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55-56 | 1956-57 | 1957-58 | 1958-59 | 1959-60 | |
1960-61 | 1961-62 | 1962-63 | 1963-64 | 1964-65 | ||
1965-66 | 1966-67 | 1967-68 | 1968-69 | 1969-70 | ||
1970-71 | 1971-72 | 1972-73 | 1973-74 | 1974-75 | ||
1975-76 | 1976-77 | 1977-78 | 1978-79 | 1979-80 | ||
1980-81 | 1981-82 | 1982-83 | 1983-84 | 1984-85 | ||
1985-86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
1990-91 | 1991-92 | 1992-93 | 1993-94 | 1994-95 | ||
1995-96 | 1996-97 | 1997-98 | 1998-99 | 1999-00 | ||
2000-01 | 2001-02 | 2002-03 | 2003-04 | 2004-05 |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 ||
2025-26 | ||||||
UEFA 챔피언스 리그 관련 문서 |
UEFA 챔피언스 리그 시즌 | ||||
1986-87 | → | 1987-88 | → | 1988-89 |
1. 개요
서른세 번째 유러피언컵이다. 전 대회 우승팀 포르투는 2라운드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대회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합산 점수가 동점일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을 적용했고, 그 후에도 동점인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1988년 5월 25일 슈투트가르트의 네카어슈타디온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PSV 에인트호번이 승부차기 끝에 포르투갈의 강호 벤피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15년 만에 네덜란드 팀이 이 대회에서 우승한 첫 번째 사례이자 클럽 역사상 최초로 트레블을 달성하는 위업을 이루었던 시즌이다.[1][2] 또한 PSV는 8강부터 단 한 경기도 이기지 않고[3] 대회에서 우승한 독특한 기록을 세웠다. 참고로 PSV를 이끌고 트레블을 달성한 감독이 바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월드컵 4강으로 이끌었던 것으로 유명한 거스 히딩크다.
헤이젤 참사로 인한 UEFA의 징계 조치로 인해 잉글랜드 클럽 팀인 에버튼은 참가가 허용되지 않았다. 이는 3년 만에 두 번째로 에버튼이 대회 참가를 거부당한 경우였다.
2. 1라운드
팀명 | 결과 | 팀명 | 1차전 | 2차전 | ||
| 뇌샤텔 크사막스 FCS | 6-2 | | FC 쿠시시 | 5-0 | 1-2 |
| FC 바이에른 뮌헨 | 5-0 | | CSKA 스레데츠 | 4-0 | 1-0 |
| 레알 마드리드 CF | 3-1 | | SSC 나폴리 | 2-0[4] | 1-1 |
| FC 포르투 | 6-0 | | FK 바르다르[5] | 3-0 | 3-0 |
| 릴레스트룀 SK | 5-3 | | 린필드 FC | 1-1 | 4-2 |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4-0 | | BFC 디나모 | 2-0 | 2-0 |
| SK 라피트 빈 | 7-0 | | 함룬 스파르탄스 FC | 6-0 | 1-0 |
| PSV 에인트호번 | 3-2 | | 갈라타사라이 SK | 3-0 | 0-2 |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4-2 | | MTK 부다페스트 FC | 4-0 | 0-2 |
| 샴록 로버스 FC | 0-1 | | AC 오모니아 | 0-1 | 0-0 |
| 디나모 키예프 | 1-2 | | 레인저스 FC | 1-0 | 0-2 |
| 올림피아코스 FC | 2-3 | | 구르니크 자브제 | 1-1 | 1-2 |
| 오르후스 GF | 4-2 | | AS 죄네스 에슈 | 4-1 | 0-1 |
| SL 벤피카 | 4-0 | | FK 파르티자니 티라나 | 4-0 | -[6] |
| 프람 레이캬비크 | 0-10 | | AC 스파르타 프라하 | 0-2 | 0-8 |
| 말뫼 FF | 1-2 | | RSC 안데를레흐트 | 0-1 | 1-1 |
3. 2라운드
팀명 | 결과 | 팀명 | 1차전 | 2차전 | ||
| 뇌샤텔 크사막스 FCS | 2-3 | | FC 바이에른 뮌헨 | 2-1 | 0-2 |
| 레알 마드리드 CF | 4-2 | | FC 포르투 | 2-1 | 2-1 |
| 릴레스트룀 SK | 0-1 |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0-0 | 0-1 |
| SK 라피트 빈 | 1-4 | | PSV 에인트호번 | 1-2 | 0-2 |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5-1 | | AC 오모니아 | 3-1 | 2-0 |
