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최유선(소방공무원) 문서 참고하십시오.
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최유선 관련 틀 | ||||||||||||||||||||||||||||||||||||||||||||||||||||||||||||||||||||||||||||||||||||||||||||||||||||||||||||||||||||||||||||||||||||||||||||||||||||||||||||||||||||||||||||||||||||||||||||||||||||||||||||||||||||||||||||||||||||||||||||||||||||||||||||||||||||||||||||||||||||||||||||||||||||||||||||||||||||||||||||||||||||||||||||||||||||||||||||||||||||||||||||||||||||||||||||||||||||||||||||||||||||||||||||||||||||||||||||
|
<colcolor=#ffd700><colbgcolor=#660000> 고려의 상서성 상서이부판사 고려의 중서문하성 문하시중 최유선 |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90호 홍천 노동서원 최유선 초상 | |
시호 | 문화공(文和公) |
본관 | 해주 최씨(海州 崔氏) |
이름 | 유선(惟善) |
아버지 | 최충 |
자녀 | 아들 - 최사제(崔思齊) 딸 - 해릉군대부인 최씨[1] |
생몰연도 | ? ~ 1075년 1월 |
[clearfix]
1. 개요
고려왕조 문종 인효대왕 시기의 유학자이자 문관.해주 최씨의 시조인 최온(崔溫)의 손자이고 최충의 장남이며 최사추의 큰아버지이다. 아들 최사제(崔思齊)가 최용(崔湧)을 낳고, 최용은 최윤의를 낳았으니 그의 증손자 최윤의도 묘정에 배향되었다.
2. 생애
최유선은 문벌귀족 가문 출신이다. 천재였던 아버지를 닮아 현종 대에 주최된 과거에 장원으로 합격, 한림원에 들어가 현종의 명령을 성문화하고 고치는 일을 했다.당시의 일화가 최자의 보한집 권상에 기록돼있다. 현종 재위 22년차에 현종이 직접 와 시험을 주제했다고 한다.
화국문장(華國文章)[2]은 화월(花月)도 그 꽁무리를 쫓아다니게 한다. 짐(朕)은 시험을 통해 그것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 현종의 시험 전 발언.
그래서 처음엔 부를 짓게 했다. 주제는 군유선[3]이었고, 최유선이 금방 부를 지어 올리려 하자 바로 다음 시를 쓰게 했는데 주제는 어완종선도[4]였다. 최유선은 시도 곧바로 지어 현종에게 올렸는데, 현종의 마음에 들어 현종이 '직접' 최유선의 장원 급제 합격서를 써서 주었다.[5]- 현종의 시험 전 발언.
부는 실전됐지만 시는 남아있는데, 다음과 같다.
어완에 있는 새로운 복숭아 종은 / 御苑桃新種
낭완의 신선에게 가져와 옮겨 심은 것이니, / 移從閬苑仙
단지에 뿌리 내리고, / 結根丹地上
자정에 그림자 띄우네. / 分影紫庭前
세엽은 그림 같고, / 細葉看如畵
꽃이 핀 것이 처다보게 만드네. / 繁英望欲然
품은 계성수보다 높고, / 品高鷄省樹
향은 수로연보다 좋다. / 香接獸爐烟
날 가까우니 봄이 다가오고, / 天近先春茂
새벽 맑으니 이슬을 머금었다. / 晨淸帶露鮮
이는 왕모가 바친 것이니, / 是應王母獻
성수가 천 년은 늘 것이다. / 聖壽益千年
- 보한집 권상, 최유선의 과거.
낭완의 신선에게 가져와 옮겨 심은 것이니, / 移從閬苑仙
단지에 뿌리 내리고, / 結根丹地上
자정에 그림자 띄우네. / 分影紫庭前
세엽은 그림 같고, / 細葉看如畵
꽃이 핀 것이 처다보게 만드네. / 繁英望欲然
품은 계성수보다 높고, / 品高鷄省樹
향은 수로연보다 좋다. / 香接獸爐烟
날 가까우니 봄이 다가오고, / 天近先春茂
새벽 맑으니 이슬을 머금었다. / 晨淸帶露鮮
이는 왕모가 바친 것이니, / 是應王母獻
성수가 천 년은 늘 것이다. / 聖壽益千年
- 보한집 권상, 최유선의 과거.
