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남구도시관리공단 | 강동구도시관리공단 | 강북구도시관리공단 | 강서구시설관리공단 | 관악구시설관리공단 |
광진구시설관리공단 | 구로구시설관리공단 | 금천구시설관리공단 | 노원구시설관리공단 | 도봉구시설관리공단 | |
동대문구시설관리공단 | 동작구시설관리공단 | 마포구시설관리공단 | 서대문구도시관리공단 | 서울교통공사 |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 서울시설공단 | 서울에너지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
성동구도시관리공단 | 성북구도시관리공단 | 송파구시설관리공단 | 양천구시설관리공단 | 영등포구시설관리공단 | |
용산구시설관리공단 | 은평구시설관리공단 | 종로구시설관리공단 | 중구시설관리공단 | 중랑구시설관리공단 |
<colcolor=#fff> 강북구도시관리공단 江北區都市管理公團 Gangbuk-gu City Management Corporation | |
| |
<colbgcolor=#00652e> 법인명 | 서울특별시강북구도시관리공단 |
설립일 | 1997년 11월 1일 |
설립목적 |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장이 지정하는 시설 및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구민생활의 편익과 복지증진은 물론 자치구정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시관리공단 설치 조례 |
업종 |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
대표자 | 조준원(이사장 직무대행)[1] |
주무부처 | 강북구청 |
주요 주주 | 강북구청: 100% (2024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지방공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274명(2024년 12월 31일 기준)[2] |
자본금 | 2억 6,000만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195억 8,442만 7,105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해당사항 없음(2023년 기준) |
순이익 | 해당사항 없음(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16억 5,027만 7,014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13억 9,027만 7,014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534.72%(2023년 기준) |
미션 | 강북구의 발전과 구민의 복리증진에 기여 |
비전 |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서울 NO.1 공기업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85 (수유동) |
홈페이지 | |
SNS | |
전화번호 | 02-944-3000 |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시관리공단 설치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지방공기업법」제76조제1항에 따라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시관리공단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장이 지정하는 시설 및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발전과 구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시관리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은 법인으로 한다. |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85(지번 수유동 360-10)에 있다.
2. 연혁
- 1996년 10월 14일: 공단설치조례 제정 공포
- 1997년 8월 6일: 공단설립 내무부 인가
- 1997년 11월 1일: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설립[3]
- 1998년 1월 1일: 거주자우선주차제 관리업무 수탁
- 1999년 1월 1일: 견인차량보관소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0년 8월 17일: 강북구민운동장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1년 1월 1일
- 구청청사 관리업무 수탁
- 보건소청사 관리업무 수탁
- 차량 견인대행업무 수탁
- 2001년 5월 26일: 강북문화정보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1년 11월 1일: 강북구민회관(현 강북문화예술회관)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1년 12월 1일: 강북청소년문화정보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3년 1월 1일: 강북오동골프클럽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4년 12월 31일: 강북구민생활서비스코너 사업폐지
- 2005년 1월 10일: 강북구도시관리공단 본부사무실 이전
- 2005년 3월 2일: 강북웰빙스포츠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5년 10월 4일: 솔샘문화정보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08년 12월 31일: 구민운동장 인조잔디 조성
- 2009년 12월 1일: 자전거 주차장 수탁운영
- 2010년 1월 1일: 치매지원센터(보건 분소) 청사관리 수탁운영
- 2010년 3월 2일: 송중문화정보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10년 8월 11일: 수유문화정보센터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10년 11월 10일: 한방진료센터(보건 분소) 청사관리 수탁운영
- 2013년 5월 10일: 미아문화정보도서관 개관
- 2013년 6월 10일: 번동 햇살주차장(U-도서관) 개관
- 2013년 6월 22일: 도서관 개명(정보센터 → 정보도서관)
- 2014년 4월 28일: 오동근린공원 실내 배드민턴장 개관
- 2014년 11월 27일: 수유마을시장 공영주차장 관리업무 수탁운영
- 2017년 6월 2일: 삼각산어린이도서관 관리업무 수탁
- 2021년 1월 1일: 우이동 가족캠핑장 관리업무 수탁
- 2022년 8월 16일: 장미원시장 공영주차장 수탁운영
