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9:38:42

착륙

착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랜딩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프리카 TV BJ에 대한 내용은 랜딩(인터넷 방송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비행기의 운항 과정
지상조업
주기장
택싱
유도로
🛫이륙
활주로
상승 순항
항로
하강 🛬착륙
활주로
지상 비행
파일:HL8084 착륙.jpg
대한항공 소속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착륙[1]

1. 개요2. 설명3. 종류
3.1. 일반적인 착륙
3.1.1. 연착륙(Smooth Landing, Soft Landing)3.1.2. 경착륙(Firm Landing, Hard Landing)
3.2. 불안정 착륙3.3. 생사를 걱정해야 하는 경우
3.3.1. 동체 착륙(Belly Landing)3.3.2. 불시착
4. 비행정의 착수5. 군용기의 착륙
5.1. 항공모함에서의 착함5.2. 강습상륙함에서의 착함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야간에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는 A330 조종석
B737-NG 여객기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에 접근하는 장면[2]
A380 조종석에서 보는 착륙
이륙은 선택이지만, 착륙은 필수다.
Takeoffs are optional, landings are mandatory.
하늘 위에서 땅에 있길 바라는 것보다, 땅에서 하늘에 있길 바라는 게 더 낫다.
It's better to be down here wishing you were up there, than to be up there wishing you were down here.
착륙(, Landing)은 항공기가 비행을 끝마치기 위해 고도를 낮추고 속도를 줄여 지면 또는 활주로에 내려앉아서 멈추는 것을 말한다. 반대말은 땅을 박차고 날아오르는 이륙이다.

2. 설명


대다수의 비행기들은 더 많은 양력을 얻기 위해 착륙 중에 플랩을 내린다. 착륙속도는 기종과 무게에 따라 다르지만, 소형기[3]는 100노트, 중소형기[4]는 130노트, 중형기[5]는 135노트, 대형기[6]는 140노트, 초대형기[7]는 145노트 정도이다.

착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역시 동체의 총중량. 단 비행중에 연료를 충분히 소비했기 때문에 이륙 시에 비해서는 더 가볍다. 그 외에도 기압 및 바람의 방향과 세기, 활주로의 상태, 활주로의 노면상태, 플랩의 각도 등이 있다. 먼 과거에는 날씨가 궂을 때에는 착륙 시 제한을 받기도 했으나, 오늘날에는 계기착륙장치 같은 장비들이 있어서 그런 제한이 많이 해소된 상태이다.

이륙에 이어 공항 인근에 소음공해를 유발하는 2순위 행위이기도. 이 때문에 이착륙 시 소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절차인 NADP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분당 700~800ft 정도로 강하하며, 진입각도는 대략 3˚정도.[8] ILS가 없을 경우 육안으로 활주로 또는 유도등을 확인하여 착륙하는데, 이와 같은 전 과정의 안전을 돕기 위해 "착륙결심고도" 같은 것도 존재한다. 각각의 고도에서는 해당 고도와 중량에 맞게 착륙에 적합한 속도가 존재하며, 착륙 중 GPWS는 열심히 지면과 비행기 간의 거리를 피트 단위로 불러준다. 조종간을 잡고 있지 않은 조종사는 그동안 계속해서 어프로치 - 타워 - 그라운드 식으로 주파수를 바꾸어 가며 관제를 받는다. [9]

날씨가 그렇게 나쁘지 않다면, ILS가 있는 공항이라도 웬만큼 정렬되었다 싶으면 자동운항을 종료하고 수동으로 비행하는 경우가 많다. 활주로 시작지점에서 항공기의 고도는 50ft 정도이며, 항공기가 지면에 거의 닿기 직전에는 기수를 살짝 들면서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바꾼다. 항공기의 전방 랜딩 기어인 노즈 기어는 착륙할 때의 항공기 하중을 혼자서는 버티지 못하기 때문에 착륙 시 기수를 살짝 드는데, 이 동작을 플레어라고 한다. 대형 제트 항공기의 경우, 착지 직후에는 스포일러를 펼쳐서 양력을 줄이고 공기저항을 늘리며, 엔진 역추진을 더해서 70 노트까지 속도를 낮춘다.[10] 70 노트 이하에서 역추진을 하면 활주로의 이물질들이 엔진에 빨려들어갈 위험이 있으니 역추진을 하지 않는다.

