리썰렁물 씨즌5 조명가게
미스테리심리썰렁물[1] 시리즈에 속한다. 분위기도 적당히 미심썰의 정도를 걷고 있다. 미심썰 시리즈 중 첫 작인 아파트와 함께 가장 공포에 초점을 둔 만화이다.

===# 스포일러 #===
22화에서 내용 전개상의 결정적인 스포일러가 나왔다. 각 화의 제목 왼쪽에 있는 전구의 점등 여부에 주목. 불이 켜진 전구가 있는 화는 '산 사람'의 시점에서 서술되었고, 불이 꺼진 전구가 있는 화는 '죽은 사람' 또는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사람'의 시점에서 서술되었다. 그리고 28화에서는 몇몇 등장인물이 외관상 이상하게 보이는 이유는 아직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지막화 뒷부분에서는 그분도 등장하셨으며, 그 외에도 마지막화를 잘 보면 가죽장갑끼고 다니는 모 청년도 찾을 수 있다.타이밍 시리즈 떡밥인가? 미심썰의 세계관이 같은 것임을 알려주는 표식일지도. 하지만 그 이외에는 다른 시리즈와의 연관점을 거의 찾을 수 없으므로 여타 미심썰과는 사실상 독립적인 작품으로 취급된다.

3. 연재 현황

파일:카카오웹툰 아이콘.svg 카카오웹툰연재작
{{{#!wiki style="margin: -5px -10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16px -11px" 완결 폐간 }}}

다음 만화속세상에서 2011년 8월 1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웹툰으로, 5년 전 쯤 이미 예고를 했던 네 작품 중[2] 중 마지막 작품으로,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비롯해 이때 구상한 작품들의 플롯이 탄탄한 편이었고 좋은 평가를 들었기 때문에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이전까지의 강풀의 작품과는 달리 도입부 내지 떡밥을 푼 연재분이 15화에 이르다 보니 "전개가 너무 느리다, 답답하다"는 의견과 "아직 연재분이 남았으니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자 지금은 곤란하다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의견으로 갈려 댓글창이 홍역을 치르고 있다...

10월 3일 15화로 1부가 완결되었고, 10월 13일부터는 2부에 해당하는 16화 연재가 시작. 그리고 1부에 풀린 떡밥 회수가 16화에서 시작되었다. 마지막화는 12월 6일 화요일에 올라왔다.

4. 출간 현황

파일:조명가게 리커버.webp 파일:스크린샷 2024-12-25 오전 12.01.09.png 파일:스크린샷 2024-12-25 오전 12.01.18.png
1권 2권 3권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강풀의 몇몇 작품을 보면 등장인물의 이름을 자신의 지인 이름을 차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작품의 등장인물 상당수가 그런 식이다. 가령 (탁)현민, (공)지영, (허)지웅 등.

5.1. 조명가게 주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명가게 주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현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현민(조명가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지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지영(조명가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회색 옷의 남자

2화에서 조명가게에 들어와 여러 조명 중 딱 하나 꺼진 조명만 쳐다보다 다시 나간다. 온 몸이 비스무리한 걸로 뒤덮여서 상당히 지저분하고 귀에서 흙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었다.

그는 이 많아서 사채를 썼지만 곧 눈덩이처럼 불어난 사채 빚을 견디다 못해 사채업자에게 저항하다가 산채로 암매장 당했던 것. '자긴 무슨 말을 해도 들리지 않는다'며 영안실로 향했지만 간호사중환자실에 누워 있던 그의 귀에서 귀이개로 연신 흙을 후벼내며 힘 내요라고 위로해줘 영안실 입구 앞에서 멈춰섰다.

