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1:39:52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2002 수능 2003 수능
(2002.11.6.)
2004 수능

1. 개요2. 9월 수능 모의평가(2002.09.03)3. 시험의 상세4. 소수점 배점 소송5. 둘러보기 틀

1. 개요

2002년 11월 6일 실시되었다. 2002년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인 1991학년도에 국민학교에 입학하고 1997년도에 초등학교로 졸업한 연령대(1984년 3월생~1985년 2월생) 기준으로 응시했다.[1] 총 응시인원 65만 5384명. 참고로 이 수능을 친 사람들은 수험생활 때문에 2002 한일 월드컵도 제대로 보지도 못한 비운의 세대이다.

수준은 전년도와 비슷한 난이도였으며, 만점자는 2년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았다.[2]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도시전설이 있다. 김치국 항목 참조.

2. 9월 수능 모의평가(2002.09.03)

2001학년도와 2002학년도 수능의 난이도 차이가 논란이 되는 바람에, 2003학년도 수능부터 수능 모의평가를 실시하여 난이도 적중률을 높이고, 수능 직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미리 표본 추출한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를 발표해 부정확한 사설학원 입시자료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고3(재학생)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를 실시하려고 했으나 수험생의 학력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능 난이도 조절에 참고하기 위한 것인만큼 재수생과 검정고시생도 모의평가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평가원은 당초 수능 모의평가를 8월 중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9월 3일로 예정됐던 서울시교육청 주관 시·도 교육청 학력평가와 중복돼 수험생의 부담이 클 것을 감안,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대신 모의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시험 출제는 수능과 같은 방식으로 대학 교수, 고교 교사등으로 출제위원단을 구성해 12일간 비공개 합숙을 통해 출제하고, 채점은 9월 4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해 9월 25일 성적이 개별 통지되었다. 이번 모의평가에서는 선택과목인 제2외국어는 제외되었다. 고교 재학생은 소속 학교에, 재수생은 사설 학원이나 출신학교에, 검정고시 출신은 사설 학원에 신청하면 응시가 가능했다. 응시료는 고교 재학생은 교육청이 부담해 무료이며, 재수생 등은 5천원의 수수료를 내야했다. 또한, 2003년부터는 모의평가를 5월[3]과 9월 연 2회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3. 시험의 상세

시험은 다음과 같이 총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시 영역 계열 구분 문항 배점 시간(분)
1언어 영역공통6012090
2수리 영역인문, 자연, 예체능3080100
3사회탐구 영역인문, 예체능4872120
자연3248
과학탐구 영역인문, 예체능3248
자연4872
4외국어 영역공통508070
합계 220400380
+ 제2외국어 영역(선택)

언어영역은 작년의 수준을 이어받아 매우 어려웠으며 만점자가 1명(문과 여자 수험생)밖에 나오지 않았다. [4]

1개를 틀린 수험생이 30명(인문계 22명, 자연계 8명)이었다. 인문계, 자연계 다 110점까지의 누적 인원이 각각 1604명(0.452%), 1367명(0.688%)였고 115점 이상은 인문계 86명(0.024%), 자연계 61명(0.031%)정도 나왔다. 7차 이후의 방식으로 표준점수를 계산할시 표준점수 최고점이 150점으로 산출되며, 원점수 120점 만점에 102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85점)까지 1등급이 나왔을 것이다. 백분위 100% 컷원점수 120점 만점에 109점(100점 만점에 약 91점)이었다.

참고로 언어영역에선 한국 국문학의 최종보스인 이상의 오감도가 출제되었다. 다행히 문제 자체는 오감도가 국문학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당시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에 대해 묻는 평이한 수준이었다.

수리영역은 자연계의 경우 74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2.5점,표준점수 최고점 141점)이 1등급 컷으로 72점이었던 02수능보다 약간 평이해졌지만 전체적인 분포에 있어서는 02년과 대동소이했다. 만점자는 1411명(0.711%)이 만점을 받아 만점을 받아도 백분위 99가 나왔다.[5] 한편 인문계는 만점자가 작년(196명)보다 약간 늘긴 했으나 285명(0.08%)밖에 되지 않았고 65점 이상 누적인원이 3.5%정도, 70점 이상이 5000명 정도로 백분위 99를 받을 수 있었으며 75점 이상이 1400명대(0.41%)로 수준이 여전히 높았다. 인문계의 1등급 커트라인은 80점 만점에 63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78.75점, 표준점수 최고점은 162점)이었다. 백분위 100% 컷80점 만점에 75점이었다.