항공기 운항 전 과정 중 가장 바쁘고 위험한 시간대이다. 조종사들이 가장 바빠지는 시간대이기도 하거니와 지면과 워낙 가까이 있다 보니 무슨 문제가 생겨도 신경쓰거나 대처할 만한 시간이 충분치 않다. 공항 근처에 적란운과 같은 악천후가 있다면 벼락을 맞거나, 우박을 맞고 동체가 파손되거나, 버드 스트라이크, 다운버스트[11] 같은 변수들도 추가된다. 실제로 이로 인한 사고사례도 있다. 그래서 이륙 후 3분, 착륙 전 8분이 항공기에게 가장 위험한 순간이라고 말하기도. 그래서 요즘엔 군용기에 쓰이던 HUD를 여객기에 도입하여 안전한 운행에 도움이 되고 있다. 보잉 737, A380은 옵션이나 서드파티로 장비할 수 있고 보잉 787은 아예 기본 옵션으로 HUD가 달려나온다.

착륙하고자 하는 공항이 굉장히 크고 바쁜 곳이라면 하늘에서 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보통은 선회를 하면서 순서를 기다리는데, 조종사뿐 아니라 관제탑도 바빠지기 때문에, 간혹 이 과정에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지상충돌 사고와 같은 사고[12]를 겪는 경우도 드물게나마 있다. 선회가 길어지게 되면 당연히 잔여 연료가 부족해지게 되므로 위험할 수 있다. 착륙에도 순서가 있는데, 먼저 들어온 항공기가 먼저 착륙하는 게 원칙이긴 하지만, '기체 연료 부족, 기내 중환자 발생, 국가원수 및 부원수급 VIP 탑승기, 군사작전' 등의 경우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단, 회전익항공기는 앞에 언급된 조건이 없다면 무조건 맨 마지막에 착륙해야 한다.

이렇게 착륙 시간이 임박하면, 이때부터 조종사 뿐만 아니라 기내의 모든 승무원들이 바빠지며, 친절하던 승무원들이 상당히 엄격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착륙이 임박하여 조종사가 방송으로 착륙준비를 지시하면 면세품 판매와 음료 및 음식 서빙 등 기내 서비스가 모두 중단되고, 화장실이나 복도에 있는 승객에게 자리로 돌아갈 것을 요청한다. 보편적으로 기장이 직접 안내방송을 통해 승객들에게 곧 착륙하니 자리에 앉고 좌석벨트를 착용하라고 지시한다. 승무원들은 돌아다니면서 승객들에게 등받이를 수직으로 세우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며, 테이블을 접고, 창문 덮개를 열어두고[13] 자리에서 일어나지 말 것을 지시하고, 재차 복도를 오고 가면서 착륙 준비가 미흡한 좌석이 있는지 직접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좌석은 재차 지시한다. 착륙을 위해 하강 시 기내 객실 전등이 전면 소등되며, 이 모든 상태를 점검한 후 최종적으로 승무원도 자리에 돌아가 밸트를 매고 착석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꽤 복잡한 만큼, 비행 중 가장 위험한 시간이고, 모두 안전을 위한 지침이니 승무원의 지시에 잘 따르도록 하자. 만약에 이런 지시를 따르지 않고 멋대로 행동할 경우 착륙이 지연되거나 착륙 후 바로 연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이/착륙 시 휴대전화와 같은 무선통신 장치가 착륙에 이상을 주어 위험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별 근거가 없다고 결론이 나는 듯하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비행기 모드로 이동할 것.

착륙 시 항공기의 랜딩 기어는 하늘에서부터 미리 내려져 있는데, 이때 타이어는 회전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14] 즉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백 km/h의 상대속도로 움직이는 활주로와 접촉하며, 그와 동시에 엄청난 비행기 중량을 견디게 되는 것. 접지 순간 타이어 표면의 온도는 150~200도까지 급상승하며, 흰 연기와 '끼이익' 하는 마찰음이 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 열영상 카메라에서 타이어가 가열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활주로가 빗물이나 눈으로 덮여있을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르겠지만. 이를 위해 타이어는 질소가스로 충전되어 있으며 이것은 승용차 타이어의 6~7배에 해당하는 압력이라고 한다. # 이 때문에 활주로에는 이 타이어 자국이 남게 된다. 공항의 항공 사진/위성 사진을 보면 활주로의 끝 부분에 길게 검은 자국이 그어져 있는데 바로 이 타이어 자국이다.

착륙을 위해 타이어가 활주로에 닿는 순간 굉음을 내며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는데 어느 정도의 충격이 약하지만 승객에게도 전달된다. 처음 비행기 타보는 승객은 이때 잠시 당황하기도 하며 항공기에 탑승한 영유아가 깜짝 놀라 울기도 한다. 그러나 위에도 서술했듯이 정지된 타이어가 활주로에 접지하여 강한 에너지가 발생하여 나오는 충격과 진동이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유튜브에서는 착륙 중 창문 밖의 모습을 찍거나, 아예 조종실 안으로 들어가서 찍는 영상들도 많이 업로드되어 있다. 조종실의 경우 당연히 유튜버가 조종사거나 혹은 사전에 허락을 받고 찍는 것이니 오해하지 말고 허가 없이는 따라하지 말자. 단, 일부 군 공항을 촬영하는 건 불법이므로 승무원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15]

특이한 착륙으로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이나 지금은 없어진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이 유명하다. 해당 문서로.