현종, 덕종, 정종 대를 거쳐 계속 승진하여 문종 대엔 지중추원사[6] 직을 맡았다.
"옛 당태종은 신성하며 영무했으니, 천백년 동안 비교할 자가 없었습니다. 아무나 승려가 되지 못하게 하고 사관을 짓지 못하게 하여 고조의 뜻을 받들었으니, 사전에서 찬양했습니다.
昔唐太宗神聖英武千百年以來未有倫比不許度人爲僧創立寺觀以遵高祖之志史傳美之
우리 태조 신성왕의 훈요에서 이르길: '국사도선이 국내 산천을 살펴 사원을 지을 수 있는 곳을 정해 짓지 않은 곳이 없다. 후세 사왕과 공후, 귀척, 후비, 신료들은 원우를 짓겠다고 경쟁하여 지덕을 해치지 말라.'고 했습니다.
我太祖神聖王訓要曰國師道詵察國內山川順逆凡可以創造寺院之地無不營建後世嗣王及公侯貴戚后妃臣僚無得爭修願宇虧損地德
지금 폐하께선 조종이 쌓아온 대업을 받드시어 승평[7]하신지 오래입니다. 그러니 절약하시고 사람을 사랑하시어 성업을 지켜 후사에 전해야 합니다. 어떻게 국민의 재산을 탕진하고 국민의 힘을 소모해 급하지도 않은 일에 쓰시어 방본을 위험하게 하시는 겁니까?"
今陛下承祖宗積累之基昇平日久固宜節用愛人持盈守成以傳後嗣柰何罄民財竭民力供不急之費以危邦本耶
- 고려사 최유선 열전 中.
문종이 흥왕사를 지을 때 당태종의 예와 태조의 유훈 10조를 인용해 건설을 반대하는 등 충신으로서의 모습을 보였다.昔唐太宗神聖英武千百年以來未有倫比不許度人爲僧創立寺觀以遵高祖之志史傳美之
우리 태조 신성왕의 훈요에서 이르길: '국사도선이 국내 산천을 살펴 사원을 지을 수 있는 곳을 정해 짓지 않은 곳이 없다. 후세 사왕과 공후, 귀척, 후비, 신료들은 원우를 짓겠다고 경쟁하여 지덕을 해치지 말라.'고 했습니다.
我太祖神聖王訓要曰國師道詵察國內山川順逆凡可以創造寺院之地無不營建後世嗣王及公侯貴戚后妃臣僚無得爭修願宇虧損地德
지금 폐하께선 조종이 쌓아온 대업을 받드시어 승평[7]하신지 오래입니다. 그러니 절약하시고 사람을 사랑하시어 성업을 지켜 후사에 전해야 합니다. 어떻게 국민의 재산을 탕진하고 국민의 힘을 소모해 급하지도 않은 일에 쓰시어 방본을 위험하게 하시는 겁니까?"
今陛下承祖宗積累之基昇平日久固宜節用愛人持盈守成以傳後嗣柰何罄民財竭民力供不急之費以危邦本耶
- 고려사 최유선 열전 中.
딱히 이렇다 할 업적은 없으나 유풍(儒風)이 약했던 고려시대에 유학자로서 모범을 보였고, 늘 문종에게 간언하니 세간엔 좋은 평을 받았다고 한다.
3. 역임 관작
그의 최후 관작은 다음과 같다.- 문산계 품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공신호: 추충찬화강정수제공신(推忠贊化康靖綏濟功臣)
- 직위: 중서령(中書令) - 문하시중(門下侍中) - 상서이부판사(尙書吏部判事)
- 수직: 수태사(守太師)
- 훈위: 상주국(上柱國)
- 시호: 문화공(文和公)
최유선은 증손자인 최윤의의 묘지명에도 등장하는데, 묘지명에서 나온 관작은 다음과 같다.
- 직위: 중서령(中書令)
- 시호: 문화공(文和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