사회탐구는 인문계는 72점 만점이 67명(0.019%), 70점 이상이 287명(0.081%)으로 작년과 비교하면 상위권 기준으로 더 까다로워진 편이었다. 65점 맞아도 1700명 이내로 1퍼센트 이내였다. 자연계도 48점 만점이 67명(0.034%), 45점 이상 1331명(0.669%)으로 45점까지의 누적 인원이 5000명 정도였던 작년 수능보다 어려웠다. 인문계의 1등급컷은 72점 만점에 61점,자연계의 1등급컷은 48점 만점에 41점이었다.

반대로 과학탐구는 꽤 쉬워졌는데 자연계 기준으로 72점 만점이 1962명(0.991%), 70점 이상이 6467명 정도(3.27%)로 70점 이상이 539명(0.278%)밖에 안되었던 작년 수능보다 많이 쉬웠다. 인문계도 48점 만점이 1521명(0.430%), 45점 이상이 9968명(2.82%)으로 45점까지 2159명(1.11%)이었던 작년 수능보다 쉬웠던 편이다.인문계의 1등급컷은 48점 만점에 44점, 자연계의 1등급컷은 72점 만점에 69점이었다.

외국어영역은 2002수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만점자는 계열 통합으로 3626명(0.555%)였고, 80점 만점에 75점(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93.75점)이 1등급컷이었다.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이었다.

21세기에 치러진 수능 중 평균 점수(원점수 기준)가 가장 낮았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2002학년도 수능의 수준이 높아 약간 수준이 낮아질 거라 예상했지만 대부분이 멘붕을 경험했다. 그런데 어차피 내가 어려우면 남도 어려운 법. 이렇듯 총 평균 점수가 전년보다 하락했다는 점 때문에 일부는 2003학년도 수능이 2002학년도 수능보다 더 어려웠다고 평가하지만,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의 만점자 비율이 2002 수능보다는 살짝 높은 편이어서 2002 수능보다는 약간 쉬웠던 시험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2003학년도 수능의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은 다음과 같다.
언어 102/120(85) (만점자 1명) (만점표점 150점)
수리 인문 63/80(78.75) (만점자 285명)(만점표점 162점)
수리 자연 74/80(92.5) (만점자 1411명) (만점표점 141점)
사회탐구 인문 61/72(84.76) (만점자 67명) (만점표점 75.5점)
사회탐구 자연 41/48(85.41) (만점자 67명) (만점표점 75.5점)
과학탐구 인문 44/48(91.66) (만점자 1521명) (만점표점 76점)
과학탐구 자연 69/72(95.83) (만점자 1962명) (만점표점 65.5점)
외국어 75/80(93.75) (만점자 3626명)

4. 소수점 배점 소송

'수능 소수점 이하 반올림' 반영 논란 점수 높은 학생이 떨어질 수도
[수능점수] 소수점 이하 반올림… 서울대당락 뒤바뀌어
‘수능 반올림’ 억울한 탈락, "수능 반올림으로 27% 순위역전"

이 수능을 끝으로 소수점 배점이 폐지되었다. 당시에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해서 수능 점수를 표시했는데 이 배점 반올림으로 인하여 피해를 본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송까지 가는 일이 생겼으며, 그 다음해부터는 소수점 배점을 완전 폐기하고 정수 배점으로 일원화되었다. 판결문 전문은서울고등법원 2005. 10. 13. 선고 2005나1447 판결 [손해배상(기)], 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5다66770 판결 [손해배상(기)] [공2008상,10]

이후 수능 관련 소송은 여러 번 있었으나 출제 오류 사태 관련 소송은 2014학년도 수능 세계지리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 II에서 불거지게 된다.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역량
언어(言語)
수리(數理)
추론·자료해석
자격·지식
영역
<nopad> 한국사 <nopad> 제2​외국어​/한문
하위 문서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2025 2026 2027 2028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


[1] 이들이 바로 초등학교의 첫 졸업세대였다. 물론 N수생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2] 문과 수석은 394.5점으로 서울대 경영대 진학, 이과수석 394.2점-서울대 의대 진학.[3] 하지만 6월로 연기된다.[4] 서울 휘경여고 3학년 손수아 양이었는데, 기사를 참고하자.[5] 당시 백분위 산정은 7차 교육과정과 조금 달라 이런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