튀르키예, 그리스, 이탈리아남유럽 국가와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구 소련권 국가들에서는 비행기가 착륙했을 때 박수를 하는 풍습이 있다. 초기 비행기 시절의 전통이 이어져온 것인데, 이쪽으로 여행갈 때 특히 장거리 비행기에서 자주 목격할 수 있다. 간혹 비행 중 심한 터뷸런스가 발생했거나 여러 번의 고 어라운드 끝에 비행기가 착륙하는 등,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기체가 무사히 착륙에 성공했을 때 박수를 치기도 한다.

이렇게 어려운 과정이기에 착륙을 할 줄 알면 비행기 조종 다 배운 거라는 농담도 나온다.

3. 종류

3.1. 일반적인 착륙

3.1.1. 연착륙(Smooth Landing, Soft Landing)

연착륙 영상butter
그야말로 이상적인 착륙으로, 기장도, 승무원도, 승객도, 비행기 동체에도 항공기 정비사에게도 모두가 행복한 착륙. 날씨가 맑고 바람이 없을 때에 종종 볼 수 있다. 때로는 항공기가 착륙한 줄도 모를때도 있다.

링크의 내용에 따르면 착륙이 너무 느려도 랜딩기어(쇼바)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항공사 매뉴얼도 떠 있지 말고 롱 랜딩 대신 활주로로 직행하라고 되어 있다고 한다.

항덕들은 '버터 랜딩(butter landing)'이라고도 부른다.

3.1.2. 경착륙(Firm Landing, Hard Landing)

대한항공 보잉 777-300의 안쓰러운 캥거루 착륙 영상[16]
"조종사 양반, 내 한 가지 좀 물읍시다. 우리가 지금 착륙을 한 겁니까, 아니면 격추를 당한 겁니까?"
― 경착륙 후 출입문에서 쩔쩔매며 승객들에게 인사하는 기장을 보고, 어느 할머니
"당신이 나의 학생이었으면 나는 이 착륙에 C학점을 주었을 거요."
"교수님, 착륙에 C학점은 없습니다. Pass 아니면 Fail이 있을 뿐입니다."
― 유명한 관제탑 유머
거칠게 착륙하는 것. 비행기를 타 본 사람이라면 착륙할 때 부드럽게 착륙하는 경우도 있지만 '쿵' 하고 지상에 내려찍으면서 착륙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기체가 통통 튀기 때문에 Bouncy Landing 이라고도 한다. 갑자기 옆바람이 불거나, 윈드시어를 만나거나, 착륙조건이 까다롭거나, 기체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아니면 조종사의 실수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착륙은 착륙시 승객들을 불쾌하게 만들 수도 있다. 비행기 처음 타본 승객은 갑작스런 충격과 심한 진동에 당황하기도 한다. 만약 극한 상황에서 심한 경착륙이 예고되면 충격방지자세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고, 안 되겠다 싶으면 기껏 착륙한 후에도 다시 속도를 내어 재이륙하기도 한다. 이처럼 거친 착륙이 예상될 경우 승객들에게 안내하는 경우가 많다.

웬만하면 연착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쩔 수 없이 경착륙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기상상태가 안 좋거나, 항공기에 이상이 있어 급히 비상착륙을 해야 할 경우 차라리 경착륙이 예상되더라도 강하게 활주로에 착륙하여 안전한 착륙을 하는 것이 낫다. 승객에게는 불편하지만, 조종사도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니 혹시 비행기를 타다 경착륙을 경험하면 조종사를 원망하지는 말아주자. 참고로 하드랜딩은 조종사가 의도하지 않는 강한 충격을 동반한 착륙으로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착륙을 의미한다.

'경착륙은 안 좋은 착륙이 아니다'라는 격언이 있다. 안 좋은 착륙은 추락이며 살아있는 것만 해도 좋은 착륙이라는 뜻. 동시에 너무 강박적으로 연착륙을 추구하지 말라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로 단지 격언일 뿐만 아니라 그 격언 그대로 경착륙은 이상 착륙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경착륙은 정상 착륙이다. 비슷한 말로 위 인용문에 적힌 '착륙은 Pass와 Fail만이 있다'와 '조종사의 실력은 연착륙이 아닌 경착륙에서 드러난다'는 말이 있다.

3.2. 불안정 착륙

착륙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발생한 경우이다.

