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분파 | ||||
에스닉 내셔널리즘 | 문화 내셔널리즘 | 온건 내셔널리즘 | 시민 내셔널리즘 | 진보적 내셔널리즘 | |
좌익 내셔널리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국민자유주의 | 국민공산주의 | |
경제적 내셔널리즘 | 자원 내셔널리즘 | 종교 내셔널리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 |
페모내셔널리즘 | 뉴 내셔널리즘 | 민족 볼셰비즘 | 사이버 내셔널리즘 | 울트라내셔널리즘 | |
다원적 내셔널리즘 | 낭만적 내셔널리즘 | 네오내셔널리즘 | 영토 내셔널리즘 |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
민족 아나키즘 | 국가 내셔널리즘 | 애국주의 | ||
정체성별 내셔널리즘* |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 독일 내셔널리즘 | 러시아 내셔널리즘 | 미국 내셔널리즘 | 베트남 내셔널리즘 |
아랍 내셔널리즘 | 이탈리아 내셔널리즘 | 일본 내셔널리즘 | 중국 내셔널리즘 |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
타이완 내셔널리즘 |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 프랑스 내셔널리즘 | 한국 내셔널리즘 | 홍콩 내셔널리즘 |
지역별 내셔널리즘 | ||||
단군민족주의 | 삼균주의 | 일민주의 | 민중민족주의 | 대한민국주의 |
야마토 민족주의 | 주체사상 | 조선민족제일주의 | 미국 예외주의 | 트럼프주의 |
힌두트바 | 한족 민족주의 | 만주 민족주의 | 대한족주의 | 지방 민족주의 |
아일랜드 공화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보우소나루주의 | 시오니즘 | 판차실라 |
페론주의 | 푸틴주의 | 소비에트 애국주의 | ||
범국민주의 | ||||
범게르만주의 | 범슬라브주의 | 범튀르크주의 | 범아시아주의 | 범아랍주의 |
스칸디나비아주의 | 대소말리아주의 | 베르베르주의 | 범투란주의 | 범이슬람주의 |
인종국민주의 | ||||
흑인 민족주의 | 백인 민족주의 | 한민족주의 | ||
분리주의 · 독립운동 | ||||
류큐 독립운동 | 만몽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타이완 독립운동 | 티베트 독립운동 |
한국 독립운동 | ||||
관련 이념 | ||||
트랜스내셔널리즘 | 포스트내셔널리즘 | 안티내셔널리즘 | 국가주의 | 정체성 정치 |
자민족중심주의 | 실지회복주의 | 팽창주의 | 패권주의 | 파시즘 |
쇼비니즘 | 선민사상 | 순수혈통주의 | 고립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복지 쇼비니즘 | 반세계화 | 힘에 의한 평화 | ||
관련 개념 및 용어 | ||||
민족 (폴크) | 국민 | 국민국가 (민족국가) | 국유화 | 에스니시티 |
네이션 | 내셔널 아이덴티티 | 민족신화 | 애국 (애국심) | 국뽕 |
네이션 빌딩 | 단일민족국가 | 국가이익 | 민족해방 | 민족주의 테러 |
부흥운동 | 언어순화 운동 | 독립운동 | 통일 | |
* 보통 민족(ethnic)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내셔널리즘인 에스닉 내셔널리즘의 사례가 많지만 미국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싱가포르 내셔널리즘,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같은 국적자/시민권자(citizen)를 중심으로 한 시민 내셔널리즘의 사례도 있다.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30066><colcolor=#fff>문서 | 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 연통제 · 교통국 · 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인애국단 · 한국독립당 · 법통 논란 · 대일선전성명서 |
군사기구 | 광복군사령부 · 육군주만참의부 · 한국광복군 | |
사건 |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 |
인물 | 김구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규식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이동휘 · 홍진 · 조소앙 · 여운형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 김철 | |
청사 | 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항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전장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창사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경교장 | |
틀 | 역대 수반 · 지역별 임시의정원 구성 | }}}}}}}}} |
1. 개요
三均主義조소앙이 핵심이 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41년 발표한 독립운동의 기본 방안으로, 쑨원이 주창한 삼민주의와 함께 당대 세계를 휩쓸었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919년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계기가 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단군민족주의적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2. 상세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균등과 정치적 균등, 경제적 균등, 교육적 균등의 균등을 주장하였기 때문에 삼균주의라는 명칭이 붙었다. 여기서 말하는 균등은 현대적 의미의 평등에 가깝다.기존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한국식으로 해석하여 적절하게 배합하되 민족주의의 기조를 받아 세계문명표준에 맞는 열린 민족주의와 함께 균권(均權), 균부(均富), 균학(均學, 均知)의 '한국식' 균등론를 강조하고 있다.
앞서 말하였듯 삼균주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개인 간, 민족 간, 국가 간의 균등이며 다른 하나는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이다.
- 개인 간의 균등 - 보통 선거 · 국유화 · 의무교육[2]을 통하여 각각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달성할 것.
- 민족 간의 균등 - 민족자결주의의 보편적 적용.
- 국가 간의 균등 - 식민지와 제국주의 철폐. 침략전쟁 반대.
