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토통일원장관 (1969~1990)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신태환 | 제2대 김영선 | 제3대 김용식 | 제4대 신도성 | 제5대 유상근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6대 이용희 | 제7대 이규호 | 제8대 최완복 | 제9대 이범석 | 제10대 손재식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1대 이세기 | 제12대 박동진 | 제13대 허문도 | 제14대 이홍구 | 제15대 홍성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 (1990~1998)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16대 최호중 | 제17대 최영철 | 제18대 한완상 | 제19대 이영덕 | ||||||
<nopad> 문민정부 | |||||||||
제20대 이홍구 | 제21대 김덕 | 제22대 나웅배 | 제23대 권오기 | ||||||
통일부장관 (1998~현재)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4대 강인덕 | 제25대 임동원 | 제26대 박재규 | 제27대 임동원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28대 홍순영 | 제29·30대 정세현 | 제31대 정동영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2대 이종석 | 제33대 이재정 | 제34대 김하중 | 제35대 현인택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36대 류우익 | 제37대 류길재 | 제38대 홍용표 | 제39대 조명균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0대 김연철 | 제41대 이인영 | 제42대 권영세 | 제43대 김영호 | }}}}}}}}} |
신도성 관련 틀 | |||||||||||||||||||||||||||||||||||||||||||||||||||||||||||||||||||||||||||||||||||||||||||||||||||||||||||||||||||||||||||||||||||||||||||||||||||||||||||||||||||||||||||||||||||||||||||||||||||||||||||||||||||||||||||||||||||||||||||||||||||||||||||||||||||||||||||||||||||||||||||||||||||||||||||||||||||||||||||||||||||||||||||||||||||||||||||||||||||||||||||||||||||||||||||||||||||||||||||||||||||||||||||||||||||||||||||||||||||||||||||||||||||||||||||||||||||||||||||||||||||||||||||||||||||||||||||||||||||||||||||||||||||||||||||||||||||||||||||||||||||||||||||||||||||||||||||||||||||||||||||||||||||||||||||||||||||||||||||||||||||||||||||||||||||||||||||||||||||||||||||||||||||||||||||||||||||||||||||||||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출생 | 1918년 3월 7일 |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황산마을[1] | |||
사망 | 1999년 9월 6일 (향년 81세) | ||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중앙길병원 | |||
묘소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 ||
호 | 구암(龜庵, 龜巖) | ||
본관 | 거창 신씨[2] | ||
재임기간 | 제7대 경상남도지사 | ||
1959년 11월 24일 ~ 1960년 4월 30일 | |||
제4대 국토통일원장관 | |||
1974년 9월 18일 ~ 1975년 8월 1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배우자 | 권정순 | |
자녀 | 슬하 2남 3녀 | ||
학력 |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사가고등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 / 학사)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연구과 (법학[3] /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4]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5])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3 | ||
약력 | 연희전문학교 조교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주임교수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방부 전사편찬위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장 김성수 부통령 비서관 제7대 경상남도지사 대구대학 학장 제4대 국토통일원장관 평화민주당 고문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및 정치인이다. 본관은 거창(居昌), 호는 구암(龜庵, 龜巖).이자헌 전 체신부장관은 그의 맏사위이다.
2. 생애
1918년 3월 7일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황산마을에서 아버지 괴운(槐雲) 신종삼(愼宗三, 1888. 1. 6 ~ 1945. 12. 16)과 어머니 풍천 노씨(豊川 盧氏, ? ~ ?. 3. 7)[6] 사이에서 4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중앙고등보통학교 및 일본 사가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 진학하였다. 학부 졸업과 함께 도쿄제국대학 대학원 연구과에 행정법 전공으로 진학하였다. 해방이 되자 연희전문학교 조교수를 거쳐 194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설립과 함께 초대 주임 교수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으며[7], 동시에 대구대학 학장에 부임하여 각각 1954년까지 재직했다.