3.2.1. 복행(Go around)



항공기가 착륙을 위해 활주로에 접근하다가 착지 전에 착륙을 재시도하기 위해 활주로 상공을 날아서 지나치는 것. 기상의 악화나 활주로 상에 다른 항공기가 있는 등[17] 다른 이유로 인해 착륙이 너무 위험하겠다 싶을 때 결정하게 된다. 복행을 할 경우 시간과 연료가 추가적으로 소요되지만 그만큼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조종사들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판단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18]
원곡연장 버전
[ 가사 펼치기 · 접기 ]
>Well there I was on some fine sunday afternoon
그때는 아주 괜찮은 일요일 저녁이었지
Just me and my airplane
나와 내 비행기 단둘이서,
On a little airport we've never been to before
한번도 가본적 없는 작은 공항에 있었지
We're on short final and nothing was looking right
우리는 숏 파이널[19]까지 왔는데 상황이 전혀 좋아보이지 않았어
I was seeing red over red, white over white
그냥 빨간색이랑 하얀색만 번갈아 보였고,
And I couldn't seem to remember how that saying went anyway but
그런 걸 뭐라고 불렀는지는 기억이 안 났지만 아무튼
I was staring straight down at the runway
난 활주로만 뚫어지게 주시하고 있었지
And all I could think of was about setting myself up
그리고 내가 생각할 수 있는건 오직 준비를 하고 있는 나의 모습 뿐이었어
To ungraciously dismantle this perfectly good little airplane
이 완벽한 비행기를 처참하게 부숴버리는 것을
And, and then off in the distance I heard a voice
그 때, 어딘가 멀리서 한 목소리가 들려왔지
And I think it was that of my flight instructor saying:
그건 아마도 내 비행 교관이 해준 말이었던 것 같아: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후렴구)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If it don't look right coming down
만약 내려가는게 영 좋지 않아보인다면
Don't wait until you're sideways maybe sliding on the ground
너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에 미끄러질 때까지 기다리지 마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I know back when, when I learned to fly
난 기억하지, 내가 비행하는 법을 배우던 때에
My instructor was yelling in my ear
내 교관이 귀에 소리치던 것을
Power in, carb' heat cold, climb out, pitch, flaps to go
추력 높이고, 카뷰레터 히터 끄고, 상승, 피치, 플랩 올리고
Take it 'round the patch, one more time again
빙 돌아서 다시 한번 가자고
But I know now, he was showing me
하지만 난 이제 알아, 그는 나에게 보여주려고 했던거야
That's just because the nose is pointing down
단지 기수가 아래로 내려가 있어서 그렇다는 것을
If it doesn't look right
만약 뭔가 맞지 않아보인다면
Give it one more try
한번 더 시도해보라고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으니까

(후렴구)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If it don't look right coming down
만약 내려가는게 영 좋지 않아보인다면
Don't wait until you're sideways maybe sliding upside down
너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뒤집어져 미끄러질 때까지 기다리지 마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You're coming in
넌 공항에 접근하는 중이야
You see you're high and fast
넌 네가 너무 높고 빠르다는 걸 깨닫지
But your mind is set on somehow getting down
그런데 네 마음은 어째선지 계속 내려갈 생각만 하고 있어
The runway leads to grass that leads into trees
활주로가 풀밭으로 이어지고, 또 나무로 이어지고
little beads of sweat are drippin' from your brow
네 눈썹에서 땀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겠지
You still got time
아직 시간은 많아
Simply change your mind
그냥 단순히 마음을 바꿔
It would sure be nice to fly this plane again
그럼 넌 이 비행기를 다시 온전하게 날릴 수 있을거야
With the wings still straight
너의 날개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this ain't no place to hesitate
여긴 너가 망설일 곳이 아니야
Pitch and power, gear and flaps...
피치, 추력, 기어랑 플랩...
"Hey, Go around!"
"이봐, 복행해!"

(후렴구 x5)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If it don't look right coming down
만약 내려가는게 영 좋지 않아보인다면
Don't wait until you're sideways maybe sliding on the ground
너가 옆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에 미끄러질 때까지 기다리지 마
You can always go around
넌 언제든지 복행할 수 있어

고 어라운드에 관해서 Ken Dravis의 'Go Around' 노래도 유명한데, 가사를 요약하면 무리하게 착륙하려다 사고내지 말고 위험할 땐 언제든지 복행하라는 뜻이다. 사실 이 노래는 원래 실제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작곡한 노래가 아니라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땐 고민하지 말고 돌아가서 다시 시도해라"라는 내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인데#, 이를 직관적으로 해석하면 조종사들에게 교훈적인 내용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복행을 할 경우 시간이 지체되고 승객들이 불안감과 불쾌감을 느끼겠지만, 그럼에도 시간을 지체시켜서라도 승객들의 안전을 우선시하라"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에서도 당시 조종사들의 고 어라운드 결정이 지나치게 늦었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부조종사가 지속적으로 고 어라운드를 요청하기만 했을 뿐 과감하게 조종간을 당기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지며 논란이 되었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니어미스 사고에서도 복행 판단이 조금이라도 늦었더라면 사상 최악의 참사[20]가 발생했을 것이다.

