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3:22:12

홍규

홍문계에서 넘어옴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홍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판삼사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000> -
문벌귀족기
(981~1170)
왕가도 이유충 김약진 최유길 류석 임간 오수증 이오 왕하 오연총 이자겸 최계방 강증 이궤 박경인 왕자지 최홍재 김부식 임경청 이중 한유충 왕충 최관 최유청 문공원 최함 김거공 최유칭 김영윤 서공
무신정권
(1170~1270)
임유겸 정극온 김취려 이적유
원 간섭기
(1270~1356)
공유 정가신 박지량 한희유 김흔 김지숙 홍규 최유엄 정인경 설영임 정해 김심 김태현 김혼 이호 김순 김태현 강융 박허중 이제현 권겸 박충좌 이제현 손수경 손홍량 김나해 이몽가 조일신 이권 홍언박 류탁 조유 강천유 강윤충 강인백
여말선초
(1356~1392)
원호 이수산 이인복 전보문 이수산 최영 이색 이색 이색 심덕부 설장수 조준
}}}}}}}}}}}}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평장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조맹 최언위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 충숙왕의 장인 | 명덕태후의 부친
남양부원군(永恩府院君) 광정공(匡定公)
홍규
洪奎
출생 1246년
사망 1316년(충숙왕 3) (향년 71세)
국적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봉호 남양부원군(永恩府院君)
시호 광정(匡定)
본관 남양 홍씨
미루(彌樓)
이름 홍문계(洪文系) → 홍규(洪奎)
부모 부친 홍진(洪縉)
모친 창원군부인 최씨 - 최황(崔貺)의 딸
부인 초배 진천 임씨 - 임연의 딸[A]
계배 광산 김씨 - 김연(金練)의 딸
자녀 1남 5녀
장남 홍융(洪戎)
장녀 아고알(阿高歹)의 부인
차녀 정해(鄭瑎)의 부인
삼녀 순화원비 홍씨[2]
4녀 원충(元忠)의 부인
5녀 공원왕후 홍씨

1. 개요2. 생애3. 여담4. 가족관계

[clearfix]

1. 개요

고려첨의중찬. 송송례 등과 함께 100년 간 이어진 무신정권을 마무리한 공신.

2. 생애

인종 시기 상서좌복야를 역임한 홍관(洪灌)[3]의 5대손. 동지추밀원사 홍진(洪縉)의 아들이다.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권무(權務), 산원(散員), 견룡행수(牽龍行首)를 차례로 거쳤고 원종 때 어사중승이 되었다. 장인어른임연 사후 그의 매부임유무무신정권의 새로운 집권자가 되었을 때 송송례와 함께 자문 역할을 하였다. 1270년 5월 원종의 밀령을 받아 송송례 등과 함께 삼별초를 동원해 권신 임유무의 집에 찾아가 임유무와 그 가족을 주살하였고 이로써 1170년부터 100년 간 이어져 온 무신정권을 마침내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다.(경오정변)[4]

세자 왕심을 호종해 원나라의 수도 대도에 갔는데, 쿠빌라이의 명으로 고려 1품직에 올랐으며, 원의 좌부승선의 직을 받았다. 귀국해서는 국정의 문란을 한탄하며 사직했다. 1272년 추밀원부사가 되었으나 동년 10월에 다시 사직한다.

이후 17년간 관직에 오르지 않고 집에서 생활하다가 충렬왕과 공주가 양가의 여자를 징발해 원나라에 보낼 때, 자신의 딸이 징발될까 두려워 장녀를 비구니로 만들어 기피하려 한 죄로 바닷가의 섬[5]으로 귀양가게 되었고 결국 홍문계의 장녀는 원나라공녀로 끌려가 아고알(阿高歹)의 부인이 되었으며 가문의 재산도 압류됐다. 이 때 중찬 김방경과 사촌형 홍자번 등이 홍문계가 이전에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점을 들어 면죄를 간청하였던 덕분에 재산이 반환되고 풀려났다. 홍문계는 이듬해인 1291년 첨의시랑찬성사 판전리사사의 관직에서 물러났다.

1295년 9월 도첨의중찬의 관직으로 복직했고 이어서 판삼사사 수사도 영경령궁사가 되었다. 12월 김광취(金光就)와 함께 원나라에 하정사로 갔다 왔으며, 이 무렵에 홍규(洪奎)로 개명했다.

1297년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임명되었다가, 이듬해 수사도(守司徒)·영경령궁사가 더해졌고, 사위충선왕이 즉위한 1308년 익성군(益城君)에 봉해졌다. 1310년 9월 수첨의정승·상호군(上護軍)이 더해지고 행한양부윤으로 나갔으며, 12월 지익성군사(知益城郡事)로 옮겼다.

1313년(충숙왕 원년)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으로 고쳐 봉해지고 추성진력안정공신(推誠陳力安定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1316년 향년 71세로 졸했다. 시호는 광정(匡定)이다.

3. 여담

4. 가족관계


[A] 슬하의 자녀가 없었다.[2] 충선왕의 후궁.[3] 숙종 시기부터 일했던 관료로 인종 시기에는 상서좌복야를 역임했다. 이자겸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미 노인이 되었는데 인종을 뒤따라서 연덕궁으로 향하다가 척준경의 군대에게 잡혀서 살해당했고(...) 사후 추성보국공신으로 추증되었다.[4] 아마도 경오정변 이후에 광산 김씨와 재혼한 듯하다.[5] 기록에는 해도(海島)로 표기되어있다.[B] 사돈이자 사위이기도 하다.[B] 사돈이자 사위이기도 하다[8] 다시금 나열하자면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창왕. 대수로 따지자면 25대~33대 국왕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