1951년 김성수 대한민국 부통령의 비서관으로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1954년 4월 6일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5분과 회원에 정치학 전공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신중목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4년 12월 7일, 사사오입 개헌 당시 최순주 국회부의장에 대한 징계동의를 제안하며 "136이란 [math(\frac{2}{3})] 정족수는 엄연한 사실로서 지금 헌법위원회서도 11인의 [math(\frac{2}{3})]를 8명으로 규정하여 항용해오고 또한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단의 보고서에도 203의 [math(\frac{2}{3})]이 수는 정확히 계산하여 136인이어야 한다고 거듭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순주군(君)은 부결이라고 선포 해놓고 이일후 이를 취소 하였으니 이는 개인문제보다도 국제적 국내적으로 국회의 위신과 국가전체의 위신회복을 위하여 징계치 않을 수 없다"고 갈파 하였다. 또한 "독일의 힛틀러가 (중략) 반대하는 야당을 없애기 위하여 국회를 해산하려 했으나 구실이 없어 국회의사당에 방화를 해놓고 이를 의원들에게 책임을 지워 해산안을 표결"한 후 해산안이 부결되자 "독재 어용헌법학자 들도 일단부결을 선포한 뒤에는 이를 다시 재심할 수 없다는 단언을 내린 일이 있다"고 국회에서 발언하며''' 이승만의 사사오입 개헌을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과 견주었다.#
1955년, 민주국민당을 탈당하였다. 이후 조봉암의 진보당 창당에 관여하였다가 그만두었고, 1957년 4월 27일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의 임기 역시 만료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김상돈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9년 11월부터 1960년 4월까지 관선 경상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1960년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었고 4.19 혁명을 공산주의자들의 소행이라고 하였다. 4.19 혁명 이후 구속되었다.
이후 정치생활을 접고 1969년 영남대학교 교수에 부임하면서 학계로 돌아왔으며, 영남대학교 내에 ‘한국통일문제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남북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1970년에는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 영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72년부터는 영남대학교 부총장을 겸임하기도 했으며, 1974년부터 1975년까지 국토통일원장관을 역임하였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명지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지금까지의 친정부적 이력과 달리, 야당의 거물이자 훗날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하게 되는 김대중의 대북정책 자문역을 맡게 되었다. 평화민주당 및 신민주연합당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1999년 9월 6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중앙길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부산 갑 | 부산 정 | 부산 무 | ||
김지태 | 전진한 | 정기원 | 김동욱 | 이영언 | |
마산 | 의령 | 함안 | |||
김종신 | 서인홍 | 황남팔 | 이영희 | 조경규 | |
창녕 | 밀양 갑 | 밀양 을 | 양산 | 울산 갑 | |
하을춘 | 김형덕 | 조만종 | 지영진 | 김수선 | |
울산 을 | 동래 | 김해 갑 | 김해 을 | 창원 갑 | |
정해영 | 김법린 | 박재홍 | 이종수 | 김성삼 | |
창원 을 | 통영 갑 | 통영 을 | 고성 | 사천 | |
이용범 | 최천 | 김영삼 | 최갑환 | 정갑주 |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거창 | |
윤병호 | 강봉욱 | 안준기 전임자: 이병홍 | 김영상 | 신도성 | |
합천 갑 | 합천 을 | ||||
유봉순 | 최창섭 | ||||
◀ 제2대 제4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민관식 | 김일 | 이인 | 오형근 | 황경수 |
이영섭 | 정준 | 전상요 | 박기운 | 장영근 | |
김택술 | 송방용 | 양일동 | 김철주 | 신행용 | |
문종두 | 김철 | 김지태 | 황남팔 | 김수선 | |
정해영 | 박재홍 | 최갑환 | 신도성 | 김석호 | }}} }}}}}} |
[1] 거창 신씨 집성촌이며, 전 국회의원 신성범도 이 마을 출신이다. 황산리 신씨 고가에서 태어났다고 한다.참조[2] 통례공파(通禮公派) 30세 성(晟) 항렬.[3] 행정법 전공[4] 법학 박사학위 논문 : 蘇聯.中共間 論爭의 '이데올로기'的 側面考察(소련.중공간 논쟁의 '이데올로기'적 측면고찰, 1970).[5] 정치학 박사학위 논문 : 소련.중공간 경쟁의 「이데올로기」적 측면고찰.[6] 노정현(盧正鉉)의 딸이다.[7] 경성대학이 해체되고 서울대학교가 새롭게 설립되면서 문리과대학 내에 정치학과를 설치하였는데 1946년 창립 당시에는 학과 내 전임 교수가 신도성 교수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