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루돌프 불트만 Rudolf Bultmann | |
본명 | 루돌프 카를 불트만 Rudolf Karl Bultmann |
출생 | 1884년 8월 20일 |
독일 제국 비펠슈테데 | |
사망 | 1976년 7월 30일 (91세) |
서독 마르부르크 | |
직업 | 신학자 |
모교 | 마르부르크 대학교 |
배우자 | 헬레네 펠트만 (1917년 ~ 1973년, 사별) |
종교 | 개신교(루터회) |
서명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루터교회 신학자. 마르부르크 대학의 신약학 교수로 30년 동안 재직했으며,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성서의 비신화화를 시도한 신학자라는 평가를 받는다.2. 생애
불트만은 비펠슈테데에서 태어났고, 루터교회 목사의 아들이었다. 올덴부르크에 있는 알테스 김나지움에서 대학 입학 허가증(Abitur)을 획득한 뒤, 그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두 학기가 지난 후, 불트만은 몇 학기 동안 베를린 대학교에 재학하다가, 최종적으로는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학업을 마쳤다. 그는 자신의 학위를 1910년 마르부르크에서 사도 바울의 서신에 대한 논문으로 취득하였다. 2년의 수련을 거친 후에, 그는 마르부르크에서 신약 성서를 강의하게 되었다. 베를린과 기센에서 잠시 강사로 재직한 후, 그는 1921년 마르부르크 대학교로 돌아와서 정교수가 되었다. 그는 1951년 은퇴할 때까지 마르부르크에 머물렀다. 유명한 제자로는 한스 콘첼만, 에른스트 케제만, 귄터 보른캄, 한나 아렌트, 헬무트 쾨스터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영국과 미국의 신학계에 강한 영향력을 끼쳐 그를 따르는 수많은 제자들이 생겨났다. 그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신 해석학파가 형성되었다. 불트만은 디트리히 본회퍼가 주도한 고백교회(Bekennenede Kirche)의 구성원이었으며, 국가사회주의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 그는 유대인 학대와 과도한 민족주의, 그리고 아리안 인종이 아닌 기독교 성직자의 퇴출에 반대하는 발언을 했다.3. 사상
그는 신약 성서의 케리그마, 즉 예수의 신화적 행적들로 보이는 모든 것들을 배제하고 철저히 변증법적 시각에서 예수의 삶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19년에서 1968년까지 전성기를 누리던 변증법적 신학은 하느님과 세상을 철저하게 대별해 놓고 오직 한 점을 통해서만 만나도록 했다. 그 점은 예수가 왔다는 '사실' 이고, 그가 떠났다는 '사실' 이며, 십자가와 부활이다.변증법적 신학에서 중요한 것은 예수가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행했느냐가 아니라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하느님이 무엇을 말하고 행했느냐 하는 것이다. 이 하느님의 행위에 대한 메세지, 곧 신약 성경의 '케리그마' 가 대상으로 삼는 것은 역사적인 예수가 아니라 '케리그마' 의 그리스도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교사적 연구는 예수가 신학적으로 유대교에 속하며. 그리스도교는 예수 부활 사건 이후에 시작되었음을 밝혀냈다. 불트만은 이것을 토대로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예수의 가르침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1921년 출간된 기념비적 서술 <공관복음 전승사>의 정교한 분석의 결과 그가 도달한 귀결점은, 복음서의 구술전승 단위들인 단화들조차 헬레니즘적 교회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예수의 선포는 신약 성서 신학의 전제들에 속하는 것이지, 그 신학자체의 일부분이 아니라는 것이다. 불트만은 예수에게서 중요한 것은 오직 그가 존재했다는 사실 뿐이고, 그 이상은 사학적 확증 없이 부실한 가설에는 신앙이 관련되지 않으며, 신앙과 관련되는 것은 오직 폐쇄된 인간 존재를 본연으로 해방시켜 주는 복음 선포로 일어나는 '말씀의 사건'(Wortereignis)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