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7:52:48

최강록/냉장고를 부탁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강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2838, #bb2838, #3a3a3a 55%)"
[[냉장고를 부탁해|
파일:냉장고를 부탁해 로고.png
]] [[냉장고를 부탁해 since 2014|
파일:냉장고를 부탁해 since 2014 로고.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시즌 1 출연진 ]
<colcolor=#212529,#e0e0e0> 역대 MC
김성주 · 정형돈 · 최현석 · 안정환
셰프 군단
샘 킴 · 김풍 · 이연복 · 오세득 · 정호영 · 레이먼 킴 · 유현수 · 송훈
하차한 셰프
정창욱 · 맹기용 · 이찬오 · 박준우 · 홍석천 · 최현석 · 주배안 · 박건영 · 이재훈 · 이원일 · 토니정 · 정지선 · 김승민 · 미카엘
게스트 출연
이상민 · 유창준 · 한상훈 · 박리혜 · 모토가와 아츠시 · 여경래 · 백승욱 · 김민준 · 고든 램지 · 최석이 · 윤종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시즌 2 출연진 ]
<colcolor=#212529,#e0e0e0> MC
김성주 · 안정환
셰프 군단
이연복 · 최현석 · 김풍 · 정호영 · 에드워드 리 · 최강록 · 이미영 · 박은영 · 샘 킴 · 권성준 · 정지선 · 손종원 · 윤남노
하차한 셰프
-
게스트 출연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시즌 1 관련 문서 ]
<colcolor=#212529,#e0e0e0> 관련 문서
방영 목록 · 셰프 군단
15분 레시피
김승민 · 김풍 · 김형석 · 레이먼 킴 · 모토가와 아츠시 · 미카엘 · 박건영 · 박리혜 · 박준우 · 백승욱 · 샘 킴 · 송훈 · 여경래 · 오세득 · 유창준 · 유현수 · 이상민 · 이연복 · 이원일 · 이재훈 · 이찬오 · 정지선 · 정창욱 · 정호영 · 주배안 · 최석이 · 최현석 · 토니정 · 한상훈 · 홍석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시즌 2 관련 문서 ]
<colcolor=#212529,#e0e0e0> 관련 문서
방영 목록 · 셰프 군단
15분 레시피
이연복 · 최현석 · 김풍 · 정호영 · 에드워드 리 · 최강록 · 이미영 · 박은영 · 샘 킴 · 권성준 · 정지선 · 손종원 · 윤남노 }}}}}}
}}}


1. 개요
1.1. 시즌 2
2. 시즌 2
2.1. 2024-2025 시즌
3. 15분 레시피4. 국적전적
4.1. 시즌 2
5. 냉부 공식 데이터
5.1. 시즌 2
6. 기타
6.1. 시즌 2

1. 개요

1.1. 시즌 2

파일:202412110413435677.jpg
전적 5전 1승 4패 (20%)
2024~2025
별 개수
전적 5전 1승 4패 (%)
2024~2025 시즌 총결산 최종 기록
최다연승 n연승 최다연패 3연패
통합성적 우승 승률순위 n위
전승 김풍 전패 정호영, 이연복, 윤남노
※별 개수는 가장 최근 화 기준이며, 10개 단위로 줄바꿈 표시바람.
※승률(%)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기하였다.
※상대 전적에서 2연승, 그리고 한 번 이기거나 질 경우, 추가+삭제 바람
모두의 마음을 조리는데 필요한 시간? 단 15분! 그가 말하는 모든 것이 어록이 되는 세상! 러블리 조림핑! “나야, 최강록”