5.5. 황중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황중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 주현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현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녹색 옷의 손님

5.8. 윤선해(혼자 사는 여자)

파일:조명가게 윤선해.jpg

5.9. 지웅(노래 부르는 학생)

파일:조명가게 지웅.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허지웅(조명가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0. 펜션 주인 노부부

5.11. 경선(야자하는 여고생)

5.12. 야근하는 간호사

파일:조명가게 간호사.jpg

5.13. 정유희(내성적인 여고생)

5.14. 중만(아파트 2층 사는 아저씨)

5.15. 장발의 여자

5.16. 양성식 형사(저승사자, 까메오)

마지막 화에서 조명가게에 들어와 망가진 전구[15]를 입수하고는 나간다. 조명가게 주인의 "담배 좀 끊게." 대사가 약간의 개그 포인트이자 양성식 형사의 심리를 나타내는 증거.

6. 미디어 믹스

6.1.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명가게(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냥 미스터리 & 공포물이다. 여담이지만 강풀은 이 장르를 만든 자신의 네이밍센스를 깠다. 없어보인다고...[2] 그대를 사랑합니다, 통증(영화화), 타이밍 2어게인, 조명가게[3] 처음엔 조금 놀라는 눈치였지만 담담하게 염하면서 꼬박꼬박 시체의 질문에 대답해준다. 그러나 보면 이 사람의 입에는 이미 솜이 들어가 있고, 하는 말은 말풍선이 다르다. 죽은 사람은 속으로 생각하는 거고, 장의사는 시신이 눈을 뜬 걸 보고 놀란 후에 시신에게 말을 건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아니면 장의사가 영감이 있어 영혼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인지도.[4] 입에 들어가있는, 현실에서 염 할때 넣은 솜을 꺼내지도 못하기 때문에 더 애잔하다.[5] 걸려 있던 옷 중에는 여자가 처음 보는 병원 환자복도 있었다.[6] 눈을 감고 쭈그리고 앉아 엎드린 상태였는데 자기 머리카락이 단발인데도 팔에 닿는 느낌이 들자 눈을 떴더니 장발의 여자가...[7] 23화 초반부에서 두 사람(선해와 장발의 여자)의 관계는 친자매처럼 보였지만, 23화 마지막에 반전이 나오는데... 사실 둘은 커플이었다. 세상의 편견을 부담스러워한 선해가 혼자 떨어져 살기 위해 외진 곳에 방을 구했던 것. 하지만 새로 구한 방에서 제대로 살아보기도 전에 사고를 당했고, 결국 몸은 병원에 의식불명 상태로 누운 채 유체이탈한 생령만 새로 구한 집에 갇혀 있었던 것이다.[8] 강풀의 부모님이 운영하는 펜션을 모델로 한듯.[9] 심한 과다행동과 생생한 환각, 초조함과 떨림이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통 중독질환, 대사성 질환, 전신감염, 신경계감염, 뇌외상, 전신마취, 대수술 등에서 나타나는데 일부 환자는 대수술 후 코마에서 깨어난 후에도 환각증세를 주장한다.[10] 하지만 이때 경선의 표정은...[11] 보기에 따라선 중만이 조명가게 아저씨 이름으로 보일 수 있으나, 22화는 꺼진등(저승)과 켜진등(이승)이 모두 나타나 있고 나중에 나온 켜진등 이후로 이승에서 있었던 일이 나오기 때문에 중만은 2층 아저씨로 보는 것이 맞다.[12] 의료진은 그녀가 선해의 자매인가 싶었지만 자매는 아니라고 했고, '미안해. 세상의 눈이 두려웠어. 우리 여기서 나가면 같이 살자. 사랑해 언니.'라는 선해의 독백으로 미루어 보아... 댓글란에서 두 사람의 관계에 관한 의견이 분분해지자 강풀은 트위터에서 "세상의 모든 사랑에 관한 이야기"라고 언급했다. 친자매가 아닌 언니라는데 설마 모성애겠어?[13] 어찌나 세게 끌어안았는지 풀리지가 않아 의료진이 억지로 떼어냈다.[14] 미안한 마음에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아 몸에서 물이 흐르고 있다.[15] 망자의 영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