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21:07:25

U-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일랜드의 록밴드에 대한 내용은 U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구소련의 다목적 복엽기에 대한 내용은 Po-2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U-2_Dragonlady_1.jpg
Lockheed U-2 Dragon Lady

1. 개요2. 제원3. 개발4. 성능5. 운용6. 장기 운용7. 파생형8. 기타9. 대중매체 등장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12. 참고 링크

[clearfix]

1. 개요

<nopad>
록히드 U-2는 미 공군에서 운용 중인 정찰기이다. 냉전 초반인 1955년에 생산이 시작되어 냉전 종료 시기인 1989년까지 총 104기가 생산되었다.

U-2는 적의 요격을 피하기 위해 고고도로 비행하도록 개발되었으나, 미사일 기술이 발달하면서 1960년 U-2 격추 사건을 비롯해 여러 대가 임무 중 격추당했다.

2. 제원

Lockheed U-2 Dragon Lady[1]
분류 단발 터보팬 전략정찰기
개발사 록히드
제조사
초도비행 1955년 8월 1일
생산기간 1955년 ~ 1989년
배치기간 1956년 ~ 현행
생산대수 총 104기
승무원 1인
전장 19.20 m
전폭 31 m
전고 4.88 m
익형 NACA 64A409 날개뿌리
NACA 64A406 날개끝
익면적 93 m²
자체중량 7,257 kg
연료탑재량 11,200 L
최대이륙중량 18,144 kg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F118-101
엔진출력 76 kN (17,000 lbf)
순항속력 760 km/h (고도 22,000 m 기준)
작전반경 최소 11,280 km
작전지속시간 12 시간
실용상승한도 24,000 m
추력중량비 0.425
익면하중 200 kg/m²
양력/항력 비율 25.6
고도상승률 46 m/s (9,000 ft/min)
최소 비행고도 도달시간 750초[2]

3. 개발

U-2는 미국 중앙정보국 주도로 개발되었다. 기본 설계는 F-104를 바탕으로 고고도 비행에 적합하게 변형시켰다. 엔진은 초기형은 J57을, U-2A와 U-2C는 J75를 장비했는데, 출력과 연비가 낮고 비행 중에 엔진이 꺼지는 경우가 많았다.[3]

4. 성능

파일:attachment/FE_DA_071001u2_1.jpg
비행 고도를 극단적으로 높이기 위한 긴 날개를 가지고 있다. 이륙은 경량화된 동체와 종횡비가 극단적으로 긴 날개덕분에 70노트(130km/h)에서 이륙이 가능하다.[4] 엔진이 꺼져도 1시간 동안 글라이더처럼 활강이 가능하다. 지상에서는 기체 혼자 바로 설 수 없기 때문에 보조 장치가 부착된다.

일반적인 항공기들이 랜딩 기어가 3개인 것과 달리, U-2는 랜딩기어가 2개 뿐이다. 이륙 시에는 날아오르면서 떨어지는 보조 바퀴를 사용하며, 착륙할 때는 조종사의 능력에 의존해 최대한 균형을 잡는다. 이착륙시에는 지상 요원이 자동차로 활주로를 따라가며 보조한다.

U-2는 고도 8만 피트 이상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석에 여압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조종사 역시 우주복과 비슷한 형태의 여압복을 입는다.[5] U-2 조종사는 장시간 비행을 하게 되므로, 여압복을 입은 상태로 음료와 식사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대소변까지 볼 수 있다.[6]

Q-bay라는 다용도 정찰장비 탑재 공간을 만들어 쉽고 빠르게 다른 장비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5. 운용

등장부터 높은 성능을 보이며 전략정찰기로서의 가치를 보여주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소련이 쿠바 내 핵미사일 기지 건설을 공개적으로 부인하자, 미국은 U-2의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필름장비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한 소티당 90kg, 길이로는 3.2km에 달하는 습식필름을 쓰고, 사용한 필름은 페덱스로 미국 베일 공군기지로 보냈다.

한국에서는 미 7공군 제5정찰대대 블랙캣오산 공군기지에서 U-2를 운용하고 있다.[7] 2012년을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철수할 예정이었으나, 대체전력 배치 지연과 북한의 변화 등의 이유로 계속 운용 중이다. #

이라크아프가니스탄 등에서 IED 등을 탐지하는 전술 정찰 자산으로 이용되었다.

U-2는 당초 RQ-4로 대체되어 2012년에 퇴역할 예정이었으나, 예산감축으로 취소되어 2025년까지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2018년 3월에는 록히드 마틴이 새로운 U-2 개량안을 내놓았다. 정보 수집도구를 개선하고 다기능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최신형 레이더로의 교체도 포함되어 있다.

2020년부터 5천만 달러를 들여 U-2의 정보수집 능력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합성개구레이더와 적외선 카메라가 설치되고 조종석과 미션 컴퓨터도 교체해 수집한 데이터를 다른 장비와 공유하기 쉽게 개선했다. U-2를 가까운 시일내에 퇴역시키지 않고 현대 전장에도 계속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광학 카메라와 필름 촬영 장비 사용을 중단했다.#

미국 공군은 2026년까지 U-2를 퇴역시키겠다고 발표했다. U-2를 대체할 전력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는데, 일각에서는 RQ-180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NASA에서 우주 연구용으로 U-2를 운용한다. ER-2(Earth Resources-2) 라고 불리는 파생형을 제작해 천연자원, 천문관측, 대기관측 등으로 사용한다.

