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07 23:56:21

한심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2D57, #003380 20%, #003380 80%, #1B2D57); color: #fff; word-break: keep-all;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이춘호 장이욱 최규동 최규남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윤일선 권중휘 신태환 유기천 최문환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한심석 윤천주 고병익 권이혁 이현재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박봉식 조완규 김종운 이수성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이기준 정운찬 이장무 오연천 성낙인
직무대행 제27대 제28대
박찬욱 오세정 유홍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재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언어학, 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한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장석진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김상주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조동일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수진 박중현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홍재성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김상용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김학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박상대 노오현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이정민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맹원재 윤덕용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김수용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임번장 현병구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조주관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장호완 나정웅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장경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김상구 한송엽 심희섭 김윤수
- 남기심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정진하 최항순 이영순 박승우
- 김인환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 김도한 조완규 이장무 이승규 최양도
- 이종호 김호동 - 임현진 - 박성현 이기화 이병기 이종호 홍성윤
- - 김영식 - 신명순 - 김진의 안진흥 황규영 박성회 김수일
- - 고동환 최진호 임정빈 유정열 이명식 고희종
- 박종욱 - 고규영 김용균
- 우경식 -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길희성
이성진
명예 회원
노요리 료지 얀 린드스텐 위르겐 코카 얀 아헨바흐 크리스티안 스타크
피터 드루스 시오노 히로시 로저 비치 해럴드 푸어
}}}}}}}}}}}} ||
<colbgcolor=#004787><colcolor=#fff> 한심석
韓沁錫 | Shim-Suk Hahn[1]
파일:한심석.jpg
본관 청주 한씨[2]
출생 1913년 5월 23일[3]
평안남도 강서군 거암면 가현리[4]
(現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사망 1983년 10월 12일 (향년 70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학력 영신학교 (졸업)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의학 / 학사)
경성제국대학 대학원 (의학 / 박사[5])
경력 서울대학교 교수, 총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대한내과학회장

1. 개요2. 생애3. 가족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의사, 교수. 본관은 청주(淸州).

독립유공자 한예건은 그의 5촌 당숙(堂叔)이다.[6]

2. 생애

1913년 5월 23일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아버지 한제건(韓濟建, 1853. 7. 20 ~ 1916. 10. 9)[7]과 어머니 청풍 김씨 김정건(1873 ~ ?. 4. 26)[8] 사이에서 7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9살 때 영신학교에 입학해 졸업한 뒤 1927년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1931년 졸업했다. 광성고등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에 동조하는 의미로 시험 때 백지 답안지를 내고 퇴장한 일로 평양경찰서에서 취조를 받고 강제 귀향조치를 받은 바 있다.

1932년 경성제국대학 예과(제9회, 이과)에 입학했다. 1934년 대학예과 수료 후 의학부로 진학하여 1938년 졸업했다. 학부 졸업 후 곧바로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미생물학교실 제1강좌에서 의학부 교수 호소카와 쇼이치(細川正一)의 부수로 연구를 계속했다. 한 달 뒤 조수 발령을 받고,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전염병실과 경성부립 전염병 전문병원이었던 순화원(順化院)을 다니며 당시 유행하던 디프테리아 균주(菌株)들을 분리해 배양하는 작업을 했다. 1940년 12월에는 호소카와 쇼이치 교수의 소개로 의학부 내과학교실 제2강좌 이토 마사요시(伊藤正義) 교수의 조수로 자리를 옮긴 뒤 임상수련을 받았고, 1943년 경성제국대학 대학원에서 '경성에서 유행하는 디프테리아균형에 관한 연구'(京城に流行するヂフテリア菌の菌型に関する研究)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43년 전임강사에 채용되었고, 1944년 6월 이토 마사요시 교수가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장에 취임하자 의학부 제2내과의 책임자격으로 부상했다.

8.15 광복 후 1945년 경성대학 의학부 제2내과에 조교수로 부임했다. 1946년 남해안 일대에 콜레라가 발생하자, 의학부 방역반장으로서 현지 방역에 종사하기도 했다. 같은 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부교수로 승진했고,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장 및 이대동대문병원장을 3년간 겸임했다. 1952년에는 교수로 승진해 1978년까지 재직했다. 그 사이 1955년 미네소타 프로젝트에 따라 교환교수 제1진으로서 미네소타 대학교에 파견돼 간질환 연구에 대한 연수를 받은 뒤 이듬해인 1956년 귀국했고, 이후 1958년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 주임교수,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제1·2대 대한기생충학회 회장, 1960년 국제간연구회 한국지부장, 1963년 대한내과학회 부회장, 1963년부터 1970년까지 부속 풍토병연구소 소장, 1964년 10월 1일부터 1968년 9월 4일까지 제8·9대 의과대학 부속병원장, 1965년 대한병원협회 회장,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대한내과학회 회장, 1968년 9월부터 1970년까지 제9대 의과대학장, 1968년 대한소화기병학회 회장, 1970년 4월 부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1966년 4월 23일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과학부 제4분과 회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1970년 11월 11일부터 1975년 5월 26일까지 제11·12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역사상 유일한 연임 총장이다. 총장 재임 중 1975년 서울대학교의 각 단과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여 관악캠퍼스에서 첫 입학식이 열렸다. 그러나 1975년 4월 김상진 할복 사건이 발생하자 농과대학장이 사임했고, 대규모로 시위가 거세짐에 따라 같은 해 5월에 총장직을 사임했다. 1979년 이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1974년 척추종양이 발견된 이래 1980년 11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해 3년 10개월간 5차례의 수술을 받았고, 1983년 8월 종양이 재발해 다시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1983년 10월 12일 오후 4시 30분 별세했다.

2012년 3월 29일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다.

국내 내과학, 특히 소화기내과학 및 간장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한국인의 간디스토마, 간경변증 및 간암에 관한 연구, 간흡충증을 포함하는 장내기생충에 관한 연구 등 20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의학협회 제1회 학술상, 대한민국 학술원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3. 가족

부인 김성옥(金星玉)과의 사이에 1남 4녀를 두었으며 사위 3명이 의사다.


[1] 서울대학교병원 공식 홈페이지상의 표기. 대한민국 학술원 홈페이지에서는 Han, Sim Sok으로 표기한다.[2] 등제공파(登第公派) 29세 석(錫) 항렬. 족보명은 한필석(韓泌錫).[3]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4]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강서군 수산면 가현리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강서군 수산리 → 1978년 대안시 수산리 → 1979년 남포시 대안시 수산리 → 1983년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5] 박사학위논문 : 京城に流行するヂフテリア菌の菌型に関する研究(1943)[6] 한심석의 조부 한용국(韓用國, 1834. 4. 28 ~ 1870. 6. 20)의 둘째 남동생 한용설(韓用卨, 1843. 11. 1 ~ 1917. 2. 11)의 장남이 바로 한예건이다.[7] 자는 사여(士汝).[8] 김성보(金聖甫)의 딸이다.[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소아청소년과 의사[1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세계 최초 B형 간염 예방 백신을 개발하는 등 간질환 연구의 권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