3.2.2. 터치 앤 고(Touch and Go)



경량항공기의 터치 앤 고.

항공기가 착륙을 위해 활주로를 활주하다가 착륙을 재시도하기 위해 다시 재이륙하는 것. 이 경우 스포일러와 플랩을 이륙하는 상황에 맞춰 접고 엔진 추력을 높이며, 기수를 들어올려 다시 날아오르게 된다. 복행과 비슷하지만 활주로에 완전히 접지 후 재차 이륙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초보 조종사들이 비행 교육시 굉장히 많이 연습하는 기술이며 개인 경비행기를 갖춘 해외의 많은 유튜브 업로더들이 관련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 이는 장주(Pattern)를 돌면서 이착륙횟수를 최대로 늘리려는 용도이다.

비행 교육 시에 터치 앤 고를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만일 "Full stop taxi back" 을 하게 된다면[21] 마음대로 다시 이륙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이륙에 필요한 적지 않은 절차들을 거쳐야 한다.[22] 만일 바쁜 공항일 경우에는 수십 분 이상의 시간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비행시간을 허비하는 것은 물론 값비싼 연료비 측면에서 큰 낭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비행 교육 시 터치 앤 고를 하여 가용 비행시간 내에서 최대한의 랜딩 경험을 쌓는 방법이 많이 쓰이는 것. 비단 경비행기뿐만 아니라 일선 민항기나 군용기의 교육, 항공모함에서의 함재기 성능 테스트 시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주변환경이나 활주로 길이 등에 따라 위험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공항이나 항공학교별로 규정상 단독비행시에는 터치 앤 고를 금지시키고 교관이 반드시 탑승한 경우에만 허락하는 경우도 있다.

한 번 비행에 타이어 마모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타이어 교체시기를 앞당기는 원인이기도 하다.

3.2.3. 옆바람 착륙(De-Crab/Crab/Sideslip/Cross Wind Landing)



상술했듯이 악명높은 나리타 국제공항의 측풍으로 인한 태국항공 소속 A380의 옆바람 착륙.[23]



전설의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의 측풍으로 인한 대한항공의 측풍 사이드슬립 랜딩.

흔히 크랩 랜딩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테크닉에 따라서 다음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파일:attachment/de-crab.png
De-Crab 랜딩.

방향타 조작으로 바람의 방향으로 기수를 향하게 한 후 접지 직전에 반대 방향 방향타 페달을 밟아 활주로와 기수를 정렬시켜 착륙하는 방식.

파일:attachment/crab.png
Crab 랜딩.

De-Crab 랜딩과 매우 유사하나 이 경우 기수를 돌린 상태 그대로 접지한 후 반대 방향 방향타 페달을 밟아 활주로와 기수를 정렬시켜 착륙하는 방식.

파일:attachment/sideslip.png
Sideslip 랜딩.

위 두 방식과는 달리 에일러론을 사용해 기수를 돌리며, 그에 따라 뱅크각 자체가 기울어지고 대부분이 외발착륙으로 이어진다.

공군 조종사들이 해군 조종사들에게 자랑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당연한 것이 여유공간이 많이 있는 육상기지와 달리 여유공간이 별로 없는 항공모함에서는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바람의 방향에 맞춰 활주로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항공모함에선 의미없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3.3. 생사를 걱정해야 하는 경우

이 단계부터는 인명피해 유무와 관계없이 항공사고로 취급된다. 착륙지가 공항인 경우 소방대 및 구조대가 비상 대기한다.

버드 스트라이크나 기기 결함의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24] 아래의 항공사고를 무사히 극복하여 승객의 안전 하기를 이뤄낸 경우 그 조종사는 같은 조종사 사이에서 거목급 존경의 대상이 된다.

3.3.1. 동체 착륙(Belly Landing)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동체착륙을 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에 대한 내용은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체 착륙의 교과서라고 불리는 전일본공수 1603편 동체 착륙 사고의 생중계 영상. 이 경우는 그나마 다행스럽게 뒷바퀴는 나온 상태였다. 앞바퀴가 나오지 않아 기수 부분으로 동체 착륙한 것이다.



