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 ||||
전투기 |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 F-16(A/BR, C/D, CM/DM), F-15(C/D/E/EX) | |||
5세대 | F-22A, F-35A, | ||||
6세대 | {PCA} | ||||
공격기 |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 ||||
폭격기 | B-52(H/{J}), B-1B, B-2A, {B-21} | ||||
수송기 | 전술 |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 |||
전략 | C-17A, C-5M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E-3(B/C/G), E-8CR, {E-7}, | |||
정찰기 | E-9A, U-2S, U-28, CN-235 | ||||
통신중계기 | E-11A | ||||
계측통신정보기 | RC-135S | ||||
전자정찰기 | RC-135U, EC-130H/J/SJ, EA-37B | ||||
신호정보수집기 | RC-135V/W, RC-26B | ||||
기상관측기 | WC-130J | ||||
대기분석기 | WC-135(C/W/R) | ||||
관측지원기 | OB-135B | ||||
공중지휘기 | E-4 | ||||
공중급유기 | KC-10AR, KC-135R/T, KC-46A | ||||
회전익기 |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 ||||
무인기 | SUAV | RQ-11B, RQ-20B | |||
UAV | RQ-4A/B, RQ-170, RQ-180 | ||||
UCAV | MQ-1BR, MQ-9A/B, MQ-20, {CCA} | ||||
훈련기 |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 ||||
다목적기 | UV-18B, U-27, U-28 | ||||
특수목적기 | MC-130(J/H/P), MC-12W | ||||
주요인사 탑승기 |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EA-37B Compass Call |
1. 개요
미합중국 공군의 차세대 전자전기.2. 제원
분류 | 전자전기 |
전폭 | 28.5m |
전장 | 29.4m |
전고 | 7.9m |
승무원 | 조종사 2명, 오퍼레이터 최대 7명 |
최대이륙중량 | 41,276kg |
최대속도 | 시속 1,234km |
항속거리 | 8,167km |
상승고도 | 14,000m |
엔진 | 롤스로이스 BR700-710 C4-11 터보팬 2기 |
3. 개발
EC-130H 콤파스 콜을 대체하기 위해 진행된 EC-X 사업을 통해 선정된 기체로서, 2023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고 10대가 도입될 예정이다.걸프스트림의 G550을 개조한 기체로, L3해리스가 플랫폼 통합을, BAE 시스템스가 미션 시스템 통합을 담당한다.
2023년, 제식 명칭이 EC-37B에서 EA-37B로 변경되었다.
2024년 8월 28일, 공식 초도비행을 실시하였다.
4. 운용국
4.1. 미국
미합중국 공군이 총 10대를 도입할 예정이다.4.2.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경우 2022년에 공개한 P-MMM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공군이 G550 기반의 전자전기 2대를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때 이탈리아 공군 사령관이 밝힌 바에 의하면 미국이 도입하고 있는 콤파스 콜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그로부터 약 2년 후인 2024년 10월 7일, 미국 국무부가 EA-37B 체계 및 장비에 대한 이탈리아 수출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 공군은 EA-37B를 총 2대 도입할 예정이다.#
5. 둘러보기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 ]]''' Forze Armate Italiane | Italian Armed Forces | ||
<colbgcolor=#198019> 회전익기 | <colbgcolor=#198019> '''[[무장헬기| 경헬기 ]]''' | TH-500B | OH-13H | |
''' 다목적 헬기 ''' | {AW169}■ | HH-101A■■ | AW109A/E/Mk.II■■ | HH-139A/B | NH 500E | 벨 205■ | 벨 206■ | 벨 212■ | 벨 412SP/HP■■ | AB.47 G2 | A.105 | H-19A/D | H-34 | S-51 | ||
수송헬기 | ICH-47F■ | CH-47C■ | NH90 TTH■ | A.101G | VH-3D | S-61R | ||
공격헬기 | {AW249} | A129 CBT■ | ||
대잠헬기 | 벨 212 ASW■ | NH90 NFH■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CL13 세이버 Mk.4 | F-84F/G | F-86K | G.91R/PAN/Y |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 | 드 해빌랜드 베놈 FB.50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G/S/S-ASA/S-ASA/M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F-2000A | A-200A | F-16A/BL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 F-35B■■ | ||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 ||
공격기 | A-11B | AV-8B+■ | ||
정찰기 | 전술 | RT-33A | RF-104G | U-166B | |
'''[[수송기| 수송기 ]]''' | C-27J | C-130H/J/J-30 | Do 228■ | 피아지오 P.180■■■ | 팰컨 50 | 팰컨 900 |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 | 브레다-피토니 BP.471 | 브레다-자파타 BZ.308 | CV-440-75/96 | C-119J/G | DC-6 | G.212 | SM.102 | 포커 F27-600L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P.136 | ||
다목적기 | 알라파마 발도 | 암브로시니 S.1001 | H-395 | LA-250 | MB.308 | U-166A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550A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72AS■ | P-1150A■ | S2F-1■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767A | KC-130J | KC-707 | ||
전자전기 | {EA-37B} | EA-200B | YEC-27J | 아에리탈리아 G.222 VS | PD-808GE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RQ-7■ | S-100■클래스 3 - MALE급 P.1HH 해머헤드 | ||
'''[[UCAV| UCAV ]]''' | 클래스 3 - MALE급 MQ-9A | MQ-1C클래스 3 - HALE급 {유로드론}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260A/B | T-2006A | 암브로시니 S.7 | 카프로니 트렌토 F-5 | G.46 | G.59 | G.80 | G.82 | M.416 | MB.323 | P.148 | P.149 | 템코 T-35 | |
제트 | T-346 | T-345 | A-11T | MB-339A/CD/RM/PAN | 피아지오 P.180 | TF-2000A | EA-200A | TF-104G | T-33A | ||
VIP 탑승기 | VC-319AJ | CL-215-1A-10 | CV-440-75 | 걸프스트림 III | DC-9-30 | VC-180A | PD-808VIP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카라비니에리■),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