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3:00:59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태평양사에서 넘어옴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군 통합전투사령부
Unified combatant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NORTHCOM
북부사령부

(2002.10.01. ~)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EUCOM
유럽사령부

(1947.03.15. ~)
파일: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휘장.svg
CENTCOM
중부사령부

(1983.01.01. ~)
파일:미합중국 남부사령부 휘장.svg
SOUTHCOM
남부사령부

(1963.06.06. ~)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AFRICOM
아프리카사령부

(2007.10.01.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INDOPACOM
인도태평양사령부

(1947.01.01. ~)
파일:미합중국 우주사령부 휘장.svg
SPACECOM
우주사령부

(1985.09.23. ~ 2002.10.01)
(2019.12.20. ~)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SOCOM
특수작전사령부

(1987.02.16.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
TRANSCOM
수송사령부

(1987.06.0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STRATCOM
전략사령부

(1992.06.01. ~)
파일:미합중국 사이버사령부 휘장.svg
CYBERCOM
사이버사령부

(2010.05.21. ~)
}}}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관
}}}}}}}}} ||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United States Indo-Pacific Command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창설일 1942년 ~ 1947년(태평양해역군)
1947년 ~ 2018년(태평양사령부)
2018년 5월 30일 ~ (인도-태평양사령부)
약칭 USINDOPACOM, INDOPACOM
소속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미국 국방부
분류 미국 통합전투사령부
규모 375,000명[1]
참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킬링필드
사령관 파일:미합중국 해군대장기.svg 새뮤얼 파파로(해군 대장)
부사령관 파일:미합중국 육군중장기.svg 조슈아 러드(육군 중장)
본부 캠프 H. M. 스미스(하와이주 오아후 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대 사령관

[clearfix]

1. 개요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2]미군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 인도-태평양사령부를 총괄하는 권역별 미국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인도-태평양사령부의 책임 지역은 지구 총면적의 약 52%를 포함하며, 미국 서해안에서 인도 서부, 그리고 남극에서 북극까지 뻗어 있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책임 지역 전역에 걸쳐 배치된 약 375,000명의 군인 및 민간 인력을 지휘하고 있다.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다른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미국의 영토와 국민, 이익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맹국 및 파트너와 함께 안보 협력과 평화로운 발전, 비상 사태 대응과 침락 억제,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적인 개입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접근 방식은 파트너십, 주둔 및 군사 준비태세를 기반으로 한다.

현 사령관은 해군대장 새뮤얼 파파로 제독으로, 태평양함대사령관에서 영전했다.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창설부터 현재까지 모두 미국 해군 출신이 보임되고 있어서, 사실상 해군의 자체 대장 보직으로 평가받는다.[3]