- 2023년 8월 1일: 미양마을 공영주차장 수탁운영
- 2024년 10월 26일: 2024. 10. 26.(토)~2024. 11. 26.(화): 행정사무조사 실시
- 2025년 2월 12일: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신승동 이사장 직위해제
3. 역대 이사장
- 초대 이영욱 (1997~1998)
- 2대 신형빈 (1999~2000)
- 3대 강영조[4] (2000~2002)
- 직무대행 경흥식 (2002~2004)
- 4~5대 강종식 (2004~2008)
- 직무대행 이동국 (2008)
- 6대 권오도 (2009~2010)
- 직무대행 이동국 (2011)
- 7대 강영조[5] (2011~2018)
- 직무대행 이찬우[6] (2018~2019)
- 8대 임옥기[7] (2019~2022)
- 직무대행 김창인[8] (2022)
- 9대 신승동 공단최초 직위해제자[9][10]
- 직무대행 조준원[11] (2025~ )
4. 사업
강북구도시관리공단은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시관리공단 설치 조례 제14조).4.1. 주차사업
- 공영 주차장 관리·운영
- 노외
- 시범
- 위치: 강북구 한천로139가길 10
- 총 45면
- 송중동
- 위치: 강북구 월계로7길 36
- 총 53면
- 인수동[12]
- 위치: 강북구 삼양로92길 34
- 총 89면
- 교통광장[13]
- 위치: 강북구 삼양로 678
- 총 158면
- 수송초
- 위치: 강북구 한천로124길 14
- 총 185면
- 냉천길
- 위치: 강북구 삼양로230-12
- 총 103면
- 수유일공원
- 위치: 강북구 삼양로79길 5
- 총 91면
- 대지시장길
- 위치: 강북구 솔샘로243-8
- 총 47면
- 삼양마을공원
- 위치: 강북구 삼양로47길 15
- 총 95면
- 색동공원
- 위치: 강북구 삼양로80나길 56
- 총 80면
- 미아동
- 위치: 강북구 도봉로61길 46
- 총 155면
- 번동햇살
- 위치: 강북구 오현로21길 84
- 총 187면
- 수유마을시장
- 위치: 강북구 도봉로69길 27
- 총 116면
- 우이동
- 위치: 강북구 삼양로155길 33
- 총 82면
- 청암
- 위치: 강북구 솔매로22가길 20
- 총 47면
- 삼양시장길
- 위치: 강북구 솔매로7가길 33
- 총 43면
- 은혜
- 위치: 강북구 삼양로67길 16
- 총 20면
- 번2동
- 위치: 강북구 오현로21길 6
- 총 20면
- 구세군길
- 위치: 강북구 인수봉로20가길 21
- 총 87면
- 오패산
- 위치: 강북구 도봉로34길 54
- 총 76면
- 송천동
- 위치: 강북구 숭인로7나길 23
- 총 59면
- 가오리
- 위치: 강북구 삼양로107길 30
- 총 120면
- 수유2동
- 위치: 강북구 한천로160길 40
- 총 62면
- 송중동(임시)
- 위치: 강북구 도봉로8길 67
- 총 6면
- 수유쌈지
- 위치: 강북구 도봉로 265
- 총 19면
- 어울림소공원
- 위치: 강북구 오현로 56
- 총 45면
- 장미원시장
- 위치: 강북구 인수봉로78길 24
- 총 152면
- 미양마을마당
- 위치: 강북구 미아동 791-1974 2필지
- 총 10면
- 노상
- 거주자 우선 주차장 관리·운영
- 총 3,176면
- 강북구 견인차량보관소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우이동 산99-2[22]
- 총 65면
- 수유역 6번출구 자전거 주차장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도봉로85길 10
- 총 656면
4.2. 문화체육사업
- 강북문화예술회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삼각산로 85
- 연면적: 11,570㎡
- 강북웰빙스포츠센터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오현로31길 51
- 연면적: 6,828㎡
- 강북구민운동장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오현로 187-25
- 면적: 12,000㎡
- 오동근린공원 실내 배드민턴장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덕릉로42길 49
- 연면적: 2,020㎡
- 오동골프클럽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오현로 117
- 연면적: 2,121㎡
- 우이동 가족 캠핑장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삼양로181길 28
- 면적: 10,325㎡
4.3. 문화정보사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북구립도서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북구립도서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북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오현로 145
- 연면적: 5,574㎡
- 총 198,909점
- 강북청소년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삼양로54길 68
- 연면적: 1,777㎡
- 총 45,046점
- 솔샘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솔샘로 177
- 연면적: 944㎡
- 총 49,500점
- 송중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도봉로20나길 6
- 연면적: 511㎡
- 총 25,890점
- 수유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삼양로 299
- 연면적: 951㎡
- 총 40,408점
- 미아문화정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솔매로49길 14
- 연면적: 751㎡
- 총 44,800점
- 삼각산어린이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삼양로19길 34
- 연면적: 995㎡
- 총 31,506점
- 장난감 508점
- 번동U-도서관 관리·운영
- 위치: 강북구 오현로21길 84
- 연면적: 285㎡
- 미아사거리 스마트 도서관 관리·운영
- 총 386점
- 강북문화예술회관 스마트 도서관 관리·운영
- 총 491점
4.4. 시설관리사업
- 강북구청 시설관리
- 위치: 강북구 도봉로89길 13
- 연면적: 10,511㎡
- 강북구보건소 시설관리
- 위치: 강북구 한천로 897
- 연면적: 3,966㎡
- 미아동복합청사 시설관리
- 위치: 강북구 솔매로49길 14
- 연면적: 5,783㎡
5. 노동조합 현황
2024년 12월 기준-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 서울본부 강북구도시관리공단분회(단일노조):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소속, 교섭대표노조.