LOT 폴란드 항공 소속 보잉 767LOT 16편 동체 착륙 사고이다. 승객들 입장에서는 구세주나 마찬가지.[25]

랜딩기어가 고장나서 전개되지 않은 상태거나, 안전불감증의 이유로 비행기의 동체로 착륙을 강행하는 것. 인식과는 다르게 매우 위험한 착륙이며, 동체로 착륙해 미끄러지는 순간부터 엄청난 마찰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해서 주익이라도 긁어버리면 주익 내부의 연료에 마찰열로 인해 불이 붙을 수도 있고, 정말로 불이 붙어버리면 그야말로 대참사로 이어진다. 물론 항공기를 설계할때 이를 고려하여 동체착륙을 하더라도 최대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설계가 되기는 한다. 이 때문에 불가피하게 동체착륙을 해야 할 경우 조종사는 가능한 연료를 버리거나 공중에서 소모해 화재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며 공항 측에서도 동체착륙 이전에 활주로를 완전히 비워둔 뒤 마찰을 줄이기 위해 활주로에 소화용 약제를 뿌려 두고, 직후 불이 나든 안 나든 일단 소방차부터 투입해 동체에 물을 끼얹어 기체의 온도를 식힌다.

3.3.2. 불시착

비상 사태로 예기치 못한 곳에 급히 착륙하는 것으로 추락을 제외하면 조종사 입장에선 최악의 상황이다. 불시착 문서로.

4. 비행정의 착수

물 위에 착륙하는 것은 보통 착수(着水)라고 한다. 물론 수상기비행정들이나 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비행기들도 물 위에 착륙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water assisted landing" 이라고 하는데, 부시 플라잉 등을 할 때 빠른 착륙을 돕기 위해서 얕은 물가를 이용해 속도를 줄이는 경우다. 즉 이 경우에도 최종적인 도착점은 어쨌든 육지가 된다.

피치 못할 이유로 일반적인 항공기가 수상에 착수하는 비상상황일 경우 착수의 난이도는 하늘을 찌르게 된다. 방수 같은 게 문제라기보다는, 절묘하게 좌우 균형을 잡지 않으면 미세한 기울어짐만으로도 한쪽 엔진이나 윙렛이 수면에 닿게 되고, 무지막지한 저항으로 인해 한쪽 날개가 뜯겨져 날아가고 항공기가 수면 위에서 빙그르르 돌다 폭발할 수도 있다.

5. 군용기의 착륙

일반 공군기지 활주로에서 군용기들이 착륙하는 건 위에 쓰여진 민항기들과 다를 바 없다. 전투기나 공격기 같은 소형 항공기들은 속력이 좀 더 붙은 상태, 혹은 받음각을 더 크게 해서 착륙하는 게 다를 수 있지만 그러지 않고서야 안정적인 양력을 못 얻으니 그러려니 하고, 수송기라면 모를까 전투기와 공격기들에는 사출좌석은 필수이니 자국 민간인 피해가 없을 것이 확실한 경우(예: 공해상, 사막 등등) 괜히 항공기 붙들어매지 말고 사출하면 그만이다. 그리고 돈으로 살 수 없는 조종사의 안전이 우선이기 때문에 고립된 파일럿을 구출하기 위한 부대도 따로 존재한다. 전투기가 너무 비싸고 국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들이기 때문에 기체를 살리려는 파일럿도 있고 가장 중요한 문제인 '민간인 피해'를 우려해 사출을 포기하고 끝까지 조종간을 잡는 것이다. 그리고 살려 오면 비교적 쉽게 원인 조사도 가능한 면도 있다. 조종사의 실력, 비행단의 노력과 더불어 천운도 함께 따르는 동체착륙이 성공하는 사례도 있다.

5.1. 항공모함에서의 착함



악기상 속에서 성공적으로 착함하는 F/A-18.

정확히 말하자면 이륙/착륙이 아닌 이/착이라 하는 것이 맞는다. 다만 영어로는 항공모함에서의 착함도 'Carrier Landing'이라는 단어를 쓴다. 착함 과정에서는 속어로 테일후크라고도 불리는 어레스팅 기어가 사용된다. km 단위로 운용되는 지상 비행장 활주로에 비해 항공모함의 착함 코스인 경사 갑판의 길이는 230m가 채 안 된다. 그마저도 어레스팅 후크를 걸고 제동하는 거리는 약 120m 정도이다. 그나마도 천조포스가 묻어나는 미 해군의 수퍼캐리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최신식인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길이가 333m라서 약간 여유가 있을 것 같지만 그나마도 전체길이이지 착함공간이 아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의 항공모함들의 착함공간은 어떨지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어레스팅 기어가 없으면 바로 바다로 떨어진다. 그냥 떨어지면 모를까 해수면과 빠른 속도로 충돌하면서 기체가 박살나는 건 덤. 또한 항공모함은 활주로의 폭도 매우 좁기 때문에 날개가 매우 길어 단거리 착륙에 매우 유리한 U-2와 착함 즉시 엔진을 역방향으로 돌려 속도를 줄이는 C-130을 제외한 어지간한 대형 기종은 이/착함할 수 없다. U-2와 C-130을 이/착함시키려고 해도 비행갑판을 전부 비워야 한다.

