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7:41:26

B-47

파일:external/freepages.genealogy.rootsweb.ancestry.com/frank22.jpg
B-47 Stratojet[1]

1. 개요2. 제원3. 개발 배경4. 특징5. 바리에이션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B-47은 미국 최초의 제트 전략폭격기로,[2] B-17B-29/B-50를 잇고, 대체하였다. 대형 제트기 최초로 후퇴익을 적용하였으며, 제네럴 일렉트릭 J-47 터보제트 엔진 6기를 주익 하부에 포드 형태로 장착한 디자인은 후계기인 B-52 스트라토포트리스는 물론 보잉 707을 비롯한 제트 여객기들의 디자인이 완성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 미 공군의 제트 중폭격기 도입사업에 참가하여 B-47과 경합했던 노스 아메리칸의 B-45, 컨베이어의 XB-46, 마틴의 XB-48은 B-47의 혁신성에 밀렸다.[3]

2. 제원

Boeing B-47 Stratojet
전장 32.64m
전폭 35.36m
전고 8.53m
승무원 조종사, 부조종사, 폭격수(3명)
익면적 132.7m2
엔진 제네럴 일렉트릭 J47-GE-25 터보제트 엔진 6기(기당 추력 5,200lbf)
자체중량 36,287kg
전비중량 60,341kg
최대 이륙 중량 100,244kg
순항속도 896km/h
최고속도 977km/h
작전고도 12,300m
항속거리 7,479km[4]
작전반경 3,240km[5]
무장 꼬리 터렛에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B형), M24A1 기관포 2문(E형)
Mk.15 수소폭탄 2발 혹은 B28 수소폭탄 4발 혹은 B41 수소폭탄 1발 혹은 B53 수소폭탄 1발 혹은 500lb(227kg) 폭탄 28발

3. 개발 배경

미국은 2차 세계대전 후 소련이 경쟁 상대가 될 것이라 보고 군사적 우위를 계속 유지하려면 더 좋은 폭격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에 2차 세계대전의 승리가 확실함에도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이 사업의 미국 유수의 항공 업체들이 앞다퉈 참여하여 노스 아메리칸 사가 B-45를, 콘베어 사가 B-46을, 마틴 사가 XB-48을 개발하였다.

흔히 이를 '1945년 그룹'이라 하는데, 이 중 B-45가 1948년 제일 먼저 실용화되었다. 최초의 4발 제트 폭격기의 타이틀을 얻은 B-45는 영국 공군도 채택했고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였는데, 특히 한반도 배치는 유사시 만주나 중국 본토에 대한 핵 공격까지 염두에 두었던 조치였다.

4. 특징

파일:dcnTX2m.jpg
마치 전투기를 연상시키는, 조종사와 부조종사의 탠덤식 좌석 배치와 캐노피[6]가 눈에 띄는 특징이다. 전투기를 닮은 외형처럼 비행특성도 이전까지의 폭격기들과 비교하면 나름대로 전투기스러웠다고 한다. 탑승했던 승무원의 회고에 따르면 루프는 물론 360도 롤도 그럭저럭 할 만한 레벨이라 전투기 기분을 내기에는 딱이었다 한다.[7]

승무원은 항법사와 폭격수(정찰기형의 경우 사진기사)를 겸하는 관측요원과, 조종사, 후방 기총사수를 겸하는 부종사 3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전 세대 폭격기인 B-29의 11명과 비교하면 파격적으로 줄었고, 최신 전자장비의 도입으로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실제의 승무원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8]

B-36과 동일한 K-4 폭격 조준장치를 장비하여, 동일한 작전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느다란 날개와 동체가 주는 인상과는 달리 B-29와 비슷한 크기를 가진 대형기로, B-29의 20000파운드를 능가하는 25000파운드의 폭탄을 탑재할 수 있었다. 이론상 500파운드 기준으로 최대 28발까지의 통상폭탄을 탑재할 수 있었으나, 그보다는 2발의 MK.15 원자폭탄을 탑재하는 투발 전력으로서의 능력이 더욱 중시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62px-Boeing_B-47B_rocket-assisted_take_off_on_April_15%2C_1954_061024-F-1234S-011.jpg

초기의 터보제트 제트 엔진치고 가속 좋고 연비 좋은게 별로 없기는 했지만, 실제로 제너럴 일렉트릭 J47 엔진의 출력 부족은 B-47B는 물론, 그런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는 B-47E에 와서도 끊임없이 미 공군을 골치아프게 만든 문제였다. 특히 이륙할 때가 문제였는데, 엔진이 플레임 아웃 되기라도 하면 그대로 큰일난다.[9] 도쿄 대공습 때의 B-29들처럼 폭탄을 만재하고 이륙하려다 주저앉은 사례도 있다. 결국 출력의 강화와 물 분사장치의 장착으로 B-47B형까지 쓰이던 내장식 RATO가 폐지된 B-47E에서도 RATO는 계속해서 쓰이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B47B_with_chute.jpg
또한 조종사의 조작에 따른 엔진과 기체의 반응이 느리다는 것은 착륙 때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주었다. 자전거처럼 앞뒤로 배열된 랜딩 기어는 균형을 잡기 쉬워서 나름대로 호평이었지만, 안 그래도 하방 시야가 그다지 좋지 않은데 반응 느린 기체 가지고 착륙하자니 죽을 맛...결국에는 에어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소형 드래그슈트를 장비하여 이 문제를 어느 정도 보완하긴 했다.[10] 이 감속용 낙하산은 나중에 미 해군이 빌려가서 실험용 잠수함 알바코어에서 테스트해보게 된다.

