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8 14:39:53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7141a 40px, transparent 4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colbgcolor=#015197> 고대 켈트족
게르만족
훈족
서슬라브족
아바르칸국
사모제국
중세 모라바 공국
대모라비아 왕국
보헤미아 공국
프르셰미슬 왕조
피아스트 왕조
보헤미아 왕국
룩셈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근현대 보헤미아 왕국
합스부르크 왕조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뮌헨 협정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나치 독일 점령기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5공화국
체코 제1공화국 }}}}}}}}}}}}

슬로바키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중세 근현대






























헝가리



합스부르크 왕조 체코슬로바키아
2























-



1






2




-

1



3



4









5





}}}}}}}}}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Prozatímní státní zřízení Dočasné štátne zriadenie
망명 정부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체코슬로바키아 소형 국장.svg
국기 국장
1939년 ~ 1945년
성립 이전 해체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수도 프라하
근거지 파리(1939~1940)
런던(1940~1945)
정치체제 의회 공화제
국가원수 대통령
언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민족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종교 가톨릭
통화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1. 개요2. 상세
2.1.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연합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한 체코슬로바키아망명 정부이다.

2. 상세

나치 독일뮌헨 협정 이후 주데텐란트를 합병했다.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은 독일의 압력으로 사임한다. 이후 폴란드는 테셴[1] 지방을, 헝가리 왕국은 슬로바키아 남부를 각각 뜯어갔다. 1939년에는 슬로바키아 민족주의를 선동해 슬로바키아를 분리독립시켜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수립했고, 남은 체코 지방에는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이던 에밀 하하의 승인을 얻어 나치 독일의 보호령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을 수립했다.

이에 망명 중이던 에드바르트 베네시 전 대통령은 파리에서 1939년 10월 체코 국민 자유 위원회 수립을 선언한다. 프랑스는 체코슬로바키아인 군대까지 조직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들은 프랑스 침공 당시 프랑스군과 함께 독일 국방군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프랑스는 항복했고, 위원회는 런던으로 피신했다. 1941년 4월에는 위원회가 뮌헨 협정 이전의 체코슬로바키아를 계승한 정부라고 주장했다. 독소전쟁 이후 소련은 이 정부를 승인했으며, 폴란드 망명 정부와도 협력하기로 했다. 그리고 영국군과 함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암살 작전인 유인원 작전을 성공시키면서 영국자유 프랑스의 공식 승인을 받았다.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의 친소련 외교 정책을 어느정도 계승하여 반목하는 폴란드 망명 정부소련간 관계 조율에 힘썼으며 공산주의 사상의 체코슬로바키아 망명객까지 받아들였다. 다만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시절과는 다르게 망명정부 시절의 친소련 관계는 전후 중부유럽에 드리울 소련의 영향력에 대한 두려움이 반영된 결과였다. 베네시는 소련과의 친선 정책을 펼침으로서 전후 체코슬로바키아에 친소련 공산주의 쿠데타를 막고 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유지할 수 있다고 믿었다. 게다가 체코슬로바키아는 폴란드와는 달리 소련과 어떠한 무력 분쟁도 겪지 않았기 때문에 굳이 소련과 척칠 필요도 없었다. 이러한 친소 정책을 보여주는 사건들 중 하나는 1943년 미국 대표단에 소련은 전후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한 것,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 내각에 공산당 인사들도 임명한 것이 있다.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가 해방되자 해체되고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을 수립한다.

2.1.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연합

폴란드 망명 정부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는 망명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의 연합을 추진, 서방 연합국의 지지를 등에 업고 에드바르트 베네시에 협상을 요구했다.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와 베네시는 이러한 연합은 자연히 폴란드가 주도하게 될 것이고 체코슬로바키아인들의 세는 위축될 것을 우려하여 탐탁지 않아 했다. 또한 폴란드는 소련과 반목하는 관계로 체코슬로바키아를 끌어들이려 한 반면 체코슬로바키아는 소련과 친목하였으며 뮌헨 협정에서 폴란드가 강탈해간 테신 지역에 대해 국경분쟁을 겪고 있었기에 자연히 체코슬로바키아는 이러한 연합에 의욕이 별로 없었다.

하지만 연합 요청의 거절은 서방 연합국의 반발 혹은 극단적으로는 서방 연합국이 베네시의 망명정부 지지를 철회하고 베네시 반대파들과 함께 더 '친서방적인'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를 구성할 것을 우려하여 협상에 참여는 하였다. 여기서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는 최대한 협상에 지연을 펼치면서 관세연합, 공동 화폐 등 최대한 적은 것을 내어주면서 질질 끌었고 체코슬로바키아에는 다행히도 시코르스키의 사망과 카틴 학살이 알려진 후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극단적으로 다른 대소 정책으로 무산되었다.

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중화민국 난징 국민정부+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1] 체코어로 테신, 폴란드어로 치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