3. 역대 사령관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평양해역사령관 태평양사령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타워스 루이스 덴펠드 드위트 램지 아서 래드포드
태평양사령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펠릭스 스텀프 해리 펠트 율리시스 그랜트 샤프 존 매케인 주니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노엘 게일러 머라이스 와이즈너 로버트 롱 윌리엄 크로 주니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로널드 헤이스 헌팅턴 하디스티 찰스 라슨 리처드 매크A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조셉 프루허 데니스 블레어 토머스 파고 윌리엄 팰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티모시 키팅 로버트 윌러드 새뮤얼 로클리어 해리 해리스
A: 범죄 혐의에 의한 소장 강등
인도-태평양사령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필립 데이비드슨 존 아킬리노 새뮤얼 파파로 - }}}}}}}}}
<rowcolor=#FFFFFF> 순서 사진 이름 기간 계급 복무 비고
1 파일:Towers pacom.jpg 존 H. 타워스(John H. Towers) 1947년 1월 ~ 1947년 2월 해군
대장
퇴역 [4]
2 파일:Denfeld pacom.jpg 루이스 덴펠드(Louis E. Denfeld) 1947년 2월 ~ 1947년 12월 해군
대장
퇴역 [5]
3 파일:Ramsey pacom.jpg 드위트 클린턴 램지(DeWitt C. Ramsey) 1948년 1월 ~ 1949년 4월 해군
대장
퇴역 [6]
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DM_Arthur_Radford.jpg 아서 래드포드(Arthur W. Radford) 1949년 4월 ~ 1953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7]
5 파일:Stump pacom.jpg 펠릭스 스텀프(Felix B. Stump) 1953년 7월 ~ 1958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8]
6 파일:Felt pacom.jpg 해리 펠트(Harry D. Felt) 1958년 7월 ~ 1964년 6월 해군
대장
퇴역 [9]
7 파일:Sharp pacom.jpg 율리시스 그랜트 샤프(Ulysses S. Grant Sharp) 1964년 6월 ~ 1968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10]
8 파일:Mccain pacom.jpg 존 매케인 주니어(John S. McCain, Jr.) 1968년 7월 ~ 1972년 9월 해군
대장
퇴역 [11]
9 파일:Gayler pacom.jpg 노엘 게일러(Noel A.M. Gayler) 1972년 9월 ~ 1976년 8월 해군
대장
퇴역 [12]
10 파일:Weisner pacom.jpg 머라이스 와이즈너(Maurice F. Weisner) 1976년 8월 ~ 1979년 10월 해군
대장
퇴역 [13]
11 파일:Long pacom.jpg 로버트 롱(Robert L.J. Long) 1979년 10월 ~ 1983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14]
1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Adm_William_Crowe_Jr.jpg 윌리엄 크로(William J. Crowe, Jr.) 1983년 7월 ~ 1986년 9월 해군
대장
퇴역 [15]
13 파일:Hays pacom.jpg 로널드 하이스(Ronald J. Hays) 1985년 9월 ~ 1988년 9월 해군
대장
퇴역 [16]
14 파일:Hardisty pacom.jpg 헌팅턴 하디스티(Huntington Hardisty) 1988년 9월 ~ 1991년 3월 해군
대장
퇴역 [17]
15 파일:Larson pacom.jpg 찰스 라슨(Charles R. Larson) 1991년 3월 ~ 1994년 7월 해군
대장
퇴역 [18]
16 파일:리처드 매크 대장.jpg 리처드 매크(Richard C. Macke) 1994년 7월 ~ 1996년 1월 해군
소장
퇴역 [19]
17 파일:Prueher pacom.jpg 조셉 프루허(Joseph W. Prueher) 1996년 1월 ~ 1999년 2월 해군
대장
퇴역 [20]
18 파일:Blair pacom.jpg 데니스 블레어(Dennis C. Blair) 1999년 2월 ~ 2002년 5월 해군
대장
퇴역 [21]
19 파일:Fargo pacom.jpg 토머스 파고(Thomas B. Fargo) 2002년 5월 ~ 2005년 2월 해군
대장
퇴역 [22]
20 파일:윌리엄 팰런 대장.jpg 윌리엄 팰런(William J. Fallon) 2005년 2월 ~ 2007년 3월 해군
대장
퇴역 [23]
21 파일:Keating pacom.jpg 티모시 키팅(Timothy J. Keating) 2007년 3월 ~ 2009년 10월 해군
대장
퇴역 [24]
22 파일:Willard pacom.jpg 로버트 윌러드(Robert F. Willard) 2009년 10월 ~ 2012년 3월 해군
대장
퇴역 [25][26]
23 파일:새뮤얼 로클리어 대장.jpg 새뮤얼 로클리어(Samuel J. Locklear III) 2012년 3월 ~ 2015년 5월 해군
대장
퇴역 [27]
24 파일:Harris pacom.jpg 해리 해리스(Harry B. Harris Jr.) 2015년 5월 ~ 2018년 5월 해군
대장
퇴역 [28]
25 파일:Davidson.jpg 필립 데이비드슨(Philip S. Davidson) 2018년 5월 ~ 2021년 4월 해군
대장
퇴역 [29]
26 파일:Aquilino INDOPACOM.jpg 존 아킬리노(John C. Aquilino) 2021년 4월 ~ 2024년 5월 해군
대장
퇴역 [30]
27 파일:ADM_Samuel_J._Paparo_Jr._(2).jpg 새뮤얼 파파로(Samuel J. Paparo Jr.) 2024년 5월 ~ 해군
대장
현역 [31]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평양해역사령관 태평양사령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타워스 루이스 덴펠드 드위트 램지 아서 래드포드
태평양사령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펠릭스 스텀프 해리 펠트 율리시스 그랜트 샤프 존 매케인 주니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노엘 게일러 머라이스 와이즈너 로버트 롱 윌리엄 크로 주니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로널드 헤이스 헌팅턴 하디스티 찰스 라슨 리처드 매크A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조셉 프루허 데니스 블레어 토머스 파고 윌리엄 팰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티모시 키팅 로버트 윌러드 새뮤얼 로클리어 해리 해리스
A: 범죄 혐의에 의한 소장 강등
인도-태평양사령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필립 데이비드슨 존 아킬리노 새뮤얼 파파로 - }}}}}}}}}