6. 장기 운용

파일:U2_PIC_07.jpg
[8]
동시대의 정찰기인 SR-71은 퇴역했지만 U-2는 계속 활용 중인 장수만세 기체이다. 비교적 낮은 운용 비용과 안정적인 정찰 성능과 더불어 위협 요소가 감소하면서 장기간 운용되고 있다.

U-2 역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지만 SR-7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SR-71의 유지비는 공개된 적이 없지만 냉전 당시 미국마저도 운용에 부담을 느낄 정도로 유지비가 비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U-2의 대체기 없이 계속 유지가 결정되면서 지금까지 운용되고 있다.[9]

U-2 한번 비행하면 초고고도에서 활강 비행하며 최소 12시간 이상 장시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장시간 비행하며 특정 목표를 계속 감시할 수 있는 능력은 정보 자산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U-2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낮은 생존성 역시 냉전이 끝나고 국제 정세가 미국 중심으로 바뀌면서 크게 완화되었다. 영공 침투 같은 극단적 임무도 주변 상공에서 장거리 정찰을 하는 것으로 대체되면서 위험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노후화로 비용 효율이 계속 떨어지고, 국제 안보 갈등이 심화되면서, U-2 퇴역이 추진되고 있다.

7. 파생형

8. 기타

파일:external/www.aerospaceweb.org/carrier_01.jpg
* 항공모함에서도 이착함에 성공했다. U-2의 날개가 매우 커서 단거리 이착륙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능했다.

9. 대중매체 등장

9.1. 영화

9.1.1. 스파이 브릿지

9.2. 게임

9.2.1. 콜 오브 듀티 시리즈

9.2.2. 핵전쟁 for Kakao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파일:록히드 마틴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123374,#7697ce {{{#!folding [ 록히드 마틴의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쌍발기 일렉트라L ‧ 슈퍼 일렉트라L ‧ 로드스타L ‧ 마틴 2-0-2M ‧ 마틴 4-0-4M마틴 M-130M
3발기 L-1011L
4발기 L-188L제트스타L컨스텔레이션L
개발 취소 L-2000L
군용기
전투기 P-38LP-80LF-104LF-16LF-22F-35
공격기 F-117L
폭격기 A-28 / A-29 / AT-18 허드슨L벤추라LB-26M
수송기 C-130C-141LC-5L
정찰기 U-2LSR-71L
대잠초계기 P-2LP-3S-3L
무인기 데저트 호크 ‧ RQ-3 다크스타 ‧ RQ-170 ‧ X-44A ‧ 코모란트 ‧ 시 고스트 ‧ 스토커
헬리콥터
군용 AH-56L
윗첨자L: 록히드 단독 설계/생산 항공기
윗첨자M: 마틴 마리에타 단독 설계/생산 항공기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F-16(A/BR, C/D, CM/DM), F-15(C/D/E/EX)
5세대 F-22A, F-35A, F-23, F-32
6세대 {PCA}
공격기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폭격기 B-52(H/{J}), B-1B, B-2A, {B-21}
수송기 전술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 C-17A, C-5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B/C/G), E-8CR, {E-7}, E-10
정찰기 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 E-11A
계측통신정보기 RC-135S
전자정찰기 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 RC-135V/W, RC-26B
기상관측기 WC-130J
대기분석기 WC-135(C/W/R)
관측지원기 OB-135B
공중지휘기 E-4
공중급유기 KC-10AR, KC-135R/T, {KC-46A}
회전익기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 SUAV RQ-11B, RQ-20B
UAV RQ-4A/B, RQ-170, RQ-180
UCAV MQ-1BR, MQ-9A/B, MQ-20, {CCA}
훈련기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다목적기 UV-18B, U-27, U-28
특수목적기 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2. 참고 링크



[1] U-2S 기준.[2] 이륙하여 60,000 ft 상공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3] 이럴 경우 높은 고도를 활용해 최대한 활공하면서 엔진을 재시동한다.[4] 활주 테스트 중에 비행기가 이륙해버리기도 했다.[5] 초기 우주복이 고고도 항공기용 여압복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6] 물론 싸면 불쾌하니 미리 고단백 식사를 하거나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7] 오산 공군기지에서 일반적으로 뜨는 비행기가 F-16, A-10, U-2인데 셋 중에서 의외로 U-2 소리가 제일 시끄럽다. 저 멀리 미군 활주로에서 엄청나게 시끄러운 저주파의 소리가 계속해서 들린다.[8] 사진 하단의 항공기는 RQ-4로 초도비행 기준으로 43년의 시간차를 가지고 있지만 미국은 RQ-4를 U-2의 퇴역 예정 1년 뒤에 불과한 2027년에 퇴역시키기로 결정하였다.[9] RQ-4는 여러 문제가 많아서 아직까지 불안하고, 새로 개발하려고 해도 감당 못할 예산이 투입되어야 할 수도 있다.[10] U-2가 하도 스파이기의 대명사로 유명해지다 보니 미공군에서 '전술 정찰'기란 의미로 보이게 개량형인 신규기체를 도입하면서 아예 기존에 없던 TR을 부여했다.[11]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2014년까지의 U-2의 역대 조종사들 중 흑인은 역대 3명뿐이고 여성은 5명뿐이다.[12] 우주왕복선은 귀환 과정에서 자체 제트 추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큰 글라이더 꼴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