| 레인저스 FC | 4-2 | | 구르니크 자브제 | 3-1 | 1-1 |
| 오르후스 GF | 0-1 | | SL 벤피카 | 0-0 | 0-1 |
| AC 스파르타 프라하 | 1-3 | | RSC 안데를레흐트 | 1-2 | 0-1 |
4. 8강
팀명 | 결과 | 팀명 | 1차전 | 2차전 | ||
| FC 바이에른 뮌헨 | 3-4 | | 레알 마드리드 CF | 3-2 | 0-2 |
| FC 지롱댕 드 보르도 | 1-1[A] | | PSV 에인트호번 | 1-1 | 0-0 |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3-2 | | 레인저스 FC | 2-0 | 1-2 |
| SL 벤피카 | 2-1 | | RSC 안데를레흐트 | 2-0 | 0-1 |
5. 4강
팀명 | 결과 | 팀명 | 1차전 | 2차전 | ||
| 레알 마드리드 CF | 1-1[A] | | PSV 에인트호번 | 1-1 | 0-0 |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0-2 | | SL 벤피카 | 0-0 | 0-2 |
6. 결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 1956 RMA | 1957 RMA | 1958 RMA | 1959 RMA | 1960 RMA | |
1961 SLB | 1962 SLB | 1963 ACM | 1964 INT | 1965 INT | ||
1966 RMA | 1967 CEL | 1968 MUN | 1969 ACM | 1970 FEY | ||
1971 AJA | 1972 AJA | 1973 AJA | 1974 BAY | 1975 BAY | ||
1976 BAY | 1977 LIV | 1978 LIV | 1979 NFO | 1980 NFO | ||
1981 LIV | 1982 AVL | 1983 HSV | 1984 LIV | 1985 JUV | ||
1986 CSA | 1987 FCP | 1988 PSV | 1989 ACM | 1990 ACM | ||
1991 ZVZ | 1992 FCB | 1993 MRS | 1994 ACM | 1995 AJA | ||
1996 JUV | 1997 BVB | 1998 RMA | 1999 MUN | 2000 RMA | ||
2001 BAY | 2002 RMA | 2003 ACM | 2004 FCP | 2005 LIV | ||
2006 FCB | 2007 ACM | 2008 MUN | 2009 FCB | 2010 INT | ||
2011 FCB | 2012 CHE | 2013 BAY | 2014 RMA | 2015 FCB | ||
2016 RMA | 2017 RMA | 2018 RMA | 2019 LIV | 2020 BAY | ||
2021 CHE | 2022 RMA | 2023 MCI | 2024 RMA | 2025 OOO |
}}}}}}}}}}}}}}}}}} ||
'''''' | ||
아레나 슈투트가르트 (슈투트가르트) | ||
주심: 루이지 아뇰린 (이탈리아) | ||
관중: 64,000명 | ||
| | |
PSV | 벤피카 | |
0 | 0 | |
<rowcolor=#000,#fff> - | | - |
- | ||
◀ 1987 유러피언컵 결승전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1989 유러피언컵 결승전 |
승부차기 | ||||
PSV | <colcolor=#000,#ddd> 6 : 5 | 벤피카 | ||
선축 (GK: 한스 판브뢰켈런) | 후축 (GK: 실비누) | |||
로날드 쿠만 | | 1 | | 에우주 |
빔 키프트 | | 2 | | 디투 |
이반 니엘센 | | 3 | | 하지리 레두안 |
헤랄트 바넨뷔르흐 | | 4 | | 안토니우 파체코 |
쇠렌 레르뷔 | | 5 | | 모제르 |
안톤 얀선 | | 6 | | 안토니우 벨로주[1]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8 유러피언컵 결승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8 유러피언컵 결승전#|]][[1988 유러피언컵 결승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87-88 유러피언컵 우승 |
|
|
PSV 에인트호번 ★ |
[1] 1966-67 시즌 셀틱, 1971-72 시즌 아약스 이후 세번째.[2] 하지만 그 이후로는 트레블은 커녕 챔스 결승조차 가지 못한다.[3] 무승부만을 기록하며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진출[4] 레알 마드리드는 1986-87 시즌에 일어난 관객 난동 사건으로 인한 UEFA의 징계로 무관중으로 경기를 치렀다.[5] 본래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자격을 확보했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5위로 밀려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전에는 변동이 없었다. 자세한 사항은 FK 바르다르 문서 참조.[6] FK 파르티자니 티라나는 1차전에서 선수 4명이 퇴장당했으므로 실격되었다.[A] 원정 다득점[A] 원정 다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