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22:24:51

대한민국 임시정부/연표/1919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연표
<nopad>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문서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 연통제 · 교통국 · 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인애국단 · 한국독립당 · 법통 논란 · 대일선전성명서 · 대덕선전포고문
군사기구광복군사령부 · 육군주만참의부 · 한국광복군
사건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 광복군 9개 준승
인물김구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규식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이동휘 · 홍진 · 조소앙 · 여운형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 김철
청사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항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전장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창사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경교장
연표1919년 · 1920년 · 1921년 · 1922년 · 1923년 · 1924년 · 1925년 ·1926년 · 1927년 · 1928년 · 1929년 · 1930년 · 1931년 · 1932년 · 1933년 · 1934년 · 1935년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1946년 · 1947년 · 1948년
역대 수반 · 지역별 임시의정원 구성}}}}}}}}}

1. 이승만 내각
1.1. 4월
1.1.1. 10일1.1.2. 11일1.1.3. 13일1.1.4. 14일1.1.5. 17일1.1.6. 22일1.1.7. 23일1.1.8. 25일1.1.9. 30일
1.2. 5월
1.2.1. 2일1.2.2. 4일1.2.3. 9일1.2.4. 10일1.2.5. 12일1.2.6. 13일1.2.7. 25일
1.3. 6월
1.3.1. 2일1.3.2. 7일1.3.3. 14일1.3.4. 15일
1.4. 7월
1.4.1. 4일1.4.2. 7일1.4.3. 8일1.4.4. 10일1.4.5. 11일1.4.6. 14일1.4.7. 18일1.4.8. 19일
1.5. 8월
1.5.1. 9일1.5.2. 18일1.5.3. 21일1.5.4. 25일1.5.5. 28일1.5.6. 29일1.5.7. 30일
1.6. 9월
1.6.1. 1일1.6.2. 2일1.6.3. 3일1.6.4. 4일1.6.5. 5일1.6.6. 6일1.6.7. 8일1.6.8. 9일1.6.9. 10일
2. 이승만 정부
2.1. 9월
2.1.1. 11일2.1.2. 12일2.1.3. 16일2.1.4. 17일2.1.5. 23일
2.2. 10월
2.2.1. 9일2.2.2. 15일2.2.3. 20일2.2.4. 30일
2.3. 11월
2.3.1. 3일2.3.2. 5일2.3.3. 11일2.3.4. 13일2.3.5. 14일2.3.6. 15일2.3.7. 17일2.3.8. 19일2.3.9. 21일2.3.10. 27일2.3.11. 29일2.3.12. 30일
2.4. 12월

1. 이승만 내각

파일:국무총리 이승만 임명장(1919. 4. 11).jpg
국무총리 이승만 임명장 (1919. 4. 11)

1.1. 4월

1.1.1. 10일

1.1.2. 11일

파일:대한민국 임시 헌장(1919. 4. 11).jpg
수립 당시 공포한 대한민국 임시 헌장 (1919. 4. 11)

1.1.3. 13일

1.1.4. 14일

파일:필라델피아 한인 대회.jpg
이승만과 참가자들 (미국 독립기념관, 1919. 4. 14)[4]

1.1.5. 17일

1.1.6. 22일

1.1.7. 23일

파일:영문 국민대회 선언서(1919.4.).jpg파일:국민대회 선포문(1919.4.).jpg
국민대회 선포문 (1919. 4. 23)[6]

1.1.8. 25일

1.1.9. 30일

파일:제4회 임시의정원.jpg
의장 손정도 취임 기념 (1919. 4. 30 추정)

1.2. 5월

1.2.1. 2일

1.2.2. 4일

파일:5.4 운동 당시의 천안문 광장.jpg
천안문 광장에서 시위하고 있는 학생들 (1919. 5. 4 추정)

1.2.3. 9일

1.2.4. 10일

1.2.5. 12일

1.2.6. 13일

1.2.7. 25일

1.3. 6월

1.3.1. 2일

1.3.2. 7일

1.3.3. 14일

1.3.4. 15일

1.4. 7월

1.4.1. 4일

1.4.2. 7일

1.4.3. 8일

1.4.4. 10일

1.4.5. 11일

1.4.6. 14일

1.4.7. 18일

1.4.8. 19일

1.5. 8월

1.5.1. 9일

파일:한국독립 결의문.jpg
한국독립 결의문 (1919. 8. 9)