6. 여담
1.서울 강북구의회(의장 김명희)는 지난 2024년 11월 27일 제27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운영 정상화를 위한 안건을 처리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본회의에서는 행정사무조사 결과보고서 채택의 건과 행정사무조사 서류 미제출 및 증인 불출석에 대한 과태료 부과 요구의 건을 의결했으며 결과보고를 통해 강북구 도시관리공단의 심각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 감독과 조속한 조치를 집행부에 요청하며, 이사장 해임을 건의했다.행정조사특별위원회의 이번 조사는 강북구 도시관리공단이 지난해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최하위 수준인 라등급을 받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작됐으나 조사 과정에서 결과 조작, 직장 내 괴롭힘, 부당한 징계 및 근무평정에 의한 승진 등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출처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http://www.jeonmae.co.kr)2. 2월12일 부로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신승동 이사장 직위해제
- 이사장 직위해제 이후 상황 -
1.전임 이사장은 직위해제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단은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음.
2.오히려 각종 소송, 직급체계의 비정상적 운영 등 심각한 문제들이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음.
- 상임이사 및 핵심 보직 인사 문제 -
1.해당 상임이사는 전임 이사장 하에서 부정행위에 연루된 직원들을 주요 보직에 앉혀, 조직 운영을 못하고 있음.
운영상의 비정상성 이러한 인사와 조직 운영으로 인해 공단은 투명성과 공정성을 상실하고 있으며, 내부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 및 대외 신뢰도 악화로 이어지고 있음.
2.정상적인 직급·보직 체계가 무너지고, 특정 세력 중심의 인사·운영이 지속되는 것은 명백한 조직 관리 실패로 보여짐
7. 어록
"최고의 복지는 동료이다
"그동안 관행적으로 이루어 졌다. 감사는 감사원을 통해 10년치 감사를 받겠다
"지금 말씀드린 것처럼 이런 것에 대해서, 이렇게 이런 것들제가 확인 못한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제가 잘못된 겁니다."(승진을 한게 잘못된거죠) 저는 그 부분은 그렇게 생각 안 합니다."
"우리는 언제나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No.1 지방공기업이 되어야 합니다.
"공정을 바탕으로 하는 노사관계 확립, 직무 중심의 조직시스템 운영, 신뢰와 기본을 통한 윤리·인권 강화, 사업수지 개선을 통한 재무건전성 확보를 실현하여 신뢰받는 책임경영을 실천합시다.
[1] 전임 신승동 이사장은 부당 승진, 부당 근무평정, 각종 비위행위, 직장 내 괴롭힘 및 업무 능력 저하 등의 이유로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북부지청으로부터 과태료 500만 원이 부과된 것과 관련하여, 강북구청의 인사발령 통보에 따라 2025년 2월 12일자로 직위해제되었다. 기사 이후 법원이 과태료 부과 사유가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해당 처분을 기각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으나, 얼마 뒤 고용노동부와 검찰은 혐의가 짙다고 판단해 상고하였고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이다.[2] 정규직 현원 146명, 무기계약직 현원 32명, 비정규직 현원 96명.[3] 강북구민생활서비스코너, 공영주차장 관리 운영.[4] 제2대 강북구의회 의원(2대 의원 당시 후반기 의장). (민선 1기)[5] 전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이사장, 제2대 강북구의회 의원(2대 의원 당시 후반기 의장). (민선 1기)[6] 전 강북구청 행정관리국장.[7] 전 서울특별시청 기후환경본부장.[8] 당시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상임이사, 전 강북구청 기획재정국장.[9] 전 대림산업 전무.[10] 직장 내 괴롭힘 혐의로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북부지청으로부터 과태료 500만 원이 부과된 것과 관련하여, 강북구청의 인사발령 통보에 따라 2025년 2월 12일자로 직위해제되었다. [[https://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506494|기사][11] 현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상임이사, 전 언론중재위원회 사무총장.[12]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주차사업팀이 소재하고 있다.[13] 강북구 견인차량보관소와 같은 장소에 소재하고 있다.[직영] [직영] [직영] [민간위탁] [직영] [직영] [무인운영] [직영] [22] 교통광장 공영주차장과 같은 장소에 소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