여러 모로 과도기적인 성격을 가졌지만, 그 덕에 제트 폭격기로서는 엄청난 수량이 생산되었고 B-52가 나오기전까지 원조 성층권 요새로서 역할을 잘 해내 나름대로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기종이다.[11]

5. 바리에이션

방어무장이 없는 선행양산형 B-47A를 거쳐, 처음으로 양산되어 전략공군사령부에 배치된 B-47B와, 시험적으로 [앨리슨] J-35 엔진을 4기 장착한 YB-47C, 마찬가지로 라이트 YT-49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YB-47D, B-47B의 J-47-GE-23에 비해 출력이 강화된 J-47-GE-25 엔진을 장착하고 방어무장을 12.7mm 기관총 2문에서 20mm 기관포 2문으로 강화한 최종양산형 B-47E형까지 모든 계열기[12]를 합쳐 총 2032대가 생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산된 폭격기 중에서 단연 으뜸이다.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B-47이 현대의 폭격기에 비해 매우 저렴한 것도 한 몫했다. 당시 가격이 190만 달러였는데, 현재 가치로는 1700만 달러쯤 된다. 참고로 B-52는 이보다 2~3배 비싸며, B-1 랜서는 14배, B-2 스피릿으로 가면 40배를 넘는 가격이다.

파일:external/www.strategic-air-command.com/b47-profile-07.gif
파일:external/www.strategic-air-command.com/b47-profile-02.gif

초기형과 후기형을 구분짓는 외형상의 포인트는, 기수 관측요원석의 창문 개수(XB-47부터 시작해서 B-47A와 B와 E로 가면 갈수록 계속 줄어든다)와, 핵폭발시의 열을 반사하기 위한 백색의 반사 도장(E형 도입 이후 실시되었다.), 동체 후부의 내장된 RATO의 유무(E형에서 폐지) 등이다.[13]

최초의 양산형인 B-47B 계열을 제외하면, XB-47을 포함한 모든 파생형에 사출좌석이 채용되었다. B-47B는 후덜거리는 엔진 출력 문제로 중량을 줄이기 위해 사출좌석을 빼버리는 대신 기수 하부에 있는 탑승용 해치에 비상탈출시 사용하는 바람막이를 장착했다. 1968년 툴레 섬 근방에서 발생한 B-52 추락사고에서도 드러나듯이, 그러한 고전적인 탈출방식은 고고도를 고속으로 비행하는 제트 폭격기에서는 실패할 확률이 높아서 승무원들의 불만을 샀다.[14]

6. 여담

그렇게까지는 잘 알려진 폭격기는 아니지만, 상당히 가늘고 우아한 동체 라인 덕분에 숨겨진 팬도 은근히 많은 편이다. 제임스 스튜어트가 출연한 영화 <전략공군사령부>에서는 B-36과 함께 당당한 주역으로 등장하며 질리도록 볼 수 있다.

모형으로는 +몰드인 하세가와 구판 1/72 스케일 B/RB-47E형과, 하비크래프트/아카데미의 1/144 스케일 B-47B/E가 있다(1/72 스케일 버큠폼도 있긴 있다). 원래 하비크래프트에선 B형과 E형과 RB-47E가 각각 따로 출시되었는데, 아카데미에서 판매중인 키트는 B형과 E형을 선택조립할 수 있다. 마킹은 하비크래프트판에서 들어있던 것과 동일. 하세가와나 하비크래프트나 은근히 잘못된 부분이 보이긴 한다는 게 아쉽지만, 어차피 마이너 기종이니...[15]

라이벌인 소련의 Tu-16 폭격기와는 사실 배다른 형제다. 출생의 비밀 미국도 B-29를 토대로 B-47을 개발했고, 소련은 B-29의 카피판 Tu-4를 만들었고, 그 Tu-4를 바탕으로 Tu-16Tu-95를 생산했기 때문이다.