1.5.2. 18일

1.5.3. 21일

파일:상해 독립신문.jpg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 창간호 (1919. 8. 21)[10]

1.5.4. 25일

1.5.5. 28일

1.5.6. 29일

1.5.7. 30일

1.6. 9월

1.6.1. 1일

1.6.2. 2일

1.6.3. 3일

파일: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1호.jpg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1호 (1919. 9. 3)

1.6.4. 4일

1.6.5. 5일

1.6.6. 6일

1.6.7. 8일

1.6.8. 9일

1.6.9. 10일

2. 이승만 정부

파일:이승만 정부 국무위원.jpg
이승만 정부 국무위원

2.1. 9월

2.1.1. 11일

2.1.2. 12일

2.1.3. 16일

2.1.4. 17일

파일:제6회 임시의정원 폐원식.jpg
제6회 임시의정원 폐원식 (1919. 9. 17)

2.1.5. 23일

파일:한일관계사료집.jpg
『한일관계사료집』

2.2. 10월

2.2.1. 9일

2.2.2. 15일

2.2.3. 20일

2.2.4. 30일

2.3. 11월

2.3.1. 3일

2.3.2. 5일

2.3.3. 11일

2.3.4. 13일

2.3.5. 14일

2.3.6. 15일

2.3.7. 17일

2.3.8. 19일

2.3.9. 21일

2.3.10. 27일

2.3.11. 29일

2.3.12. 30일

2.4. 12월


[1] 의장 이동녕, 부의장 손정도, 서기 이광수, 백남칠[국무원] 국무총리 李承晩, 내무총장 安昌浩, 내무차장 申翼熙, 외무총장 金奎植, 외무차장 玄楯, 재무총장 崔在亨, 재무차장 李春塾, 교통총장 文昌範, 교통차장 鮮于爀, 군무총장 李東輝, 군무차장 曹成煥, 법무총장 李始榮, 법무차장 南亨祐, 국무원 비서장 趙素昂. 임시의정원법 기초위원 申翼熙, 孫貞道, 趙素昂, 李光洙[의원] 의장: 孫貞道, 경기도: 조완구 · 吳義善 · 李起龍 · 최창식 · 신익희 · 최근우(鄭大鎬의 후임), 황해도: 金甫淵 · 金錫璜(손두환의 후임) · 高一淸(이광수의 후임), 충청도: 金致根 · 이규갑 · 조동우 · 吳翼杓(사직), 경상도: 金昌淑 · 柳景煥 · 金正默 · 白南奎 · 尹顯振(사직) · 金甲, 전라도: 金澈 · 羅容均 · 韓南洙 · 張炳俊, 강원도: 李駜珪 · 宋世浩 · 金聲根, 함경도: 李春塾 · 林鳳來(사직) · 姜泰東(사직), 러시아령: 曺聖煥, 중국령: 黃公浩, 미국령: 鄭仁果 · 黃鎭南[4] 미국 독립기념관에서 조지 워싱턴이 좌정했던 의자에 앉아있는 이승만. 왼쪽 세번째가 노디김, 다섯번째가 정한경, 일곱번째가 윤병구 목사이다.[5] 집정관: 이동휘, 국무총리: 이승만[6] 1919년 4월 23일 서울에서 반포한 한성정부 수립을 알리는 선포문이다. 등사판 인쇄로 되어 있고 집정관총재 이승만을 비롯해 내각 구성원들의 명단과 평정관, 파리강화회의 국민대표 위원, 약법 제6조 등으로 되어 있다.[7] 집정관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8] 단, 의원 조직에 있어서는 러시아령 대표는 6인 이내[9] 위원: 김병조, 오의선, 최창식, 정인과, 이춘숙[10] 독립 의식을 고취하고 민심을 통일하며 여론을 환기할 목적으로 1919년 8월 21일, 상해에서 창간하였다. 1919년 10월 25일부터 제호를 《독립신문》으로 변경하였다.[11] 단장 여운형, 부단장 유민식, 총무 옥성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