또한 이 어레스팅 기어로 착륙하는 것도 쉽지 않아서 볼터(Bolter)라 하여 다시 재상승할 대비를 갖춰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인 착륙과는 달리 항공모함에 착함할 때는 활주로에 비행기가 닿은 직후 어레스팅 기어가 와이어에 걸려 완전히 정지하기 전까지는 엔진 출력을 최고 수준으로 올린다. 그래야 만약 걸리지 않았어도 추락하지 않고 바로 볼터후 재착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항공모함에는 어레스팅 와이어가 총 5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 3번 와이어를 걸어서 착함하는 것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상황이 이런지라 착륙하는 입장에서도 애로사항이 보통이 아니어서, 바다 위의 손바닥만도 못한 작달 막한 곳에 착함해야 하는 난이도도 그렇고, 착함 후 곧장 정지하기 위해 있는 대로 내려찍듯이 착함하려다 보니 "기체가 파괴되지 않는 추락이나 다름없다." 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고 한다. 결국 항공모함이 배라는 관점에서 보면 몹시 크기는 해도, 착륙장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몹시 작다고 느껴지게 되는 것. 그렇기에 항공모함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항공모함의 운용 노하우도 중요하다. 당연히 함재기를 조종하는 조종사도 일반적인 공군 조종사보다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아니, 뒤떨어져서는 안 된다. 이렇기에, 짬을 계산할 때 공군은 비행시간을, 해군은 착함 횟수를 따져 계산한다.

이착함 시 함재기 자체에 들어가는 충격도 일반적인 공군기들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상당히 튼튼하게 제작되며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을 너무 자주, 크게 받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편이다.

가끔가다 뻘글스러운 질문으로 돌아다니는 민항기의 항공모함 착함에 대한 떡밥은 회전익기나 민간에 팔린 구식 함재기[26], 그것도 아니면 우리가 듣도보도 못한 외계의 기술이 아니고서는 아직은 불가능하다는 게 정답이다. 단, An-2세스나 등의 소형 경비행기는 여건이 맞아준다면 비상착륙 정도는 시도해 볼 만하겠다. 프리퀀트 윈드 작전 당시 베트남을 탈출한 세스나기 등이 미군 항공모함에 착함한 경우가 대표적. 이때는 정말 죽기 아니면 살기라 항모 착함 훈련 경험도 없는데 이 악물고 착함할 수 밖에 없었고 그렇게 착함한 기체로 공간 부족을 이유로 바다에 바로 버렸다.

또한 항공모함이 여러 척이 있는데 함재기가 자신의 소속 항모를 착각하거나, 아니면 돌발 상황으로 이/착함 로테이션이 꼬여서 원래 소속 항모에 착함하지 못하고 다른 항공모함에 착륙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미국 해군에선 이 경우 해당 항모의 승무원들이 착함한 함재기에 각종 낙서를 하며 해당 파일럿을 놀리는 전통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기체 정비 비용 등을 생각해서라도 하지 않는 추세다.

미국 해군A-6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인 최후의 출격에서는 베트남의 어느 술집에서 항공모함의 착함을 간단한 놀이기구로 재현하는 장면이 있다. 대각선으로 이어놓은 줄에 항공기처럼 만들어놓은 의자가 매달려 있고, 조종사가 탑승한 의자가 줄을 따라 내려가다가 후크를 내려서 와이어에 걸어서 의자를 정지시킨다. 제대로 후크를 태려서 의자를 정지시키지 못하면 의자에서 떨어져 아래에 있는 진흙탕으로 직행한다.

5.2. 강습상륙함에서의 착함

강습상륙함은 훨씬 짧은 갑판 거리로 인해 회전익기, 수직이착륙기 등 특수한 함재기를 운용한다. 그러나 덕분에 착함 난이도는 비교적 쉽다. 착함지점 옆으로 간 뒤, 착함지점을 확인하며 정렬한다. 그후 대상 함과 속도를 맞추며 천천히 내려오면 끝. 다만 그렇다고 엄청 쉽다고 생각하진 말자. 착함하는 함도 전진하고 있기에, 그 속도에 맞춰서 앞으로 전진하면서 내려야 정확히 수직으로 내려진다. 그러면서 주변 함교등과 충돌하지 않게 엄청 신경써서 내려야 한다. 그렇기에 일반 항모에 착함하는 것보다 조금 쉽다 뿐이지, 이쪽도 난이도가 높다.

여기에 회전익기들은 어느정도 악기상에도 돌아다니는 경우가 많아, 특수한 장비를 한 헬리콥터들은 설비가 갖춰진 전투함에도 착륙이 가능하다. 배가 마구 흔들리는 상황에도 강제착륙이 가능한 수준.