==# 편제 #==
파일:INDOPACOM Status.jpg

===# 태평양육군 #===
United States Army Pacific


====# 제8군 #====
Eighth United States Army


====# 제1군단 #====
I Corps


===# 태평양해병대 #===
United State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 제1해병원정군 #====
I Marine Expeditionary Force


====# 제3해병원정군 #====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 태평양함대 #===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제3함대 #====
United States Third Fleet


====# 제7함대 #====
United States Seventh Fleet


====# 태평양함대 해군항공군 #====
Naval Air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태평양함대 해군수상함군 #====
Naval Surface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태평양함대 잠수함군 #====
Submarine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태평양공군 #===
United States Pacific Air Forces


====# 제5공군 #====
Fifth Air Force


====# 제7공군 #====
Seventh Air Force


====# 제11공군 #====
Eleventh Air Force


===# 인도-태평양우주군 #===
파일:U.S._Space_Forces_Indo-Pacific_emblem.png United States Space Forces Indo-Pacific


===# 주일미군 #===
United States Forces Japan


===# 주한미군 #===
United States Forces Korea


===# 태평양특수작전사령부 #===
파일:socpac_emblem 0.jpg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Pacific



[1] https://www.pacom.mil/About-USINDOPACOM/[2] 명칭이 너무 길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언론에서는 인태사라고 부르기도 한다.[3] 2004년에 태평양사령관으로 그레고리 마틴 공군대장이 지명되었지만, KC-X와 관련된 뇌물 사건에 엮인 적이 있어서 지명이 무산되었다.[4] 190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5함대사령관 출신.[5] 191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출신. 해군참모총장으로 이동.[6] 191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7] 191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이동.[8] 191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2함대사령관 출신.[9] 192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0] 192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11] 193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해군사령관 출신.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아버지.[12] 1935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국가안보국장 출신.[13] 194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14] 194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5] 194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해군사령관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이동.[16] 195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7] 195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8] 195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 해군사관학교장으로 이동.[19] 196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장 출신. 부적절한 발언으로 인해 소장 강등 후 퇴역.[20] 196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 빌 클린턴 정부에서 주중 미국대사 역임.[21] 196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장 출신.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정보장 역임.[22] 197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23] 1967년 빌라노바 대학교 졸업. 함대전력사령관 출신. 중부사령관으로 이동.[24] 197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북부사령관 출신.[25] 197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26] 여담으로 해군전투기무기학교에서 근무할 때, 탑건의 항공 코디네이터로 참여했다. 작중에서 톰 크루즈가 연기한 피트 미첼 대위에게 뻐큐 먹은 미그 조종사를 연기한게 바로 이 사람이다.[27] 197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해군사령관 출신.[28] 197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 도널드 트럼프 정부에서 주한 미국대사 역임.[29] 198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함대전력사령관 출신.[30] 1984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31] 1987년 빌라노바 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