7.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미합중국_공군_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F-16(A/BR, C/D, CM/DM), F-15(C/D/E/EX)
5세대 F-22A, F-35A, F-23, F-32
6세대 {PCA}
공격기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폭격기 B-52(H/{J}), B-1B, B-2A, {B-21}
수송기 전술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 C-17A, C-5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B/C/G), E-8CR, {E-7}, E-10
정찰기 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 E-11A
계측통신정보기 RC-135S
전자정찰기 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 RC-135V/W, RC-26B
기상관측기 WC-130J
대기분석기 WC-135(C/W/R)
관측지원기 OB-135B
공중지휘기 E-4
공중급유기 KC-10AR, KC-135R/T, KC-46A
회전익기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 SUAV RQ-11B, RQ-20B
UAV RQ-4A/B, RQ-170, RQ-180
UCAV MQ-1BR, MQ-9A/B, MQ-20, {CCA}
훈련기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다목적기 UV-18B, U-27, U-28
특수목적기 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보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항기
<colbgcolor=#d4def7,#666>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EX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1] 사진은 B-47E다.[2] 다만 도입 일자는 조금 느리지만, 미국의 제트 폭격기 첫 실전 투입 기종은 B-57이다. B-57은 좀 더 소형의 전술(?) 폭격기로 영국의 제트 폭격기인 캔버라에 몇가지 개선과 엔진을 교체하여 라이센스 생산 한 버전으로. 이후 80년대 중반 까지 정찰기로 잘 써먹고 퇴역 시켰다.[3] B-45 토네이도는 애초부터 캔버라 같은 전술 폭격기에 가까운 성격의 기종이었고, XB-46과 XB-48은 직선익의 고리타분한 디자인을 가졌던데다 성능도 딸렸다. 결국 XB-46과 XB-48은 탈락하였고, B-45만이 소수 도입되어 전술폭격기나 사진 정찰기 등으로 사용되었다. 반면에 경합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스펙상 강력한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던 노스롭의 YB-49는 시대를 너무 앞서나가 버린 디자인(전익기!) 때문에 망했다. 하지만 전익기 디자인은 이후 B-2 스피릿에 다시 채용되었다.[4] 주익 하단 외부연료탱크 장착 시[5] 20,000lb의 폭장 장착 시[6] 초기형은 슬라이드식으로, 후기형은 위쪽으로 열리긴 하는데 기체의 지상고가 너무 높아서 통상적인 탑승용으로는 거의 안 쓰고 주로 택싱 중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썼다. XB-47의 시험비행 도중 갑자기 뜯겨나가는 바람에 테스트 파일럿이 추락사한 사고가 있었으나 이후 개량된다.[7] 후술하겠지만, 언제까지나 적절한 고도와 적절한 속력에 도달해있었을 때에만'... 만일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그랬을 경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8] 안 그래도 전투기스러운 조종석 때문에 휴식공간도 없이 좁은 기체에서 장거리 임무까지 수행하기에는 아무래도 무리... 결국 후계기인 XB-52에서는 승무원이 총 6명으로 늘었고, 양산형에서는 탠덤식 좌석 배열 역시 폐지되어 우리가 아는 B-52의 형태가 된다.[9] 조종사가 전투기를 조종하는 기분에 빠지기 쉬운 기종이었고, 프로펠러기에서 제트기로 넘어오던 시절이라 무리한 조작으로 한쪽 날개의 엔진을 몽창 꺼트리고 뒤집혀 추락한 사례가 꽤 있었다.[10] 문제는 공중에서 쓰기 위한 이 드래그슈트를 쓰려다가 지상에서 활주속도를 줄이기 위한 대형 드래그슈트를 펼쳐 버리는 조종사가 은근히 있었다는 점. 일단 그런 실수로 추락한 사례는 없다. 추락한 사례만은...[11] 물론 동급이라 할 수 있는 소련의 Tu-16 배저가 지금도 중국에서 당당히 현역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중국은 Tu-16을 대체하기 위해 Tu-22M 백파이어를 들어오려고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김칫국만 잔뜩 들이킨 꼴이 되었다.[12] 훈련기형 TB-47, 전략 정찰기형 RB-47, 기상관측기 WB-47, 전자전기형 EB-47 등. 생산량이 많은만큼 무인기 모기나 표적기나 각종 테스트용 플랫폼까지 바리에이션도 많다.[13] 물론 E형 중에서도 B형처럼 관측요원석 좌측에 창문이 많거나 반사도장을 안 한 경우도 있다. 워낙 생산량이 많다보니 시기에 따라 천차만별이다.[14] 툴레 섬 사건 당시, 편승한 교관 조종사에게 사출좌석을 내줬던 부조종사는 하방 해치로 탈출하던 도중 동체와 충돌해 머리에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런데, 영국의 V폭격기 시리즈에서는 사출좌석이 조종사들 것밖에는 없었다.[15] 하비크래프트 1/144의 경우, 기수 부분에 툭 튀어나와 있는 광학식 폭격조준경이 기수 한 가운데에 있다(실기는 공중급유구 때문에 왼편으로 치우쳐져 있다). B형으로 선택조립 시 사용되는 부품의 창틀 몰드도 마찬가지. 오른쪽의 창 하나를 칠해버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