6. 관련 문서



[1] 기체 레지넘버는 HL8084.[2] 좌측 세로축은 노트(knot) 단위로 표시되는 현재 속도를, 우측 세로축은 피트(feet) 단위로 표시되는 현재 고도를 보여준다. 이는 정면에 띄워지는 숫자와 연동되어 있다.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종종 GPWS가 명료한 남성의 목소리로 현재고도 및 착륙결심고도를 외쳐주고 조종사들이 이에 반응하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3] ATR 42, Q400[4] 보잉 737, A320 패밀리[5] 보잉 767, A330[6] 보잉 787, 보잉 777[7] 보잉 747-8, A380[8] 이보다 더 가파르게 착륙할수록 양력이 증가하여 활주로 위에서 비행기가 도로 둥실 떠오르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조종사가 양력과 사투를 벌이느라 터치다운이 크게 늦어지게 된다. #관련영상 활주로 길이가 여유롭지 못할 경우에는 오버런하기 십상. 흔치는 않지만 생바르텔레미 레미 드 아에낭 공항이나 톤콘틴 국제공항처럼 지형 자체가 가파른 접근을 강요하는 경우에는 착륙 난이도가 크게 치솟게 된다.[9] 물론 조종사가 1명뿐이면 관제도 조종도 혼자. 그렇지만 우리가 아는 여객기들은 거의 기장과 부기장이 한 조로 운항하며 한 명이 조종을 하면 다른 한 명은 통신과 다른 임무를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2인 1조 편성에서 직접 조종간을 잡고 조종하는 역할을 PF(Pilot Flying), 조종외 업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PM(Pilot Monitoring)이라 부른다.[10] 비가 많이 온 날의 경우 활주로의 빗물이 역추진 엔진에 의해 물보라가 일어나는 장관을 볼 수 있다. #[11] 갑작스러운 국지적 하강기류.[12] 보통 항공기는 목적지에서 30분 동안 체공(Loiter)할 수 있을 정도의 연료량을 확보해둔다. 목적지에서 하염없이 장주비행을 하다가 그걸 모두 소진하여 사고가 난다면 연료 부족을 제대로 명시하지 않으면 조종사의 과실이 되지만, 명시했음에도 관제탑이 계속해서 착륙 불허를 내렸다면 100% 관제탑 책임이다.[13] 광주공항군사공항이라 착륙할때는 창문 덮개를 닫는다.[14] 어린이 항공교실에서 실제로 종종 나오곤 하는 질문이라고.[15] 전 세계 곳곳에 있으며, 한국의 경우 김해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원주공항이 이에 해당한다.[16] 참고로 저 공항은 측풍과 강풍으로 악명 높은 나리타 국제공항이다. 포퍼싱(porpoising)(맞바람을 심하게 받아서 비행기기 붕떠버려 뒤 날개로 땅을 찍어버리면서 착륙하는경우. 당연히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이 안 일어난 게 다행이다.[17] 보통 이륙하거나 최종 접근하는 항공기가 있으면 관제탑에서 Hold Short 명령을 내려 활주로 진입을 사전에 차단하지만, 이를 미처 못 듣고 활주로로 진입하는 항공기가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또는, 서로 교차하는 활주로가 있는 공항의 경우 갑자기 교차하는 활주로로 긴급 항공편이 착륙을 요청할 경우 우선권이 낮은 보통 항공기는 어쩔 수 없이 복행하게 된다.[18] 다만 영상 속 착륙 장면들에서는 대부분 터치 앤드 고로 등장한다.[19] 기체와 활주로 사이 거리가 1/4마일도 남지 않은 거리.[20] 무려 지상 5중충돌 위기였다. 5개의 기체에 타고 있던 인원은 총 1085명이었다. 이는 지금까지 항공기 사고로 가장 많은 인원이 사망했던 테네리페 참사의 사망자가 583명을 아득히 뛰어넘는 숫자이며, 또 항공기가 연루된 최악의 사건 사고인 9.11 테러에서 지상, 건물과 연루된 항공기의 탑승객을 모두 합산한 사망자 수의 절반 수준이다.[21] 터치 앤 고를 하지 않고 활주로를 빠져나와 초입부(Threshold)로 택시하여 다시 이륙하는 번거로운 과정.[22] 활주로 clear 직후 After landing checklist 수행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라운드 컨트롤러 컨택, 택시, Before takeoff checklist 수행, 타워컨택 후 takeoff clearance까지.[23] 덤으로 결국 착륙 과정에서 윈드시어로 휘청거리며 땅에 닿는것을 볼 수 있다.[24] 대한항공 376편 동체착륙 사고같은 명백한 조종사 과실인 경우에는 멸시의 대상이 된다.[25] 영상에 나온 기체는 퇴역 후 2013년 스크랩 처리되었다[26] 소수의 호커 시퓨리, F8F 베어캣 등이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일부 수집가들 소유로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