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4:43:25

중화제국(Hearts of Iron IV)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Hearts of Iron IV/국가/형성 가능 국가
파일:HOI4_Banner_for_700px.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c7b89e; word-break: keep-all"
{{{#!folding [ 국가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or: #000, #ddd"
<colbgcolor=#575a52> 7대 열강 국가 프랑스 | 미합중국 | 영국 | 독일국 | 이탈리아 | 일본 | 소비에트 연방
무료 고유 중점 국가 <colbgcolor=#575a52> UaR 폴란드
TfV 남아프리카 | 뉴질랜드 | 영국령 인도 | 캐나다 자치령 | 오스트레일리아
DoD 루마니아 | 유고슬라비아 | 체코슬로바키아 | 헝가리 왕국
WtT 광서군벌 | 만주국 | 산서군벌 | 서북삼마 | 신강군벌 | 운남군벌 | 중국 | 중국 공산당
유료 고유 중점 국가 MtG 네덜란드 | 멕시코
LaR 스페인 | 포르투갈
BtB 그리스 왕국 | 불가리아 | 터키
NSB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에스토니아
BBA 스위스 | 에티오피아
AAT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ToA 브라질 제2공화국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공화국
공용 중점 국가 유럽 룩셈부르크 | 벨기에 | 아일랜드 | 알바니아 | 오스트리아
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공화국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파나마 | 페루
아프리카 라이베리아 | 아우사 술탄국
아시아 네덜란드령 동인도 | 네팔 | 몽강연합자치정부 | 몽골 | 부탄 | 시암 | 아프가니스탄 | 영국령 말라야 | 탄누 투바 | 티베트 | 필리핀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오만 | 이라크 | 이란
민주주의 국가 | 공산주의 국가 | 파시즘 국가 | 비동맹주의 국가
국가 | 7대 열강 국가 | 고유 중점 국가 | 형성 가능 국가 | 해방 국가 }}}}}}}}}

1. 개요2. 정보
2.1. 국가2.2. 정부2.3. 형성 이벤트
3. 공략
3.1. 도전과제

1. 개요

Hearts of Iron IV에서 중화제국의 공략을 다루는 문서이다.

2. 정보

국기
파일:중화입헌군주국(Hearts of Iron IV).jpg 파일:통일중화인민공화국(Hearts of Iron IV).jpg 파일:중화제국_1(Hearts of Iron IV).jpg 파일:중화제국_2(Hearts of Iron IV).jpg
중화입헌군주국 통일중화인민공화국 중화제국 중화제국

2.1. 국가

가능 국가 & 형성 방법
가능 국가 형성 방법
파일:만주국(Hearts of Iron IV).jpg만주국 중점
(파일:Waking the Tiger icon(Hearts of Iron IV).pngWaking the Tiger)
핵심 영토
차하얼(244), 간쑤(283), 타클라마칸(287), 윈난(325), 홍콩(326), 지린(328), 타이완(524), 하이난(591), 광저우(592), 광둥(593), 난닝(594), 푸젠(595), 저장(596), 산둥(597), 장쑤(598), 광시(599), 장시(600), 시캉(601), 후난(602), 구이저우(603), 칭하이(604), 쓰촨(605), 안후이(606), 허난(607), 베이징(608), 동허베이(609), 러허(610), 차하얼(612), 상하이(613), 허베이(614), 산시(산서)(615), 닝샤(616), 우루무치(617), 중가리아(618), 야르칸드(619), 후베이(620), 쑤이위안(621), 산시(섬서)(622), 헤이룽장(714), 랴오닝(715), 랴오둥(716), 쑹장(717), 광저우만(728), 마카오(729), 칭다오(743), 시안(744), 다롄(745), 오르도스(746), 다리(747), 쭌이(748), 황산(749), 창더(750), 량산(751), 간쯔(752), 간난(753), 궈뤄(754), 하이시(755), 주취안(756), 쿤룬산(759), 다반청(760), 후룬베이얼(761)
인력
핵심 영토 인구
489.99M

2.2. 정부

정부
자오상즈 챵린링지 선통제
파일:Xuantong(Hearts of Iron IV).jpg
선통제
파일:Xuantong(Hearts of Iron IV).jpg
민주주의 공산주의 만주국
협화회

(집권당)
비동맹주의

2.3. 형성 이벤트

천명 주장 중점을 완료하면 국호가 중화제국으로 바뀌며 이벤트가 발생한다.
선통제의 천명 주장
만세의 군주, 천자, 대청의 황제이자 중국의 황제인 선통제는 호화롭게 수놓아진 용포를 입고 용상에 올라, 보기 드문 두 번째 대관식을 열었고 옛 조상들이 그러했듯 자금성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오랜 법도에 따라 선통제는 그의 군사들이 중화 내전에서 승리한 것은, 중국을 이끌어가라는 천명을 증명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선대 황제들이 주장했듯, 이것이 '천하'를 통치하라는 의도가 담긴 것인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잘못된 것을 바로잡았다"

3. 공략

3.1. 도전과제


태양을 삼킨 용 도전과제는 만주국으로 일본의 핵심 영토를 모두 점령해야 한다. 얼핏 보면 초인적인 난이도를 자랑할 것 같지만, 공수부대를 잘 활용하고 약간의 운만 따라준다면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

일본을 모두 합병하면 업적이 클리어된다. 단 일본 본토만이 아니라 미나미토리시마, 이오지마와 오키나와도 합병해야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이 영토들도 모두 일본의 핵심주다.

중국도 밀어버리고 싶다면 주장을 타면서도 사실 중일전에 참전하는 게 좋은데 거듭된 패치로 일본이 빠르게 중국을 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본에 무기 지원을 꾸준히 얻어낼 수 있다는 점도 좋다. 일본은 공군 전력에 투자하지 않으므로 중국을 밀어버리는 걸 도우면서 공세에 참가하지 않고 방어전만 도우면 육군 페널티에 시달리는 중국군은 무모한 공세를 반복하며 육군 경험치와 공군 경험치를 상납하고 일본을 중국 깊숙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일본이 중국 전선에 깊숙이 들어갔을 때 독립전쟁을 시작하면 화이트 피스 이벤트로 중국 일본과의 강제 정전을 피할 수 있고 일본 본토를 점령 중이어도 일본 AI는 중국과 싸우느라 병력을 소환하지 않는다. 일본이 항복한 이후에도 일본 점령지가 대거 만주에 넘어오기 때문에 중국을 마저 밀어버리는 게 쉽다.

단 화이트 피스 이벤트는 역사적 중점 AI가 켜져 있을 때만 작동하며, 이게 꺼져있을 때는 디시전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해도 AI가 활성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참고하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