기존의 쑨원의 삼민주의를 한국식으로 발전시키며 경제적인 평등주의적 요소가 두드러졌기에 사회주의적 이념으로 볼 수 있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요 이념이였기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에게도 일정 영향을 주었다.[3] 또 이러한 한국식 균등론이 백성들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 일민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도 한다.
3. 역사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및 아나키즘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독립운동계 내부에는 다양한 사상들이 혼재하였으며 이로 인한 정파들간 충돌도 심한 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민족주의 계열에서는 다양한 사상들을 하나로 정리하는 한편, 이들 사상이 외부에서 유입된 만큼 한국의 특수한 정치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한계로 들면서 한국의 고유한 정치사상을 탄생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커졌고, 삼균주의는 이런 주장이 현실화된 대표적인 사례이다.[4] 3.1 운동 무렵부터 조소앙은 삼균주의를 주창했지만, 이 시기 삼균주의는 평등주의를 표방한 정도에 그친 기초적인 단계였고 1920년대를 거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해 마침내 1941년 발표된 임정의 건국강령에 기본 이념으로 자리잡게 된다.허나 광복 이후 남북분단과 냉전이 도래하고 임시정부의 여당 역할을 한 한국독립당과 조소앙이 직접 세운 사회당도 주요 인물들의 암살과 납북 등으로 해체되면서, 독재정권 시기 등을 거치며 한국에서 삼균주의는 관념론적 이데올로기 수준에 그치게 된다. 여담으로 참고한 삼민주의도 쑨원이 죽고 난 뒤 국민당은 삼민주의를 잇겠다고 말만 하고[5] 장제스 집권기엔 사실상 장제스주의 비슷하게 굴러갔으며, 결국 중국 대륙을 지배하는 중국공산당이야 애초에 마르크스, 레닌 등을 추종하다 한동안은 마오주의를 내세운다.[6] 쑨원 생전에도 중화민국 군벌시대의 몇몇 인사들이 삼민주의에 반발했다는 말이 있는거 보면, 구상은 좋았지만 결국 실권이 없는 한 어쩔 수 없는 한계도 있었다.
4. 관련 인물 및 단체
5. 기타
리첼렌의 대체역사소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주인공 조지원이 제창한 사상이자 작중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으로 등장한다. 물론 원 역사의 삼균주의와는 이름만 같은 사상으로, 이 소설에서 삼균주의는 원 역사의 나치즘과 같은 파시즘 사상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통령 각하 만세/설정을 참조.오히려 원 역사의 삼균주의와 같은 내용의 삼균주의는 리첼렌의 후속작인 한국 독립 전쟁에서 회귀한 김구가 미래의 삼균주의를 제창 이전 시대로 끌고 오면서 나온다.
6. 같이 보기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사회주의 | 진보주의 |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 |
자유지상주의 | ||||
* 현재, 대한민국의 자유주의(liberalism)는 주로 미국, 캐나다, 90년대 이후의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도'보다는 '범좌파'로 분류된다. |
사회민주주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colbgcolor=#ff3f9f><colcolor=#fff,#eee> 주요 개념 | 경제적 개입주의 · 공동체주의 · 공정무역 · 국가사회주의 · 국유화ㆍ국제주의 · 노동운동 · 노동조합 · 민주주의(경제민주주의 · 대의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복지국가 · 시민자유 · 자유무역 · 사회개량주의 · 사회 정의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제3의 길 · 협동조합주의 · 혼합경제 |
연관 이념 | 21세기 사회주의 (일부) · 사회자유주의 · 윤리적 사회주의 · 자유사회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 (일부) · 진보주의(경제적 진보주의) | |
대표적 인물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가타야마 데츠 · 넬슨 만델라 · 다비드 벤구리온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주의)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버니 샌더스 · 버트런드 러셀 · 브루노 크라이스키 · 빌리 브란트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 에다 사부로(구조개혁론)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올로프 팔메 · 유진 V. 데브스 · 자와할랄 네루 · 제러미 코빈 · 존 커틴 · 타게 엘란데르 · 클레멘트 애틀리 · 토니 블레어(블레어주의) · 페르 알빈 한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해럴드 윌슨 | |
단체 | 국제 노동조합 연맹 · 사회당(유럽 사회당) · 사회민주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 |
관련 문서 | 노동 시오니즘 · 삼민주의(삼균주의) · 인터내셔널가 · 지도주의 · 키르치네르주의 · 핑크 타이드 · 황색 사회주의 · 국민의 집 | }}}}}}}}} |
[1] 임정은 이 건국 강령에서 삼균주의를 인정하지 않는 자는 추후 한국이 독립정부를 수립하고 선거를 진행할 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모두 박탈한다고 명시했다.[2] 특히 교육에서 파격적인 것은 대학교까지 무상교육을 주장했다는 점이다. 다만 이는 임시정부에서 사회주의자들을 회유하기 위한 방안이었다..[3] 보수 진영은 이후 가부장적 보수주의, 협동조합주의에 가까운 형태로 나타났다고 보기도 한다.[4] 실제로 삼균주의는 사회주의 계열도 포옹하기 위해서 고려 시대 만적의 난을 비롯한 봉기까지 연구하면서 삼균주의의 논리적 기초로 삼았다.[5] 중화민국 헌법에 아예 박혀있다.[6] 물론 그럼에도 쑨원은 중국 공산당 쪽에서도 찬양하는 인물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