2. 시즌 2

2.1. 2024-2025 시즌

침착맨의 냉장고를 주제인 <지방간을 줄여주는 요리>로 선배 정호영의 완자 요리 완자딱깔센을 상대로 콜리플라워 스테이크! 근데 이제 마라소스를 곁들인...을 선보이며 첫 대결을 했다. 도전자 셰프 중에서 관심이 쏠리는 것이 싫어서 유일하게 베네핏을 사용하지 않는 대담함(!)을 선보이면서 선배인 정호영과 대결을 펼쳤는데, 모두들 15분 안에 과연 요리가 완성이 될지 다들 조마조마해 했고 실제로도 콜리플라워와 마늘 손질, 그리고 막판 플레이팅에서 느릿느릿한 모습을 보여주며 구경하는 이들의 속을 졸였으나 어찌저찌 요리를 완성하는 데는 성공했다. 50초 남았다는 소리를 듣자마자 그 전과는 다르게 미친 듯이 소스를 섞는 모습이 압권. 김풍: 마지막에는 손이 빠르게 되네요! 허나 본인이 지방간이라 지방간을 더 잘 알던 정호영에게 패배하며 결국 첫 별은 다음 기회로 미루게 되었다.
결과와는 별개로 조리 시작 전까지는 잔뜩 긴장한 모습으로 예능 세계관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듯 했으나, 막상 대결이 시작할 때가 되니 '시선이 부담은 되지만 그렇다고 너무 요리할 때 질문을 안 해주면 서운할 것 같다' 드립을 치거나 조리 도중에는 정호영과 함께 조리 학교 시절 교수님으로 혼다 & 나까무라 드립을 선보이는 등 의외의 예능감을 보이며 역시 어록 제조기의 명성은 어디 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3화에서는 본인의 대결 이전에 이연복 셰프와 대결을 펼치던 박은영 셰프의 유니셰프[1]로 먼저 참전했다. 권성준, 최현석 셰프와 함께 머랭을 치는 작업에 동원되었는데 번갈아 머랭을 치던 중 본인 차례가 오자 "아... 난 힘이 없는데..."라며 머뭇거리더니 머랭을 받자 바로 앞선 두 셰프 못지 않은 힘을 발휘하는 의외의 면모를 보여줬다. 박은영 셰프가 승리하고 소감을 얘기할 때 '유니셰프 두 분께 감사드린다'고 하자 깨알 같이 '세 명인데!'라고 끼어들어 본인의 지분을 챙기며 소소한 웃음을 줬다.
4화에서 진행된 두번째 대결은 송중기의 냉장고를 활용한 <나야, 들기름>을 주재로 정호영과의 리턴 매치가 성사되었다. 이어 첫 대결에서는 주목받기 싫어서 쓰지 않았던 찬스 중 1분 스탑을 사용했다. 들기름과 불고기를 활용한 프리타타또 나야, 들기름으로 정호영의 메밀 김밥 야. 나도. 들기름(야나들)을 상대했다. 1분 스탑 베네핏을 사용하며 정호영의 살사 반격여... 여긴 넘어오면 안 되잖아요!을 맞아가면서도 순조롭게 진행하였으나, 하필 대결 10여초를 남기고 확인한 프리타타가 조금 덜 익은 상황이라 본인도 망했네라고 중얼거렸다.[2] 다행히 프리타타가 익긴 했지만[3] 정호영이 사용한 메밀면의 익힘 정도가 적당했고 요리를 못 하게 된 정호영이 1분 동안 신나게 춘 살사 댄스가 오히려 큰 인상을 남겨버려 정호영에게 또 패배했다. 최강록 曰 자고로 한국인은 삼세판.. 이제 한판 남았네..

5화에서는 도전자 팀의 팀장이 되었으나, 하필 하필 굉장히 높은 텐션의 소유자인 이은지 바로 옆에 앉는 바람에 실시간으로 기가 빨려나가고 있었다.(...)
6화에서 이은지의 냉장고로 <여보세요 나야~ 거기 안주 있니?>를 주제로 최현석의 파스타 밀키트사랑해요! 밀키트!를 사용한 감바스 알 아히요 스타일의 조림요리인 저는 조림 인간입니다를 선보이며 개막전 첫 승자인 이연복 셰프의 한장에 한잔해♬와 첫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곰을 피했더니 호랑이를 만났다.[4] 지난 대결에서 정호영의 살사에 충격(...)을 받은 탓에 이번에도 다시 찬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명이나물을 막판에 뺴먹는 실수를 범했지만, 빠트린 명이나물을 넣고도 의외로 이연복보다 먼저(!) 요리를 완성시켰다. 이은지도 이건 위로가 필요한 날에 토닥여주는 맛이라며 높게 평가했지만 매콤한 요리를 선호하는 이은지는 결국 이연복을 선택한 탓에 시즌 2 최초의 3연패 셰프가 되었다.[5]

