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8:10:33

범아프리카주의

1. 개요

아프리카의 자주적 통일을 목적으로 한 운동이다.

2. 역사

1900년, 트리니다드토바고의 H.S.윌리엄스(H. S. Williams)의 주도로 런던에서 범아프리카회의가 처음으로 소집되고나서 초기의 수년 동안의 범아프리카주의는 전세계의 흑인들의 통합을 위한 운동이었고, 미국 및 서인도 제도 출신의 흑인들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범아프리카주의가 아프리카 대륙 중심으로 전환된 시기는 1945년 영국맨체스터에서 가나의 호전적 인물인 은크루마(Kwame Nkrumah)와 서인도제도의 이론가인 G.패드모어와 여럿(W.E.B. Du Bois, Jomo Kenyatta)에 의하여 범아프리카회의가 조직된 이후부터이다. 이 회의에서 은크루마는 대중을 조직화하고 권력을 장악하여 독립을 획득할 것을 주장했다.

1957년 가나가 독립한 후 1963년쯤까지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이 독립하였고, 이로인해 아프리카 통일문제가 범아프리카주의의 주요 논제가 되면서 범아프리카주의가 대규모로 확대되었다.

3. 아프리카통일기구

1963년 5월 25일 에티오피아아디스아바바에서 32개의 아프리카 독립 국가들이 모여 설립한 범아프리카 정부 간 조직인 아프리카통일기구(OAU)가 범아프리카주의 정신을 대표하게 된다. 주요 목표는 회원국 간의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촉진하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식민주의와 신식민주의를 근절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체적인 군사력을 보유하지 않아 결정 사항을 강제할 수 없었고, 회원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 원칙으로 인해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2002년 7월 9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 타보 음베키의 주도로 OAU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그 후속 기구로 아프리카 연합(AU)가 설립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