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0:09:33

칼 F. H. 헨리

현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사회주의 <colbgcolor=#fafafa,#191919>블룸하르트 · 쿠터 · 라가츠
종교사학파 · 아이히호른 · 브레데 · 궁켈 · 바이스 · 트뢸치 · 랄프스 · 부세트 · 하이트뮐러 · 오토 · 그레스만
근본주의 신학 워필드 · 메이첸 · 반틸
사회복음 엘리 · 스트롱 · 글래든 · 라우셴부시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 드샤르댕 · 하츠혼 ·
무교회주의 우치무라 · 야나이하라
루터 부흥운동
은사주의 시모어 · 와그너 · 윔버 · 오순절주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신정통주의 다드 · 불트만 · 고가르텐 · 바르트 · 틸리히 · 브루너 · 니부어 · 니버 · 투르나이젠 · 본회퍼
현대 정치신학 슈미트 · 메츠 · 몰트만 · 요더
신가르멜 신비신학 슈타인
기독교 불가지론 웨더헤드
누벨 테올로지 셰뉘 · 뤼박 · 라너 · 콩가르 · 다니엘루 · 폰 발타사르 · 스힐레베이크스 · 라칭거 ·
구속사 신학 폰라트 · 쿨만
불트만 학파 푹스 · 부리 · 에벨링 · 랑케하이네만
보편사 신학 케제만 · 판넨베르크
아나키즘 신학 엘륄 ·
해방신학 웨스트 · 구티에레스
신복음주의 헨리 · 그레이엄 · 스토트
현대 철학적 신학 리쾨르 · 지라르 · 테일러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융엘 · 스윈번 · 바티모 · 웨스트폴 · 딜리 · 라슈케 · 크레이그 · 코피치
과학신학 토렌스 · 폴킹혼 · 워드 · 벨커 · 맥그래스
세속화 신학 로빈슨 · 콕스
신자유주의 신학 · 스퐁 · 보그
후기자유주의 신학 린드벡 · 프라이 · 하우어워스
사신신학 해밀턴 · 알타이저 · 반 뷰렌 · 바하니안 · 기독교 무신론
세군도 · 구티에레스 · 아스만 · 보프 · 소브리노
시카고학파 카우프만 · 오그덴 · 트레이시
공공신학 마티 · 볼프
페미니즘 신학 몰트만벤델 · 데일리 · 죌레 · 맥페이그 · · 류터 · 슁엘슈트라우만 · 괴트너아벤트로트 · 하이네 · 물라크 · 코클리 · 켈러 · 태너
종교사회학 버거
고전정통주의 젠슨 · 오든 · 건튼 · 그렌츠 · 윌리암스
아프리카 신학 음비티
트랜스모더니즘 두셀
흑인신학
약한 신학 카푸토 · 윈퀴스트 · 로빈스
무신론 테일러
포화 신학 마리옹
퀴어신학 알타우스리드 · 톤스태드
급진 정통주의 밀뱅크 · 스미스 · 픽스톡
그리스도 신화론 프라이스
재신론 카니
열신학 롤린스
새 관점 라이트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칼 F. H. 헨리
Carl F. H. Henry
파일:CFHHenry.jpg
본명 칼 퍼디난드 하워드 헨리
Carl Ferdinand Howard Henry
출생 1913년 1월 22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사망 2003년 12월 7일 (향년 90세)
미국 위스콘신주 워터타운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NNNcm, NNkg, 혈액형
가족 이름 (관계)
학력 초등학교 (졸업·중퇴)
중학교 (졸업·중퇴)
고등학교 (졸업·중퇴)
대학교 단과대학 (학과1·학과2[복수전공] / 재학·학사·중퇴)
종교 개신교
직업 신학자
소속 소속
서명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 개요2. 생애3. 활동4. 여담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미국을 대표하는 초기 현대 복음주의 신학자다.

2. 생애

1913년 독일 이민 가정의 아들로 태어나 뉴욕 롱아일랜드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휘튼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북침례교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한 이후 1947년 새롭게 설립된 초교파 복음주의 신학교인 풀러신학교 초대 교수를 역임했다. 그러나 상아탑에 머무르지 않고 1956년부터 1969년까지 자유주의 진영의 “크리스천 센츄리”에 대항하기 위해 창간된 복음주의 잡지 “크리스채너티투데이” 초대 편집장으로 활동하면서 복음주의의 대변자 역할을 했다. 또한 <불편한 양심>이라는 신선한 책을 통해 기독교 신앙인들이 사회 문제와 실질적인 인간의 고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이것과 전도를 잘 조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신학 전통과의 대화도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빌리 그레이엄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복음주의협회, 캐나다복음주의협회, 세계복음주의연맹, 로잔 언약 등 세계적인 기독교 조직과 모임에도 상당한 신학적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 이외에도 <신, 계시, 권위>라는 6권으로 구성된 대작이 있다.

3. 활동

4. 여담

1970년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 그의 활동 후반기에 한국을 여러 번 방문하여 신학교와 교회에서 강의와 설교를 했으며 한국 방문 기간 동안 맞았던 아내의 환갑잔치를 전통방식으로 치를 정도로 칼 헨리는 한국에 특별한 애정이 있었다.


[복수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