7화에서는 흑화했다는 이유로 검은 모자로 바꿔 쓰고 등장했다. 박은영의 찬스로 유니셰프로 소환당했는데, 안그래도 느린 탓에 채를 썰어달라고 부탁한 김치의 줄기만 골라내고 씻기까지만 하고 퇴장해 박은영의 속을 태웠고 다른 셰프들에게 큰 웃음을 선사했다.박은영: 김치를 채썰어달랬더니! 안정환: 유니셰프가 김치를 빨아만 주고 갔어요!
8화에서 결정된 대결 주제는 현봉식의 냉장고로 <면봉식>. 상대도 똑같이 0승 3패의 김풍이라 단두대 매치가 성사되었고, 베네핏으로 재료 손질이 많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1분 유니셰프를 선택했다. 메뉴는 파를 사용한 새우튀김을 곁들인 일식 메밀국수인 D.P.(대파) 메밀면. 시작과 동시에 베네핏으로 팀원 전원을 호출해 대파를 썰었고박은영: 나 때는 김치만 빨아줬는데!, 여유가 생겼는지 요리 도중 "파를 이용해 고기 못지 않은 육수를 낼 수 있습니다... 고기는 아니지만!"이라며 깨알 같은 설명까지 덧붙였다. 그런데 하마터면 그 육수 버릴뻔 하기도 했다! 다행히 눈치를 빨리 채서 대참사는 면했으며, 대결 도중 새우튀김 반죽에 김을 섞었는데, 김성주가 이유를 묻자 "안 넣는 것보단 낫잖아요!"라고 해 김성주를 쓰러뜨리거나, 김풍이 썰어놓은 파를 훔칠까봐 파를 숨기고, 기름을 끓여야 하는데 화구에 올려만 놓고 방치너 방치된 거야하는 등 유달리 재밌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 상대인 김풍의 나폴리 풍피아가 논코팅 팬에 적응하지 못하고 면을 익힐 시간을 제대로 맞추지 못한 반면 전체적으로 좋은 완성도를 보여줘 드디어 첫 승을 수확했다.

9화에서 다시 흰 모자를 쓰고 5번째 대결을 펼치는데 5주만에 첫 출연하는 윤남노를 상대로 2연승에 도전한다.조림핑 Vs, 불안핑 윤남노를 상대로 길라임씨는 언제부터 그렇게 예뻤찜? 이라는 병어찜을 시전하였는데 중간평가에서 향 평가에서 윤남노는 사우나의 향이 나오고, 최강록은 한약방의 향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하지원은 그 완성된 음식에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평을 하였으나 윤남노 보다는 향이 덜 하였다는 점에서 첫 승을 딴지 얼마안되어서 또 1패를 적립했다. 사진도 못 찍고 연승도 실패했다..

3. 15분 레시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강록/냉장고를 부탁해 15분 레시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국적전적

4.1. 시즌 2

5. 냉부 공식 데이터

5.1. 시즌 2

6. 기타

6.1. 시즌 2


[1] 원래 박은영 셰프는 이연복 셰프를 상대로 1분 STOP 베네핏을 쓰려고 했으나, 요리 도중 설탕 없이 4란 머랭치기라는 초 고난이도 작업을 본 최현석 셰프의 제안으로 베네핏을 급히 유니셰프 동원으로 바꾸었고 대결 상대인 이연복 셰프도 흔쾌히 수락했다.[2] 서빙 레일에 올린 프리타타가 움직이면서 출렁거리는게 다른 셰프들 눈에도 띌 정도였다.[3] 최현석이 직접 찔러보면서 안심시켜주었다. 사실 이 문제는 시즌 1에서 김풍이 자투리타타를 내놓을 당시 똑같이 겪은 문제기도 했다.[4] 아예 본인도 대결하기 전 부터 가망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5] 물론, 선배 정호영도 처음 냉부에 데뷔했을때 4연패를 달성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6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